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1600A -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1600A
KR20210011600A KR1020190088704A KR20190088704A KR20210011600A KR 20210011600 A KR20210011600 A KR 20210011600A KR 1020190088704 A KR1020190088704 A KR 1020190088704A KR 20190088704 A KR20190088704 A KR 20190088704A KR 20210011600 A KR20210011600 A KR 2021001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light
electronic device
pattern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1600A/ko
Priority to PCT/KR2020/008758 priority patent/WO2021015445A1/ko
Publication of KR2021001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600A/ko
Priority to US17/517,784 priority patent/US1166251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duce indicia, symbols, text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5Stack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glass plate)로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을 따라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지지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UDING GLASS PLAT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지정된 패턴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전자 장치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휴대하고 다니며 통신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화에 따라 전자 장치를 커버하는 하우징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다양한 모양 및 기능을 갖추도록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기 위한 전면 커버 또는 전자 장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는, 다양한 색상 및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미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의 전면 및/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플레이트는, 글래스에 패턴 및/또는 색상이 구현된 필름을 합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식은 패턴이 외부에 노출되는 방식이 이미 정해져 있어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방식은 하나의 색상만을 나타낼 수 있지 때문에 사용자가 플레이트를 보고 느끼는 색상의 심도가 부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전면 및/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플레이트가, 색상의 변화가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여 신비한 느낌과 깊은 색재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전면 및/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플레이트에서, 글래스 자체적으로 패턴을 구현하여 다양한 디자인 효과와 미려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glass plate)로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을 따라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지지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해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및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된 인쇄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필름층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지지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glass plate)로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을 따라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 및/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플레이트에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하여 신비한 느낌과 깊은 색재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 및/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플레이트에서, 글래스 내에 자체적으로 패턴을 구현하여 다양한 디자인 효과와 미려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 및/또는 후면을 커버하는 플레이트가 서로 적층 배치된 서로 다른 패턴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을 선택적으로 강조할 수 있어, 이전 제품에 비하여 디자인 개선 및 차별화된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광원들의 배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제 1 인쇄 필름층의 일부 영역의 패턴 구조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도 1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 1 면(또는 전면)(310A), 제 2 면(또는 후면)(310B), 및 제 1 면(310A) 및 제 2 면(3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310C)을 포함하는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2의 제 1 면(310A), 제 2 면(310B) 및 측면(3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3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302)(예: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면(3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3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3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310C)은, 전면 플레이트(302) 및 후면 플레이트(3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3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311) 및 측면 베젤 구조(3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302)는, 상기 제 1 면(3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311)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2개의 제 1 영역(310D)들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302)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도 3 참조)에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311)는, 상기 제 2 면(3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302)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2개의 제 2 영역(310E)들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302)(또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311))가 상기 제 1 영역(310D)들(또는 상기 제 2 영역(310E)들)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영역(310D)들 또는 제 2 영역(310E)들 중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318)는, 상기와 같은 제 1 영역(310D)들 또는 제 2 영역(310E)들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 1 두께(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 1 영역(310D)들 또는 제 2 영역(310E)들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301), 오디오 모듈(303, 307, 314), 센서 모듈(304, 316, 319), 카메라 모듈(305, 312, 313), 키 입력 장치(317), 발광 소자(306), 및 커넥터 홀(308, 3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317), 또는 발광 소자(3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3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면(310A), 및 상기 측면(310C)의 제 1 영역(310D)들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3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3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301)의 모서리를 상기 전면 플레이트(302)의 인접한 외곽 형상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301)가 노출되는 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301)의 외곽과 전면 플레이트(302)의 외곽간의 간격이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3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일부에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을 형성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상기 개구부(opening)와 정렬되는 오디오 모듈(314), 센서 모듈(304), 카메라 모듈(305), 및 발광 소자(3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301)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314), 센서 모듈(304), 카메라 모듈(305), 지문 센서(316), 및 발광 소자(30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3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304, 5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3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310D)들, 및/또는 상기 제 2 영역(310E)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303, 307, 314)은, 예를 들어, 마이크 홀(303) 및 스피커 홀(307, 3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3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307, 314)은, 외부 스피커 홀(3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31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307, 314)과 마이크 홀(303)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307, 3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상기 오디오 모듈(303, 307, 314)은 상기 구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1)의 구조에 따라 일부 오디오 모듈만 장착되거나 새로운 오디오 모듈이 부가되는 등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04, 316, 319)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304, 316, 319)은, 예를 들어, 하우징(310)의 제 1 면(310A)에 배치된 제 1 센서 모듈(304)(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 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 및/또는 상기 하우징(310)의 제 2 면(310B)에 배치된 제 3 센서 모듈(319)(예: HRM 센서) 및/또는 제 4 센서 모듈(316) (예: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310)의 제 1면(310A)(예: 디스플레이(301)뿐만 아니라 제 2면(3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3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304, 316, 319)은 상기 구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1)의 구조에 따라 일부 센서 모듈만 장착되거나 새로운 센서 모듈이 부가되는 등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305, 312, 313)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제 1 면(310A)에 배치된 제 1 카메라 장치(305), 및 제 2 면(310B)에 배치된 제 2 카메라 장치(312), 및/또는 플래시(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305, 3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3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 (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101)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305, 312, 313)은 상기 구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1)의 구조에 따라 일부 카메라 모듈만 장착되거나 새로운 카메라 모듈이 부가되는 등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317)는, 예를 들어, 하우징(310)의 측면(3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31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317)는 디스플레이(3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키 입력 장치는 하우징(310)의 제 2면(310B)에 배치된 센서 모듈(31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306)는, 예를 들어, 하우징(310)의 제 1 면(3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306)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306)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3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306)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홀(308, 309)은,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 홀(3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예를 들어, 이어폰 잭)(30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308, 309)은 상기 구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1)의 구조에 따라 일부 커넥터 홀만 장착되거나 새로운 커넥터 홀이 부가되는 등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도 1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101))는, 측면 베젤 구조(331), 제 1 지지부재(332)(예: 브라켓), 전면 플레이트(32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배터리(350), 제 2 지지부재(3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370), 및 후면 플레이트(3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 1 지지부재(332), 또는 제 2 지지부재(3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지지부재(332)는, 전자 장치(101)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331)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베젤 구조(3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332)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332)는, 일면에 디스플레이(33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 회로 기판(3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3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3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자 장치(101)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1)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370)는, 후면 플레이트(380)와 배터리(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331) 및/또는 상기 제 1 지지부재(332)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광원들의 배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제 1 인쇄 필름층의 일부 영역의 패턴 구조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4의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상기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및 인쇄 회로 기판(340)의 구성은, 도 4의 제 1 지지부재(332), 디스플레이(330), 및 인쇄 회로 기판(34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5에서, 'Z'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전자 장치 내부의 전면 플레이트(320)가 향하는 전면 방향을 의미하고, '-Z'는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380)가 향하는 후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플레이트(320)의 일면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30)는 전자 장치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레이어들(331-335)이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 글래스 플레이트(511)의 일면을 기준으로, 유브이층(331), 디스플레이 패널(332), 차광층(333), 지지층(334) 및 금속층(335)의 순서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된 적층 순서 이외에, 완충, 차폐, 및/또는 방열에 따라 효율적인 적층 순서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330)의 유브이층(331)은 제 1 방향(+Z)을 향하는 제 1 글래스 플레이트(511)(예: 전면 글래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글래스 플레이트(511)의 제 2 영역(S2)와 대면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층(333)은 디스플레이 패널(332) 후면을 차폐하는 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쿠션 부재, 엠보 부재 또는 구리 시트(CU sheet)일 수 있으며, 흑색의 칼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지지층(334)은 디스플레이(330)를 지지하고, 상기 금속층(335)은 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332)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층(335)은 그라파이트(graphite)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의 글래스 플레이트(510)는 전자 장치(101)의 전면 및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 1 글래스 플레이트(511) 및 전자 장치(101)의 후면 및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글래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는 적어도 일부분이 곡면(예: 2.5D, 또는 3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는 편평한 제 1 영역(S1)(예: 평면부) 및 상기 제 1 영역(S1)으로부터 연장된 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S2)(예: 곡면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S1)은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중심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영역(S2)은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단부 영역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S2)은 전면 방향(+Z)으로 심리스하게 휘어진 곡면 구조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길이 방향의 엣지(long edge)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상기 제 2 영역(S2)은 상기 제 1 영역(S1)을 중심으로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S2)은 제 2-1 영역(S2a) 및 제 2-2 영역(S2b)을 포함하며, 상기 제 2-1 영역(S2a) 및 제 2-2 영역(S2b)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위치한 양 단부에 형성되고, 폭 방향(Y)을 따라 위치한 양 단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는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상기 제 2 영역(S2)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540)로부터 발산된 광은 상기 제 2 영역(S2) 및 상기 제 1 영역(S1)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산된 광은, 상기 제 2 영역(S2)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S1)를 따라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자 장치(101)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3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 또는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광원부(540)는 상기 전자 장치(101) 또는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길이 방향의 엣지(long edge)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는 마이크로 엘이디(micro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 엘이디(micro LED)는 LED 칩 자체를 화소로 사용하고, OLED, LCD 대비 전력 효율성이 뛰어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엘이디는 각각의 LED가 적색(R), 녹색(G), 청색(B)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LED 보다 유연하고 초소형화(100㎛이하)가 가능하다. 상기 초소형화된 광원부(540)는 전자 장치(101)의 측면 영역의 하우징(310) 내에 실장됨에 따라, 실장 공간의 추가 확보 없이 제조 설계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는 광이 발산될 필요가 없는 영역에 차폐부재(545)를 배치하여, 발산된 광이 지정된 방향으로만 경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부(540)의 제 1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 차폐부재(545)를 배치하여, 상기 제 1 글래스 플레이트(51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5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를 향해서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는 상기 하우징(310)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광원부(540)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이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제 2-1 영역(S2a)을 따라 배치된 제 1 광원부(541), 및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이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제 2-2 영역(S2b)을 따라 배치된 제 2 광원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광원부(541)의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길이 방향의 엣지(long edge) 영역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광원부(541)에서 제공된 광은 인쇄 필름층(600) 내측의 곡면부(P2)에서 평면부(P1)로 이동하며,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광원부(542)의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은 상기 제 1 광원부(541)가 배치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길이 방향의 엣지(long edge)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광원부(542)에서 제공된 광은 인쇄 필름층(600) 내측의 곡면부(P2)에서 평면부(P1)로 이동하며,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40)는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후면 플레이트(380)에 입체적이고 역동적인 미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는 인쇄 회로 기판(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부(540)의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통합 라인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광원부(540)의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이 개별적으로 상기 인쇄 회로 기판(34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가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로 향하도록 광을 제공하는 구조만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제 1 글래스 플레이트(511)를 향해 광을 제공하여, 상기 전자 장치(101)의 베젤 영역에 다양한 색상을 제공하는 광을 통해 미려감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일면에는 인쇄 필름층(6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필름층(600)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제 1 영역(S1) 및 제 2 영역(S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제 1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필름층(600)은 상기 제 1 영역(S1)과 대응하는 평면부(P1)와, 상기 평면부(P1)로부터 연장되고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영역(S2)과 대응하는 곡면부(P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 필름층(600)은 멀티층(multi lay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필름층(600)은 몰딩 패턴층(610) 및 지지 필름층(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패턴층(610)(molding pattern layer)은 몰딩 패턴 구조(611) 및 도광층(6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 패턴층(610)의 몰딩 패턴 구조(611)는,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와 적층 배치되고,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를 향하도록(예: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611a)들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패턴 구조(611)의 제 2 패턴(611a)들은 복수 개가 지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광원부(540)로부터 제공된 광을 글래스 플레이트(510)에 전달하여 컬러감 및 패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611a)들의 배열 및 형상은 도 7a, 7b, 7c 및 7d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패턴(611a)들은 상기 제 2 방향(-Z)을 향해 돌출 형성된 피라미드 구조, 삼각 구조, 도트 구조 등의 다양한 몰딩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제 2 패턴(611a)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611a)들의 배열은, 상기 도광층(612)을 따라 전반사 되는 광을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전 영역으로 균일하게 전달하거나,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일 영역에 국부적으로 전달하여 컬러감 및 패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패턴층(610)의 도광층(612)은 상기 광원부(540)로부터 발산된 광의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광층(612)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패턴(611a)들의 배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 2 패턴(611a)들의 사이 또는 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층(612)은 상기 광원부(540)가 배치된 곡면부(P2)로부터 연장되어 평면부(P1)까지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5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곡면부(P2)를 통과하여 상기 평면부(P1)까지 전반사 진행하거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된 상기 제 2 패턴(611a)들의 일부와 난반사되어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로 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 필름층(600)의 지지 필름층(620)은 PET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층으로서, 상기 몰딩 패턴층(610)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540)로부터 발산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610)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필름층(620)은 상기 몰딩 패턴층(610)의 도광층(612)과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가지는 재료로 마련되어, 상기 광원부(540)에서 제공된 광이 도광층(612)과의 경계에서 전반사가 일어나, 상기 도광층(612) 내에서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4의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의 상기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의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8에서, 'Z'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전자 장치 내부의 전면 플레이트(320)가 향하는 전면 방향을 의미하고, '-Z'는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380)가 향하는 후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5와 차이 있는 광의 전달 경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일면에는 인쇄 필름층(60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 필름층(600)은 멀티층(multi lay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쇄 필름층(600)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일면에 적층 배치되고, 몰딩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몰딩 패턴층(6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필름층(600)은 상기 몰딩 패턴층(610)의 일면에 적층 배치되고, PET 재질을 포함하는 지지 필름층(6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필름층(620)은 광의 경로를 형성하는 광도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층(620)은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제 1 영역(S1)과 대응하는 평면부(P1)와, 상기 평면부(P1)로부터 연장되고 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제 2 영역(S2)과 대응하는 곡면부(P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필름층(620)은 상기 광원부(540)로부터 발산된 광이 상기 제 1 영역(S1) 및 상기 제 2 영역(S2)의 내측을 통과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부(5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곡면부(P2)를 통과하여 상기 평면부(P1)까지 전반사 진행하거나,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된 상기 제 2 패턴(611a)들의 일부와 난반사되어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로 향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층(620)이 광의 경로를 형성하는 광도파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몰딩 패턴층(610)은 광의 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는, 상기 지지 필름층(620)을 따라 전반사 되는 광을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전 영역으로 균일하게 전달하거나,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의 일 영역에 국부적으로 전달하여 컬러감 및 패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4의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의 상기 하우징(310), 글래스 플레이트(5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및 인쇄 필름층(600)의 일부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의 상기 하우징(310), 글래스 플레이트(5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및 인쇄 필름층(600)의 구성과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9에서, 'Z'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전자 장치 내부의 전면 플레이트(320)가 향하는 전면 방향을 의미하고, '-Z'는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380)가 향하는 후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5와 차이 있는 광원부(540)의 배치 및 인쇄 필름층(6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는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곡면부를 포함하는 제 2 영역(S2)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S2)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S1)을 향해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외면은 전체적으로 상기 제 1 글래스 플레이트(511) 및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 1 글래스 플레이트(511) 및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상기 하우징(31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내부에 인쇄 회로 기판(340) 및 각종 전자 부품들이 실장되며, 상기 광원부(540)는 상기 하우징(310)의 길이 방향의 엣지(long edge)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의 광원부(540)는 도 5의 광원부(540)와 비교하여, 전자 장치 내측으로 실장되어, 중심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는 마이크로 엘이디(micro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40)는 광이 발산될 필요가 없는 영역에 차폐부재(545)를 배치하여, 발산된 광이 지정된 방향으로만 경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부(540)의 제 1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 차폐부재(545)를 배치하여, 상기 제 1 글래스 플레이트(51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5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 2 글래스 플레이트(512)를 향해서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에서 발산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61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위하여, 상기 광원부(540) 또는 상기 몰딩 패턴층(61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부(540)의 광이 발산되는 영역은, 상기 몰딩 패턴층(610)의 단부를 향하도록 지정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광원부(540)에서 발산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610) 내로 진입하는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몰딩 패턴층(610)의 단부 영역은 상기 전자 장치(101) 내측을 향하도록 지정된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61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10a)은 상기 광원부(540)에서 발산된 광이 몰딩 패턴층(610)에 도달하는 경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도달하는 면이 확장되어 상기 경사면(610a)을 벗어나는 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4의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 및 도 11의 상기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의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1에서, 'Z'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전자 장치 내부의 전면 플레이트(예: 도 5의 전면 플레이트(320))가 향하는 전면 방향을 의미하고, '-Z'는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예: 도 5의 후면 플레이트(380))가 향하는 후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5와 차이 있는,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광의 전달 경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는 편평한 제 1 영역(S1) 및 상기 제 1 영역(S1)로부터 연장된 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S1)은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중심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영역(S2)은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단부 영역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S2)은 전면 방향(+Z)으로 심리스하게 휘어진 곡면 구조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길이 방향의 엣지(long edge)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제 1 영역(S1)에는 지정된 제 1 패턴(513, 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제 1 패턴(513,514)은 마이크로 블라스트팅(micro blasting)에 의한 공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이미지 또는 글자 패턴이 형성된 패턴 마스크(예: 메탈 마스크(metal mask))를 이용하여,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에 다양한 이미지 또는 글자 패턴을 직접 식각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이미지와 글자 패턴은 2D, 3D 이미지로 상기 마이크로 블라스팅을 통해, 작업자가 원하는 디자인 이미지를 글래스 플레이트(510)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패턴(513,514)은 복수 개가 지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일 영역에만 국부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엘이디로 구성된 광원부(540)로부터 제공된 광을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상기 제 1 패턴(513,514)에 전달하여 컬러감 및 패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에 형성된 제 1 패턴(513,514)의 위치와 상기 몰딩 패턴층(610)에 형성된 제 2 패턴(611a)의 위치는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에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제 1-1 패턴(513)과 1-2 패턴(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딩 패턴층(610)은 상기 제 1-1 패턴(513)의 적어도 일부가 대면하도록 형성된 제 2-1 패턴(611b), 및 상기 제 1-2 패턴(514)의 적어도 일부가 대면하도록 형성된 제 2-2 패턴(61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540)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몰딩 패턴층(610)의 도광층(612)을 지나가면서, 상기 제 2-1 패턴(611b) 및 제 2-2 패턴(611c)이 위치한 부분에서 광량이 증가된 상태로, 난반사되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이, 상기 제 2-1 패턴(611b) 및 제 2-2 패턴(611c)과 대응된 위치에 있는 상기 제 1-1 패턴(513)과 제 1-2 패턴(514)으로 제공되면, 상기 제 1-1 패턴(513)과 제 1-2 패턴(514)이 위치한 부분은 광의 집중화로 인하여 주변과 대비하여 차별화되고 다이내믹한 발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층(612)을 지나가는 광은 상기 제 1-1 패턴(513)과 제 1-2 패턴(514)으로 집중되어, 불필요 영역에서 발생되는 광 손실을 줄이고, 패턴감에 따른 미려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 및 광원부에서 제공된 광의 경로를 제공한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4의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 및 도 13의 상기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의 하우징(310), 디스플레이(330), 인쇄 회로 기판(340), 글래스 플레이트(510), 인쇄 필름층(600), 및 광원부(540)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2에서, 'Z'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전자 장치 내부의 전면 플레이트(예: 도 5의 전면 플레이트(320))가 향하는 전면 방향을 의미하고, '-Z'는 전자 장치의 후면 플레이트(예: 도 5의 후면 플레이트(380))가 향하는 후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5와 차이 있는,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광의 전달 경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플레이트(510)는 편평한 제 1 영역(S1) 및 상기 제 1 영역(S1)로부터 연장된 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S1)은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중심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영역(S2)은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단부 영역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S2)은 전면 방향(+Z)으로 심리스하게 휘어진 곡면 구조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길이 방향의 엣지(long edge)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제 1 영역(S1)에는 지정된 제 1 패턴(513,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제 1 패턴(513,514)은 마이크로 블라스트팅(micro blasting)에 의한 공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이미지 또는 글자 패턴이 형성된 패턴 마스크(예: 메탈 마스크(metal mask))를 이용하여,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에 상기 다양한 이미지 또는 글자 패턴을 직접 식각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이미지와 글자 패턴은 2D, 3D 이미지로 상기 마이크로 블라스팅을 통해, 작업자가 원하는 디자인 이미지를 글래스 플레이트(510)에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필름층(600)은 제 1 인쇄 필름층(601) 및 상기 제 1 인쇄 필름층(60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인쇄 필름층(601)에 적층 배치된 제 2 인쇄 필름층(6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인쇄 필름층(601)은 제 1 몰딩 패턴층(610) 및 제 1 지지 필름층(62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610)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와 적층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를 향하도록(예: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613)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610)은 제 1 광의 경로(L1)를 형성하는 제 1 도광층(6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쇄 필름층(602)은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630) 및 제 2 지지 필름층(64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630)은 상기 제 1 지지 필름층(620)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를 향하도록(예: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지정된 제 3 패턴(633)이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630)은 제 2 광의 경로(L2)를 형성하는 제 2 도광층(63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610)의 상기 제 2 패턴(613)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에 형성된 제 1-1 패턴(513)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630)의 상기 제 3 패턴(633)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에 형성된 제 1-2 패턴(5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540)는 상기 하우징(310)의 측면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610)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1 광원부(541) 및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630)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광원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원부(541) 및 제 2 광원부(542)는 전자 장치(101) 또는 하우징(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 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광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원부(541) 및 제 2 광원부(542)는 마이크로 엘이디(micro 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배열 구성은 도 6의 광원부(540)의 구성을 준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광원부(541)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610)에 형성된 제 1 도광층(614)을 지나가는 제 1 광의 경로(L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광의 경로(L1)를 따라 이동하는 광은, 상기 제 2 패턴(613)에서 광량이 증가된 상태로, 난반사되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이, 상기 2 패턴(613)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제 1-1 패턴(513)으로 제공되면, 상기 제 1-1 패턴(513)이 위치한 부분은 광의 집중화로 인하여 주변과 대비하여 차별화되고 다이내믹한 발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광원부(542)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630)에 형성된 제 2 도광층(634)을 지나가는 제 2 광의 경로(L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광의 경로(L2)를 따라 이동하는 광은, 상기 제 3 패턴(633)에서 광량이 증가된 상태로, 난반사되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이, 상기 3 패턴(633)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510)의 제 1-2 패턴(514)으로 제공되면, 상기 제 1-2 패턴(514)이 위치한 부분은 광의 집중화로 인하여 주변과 대비하여 차별화되고 다이내믹한 발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후면 플레이트의 구조는, 글래스 플레이트(510)에 형성된 각각의 제 1 패턴(예: 제 1-1 패턴(513) 및 제 1-2 패턴(514))마다 서로 다른 광 경로를 통한 광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 1 패턴에 대한 패턴감을 서로 다르게 유지하고, 서로 다른 색상을 제공하여 다양한 미려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영역(예: 도 5의 S1)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예: 도 5의 S2)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glass plate)(예: 도 5의 510)로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예: 도 10의 513,514)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을 따라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예: 도 5의 540),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예: 도 5의 611a)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예: 도 5의 610),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지지 필름층(예: 도 5의 6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패턴층은, 상기 제 1 영역과 대응되는 평면부(예: 도 5의 P1),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굴곡면을 형성하는 굴곡부(예: 도 5의 P2)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지정된 제 1 패턴 및 주변 영역으로 광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패턴층은,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지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몰딩 패턴 구조(예: 도 5의 611), 및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의 사이 및 일면과 접촉 배치되고, 상기 광의 경로를 제공하는 도광층(예: 도 5의 6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인접 배치된 하우징(예: 도 5의 3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영역(예: 도 6의 S2)은 제 2-1 영역(예: 도 6의 S2a) 및 제 2-2 영역(예: 도 6의 S2b)을 포함하며, 상기 제 2-1 영역 및 상기 제 2-2 영역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한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이 상기 제 2-1 영역을 따라 배열된 제 1 광원부(예: 도 6의 541), 및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이 상기 제 2-2 영역을 따라 배열된 제 2 광원부(예: 도 6의 5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 각각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 형성된 피라미드 구조, 삼각 구조 또는 도트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은 마이크로 블라스트팅(micro blasting)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된 광은 상기 몰딩 패턴층에 제공된 도광층을 따라 광의 경로를 형성하고, 일부 광이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에 의해 집중된 후,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을 향해 난반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 및 차폐부재(예: 도 5의 545)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 각각은 상기 하우징 측면 내측으로 실장되어, 상기 몰딩 패턴층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 각각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몰딩 패턴층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광을 차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인접 배치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자 장치의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인접 배치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패턴층의 단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발산된 광을 유도하기 위한 지정된 기울기가 형성된 경사면(예: 도 8의 610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지정된 제 1 패턴은, 서로 이격 배치된 제 1-1 패턴(예: 도 11의 513)과 1-2 패턴(예: 도 11의 514)을 포함하고, 상기 몰딩 패턴층의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은, 상기 제 1-1 패턴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 2-1 패턴(예: 도 11의 611b, 도 13의 613), 및 상기 제 1-2 패턴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 2-2 패턴(예: 도 11의 611c, 도 13의 6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 2-1 패턴이 위치한 부분에서 광량이 증가된 상태로 난반사되어 상기 제 1-1 패턴으로 집중된 후,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 외부로 방출되는 제 1 광 경로 및, 상기 제 2-2 패턴이 위치한 부분에서 광량이 증가된 상태로, 난반사되어 상기 제 1-2 패턴으로 집중된 후,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 외부로 방출되는 제 2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패턴층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 일면에 배치된 제 1 몰딩 패턴층(예: 도 13의 610)과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된 제 2 몰딩 패턴층(예: 도 13의 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은, 상기 제 1-1 패턴과 대응된 위치하고,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 내에 형성된 상기 제 2-1 패턴(예: 도 13의 613), 및 상기 제 1-2 패턴과 대응된 위치하고,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 내에 형성된 상기 제 2-2 패턴(예: 도 13의 63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을 향해 배치되어, 제 1 광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광원부(예: 도 13의 541), 및 상기 제 1 광원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을 향해 배치되어, 제 2 광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광원부(예: 도 13의 5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예: 도 5의 310),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예: 도 5의 340),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예: 도 10의 513,514)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예: 도 5의 510),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해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예: 도 5의 540),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된 인쇄 필름층(예: 도 5의 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필름층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예: 도 5의 611a)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예: 도 5의 610),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지지 필름층(예: 도 5의 6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딩 패턴층은,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지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몰딩 패턴 구조, 및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의 사이 및 일면과 접촉 배치되고, 상기 광의 경로를 제공하는 도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4의 전자 장치(101))는 제 1 영역(예: 도 8의 S1)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예: 도 8의 S2)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glass plate)(예: 도 8의 510)로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예: 도 10의 513,514)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을 따라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예: 도 8의 540),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예: 도 8의 611a)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예: 도 8의 610),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 필름층(예: 도 8의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자 장치: 101
하우징: 310
인쇄 회로 기판: 340
디스플레이: 330
글래스 플레이트: 510
광원부: 540
인쇄 필름층: 600
몰딩 패턴층: 610
지지 필름층: 620
몰딩 패턴 구조: 611
도광층: 612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glass plate)로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을 따라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지지 필름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패턴층은, 상기 제 1 영역과 대응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연장되고, 굴곡면을 형성하는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지정된 제 1 패턴 및 주변 영역으로 광산란을 유도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패턴층은,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지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몰딩 패턴 구조; 및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의 사이 및 일면과 접촉 배치되고, 상기 광의 경로를 제공하는 도광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인접 배치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광원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제 2-1 영역 및 제 2-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1 영역 및 상기 제 2-2 영역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한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이 상기 제 2-1 영역을 따라 배열된 제 1 광원부, 및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이 상기 제 2-2 영역을 따라 배열된 제 2 광원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 각각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 형성된 피라미드 구조, 삼각 구조 또는 도트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은 마이크로 블라스트팅(micro blasting)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로부터 발산된 광은 상기 몰딩 패턴층에 제공된 도광층을 따라 광의 경로를 형성하고, 일부 광이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에 의해 집중된 후,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을 향해 난반사되는 전자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 및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 각각은 상기 하우징 측면 내측으로 실장되어, 상기 몰딩 패턴층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엘이디들 각각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몰딩 패턴층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광을 차폐하는 전자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인접 배치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자 장치의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전자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인접 배치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패턴층의 단부는 상기 광원부에서 발산된 광을 유도하기 위한 지정된 기울기가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지정된 제 1 패턴은, 서로 이격 배치된 제 1-1 패턴과 제 1-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몰딩 패턴층의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은, 상기 제 1-1 패턴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 2-1 패턴, 및 상기 제 1-2 패턴과 대응되도록 위치한 제 2-2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에서 발산된 광은,
    상기 제 2-1 패턴이 위치한 부분에서 광량이 증가된 상태로 난반사되어 상기 제 1-1 패턴으로 집중된 후,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 외부로 방출되는 제 1 광 경로, 및 상기 제 2-2 패턴이 위치한 부분에서 상기 광량이 증가된 상태로, 난반사되어 상기 제 1-2 패턴으로 집중된 후,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 외부로 방출되는 제 2 광 경로를 형성하는 전자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패턴층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 일면에 배치된 제 1 몰딩 패턴층과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된 제 2 몰딩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은, 상기 제 1-1 패턴과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 내에 형성된 상기 제 2-1 패턴, 및 상기 제 1-2 패턴과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 내에 형성된 상기 제 2-2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제 1 몰딩 패턴층을 향해 배치되어, 제 1 광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광원부; 및
    상기 제 1 광원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몰딩 패턴층을 향해 배치되어, 제 2 광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 2 광원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해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및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된 인쇄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필름층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상기 몰딩 패턴층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지지 필름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로 배열된 광원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패턴층은,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지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몰딩 패턴 구조; 및
    상기 지정된 제 2 패턴들의 사이 및 일면과 접촉 배치되고, 상기 광의 경로를 제공하는 도광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면을 형성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글래스 플레이트(glass plate)로서, 상기 제 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제 1 패턴이 형성된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영역을 따라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와 적층 배치되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지정된 제 2 패턴들이 배열된 몰딩 패턴층; 및
    상기 몰딩 패턴층과 적층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제공된 광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 필름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088704A 2019-07-23 2019-07-23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1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704A KR20210011600A (ko) 2019-07-23 2019-07-23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08758 WO2021015445A1 (ko) 2019-07-23 2020-07-03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517,784 US11662514B2 (en) 2019-07-23 2021-11-03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704A KR20210011600A (ko) 2019-07-23 2019-07-23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600A true KR20210011600A (ko) 2021-02-02

Family

ID=7419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704A KR20210011600A (ko) 2019-07-23 2019-07-23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2514B2 (ko)
KR (1) KR20210011600A (ko)
WO (1) WO20210154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365B1 (ko) * 2017-08-21 2022-07-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148A (ja) 2006-07-28 2008-02-14 Hamamatsu Kagaku Gijutsu Kenkyu Shinkokai マイクロブラスト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CN101518168B (zh) * 2006-09-22 2011-12-0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外罩壳体和该外罩壳体的制造方法及所使用的玻璃嵌入成形用模具
KR101405497B1 (ko) 2008-10-22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각 디자인 표시 장치
KR101591331B1 (ko) 2009-08-10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638549B2 (en) * 2010-08-24 2014-01-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module
KR101930492B1 (ko) 2012-01-10 201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70526B1 (ko) 2012-04-26 2019-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933433B2 (en) 2012-07-30 2015-01-13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receiving a micro device
CN107004130B (zh) * 2015-06-18 2020-08-2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屏幕上指纹感应的屏幕下光学传感器模块
KR102523907B1 (ko) 2015-07-06 202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6344B1 (ko) * 2016-06-21 202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43660B1 (ko) 2017-02-14 202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7563A1 (en) 2022-02-24
US11662514B2 (en) 2023-05-30
WO2021015445A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482B1 (ko)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4515B1 (ko)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1973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2651418B1 (ko) 차폐 시트 및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1462A (ko)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53585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타일러스 펜 충전 방법
KR102534991B1 (ko) 금속 플레이트 및 열 전달 물질이 결합된 열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2316A (ko) 광학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226766B (zh) 装饰膜及包括该装饰膜的电子装置
KR20200112228A (ko) 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하는 방법
US11825007B2 (en) Component stack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00114150A (ko) 연장된 fpcb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38233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inting film
KR102600941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0489A (ko)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10017549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5738A (ko) 하우징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3736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66251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lass plate
US11648747B2 (en) Plate including fine patter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10098696A (ko) 음향 도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02894A (ko) 글래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34349A (ko) 유연성이 있는 안테나를 배치한 전자 장치
KR20230047785A (ko) 모바일 단말, 모바일 단말용 커버 플레이트, 및 모바일 단말용 커버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KR20230174112A (ko) 하우징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