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476A -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476A
KR20210012476A KR1020190090272A KR20190090272A KR20210012476A KR 20210012476 A KR20210012476 A KR 20210012476A KR 1020190090272 A KR1020190090272 A KR 1020190090272A KR 20190090272 A KR20190090272 A KR 20190090272A KR 20210012476 A KR20210012476 A KR 20210012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old
cosmetic composition
gelling ag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987B1 (ko
Inventor
김민정
양재호
서은주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9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8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cheeks, e.g. rou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겔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 방법은 몰드에 넣은 후 잠시 방치한 후 바로 이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이로 인해 회전율을 상승하고 공정 편이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Method for molding soli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gelling agents}
본 발명은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들 중 파우더 등을 압축하여 형성되는 파우더 팩트, 아이섀도우, 블러셔 등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품은 용기에 충진시킨 후 압축시켜 완성하게 된다. 한편, 화장료의 외관을 보다 더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연출하기 위하여, 화장료의 표면에 입체적인 문양이나 무늬를 새겨 넣는 공정이 더 추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입체적인 문양이나 무늬를 표면에 형성하기 위하여, 가압 장비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압축시킨 후 음각 또는 양각의 문양이 새겨진 성형판을 표면에 압인시킴으로써 화장료의 표면에 입체적인 문양이나 무늬들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들은 그 표면으로 성형판을 가압시킴으로써 문양을 형성하게 된다.
종래의 파우더(Powder) 타입의 화장품들은 가루 날림이 심하고 깨지기 쉬우며 지속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리퀴드(Liquid) 타입의 화장품들은 가루 날림은 없지만 인위적인 광택감이 있으며 도포시 뭉침 현상이 발생하고 발색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유분산 타입의 화장품들은 화장료가 주름 사이에 끼이는 등의 크리즈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형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수용성 겔화제를 포함한 화장료를 이용한 화장품들에 대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수용성 겔화제를 포함한 화장료는 성형시, 고온에서 용융된 내용물을 몰드에 부은 후, 냉각 뒤 건조공정을 거친다. 건조공정이 끝난 뒤, 이형과정을 거치는데 이렇게 될 경우, 건조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몰드의 회전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정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7975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겔화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냉각 공정이 생략될 수 있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겔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S1);
상기 용융된 화장료 조성물을 몰드에 충진시키는 단계(S2);
상기 몰드에 충진시킨 후, 방치하여 고형화하는 단계(S3);
상기 S3 단계 후 몰드를 이형하는 단계(S4); 및
상기 고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겔화제 0.001 내지 20 중량%;
계면활성제 0.01 내지 10 중량%;
오일 0.1 내지 30 중량%;
분체 20 내지 90 중량%; 및
용매 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및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미네랄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페닐디메티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트리실록산 및 메칠트리메치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겔화제 및 오일은 1 : 10 내지 1 : 20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용융은 60 내지 2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방치는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30 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성형 방법은, 겔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몰드에서 잠시 방치한 후 바로 이형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몰드 회전율을 상승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는 기존의 건조 후 이형 공정의 문제점이었던 몰드의 낮은 회전율을 극복한 것이다.
또한 내용물의 형태를 잡아주기 위해 포함되었던 냉각공정도 삭제 가능하다는 점에서 회전율 상승 및 공정 편이성을 상승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겔화제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분 발명의 실시예에서 성형한 고형상 화장료의 이형 직후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성형한 고형상 화장료의 건조 후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기존의 겔화제를 이용한 입체 내용물 성형시, 융융된 내용물을 몰드에 충진한 후, 몰드에 충진된 상태로 냉각하고 건조공정을 거친다. 상기와 같이 건조공정이 종료된 후, 몰드로부터 화장료를 떼어내는 이형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경우, 건조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화장료 조성물이 몰드에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을 몰드에서 떼어내기 전에는 상기 몰드를 사용할 수 없어 공정이 정지될 수 밖에 없어, 공정의 회전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정상 몰드 내에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냉각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공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겔화제 및 오일의 혼합 중량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몰드에서의 냉각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이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성형 방법은 몰드에서 빠르게 이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므로, 이형 공정 이후에 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몰드의 회전율이 증가하는 것을 장점으로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은 겔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S1);
상기 용융된 화장료 조성물을 몰드에 충진시키는 단계(S2);
상기 몰드에 충진시킨 후, 방치하여 고형화하는 단계(S3);
상기 S3 단계 후 몰드를 이형하는 단계(S4); 및
상기 고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겔화제 0.001 내지 20 중량%;
계면활성제 0.01 내지 10 중량%;
오일 0.1 내지 30 중량%;
분체 20 내지 90 중량%; 및
용매 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성형 방법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몰드에서 빠른 이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겔화제를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는 고온에서는 용융되고 저온에서는 냉각되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수용성 겔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겔화제는 고온(예컨대, 80℃ 이상)에서 용융되거나 물에 녹아 액체 상태를 유지하며, 저온(예컨대, 10℃ 이하)으로 냉각되면 겔(Gel)화되어 고체 상태가 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수용성 겔화제(Gelling Agent)는 다당류로 이루어진 젤란검(Gellan gum), 잔탄검(Xanthan gum), 한천, 카라기난(Carrageenan), 및 알긴(Algin)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지거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고분자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수용성 겔화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수용성 겔화제 외에도 화장료에 사용가능한 겔화제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겔화제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용매, 겔화제, 계면활성제에 유상을 넣어 유화시킨 후, 파우더 상태의 화장료를 넣어 균질 혼합시킨 상태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겔화제만을 사용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잘 굳어질 수는 있으나, 오일을 사용할 경우 잘 굳어지는 것과 동시에 몰드에서의 이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오일을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또는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사용할 때, 우수한 몰드 회전율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또는 미네랄오일일 수 있고,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페닐디메티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트리실록산 또는 메칠트리메치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겔화제 및 오일은 1:10 내지 1:20 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며, 상기와 같은 중량비율로 혼합됨으로 인해, 몰드에서 빠른 이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겔화제 1 중량부에 대하여 오일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이형시 깔끔하게 이형되지 않아 몰드에 잔여량이 남을 수 있고, 오일이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화장료로 사용할 경우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몰드에서 이형 공정을 바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화장료로서 사용될 때 우수한 사용감을 보일 수 있는 화장료를 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용융은 60 내지 2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60℃ 미만으로 수행될 경우 겔화제가 용융되지 않을 수 있고, 200℃를 초과할 경우 화장료 자체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방법에서 몰드에 충진시킨 후 방치하여 고형화하는 단계인 S3 단계는 15 내지 35℃의 상온에서 1 내지 30 분 동안 방치하여 고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온에서 잠시 방치하는 것만으로도 이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데, 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수상과 유상이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분체를 20 내지 9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체는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구상 실리콘, 플라스틱 파우더, 티타늄 디옥사이드, 진주광택안료(펄), 또는 보론 나이트라이드 파우더 등이 사용가능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융된 화장료 조성물을 몰드에 충진시키는데, 이 때 사용되는 몰드는 실리콘, 고무, 금속 등 디자인 가능한 재질의 모든 몰드가 가능하다. 충진된 화장료는 겔이 몰드 디자인에 맞게 형태를 잡을 수 있도록 수 초 에서 수 십분 정도의 짧은 방치 시간 후 이형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이형시킨 화장료에 대해 건조 공정을 거치는데, 상온(25℃)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 시간 건조를 거치며 고형상의 화장료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몰드에 충진된 상태로 건조 공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몰드에서 이형공정을 수행한 후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건조 공정 동안 몰드를 재사용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몰드 회전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습제, 방부제, 가소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색소, 영양성분,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향료 등과 같은 통상의 메이크업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섀도우, 파우더팩트, 및 블러셔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형상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겔화제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1~3 및 실시예 1~3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수상 및 유상, 계면활성제를 유화 시킨다. 그 후 파우더 조성물을 유화물에 혼합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과 함량을 나타낸다.
구분 원료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용매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적색산화철 (CI 77491) 40 40 40 40 40 40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마이카 (CI 77019)
티타늄디옥사이드 (CI 77891) 1 1 1 1 1 1
파우더 에이치디아이/트라이메틸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3.9 3.9 3.9 3.9 3.9 3.9
다이칼슘포스페이트 0.7 0.7 0.7 0.7 0.7 0.7
실리카 0.1 0.1 0.1 0.1 0.1 0.1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2 4 5.5 2 8 2
스쿠알란 0.5 0.5 0.5 0.5 0.5 0.5
계면활성제 폴리솔베이트60 0.5 0.5 0.5 0.5 0.5 0.5
겔화제 카라기난 0.25 0.4 0.4 0.6 0.4 0.8
비고 겔화제:오일 혼합 중량비율 1 : 10 1 : 11.25 1 : 15 1 : 4.17 1 : 21.25 1 : 3.13
제조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성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고형상 화장료로 제조하였다. 일단,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를 90℃로 가열하여 용융하였다.
상기 용융된 화장료 조성물을 실리콘 몰드에 충진시켰고, 상온에서 15 분 동안 방치하여 고형화하여 주었다. 고형화 후 몰드를 이형하였으며, 몰드에서 떼어진 고형화된 화장료를 4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해주었다.
이형 정도를 확인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이형 정도
<이형에 대한 평가 기준>
○ : 깔끔하게 이형됨
△ : 이형은 되지만 몰드에 화장료 조성물의 잔량이 남아 깔끔하게 이형되지 않음
상기와 같이 이형을 실시한 결과, 실시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은 몰드에서 바로 떼어낼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비교예 1~3의 경우 깔끔하게 이형이 되지 않거나, 몰드에서 이형이 불가능하였다.
도 2에 실시예 1의 화장료를 몰드에 잠시 방치한 후 이형한 화장료의 외관을 나타냈고, 이형 직후에도 깔끔하게 이형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이형된 화장료를 건조한 후 외관을 도 3에 나타내었으며, 그 형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같이 겔화제와 오일을 1:10~20의 중량비율로 혼합할 경우, 몰드에서 바로 이형함으로써 공정편이성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겔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S1);
    상기 용융된 화장료 조성물을 몰드에 충진시키는 단계(S2);
    상기 몰드에 충진시킨 후, 방치하여 고형화하는 단계(S3);
    상기 S3 단계 후 몰드를 이형하는 단계(S4); 및
    상기 고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건조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겔화제 0.001 내지 20 중량%;
    계면활성제 0.01 내지 10 중량%;
    오일 0.1 내지 30 중량%;
    분체 20 내지 90 중량%; 및
    용매 5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젤란검, 잔탄검, 한천, 카라기난, 알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겔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및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미네랄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페닐디메티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트리실록산 및 메칠트리메치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 및 오일은 1 : 10 내지 1 : 20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은 60 내지 2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치는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30 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KR1020190090272A 2019-07-25 2019-07-25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KR10224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272A KR102248987B1 (ko) 2019-07-25 2019-07-25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272A KR102248987B1 (ko) 2019-07-25 2019-07-25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476A true KR20210012476A (ko) 2021-02-03
KR102248987B1 KR102248987B1 (ko) 2021-05-07

Family

ID=7457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272A KR102248987B1 (ko) 2019-07-25 2019-07-25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9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3349A (ko) * 2013-01-15 2014-07-28 주식회사 제닉 Ow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587140B2 (ja) * 2010-06-01 2014-09-10 カラー コズメティックス エッセ.エルレ.エルレ. 固形コンパクト粉末化粧品の製法
KR20190007975A (ko) 2017-07-14 2019-01-23 코스맥스 주식회사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7140B2 (ja) * 2010-06-01 2014-09-10 カラー コズメティックス エッセ.エルレ.エルレ. 固形コンパクト粉末化粧品の製法
KR20140093349A (ko) * 2013-01-15 2014-07-28 주식회사 제닉 Ow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7975A (ko) 2017-07-14 2019-01-23 코스맥스 주식회사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987B1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449B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1211A (ko) 겔 유형 화장용 조성물
WO2018030706A1 (ko)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08266351A (ja) ゲルを含有する化粧組成物の製造方法
KR20210107030A (ko)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AU2013210871A1 (en) Liquid or semisolid cosmetic composition
KR20100043453A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JPH0222728B2 (ko)
KR101766682B1 (ko)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5948395A (en) 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soft past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3037126B2 (ja) ソフトペーストの形態をとる化粧用組成物及びその製法
JPH07277924A (ja) 固型粉末メーキャップ化粧料の製造方法
CA1230055A (en) Solid powder prepara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102248987B1 (ko) 겔화제를 포함한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 방법
KR102249022B1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JP2559058B2 (ja) 油性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H02300109A (ja) メイクアップ用皮膚化粧料組成物
KR102130298B1 (ko) 유용성 페이스트 또는 겔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비드의 제조방법
JP2519469B2 (ja) スティック化粧料
KR102365617B1 (ko) 지속성 및 제형 안정성이 개선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534284B1 (ko)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733324B2 (ja) スティック状化粧料
JP2566441B2 (ja) 固型粉末メークアップ化粧料の製造法
JPS6313401B2 (ko)
US11931436B2 (en) Water-in-oil emulsion for skin or lip care or make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