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763A -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763A
KR20210012763A KR1020190091061A KR20190091061A KR20210012763A KR 20210012763 A KR20210012763 A KR 20210012763A KR 1020190091061 A KR1020190091061 A KR 1020190091061A KR 20190091061 A KR20190091061 A KR 20190091061A KR 20210012763 A KR20210012763 A KR 20210012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urrent value
mixer
pulverized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김봉수
Original Assignee
김영준
김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김봉수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19009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763A/ko
Publication of KR2021001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47J43/0465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with magnetic driv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제어에 의해 다양한 피분쇄물을 용이하게 감지하여 최적의 상태로 분쇄와 믹싱이 가능하도록 된 자동구동형 믹서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본체(11) 또는 믹서용기(12) 측에 구비되어 모터(1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20) 또는 상기 모터(14)의 작동에 따른 전류값을 감지하도록 된 전류감지센서(21)와; 상기 회전감지센서(20) 또는 전류감지센서(2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6)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16)에 의해서는 피분쇄물의 종류나 양 또는 밀도에 따라 미리 셋팅된 모터(14)의 회전수 또는 작동시간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자동적으로 작동개시 및 종료되거나 또는 작동중인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점을 감지하여 작동이 정지되도록 된 자동구동형 믹서기 및 그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구동형 믹서기 및 그 구동방법{Auto driving type mix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구동형 믹서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제어에 의해 다양한 피분쇄물을 용이하게 감지하여 최적의 상태로 분쇄와 믹싱이 가능하도록 된 자동구동형 믹서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본체 상에 모터를 내장하여 믹서용기 내에 구비된 블레이드를 회전구동시킴에 따라, 믹서용기 내에 수용되는 피분쇄물을 분쇄하거나 혼합하도록 된 것으로, 대개 저속 또는 고속의 일정속도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피분쇄물의 종류나 분쇄량 등에 따른 부하의 정도에 따라 회전속도의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고, 분쇄에 따른 피분쇄물의 분쇄입자가 작아짐에 따라 부하가 감소하면서 회전속도가 원래의 속도로 정속회전되는 것이다.
이러한 믹서기의 작동은 대개 타이머를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된 후에 정지되거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지속되는 시간 동안에만 작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피분쇄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믹서기의 작동시간을 셋팅하여 작동시키거나 피분쇄물의 분쇄정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면서 버튼의 누름상태를 지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믹서기에 의해서는 수동 또는 반자동 제어에 의해 작동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믹서기의 작동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에 따른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고, 또한 믹서기의 1회 작동에 의해 원하는 정도로 분쇄나 믹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추가적으로 믹서기를 작동시킴에 따른 믹서기의 빈번한 작동에 따른 고장이나 수명단축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가중되는 것이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1969호(2009. 11. 2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구동방법에 의해 다양한 피분쇄물을 용이하게 감지하여 최적의 상태로 분쇄와 믹싱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믹서기의 사용하는 데에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구동형 믹서기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모터가 내장 설치된 구동본체(11)와, 상기 구동본체(11)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터(14)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15)을 내장하도록 된 믹서용기(12)와, 상기 믹서용기(12)의 상단을 개폐하도록 된 뚜껑(13)을 포함한 믹서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11) 또는 믹서용기(12) 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1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20) 또는 상기 모터(14)의 작동에 따른 전류값을 감지하도록 된 전류감지센서(21)와;
상기 회전감지센서(20) 또는 전류감지센서(2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6)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16)에 의해서는 피분쇄물의 종류나 양 또는 밀도에 따라 미리 셋팅된 모터(14)의 회전수 또는 작동시간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자동적으로 작동개시 및 종료되거나 또는 작동중인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점을 감지하여 작동이 정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구동형 믹서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구동형 믹서기(10)를 작동시켜 작동초기에 일정 시간동안 모터(14)의 회전수와 전류값을 감지하는 테스트 작동단계(S100)와;
상기 테스트 작동단계(S100)에 의해 피분쇄물의 종류나 양 또는 밀도를 파악하는 피분쇄물 감지단계(S200)와;
전단계(S200)에서 감지된 피분쇄물에 따라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 또는 작동시간이 자동적으로 셋팅되되, 상기 컨트롤러(16)에 미리 저장된 피분쇄물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이는 데이터베이스 콜업단계(S300)와;
전단계(S300)에서 셋팅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자동적으로 본작동을 개시 및 종료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동구동형 믹서기(10)를 작동시켜 모터(14)의 회전수와 전류값에 대한 감지를 시작하는 초기감지단계(ST100)와;
상기 초기감지단계(ST100)로부터 지속적으로 상기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현재의 작동중인 자동구동형 믹서기(10)의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실시간 측정단계(ST200)와;
상기 실시간 측정단계(ST200)에서 상기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점 또는 상기 회전수나 전류값이 최저값에 도달한 이후에 다시 상승하는 시점을 감지하여 상기 자동구동형 믹서기(10)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멈추는 자동정지단계(ST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1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20)나 모터(14)의 작동에 따른 전류량을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21)가 구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나 현재의 작동중인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을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믹싱작동이 이루어진 후에 장치의 자동정지가 가능함에 따라, 믹싱과정 동안에 사용자가 믹싱상태나 장치의 작동상태를 주시할 필요를 줄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피분쇄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믹싱상태를 제공하여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구동형 믹서기(10)는 구동본체(11) 상에 착탈되는 믹서용기(12)와 이 믹서용기의 상단에 개폐되는 뚜껑(13)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본체(11) 상에 내장 설치되는 모터(14)에 의해 믹서용기(12) 내부 바닥에 장착된 분쇄날(15)을 회동 구동시킴에 따라 믹서용기(12) 내에 수용된 피분쇄물을 분쇄 및 교반하도록 된 것인데,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믹서기에 유사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믹서용기(12)에 수용되는 피분쇄물의 종류, 무게나 중량 또는 밀도나 부피 등에 따라 모터(14)의 회전수나 작동시간을 조정하여 자동적으로 믹싱작동을 행한 후에, 장치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구동본체(11)나 믹싱용기(12)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14)에 연결되는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20)나 모터(14)의 회전에 소요되는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21)가 구비되고, 이 회전감지센서(20)나 전류감지센서(21)는 상기 구동본체(11)의 일측에 장치의 온/오프 등을 위한 조작버튼을 포함한 컨트롤러(16) 측에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16)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회전감지센서(20)나 전류감지센서(2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모터(1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인데, 이를 도 2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6)에는 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30)와 이에 연결되는 통상의 트라이액(31)이나 릴레이(32)가 구비되고, 또한 모터(14)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전술된 바와 같은 회전감지센서(20)와 전류감지센서(21)가 연결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지센서(20)는 통상의 홀센서 등으로 구비되어 모터(1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데, 이는 피분쇄물에 의한 부하상태에 따라 회전수가 변화됨을 감안하여 모터(14)의 회전수를 체크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피분쇄물의 분쇄초기에는 믹서용기(12) 내의 분쇄날(15) 측에 부하가 걸림에 따라 회전수가 낮고, 분쇄후기에는 피분쇄물의 분쇄가 거의 완료되어 부하가 감소함에 따라 회전수가 증가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전류감지센서(21)는 피분쇄물의 부하상태에 따라 모터(14)의 전류값이 변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는 피분쇄물의 분쇄초기에는 믹서용기(12)의 분쇄날(15)에 부하가 걸림에 따라 전류값이 상승하고, 분쇄후기에는 부하의 감소에 따라 전류값이 감소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감지센서(20)나 전류감지센서(2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장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액(31)은 회전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회전수가 낮은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4)의 회전수를 높여 정상적인 분쇄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릴레이(32)는 전술된 바와 같은 회전수나 전류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점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4)를 정지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피분쇄물의 종류나 무게, 밀도 등에 따른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자동구동하거나 현재의 분쇄중인 피분쇄물의 분쇄과정에서 실시간으로 회전수나 전류값의 변화추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작동완료가 이루어지도록 구동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한 세부적인 구동방법을 도 3과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동방법은 작동초기에 시행하는 테스트 작동단계(S100)와, 상기 테스트 작동단계(S100)에 의해 피분쇄물 감지단계(S200)와, 전단계(S200)에서 감지된 피분쇄물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이는 데이터베이스 콜업단계(S300)와, 전단계(S300)에서 읽어 들인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본작동 개시 및 종료단계(S400)로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스트 작동단계(S100)에서는 본 발명의 자동구동형 믹서기(10)를 작동시켜 작동초기에 대략 5~10초 정도의 시간동안 전술된 바와 같은 회전감지센서(20)나 전류감지센서(21)에 의해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피분쇄물 감지단계(S200)에서는 전단계(S100)에서 감지된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에 따라 피분쇄물에 대한 부하상태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피분쇄물에 대한 종류나 양 또는 밀도 등을 파악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콜업단계(S300)에서는 전단계(S200)에 감지된 피분쇄물에 따라 컨트롤러(16) 상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읽어 들이고, 이에 따라 모터(14)의 회전수나 작동시간 등이 자동적으로 셋팅되는데, 이를 위해 컨트롤러(16) 상에는 과일이나 견과류 또는 얼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피분쇄물을 미리 샘플링하여 이에 대한 모터(14)의 회전수나 작동시간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된 상태가 된다.
또한 본작동 개시 및 종료단계(S400)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읽어 들인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자동적으로 피분쇄물에 대한 분쇄작동이 이루어지고, 분쇄작동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장치의 작동이 정지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방법은 전술된 일실시예와는 달리 작동초기에 시행하는 초기감지단계(ST100)와, 초기감지단계(ST100)를 지속하여 현재의 작동중인 자동구동형 믹서기(10)의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실시간 측정단계(ST200)와, 상기 실시간 측정단계(ST40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른 자동정지단계(ST300)로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기감지단계(ST100)에서는 자동구동형 믹서기(10)를 작동시켜 모터(14)의 회전수와 전류값에 대한 감지를 시작하게 되고, 실시간 측정단계(ST200)에서는 전단계(ST100)의 감지상태를 유지하여 현재의 작동중인 모터(14)의 작동상태를 회전감지센서(20)나 전류감지센서(21)에 의해 회전수나 전류값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이후의 자동정지단계(ST300)에서는 실시간 측정단계(ST200)에서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점을 감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은 분쇄가 완료되면 부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야채나 과일 등과 같은 피분쇄물에 해당되는 것으로,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대략 5초~10초 정도) 지속되면 장치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에 따라 불필요한 장치의 가동을 피함과 동시에 전력소모 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동정지단계(ST300)에서는 상기 회전수가 최대값에 도달한 후에 다시 회전수가 저하되거나 상기 전류값이 최저값에 도달한 후에 다시 전류값이 상승하는 시점하여 장치의 작동을 정지할 수도 있는데, 이는 땅콩과 같은 견과류나 참깨 등을 분쇄하는 경우에 알맹이가 분말형태로 분쇄된 이후에 유분에 의해 분말이 엉김에 따라 오히려 회전수나 전류값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자동구동형 믹서기 11: 구동본체
12: 믹서용기 13: 뚜껑
14: 모터 15: 분쇄날
16: 컨트롤러 20: 회전감지센서
21: 전류감지센서 30: 마이크로 프로세서
31: 트라이액 32: 릴레이

Claims (3)

  1. 모터가 내장 설치된 구동본체(11)와, 상기 구동본체(11)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터(14)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15)을 내장하도록 된 믹서용기(12)와, 상기 믹서용기(12)의 상단을 개폐하도록 된 뚜껑(13)을 포함한 믹서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11) 또는 믹서용기(12) 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1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20) 또는 상기 모터(14)의 작동에 따른 전류값을 감지하도록 된 전류감지센서(21)와;
    상기 회전감지센서(20) 또는 전류감지센서(2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6)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16)에 의해서는 피분쇄물의 종류나 양 또는 밀도에 따라 미리 셋팅된 모터(14)의 회전수 또는 작동시간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자동적으로 작동개시 및 종료되거나 또는 작동중인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점을 감지하여 작동이 정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구동형 믹서기.
  2. 제1항의 자동구동형 믹서기(10)를 작동시켜 작동초기에 일정 시간동안 모터(14)의 회전수와 전류값을 감지하는 테스트 작동단계(S100)와;
    상기 테스트 작동단계(S100)에 의해 피분쇄물의 종류나 양 또는 밀도를 파악하는 피분쇄물 감지단계(S200)와;
    전단계(S200)에서 감지된 피분쇄물에 따라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 또는 작동시간이 자동적으로 셋팅되되, 상기 컨트롤러(16)에 미리 저장된 피분쇄물에 대한 정보를 읽어 들이는 데이터베이스 콜업단계(S300)와;
    전단계(S300)에서 셋팅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자동적으로 본작동을 개시 및 종료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
  3. 제1항의 자동구동형 믹서기(10)를 작동시켜 모터(14)의 회전수와 전류값에 대한 감지를 시작하는 초기감지단계(ST100)와;
    상기 초기감지단계(ST100)로부터 지속적으로 상기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현재의 작동중인 자동구동형 믹서기(10)의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실시간 측정단계(ST200)와;
    상기 실시간 측정단계(ST200)에서 상기 모터(14)의 회전수나 전류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점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수가 최대값에 도달한 후에 다시 상기 회전수가 저하되거나 상기 전류값이 최저값에 도달한 후에 다시 상기 전류값이 상승하는 시점을 감지하여 상기 자동구동형 믹서기(10)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멈추는 자동정지단계(ST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
KR1020190091061A 2019-07-26 2019-07-26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 KR20210012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61A KR20210012763A (ko) 2019-07-26 2019-07-26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61A KR20210012763A (ko) 2019-07-26 2019-07-26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63A true KR20210012763A (ko) 2021-02-03

Family

ID=7457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061A KR20210012763A (ko) 2019-07-26 2019-07-26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7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969U (ko) 2008-05-21 2009-11-25 정형교 2개의 스위칭모드를 갖는 믹서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969U (ko) 2008-05-21 2009-11-25 정형교 2개의 스위칭모드를 갖는 믹서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75617B2 (en) Blender for food and beverages
CN209235891U (zh) 搅拌机
US7980496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amount of grains within a grinding device
EP2218676A1 (en) Electric corkscrew
ES2820551T3 (es) Aparato de preparación de alimentos con una herramienta de trituración
JP2020065698A (ja) 電動調理器
JP2008161670A (ja) コーヒーミル
GB2335512A (en) A water temperature detecting and controlling device
KR20210012763A (ko) 자동구동형 믹서기의 구동방법
CN114432951A (zh) 卸料控制方法、装置及搅拌设备
US5109759A (en) Tofu making machine
KR101644709B1 (ko) 전기믹서기의 작동 모드 전환 시스템
JP2007143935A (ja) コーヒー原料粉の作製装置
CN205338580U (zh) 一种炒菜机
CN113907621A (zh) 用于切割食物的食物制备设备
KR20170033818A (ko) 결합되는 조리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믹서기
JP6924051B2 (ja) 精米機
JP3725438B2 (ja) 厨芥処理装置
CN112690674B (zh) 手持式搅拌机的控制方法、装置、手持式搅拌机及介质
JP3997655B2 (ja) 精米器
KR20050015512A (ko) 업소용 반죽기 및 그 제어방법
EP4011246A1 (en) Electric portion controlled dry food dispenser
KR102226614B1 (ko) 분쇄 동작을 수행하는 조리기기
KR20030073158A (ko) 애완동물 자동 급식장치
JP2023110428A (ja) アイスディスペ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