KR102649279B1 -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279B1
KR102649279B1 KR1020230003858A KR20230003858A KR102649279B1 KR 102649279 B1 KR102649279 B1 KR 102649279B1 KR 1020230003858 A KR1020230003858 A KR 1020230003858A KR 20230003858 A KR20230003858 A KR 20230003858A KR 102649279 B1 KR102649279 B1 KR 102649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nel
pouring space
deck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평렬
김우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00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타설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데크패널, 상기 데크패널과 접하는 접촉파트 및 상기 접촉파트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파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스터럽 고정 패널 및 상기 연장파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터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Deck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Pressing Jig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터럽 고정을 위한 스터럽 고정 패널과 데크패널의 고정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공법은 콘크리트 속에 철근을 넣어 시공을 한다. 콘크리트의 높은 압축 강도를 가진다는 소재적인 장점이 있는 반면, 낮은 인장력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하여 파괴가 되는 단점이 있고, 이를 높은 인장강도를 가진 철근으로 보강을 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충분한 변형 성능과 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공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최근에는 기존의 장선, 멍에, 동바리 등의 가설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금속 박판을 롤포밍 성형하여 거푸집을 만드는 공법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금속 박막을 사용하여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의 측압 지지 등의 이유로 성형 공간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의 스터럽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금속박막에 봉 형상의 스터럽을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스터럽 고정구에 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터럽 고정을 위한 구조물들은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구비하어야 하고, 별도의 체결공정을 통하여 금속박막에 결합이 되어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3658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터럽 고정 패널과데크패널의 고정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타설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데크패널, 상기 데크패널과 접하는 접촉파트 및 상기 접촉파트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파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스터럽 고정 패널 및 상기 연장파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터럽을 포함한다.
상기 데크패널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1부재에서 타설공간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경사부재, 제2부재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경사부재 및 상기 제1경사부재 및 상기 제2경사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파트는 상기 제1부재와 접하는 제3부재, 상기 제2부재와 접하는 제4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재와 접하는 제3경사부재, 상기 제4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재와 접하는 제4경사부재 및 상기 제3경사부재 및 상기 제4경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접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패널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1부재에서 타설공간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재, 제2부재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재, 상기 제1연장부재 및 상기 제2연장부재를 연결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파트는 상기 제1부재와 접하는 제3부재, 상기 제2부재와 접하는 제4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재와 접하는 제3연장부재, 상기 제4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재와 접하는 제4연장부재 및 상기 제3연장부재 및 상기 제4연장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접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상기 스터럽 고정 패널의 접촉파트를 상기 데크패널과 접하도록 배치하는 스터럽 고정 패널 배치단계, 상기 데크패널의 외측에서 상기 타설공간 방향으로 데크패널을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는 제1가압단계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타설공간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가압하는 제2가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가압지그는 상기 데크패널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데크패널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구비되는 가압바디 및 상기 스터럽 고정 패널의 접촉파트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스터럽 고정 패널의 접촉파트 하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의 이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지지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고정지그는 스터럽 고정을 위한 스터럽 고정 패널과 타설공간을 형성하는 데크패널을 별도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을 형성하거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양자의 접합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이 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의 부분 확대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에서 데크패널과 스터럽 고정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의 부분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가압지그 및 가압되면서 데크패널의 돌출부 및 스터럽 고정 패널의 삽입부가 형성되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의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에서 데크패널과 스터럽 고정 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는 보 데크플레이트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로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는 데크패널(10), 스터럽 고정 패널(20) 및 스터럽(30)을 포함한다.
데크패널(10)은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타설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3)가 형성된다. 돌출부(13)는 후술하는 스터럽 고정 패널(20)의 삽입부(23)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돌출부(13) 및 삽입부(23)의 결합에 따라 본 발명에서 데크패널(10)과 스터럽 고정 패널(20)은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체결을 위한 공정 없이 결합이 되게 된다.
돌출부(13)는 타설공간으로 둘출 형성된다면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데크패널(10)과 스터럽 고정 패널(20)의 수직파트(24)가 접한 상태에서 데크패널(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가압에 따라 돌출부(13) 및 삽입부(23)가 형성됨과 동시에 양자가 체결이 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데크패널(10)은 후술하는 가압지그의 가압과정을 거침에 따라 외측에서 타설공간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함몰공간(S1)이 형성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데크패널(10)은 함몰공간(S1)이 형성됨에 따라 일정 간격(d1)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 사이에 돌출부(13)가 형성되고, 돌출부(13)는 제1부재(11)에서 타설공간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경사부재(13a), 제2부재(12)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경사부재(13b) 및 제1경사부재(13a) 및 제2경사부재(13b)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13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경사부재(13a) 및 제2경사부재(13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간격이 커지는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연결부재(13c)는 상기 제1부재(11) 및 제2부재(12) 사이의 간격(d1)보다 크게 형성될 것이다.
스터럽 고정 패널(20)은 후술하는 스터럽(3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파트(24) 및 연장파트(25)를 포함한다. 접촉파트(24)는 데크패널(10)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연장파트(25)는 접촉파트(24)에서 타설공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파트(25)의 끝단에는 스터럽(30)이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이 되게 된다.
접촉파트(24)에는 데크패널(10)의 돌출부(13)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와 같이 삽입부(23)는 후술하는 가압지그의 가압과정을 거침에 따라 외측에서 타설공간 방향으로 함몰 형성이 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돌출부(13)와 전체적으로 접하면서 삽입된 형태로 결합이 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접촉파트(24)는 제1부재(11)와 접하는 제3부재(21), 제2부재(12)와 접하는 제4부재(22)를 포함하고, 제3부재(21) 및 제4부재(22) 사이에 삽입부(23)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삽입부(23)는 제3부재(21)에서 연장 형성되고, 제1경사부재(13a)와 접하는 제3경사부재(23a), 제4부재(22)에서 연장 형성되고, 제2경사부재(13b)와 접하는 제4경사부재(23b) 및 제3경사부재(23a) 및 제4경사부재(23b)를 연결하고, 제1연결부재(13c)와 접하는 제2연결부재(23c)를 포함한다.
스터럽(30)은 데크패널(10) 내부의 타설공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스터럽(30)이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U자 형태의 스터럽이 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스터럽(30)은 스터럽 고정 패널(20)의 연장파트(25)의 끝단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이 되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가압지그 및 가압되면서 데크패널의 돌출부 및 스터럽 고정 패널의 삽입부가 형성되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스터럽 고정 패널 배치단계(S10), 제1가압단계(S20) 및 제2가압단계(S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압지그는 가압바디(110) 및 지지바디(120)를 포함한다.
가압바디(110)는 데크패널(10)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데크패널(1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111)을 포함한다. 가압부(111)는 가압바디(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동에 따라 데크패널(10)을 가압하게 된다.
지지바디(120)는 데크패널(10)에 접하고 있는 스터럽 고정 패널의 접촉파트(24)의 하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가압부(111)의 폭(d3)보다 큰 폭(d4)으로 이격되어 상기 스터럽 고정 패널(20)의 접촉파트(24)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가압부(111)의 이동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부(121)을 포함한다.
스터럽 고정 패널 배치단계(S10)에서는 스터럽 고정 패널(20)의 접촉파트(24)를 데크패널(10)과 접하도록 배치한다.
제1가압단계(S20)에서는 데크패널(10)의 외측에서 타설공간 방향으로 데크패널을 가압하여, 데크패널(10)의 돌출부(13)와 스터럽 고정 패널(20)의 삽입부(23)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가압단계(S20)에서는 데크패널(10)와 스터럽 고정 패널(20)이 서로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압바디(110)을 데크패널과 접하도록 배치하고, 지지바디(120)를 스터럽 고정 패널(20)의 접촉파트(23)과 접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가압바디(110)의 가압부(111)를 타설공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회전부(121)가 일정 거리(d4)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지바디(120)가 접촉파트(24)의 하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접촉파트(24)의 하부가 지지바디(120)와 접할 때까지 가압되고, 이에 따라 데크패널(10)에 돌출부(13)와 스터럽 고정 패널(20)에 삽입부(23)가 1차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1가압과정(S20)에서 회전부(121)가 가압부(111)의 가압에 의하여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가압과정(S20)에서는 가압부(111)의 폭(d3)에 따라 데크패널(10)의 함몰공간(S1)의 크기가 일차적으로 결정된다.
제2가압단계(S20)에서는 돌출부(13)와 삽입부(23)가 타설공간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2차적으로 가압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가압단계(S20)에서 가압부(111)가 추가적으로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회전부(121)각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바디(120) 역시 하부로 일정 거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돌출부(13) 및 삽입부(23)를 좌우 방향에서 구속하고 있는 회전부(121)가 양측으로 벌어짐에 따라 돌출부(13) 및 삽입부(23)는 타설공간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이 되게 된다. 그리고 데크패널(10)의 함몰공간(S1)의 크기 역시 타설공간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를 이용하는 경우 스터럽 고정 패널(20)을 데크패널(10)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데크패널(10)에 스터럽 고정 패널(20)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돌출부(13) 및 삽입부(23)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양자를 안정적으로 결합을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는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데크패널(310)의 돌출부(313) 및 스터럽 고정 패널(320)의 삽입부(323)의 형상의 일부가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데크패널(310)의 외측에서 타설공간 방향으로 형성된 함몰공간(S1)은 상기 실시예와 달리 'T' 형태로 형성된다.
즉, 데크패널(31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부재(311) 및 제2부재(312)를 포함하고, 돌출부(313)는 제1부재(311)에서 타설공간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재(313a), 제2부재(312)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재(313b), 상기 제1연장부재(313a) 및 상기 제2연장부재(313b)를 연결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313c)를 포함한다. 즉 제1연결부재(313c)는 제1연결부재(313a) 및 제2연장부재(313b)가 이격된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함몰공간(S1)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스터럽 고정 패널(320)의 접촉파트(324)는 상기 제1부재(311)와 접하는 제3부재(321), 상기 제2부재(312)와 접하는 제4부재(3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삽입부(323)는 상기 제3부재(321)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재(313a)와 접하는 제3연장부재(323a), 상기 제4부재(322)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재(313b)와 접하는 제4연장부재(323b) 및 상기 제3연장부재(323a) 및 상기 제4연장부재(323b)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313c)와 접하는 제2연결부재(323c)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는 데크패널(31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공간(S1)의 형상을 'T' 형태로 형성하여 데크패널(310)와 스터럽 고정 패널(320)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데크패널 11: 제1부재
12: 제2부재 13: 돌출부
20: 스터럽 고정 패널 21: 제3부재
22: 제4부재 23: 삽입부
24: 접촉파트 25: 연장파트
30: 스터럽

Claims (5)

  1. 삭제
  2.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타설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데크패널;
    상기 데크패널과 접하는 접촉파트 및 상기 접촉파트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연장 형성되는 연장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파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스터럽 고정 패널; 및
    상기 연장파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터럽;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패널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1부재에서 타설공간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경사부재, 제2부재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경사부재 및 상기 제1경사부재 및 상기 제2경사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파트는 상기 제1부재와 접하는 제3부재, 상기 제2부재와 접하는 제4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재와 접하는 제3경사부재, 상기 제4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재와 접하는 제4경사부재 및 상기 제3경사부재 및 상기 제4경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접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3.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타설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데크패널;
    상기 데크패널과 접하는 접촉파트 및 상기 접촉파트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연장 형성되는 연장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파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스터럽 고정 패널; 및
    상기 연장파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터럽;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패널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1부재에서 타설공간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재, 제2부재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재, 상기 제1연장부재 및 상기 제2연장부재를 연결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파트는 상기 제1부재와 접하는 제3부재, 상기 제2부재와 접하는 제4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재와 접하는 제3연장부재, 상기 제4부재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부재와 접하는 제4연장부재 및 상기 제3연장부재 및 상기 제4연장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접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4.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타설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타설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데크패널;
    상기 데크패널과 접하는 접촉파트 및 상기 접촉파트에서 상기 타설공간으로연장 형성되는 연장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파트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스터럽 고정 패널; 및
    상기 연장파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스터럽;을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 고정 패널의 접촉파트를 상기 데크패널과 접하도록 배치하는 스터럽 고정 패널 배치단계;
    상기 데크패널의 외측에서 상기 타설공간 방향으로 데크패널을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삽입부를 형성하는 제1가압단계;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삽입부가 상기 타설공간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가압하는 제2가압단계;
    를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5. 제4항의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가압지그에 있어서,
    상기 데크패널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데크패널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가 구비되는 가압바디; 및
    상기 스터럽 고정 패널의 접촉파트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의 폭보다 큰 폭으로 이격되어 상기 스터럽 고정 패널의 접촉파트 하부와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의 이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지지바디;
    를 포함하는 가압지그.
KR1020230003858A 2023-01-11 2023-01-11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 KR10264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858A KR102649279B1 (ko) 2023-01-11 2023-01-11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858A KR102649279B1 (ko) 2023-01-11 2023-01-11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279B1 true KR102649279B1 (ko) 2024-03-19

Family

ID=9048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858A KR102649279B1 (ko) 2023-01-11 2023-01-11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2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580B1 (ko) 2020-07-21 2021-04-08 주식회사 비콘 조립형 보 데크플레이트
KR102299914B1 (ko) * 2020-05-28 2021-09-09 에이치앤비 주식회사 보 데크플레이트 설치 구조
KR20220032872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비에스티엔지니어링 절곡철근을 이용한 pc 보-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14B1 (ko) * 2020-05-28 2021-09-09 에이치앤비 주식회사 보 데크플레이트 설치 구조
KR102236580B1 (ko) 2020-07-21 2021-04-08 주식회사 비콘 조립형 보 데크플레이트
KR20220032872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비에스티엔지니어링 절곡철근을 이용한 pc 보-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220B2 (en) Concrete weldment
KR102649279B1 (ko) 데크플레이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가압지그
KR101222320B1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2187018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186162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KR101435004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170089239A (ko) 스페이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탈형 데크
KR102346359B1 (ko) 단열데크
KR101505719B1 (ko) 철근트러스 일체형 합성 데크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2211478B1 (ko) 무해체 보 거푸집
KR20180132333A (ko) 중공형 콘크리트 슬래브 및 벽체 제조를 위한 중공 데크플레이트
KR20070087791A (ko) 철판보강부재에 의해 보강된 목재 보의 구조
KR102310264B1 (ko) 강콘크리트 합성보용 강판 조립보
KR102276565B1 (ko) 강관 기둥 연결구조
KR102060342B1 (ko)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에 적용되는 채움 지지 보강 트러스 거더
KR102056313B1 (ko) 상부압축 보강재 및 하부인장 보강재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101908700B1 (ko) 압축개방 u형 플랜지와 단부 h접합블럭으로 구성된 복합보
KR102253670B1 (ko)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KR102575921B1 (ko) 건축물의 골조 형성용 결합구조체
KR102440168B1 (ko) 단열데크
KR102278451B1 (ko) 중간종대와 중간횡대를 이용한 트러스 슬림보
KR102056315B1 (ko) 역u형 덮개의 측관통구에 앵커 걸림턱을 갖는 합성보
KR101347101B1 (ko) 조립식 건축구조물용 용접빔
KR20190078147A (ko)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에 적용되는 보강 트러스 거더
JP6830394B2 (ja) 剪断補強部材及び柱梁接合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