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986A -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롤러 셔터 - Google Patents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롤러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986A
KR20210010986A KR1020207033944A KR20207033944A KR20210010986A KR 20210010986 A KR20210010986 A KR 20210010986A KR 1020207033944 A KR1020207033944 A KR 1020207033944A KR 20207033944 A KR20207033944 A KR 20207033944A KR 20210010986 A KR20210010986 A KR 2021001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ed
cord
various embodiments
slat
longitudin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678B1 (ko
Inventor
록융 웡
Original Assignee
글리데롤 도어즈 (에스)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G10201905150PA external-priority patent/SG10201905150PA/en
Application filed by 글리데롤 도어즈 (에스)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글리데롤 도어즈 (에스)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1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9/16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with slats disappearing in each other; with slats the distance between which can be alt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46Bottom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38Slats directly connec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5Slats connected by separate elements
    • E06B2009/1555Flexible elements, e.g. tapes, strips, cords or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5Slats connected by separate elements
    • E06B2009/1566Rigid elements, e.g. hinges, hooks or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77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77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 E06B2009/1583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inserted in slat ca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77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 E06B2009/1594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attached to outer surface of sla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3Cor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롤러 셔터는 회전 가능한 드럼; 길이 방향 에지 대 길이 방향 에지로 피봇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 가능한 드럼에 평행하게 배열된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을 포함하는 셔터 커튼과, 각 연장된 슬랫의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은 각각 셔터 커튼의 제1 및 제2 측면 경계를 형성하고, 각 연장된 슬랫의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들은 그로부터 돌출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가 제공되고, 아일렛 구조의 제1 및 제2 열은 제1 및 제2 측면 경계에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 및 제2 코드는 아일렛 구조의 각각의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느슨하게 관통하고 각각의 코드는 아일렛 구조들의 각각의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각 코드의 길이 이내로 제한한다.

Description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롤러 셔터
본 기술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롤러 셔터와 관련된다.
롤러 셔터는 소매점, 창고, 건물, 격납고, 차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건물 입구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각 건물의 밀폐된 공간에 대한 물리적 접근을 제어한다.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이 아래로 내려가면 바람 및/또는 비와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한다. 또한 침입이나 침입에 대한 일정량의 보안 보호를 제공한다. 전형적인 롤러 셔터는 일반적으로 셔터 커튼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수평 연장 슬랫(slat)들을 포함한다. 셔터 커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셔터 커튼을 드럼에 감거나 드럼에서 푼다. 또한 셔터 커튼은 일반적으로 입구의 두 측면을 따라 가이드 채널에 의해 안내된다. 이러한 종래의 롤러 셔터는 바람 및/또는 비에 대한 단순한 보호 또는 침입 또는 침입에 대한 제한된 보호 목적으로 충분할 수 있다.
폭풍이나 태풍 동안 강한 바람, 또는 롤러 셔터에 갑작스러운 충격력을 가할 수 있는 폭발 또는 폭발로 인해 셔터 커튼의 개별 슬랫이 조각으로 부서져서 셔터 커튼에서 떨어져나와 날아다니는 파편이 될 수 있다. 추가 재산 피해 또는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롤러 셔터에 대한 갑작스런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롤러 셔터가 필요하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가 제공된다. 롤러 셔터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 가능한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셔터는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의 회전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차례로 길이 방향 에지 대 길이 방향 에지 배열로 피봇 가능하게 맞물린 일련(series)의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연장된 슬랫(slat)들을 포함하는 셔터 커튼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들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들은 각각 셔터 커튼의 제1 측면 경계 및 제2 측면 경계를 형성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은 각각 그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eyelet) 구조가 제공될 수 있고, 그로부터 아일렛 구조의 제1 열 및 아일렛 구조의 제2 열은 각각 셔터 커튼의 제1 및 상기 제2 측면 경계를 따라 형성된다. 롤러 셔터는 적어도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드는 아일렛 구조의 제1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통해 느슨하게 묶일 수 있고, 제 2 코드는 아일릿 구조의 제 2 열의 모든 아일릿 구조를 통해 느슨하게 묶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는 각 코드의 길이 내에서 각각의 아일렛 구조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롤러 셔터에 의하면 슬랫이 셔터 커튼에서 이탈될 위험이 최소화되거나 제거되고, 롤러 셔터는 셔터 커튼의 슬랫이 조각으로 부서지거나 및/또는 이탈하여 날아다니는 파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 셔터를 도시한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장된 슬랫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연장된 슬랫 중 하나의 표면이 절개된 도 1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두 개의 피벗 식으로 연동된 연장된 슬랫을 도시한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슬랫 중 하나의 분해도와 함께 도 2a의 2 개의 피벗 가능하게 맞물린 연장된 슬랫을 도시한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장된 슬랫의 내부 변형을 보여주기 위해 연장된 슬랫 중 하나의 표면이 절개된 도 1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두 개의 피벗식으로 연동된 연장된 슬랫을 도시한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연장된 슬랫 중 하나의 분해도와 함께 도 3a의 2 개의 피벗 식으로 맞물린 연장된 슬랫을 도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이 완전히 하강될 때 도 1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이 부분적으로 하강할 때 도 1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 4a의 원형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를 도시한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이 완전히 하강될 때 도 5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이 부분적으로 낮아질 때 도 6a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 6a의 원형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를 도시한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장된 슬랫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연장된 슬랫 중 하나의 표면이 절단된 도 7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2 개의 피봇 식으로 연동된 연장된 슬랫을 도시한다.
도 8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에서 연장된 슬랫 중 하나와 함께 도 8a의 2 개의 피벗 식으로 맞물린 연장된 슬랫을 도시한다.
도 9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장된 슬랫의 내부의 변형을 보여주기 위해 연장된 슬랫 중 하나의 표면이 절단된 도 7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두 개의 피벗 식으로 연동된 연장된 슬랫을 도시한다.
도 9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에서 연장된 슬랫 중 하나와 함께 도 9a의 2 개의 피봇 식으로 맞물린 연장된 슬랫을 도시한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이 완전히 하강될 때 도 7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이 부분적으로 낮아질 때 도 7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 10a의 원형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를 도시한다.
도 1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이 완전히 하강될 때 도 11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이 부분적으로 낮아질 때 도 12a의 롤러 셔터의 셔터 커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 12a의 원형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문자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뷰에서 동일한 부분을 참조한다. 도면은 반드시 비율에 맞을 필요는 없으며, 대신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할 때 강조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장치와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는 각 방법에 대해 유사하게 유효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는 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일부가 다른 실시예의 일부와 조합될 수 있다.
"위에", "넘어", "꼭대기", "바닥", "아래", "측면", "뒤", "왼쪽", "오른쪽", "앞", "측면"이라는 용어가 이해되어야한다. 이들은 다음 설명에서 편의를 위해 사용되며 상대적인 위치 또는 방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장치, 구조 또는 기타 장치의 방향을 제한하지 않는다. 모든 장치 또는 구조의 일부. 또한, 단수 용어 "a", "an" 및 "the"는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 참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또는" 이라는 단어는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and"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다양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롤러 셔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양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강한 바람의 힘에 저항하고 및/또는 폭발 또는 폭발의 갑작스런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롤러 셔터에 관한 것이다. 강한 바람의 힘에 저항하고 및/또는 갑작스런 충격력을 완화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는 파손 또는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는 슬랫이 셔터 커튼에서 이탈될 위험이 최소화되거나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는 셔터 커튼의 슬랫이 조각으로 부서지거나 및/또는 이탈하여 날아다니는 파편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100)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100)는 롤러 셔터(10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100)는 회전축(112)을 갖는 회전 가능한 드럼(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드럼(110)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원통 형상의 축은 회전 드럼(110)의 회전축(112)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100)는 셔터 커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 커튼(120)은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커튼(120)의 리드 부(122)는 회전 드럼(110)에 결합되어, 드럼(110)을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셔터 커튼(120)을 회전 드럼(110)에 감아 셔터를 올릴 수 있다. 커튼(120)과, 드럼(110)을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셔터 커튼(120)이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서 풀려 셔터 커튼(120)이 하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커튼(120)은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세트를 형성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련의 3 개 이상의 슬랫(130)은 길이 방향 에지 대 길이 방향 에지 배열로 차례로 피벗식으로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바로 인접한 2 개의 연장된 슬랫(130)이 연결 또는 결합되도록 2 개의 바로 인접한 연장된 슬랫(130) 사이의 각각의 길이 방향 에지(132)를 따라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로 인접한 두 개의 연장된 슬랫(130)은 바로 인접한 두 개의 길이 방향 에지(132) 사이의 연결 또는 결합을 따라 피벗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할 수 있다. 연장된 슬랫(130)는 바로 인접한 두 개의 연장된 슬랫(130)이 피봇 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분리 불가능할 수 있도록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회전 가능한 드럼(110)의 회전축(112)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 커튼(120)은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20) 각각이 회전 가능한 드럼(110)의 회전축(112)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된 슬랫(120)의 길이 방향 에지(132)는 회전 가능한 드럼(110)의 회전축(112)에 평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드럼(110)의 회전축(112)에 평행하게 배열된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 셔터 커튼(120)의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 함께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이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 감겨져 셔터 커튼(120)이 상승하고 회전 가능한 드럼(110)으로부터 풀려 셔터 커튼(120)을 내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된 슬랫(130) 각각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은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의 각각의 말단에서 각각의 부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 각각은 셔터 커튼(120)의 제1 측면 경계(124) 및 제2 측면 경계(126)를 형성하도록 각각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모든 제1 길이 방향 단부(134)는 셔터 커튼(120)의 제1 측면 경계(124)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인 라인을 형성하도록 정렬되거나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모든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은 정렬되거나 셔터 커튼(120)의 제2 측면 경계(126)를 형성하기 위해 연속적인 라인을 형성하도록 정렬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는 각각 그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물(140)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 모두는 각각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 및 그의 각각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일렛 구조(140)의 제1 열(144) 및 아일렛 구조(140)의 제2 열(146)이 셔터 커튼(120)의 제1 및 제2 측면 경계(124, 126)를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모든 제1 길이 방향 단부(134)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는 연속적으로 배열되거나 배치되어, 이어지는 아일렛-구조(140)의 제1 열(144)을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모든 제1 길이 방향 단부(134)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의 구멍은 서로 일렬로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모든 제2 길이 방향 단부(136)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는 셔터 커튼(120)의 제2 측면 경계(126)를 따라 이어지는 구조(140)를 형성하도록 아일렛의 제2 열(146)을 구성하기 위해 일렬로 배열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모든 제2 길이 방향 단부(136)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의 구멍은 서로 일렬로 있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100)는 제1 코드(154) 및 제2 코드(15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드(154) 및 제2 코드(156) 각각은 강선, 강철 케이블 또는 강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드(154)는 아일렛 구조(140)의 제1 열(144)의 모든 아일렛-구조(140)를 통해 느슨하게 묶일 수 있다. 따라서, 아일렛 구조(140)의 제1 열(144)의 아일렛 구조(140)는 아일렛 구조물(140)의 제1 열(144)의 모든 아일렛 구조물(140)의 각각의 아일렛 구조물(140)의 각각의 아일렛 구조물(140)을 통과하거나 관통하는 제1 코드(15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코드(156)는 아일렛 구조(140)의 제2 열(146)의 모든 아일렛-구조(140)를 통해 느슨하게 묶일 수 있다. 따라서, 아일렛 구조(140)의 제2 열(146)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는 아일렛 구조(140)의 제2 열(146)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의 아이홀 (141) 각각을 통과하거나 관통하는 제2 코드(15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154, 156)는 각각의 코드(154, 156)의 길이 내에서 아일렛 구조(140)의 각각의 열(144, 146)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드(154)는 아일렛 구조(140)의 제1 열(144)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를 제1 코드(154)의 길이에 의해 정의된 경계 또는 한계 내에 유지하거나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일렛 구조(140)의 제1 열(144)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는 제1 코드(154)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제 1 코드(154)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제1 코드(154)에 배치되거나 놓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코드는 코드(156)는 아일렛 구조(140)의 제 2 열(146)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를 제2 코드(156)의 길이에 의해 정의된 경계 또는 한계 내에서 유지하거나 유지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일렛 구조(140)의 제2 열(146)의 모든 아일렛 구조(140)의 제2 코드(156)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제2 코드(156)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제2 코드(156)에 배치되거나 놓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코드(154, 156)는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 고정 결합된 제1 코드 단부(151) 및 상기 코드(154, 156)의 상기 제2 코드 단부(153)가 아일렛 구조(140)의 각각의 열(144, 146)에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토퍼 요소(155)를 갖는 제2 코드 단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1 코드 단부(151)가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110)은 아일렛 구조(140)가 제1 코드 단부(151)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 요소(155)가 각 코드(154)의 제2 코드 단부(153)에 있는 상태에서, 스토퍼 요소(155)는 아일렛 구조(140)가 제2 코드 단부(153)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 요소(155)는 크림프 엔드(crimp end), 코드 끝 캡(cord end cap), 매듭이 있는 끝(knotted end), 불룩한 끝(bulged end) 또는 확장된 끝(expanded end)을 포함할 수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는 상기 코드의 제1 코드 단부가 각각의 아일렛 구조의 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1 스토퍼 요소를 갖는 제1 코드 단부 및 상기 코드의 제2 코드 단부가 각각의 아일렛 구조의 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2 스토퍼 요소를 갖는 제2 코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제2 코드 단부가 각각의 아일렛 구조물 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2 스토퍼 요소를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토퍼 요소 및 제2 스토퍼 요소가 각각 상기 코드의 제1 코드 단부 및 제2 코드 단부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제1 코드 단부의 제1 스토퍼 요소는 아일렛 구조가 제1 코드 단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고, 제2 코드 단부에 있는 제2 스토퍼 요소는 아일렛 구조가 제2 코드 단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토퍼 요소 및 제2 스토퍼 요소는 각각 크림프 엔드(crimp end), 코드 끝 캡(cord end cap), 매듭이 있는 끝(knotted end), 불룩한 끝(bulged end) 또는 확장된 끝(expanded end)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드(154) 및 제2 코드(156)는 각각 아일렛 구조(140)의 제1 열(144)과 아일렛 구조(140)의 제2 열(146)과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들이 충격력에 의하여 부서지거나 조각나더라도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들이 고정되거나 유지되도록 각각의 연장된 슬랫들에 대하여 추가적인 고정 지점들 및/또는 홀딩 지점들을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협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일렛 구조(140)의 제1 열(144) 및 아일렛 구조(140)의 제2 열(146)과 함께 제1 코드(154) 및 제2 코드(156)는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한 통합된 시스템을 형성하는 상호 작용 및/또는 상호 의존적 특징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의 각 연장된 슬랫(13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으로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 및 그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를 포함할 수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각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의 홀의 축에 따라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의 구멍의 축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두 개의 길이 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수직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으로부터 돌출하는 2 개의 아일렛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은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그로부터 돌출된 2 개의 아일렛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136)는 그로부터 돌출된 2 개의 아일렛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의 롤러 셔터(100)의 셔터 커튼(120)의 2 개의 피벗 식으로 연동된 연장된 슬랫(130)을 도시하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연장된 슬랫(130)중 하나의 표면이 절개된 것을 도시한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에서 긴 슬랫(130) 중 하나와 함께 도 2a의 2 개의 피벗 식으로 맞물린 긴 슬랫(13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100)는 복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 각각은 로드(rod), 폴(pole), 바(bar), 튜브(tube), 와이어(wire), 케이블(cable) 또는 코드(cor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에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상기 연장된 슬랫(130)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는 상기 연장된 슬랫(130) 내부에 둘러싸일 수 있고,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도록 상기 연장된 슬랫(130)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는 상기 연장된 슬랫(130)을 강화 또는 강화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장된 슬랫(130)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는 충격력에 대한 저항 향상 및/또는 충격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된 슬랫(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는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264)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266)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264)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고정되도록 커플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266)는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 고정되도록 커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260)와 일체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264)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266)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 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 및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게 추가적인 고정점(securing points) 및/또는 홀딩 점(holding point)들을 제공하고, 충격력에 대한 저항 강화 및/또는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단일 유닛을 형성하도록 통합되거나 결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고정 결합되고,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는 각각 한 쌍의 평행 벽부(wall portion, 171, 173) 및 상호 연결베이스 부(175)를 갖는 U 자형 브라켓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는 한 쌍의 평행 벽부(171, 173)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상응하는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에 함께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한 쌍의 평행 벽부(171, 173)는 리벳, 나사 및 너트 쌍, 또는 볼트 및 너트 쌍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 주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한 쌍의 평행 벽부(171, 173)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일렬로 배열된 3 개의 패스너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주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134, 136)의 연결베이스 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7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77)을 통해 삽입되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내에서 연장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264)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방향 단부 부분(136)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266)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264)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266)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는 두 개의 동일한 연장된 보강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동일한 연장된 보강 부재(260)는 동일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롤러 셔터(100)의 셔터 커튼(120)의 2 개의 피벗식으로 연동된 연장된 슬랫(130)을 도시하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내부의 변형을 도시하기 위해 연장된 슬랫(130) 중 하나의 표면이 절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에서 긴 슬랫(130) 중 하나와 함께 도 3a의 2 개의 피벗식으로 맞물린 긴 슬랫(130)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은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부재(360a)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길이의 10 분의 1, 길이의 5 분의 1, 또는 길이의 4 분의 1 이상 길이 방향 안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의 10 분의 1, 길이의 5 분의 1, 또는 길이의 4 분의 1 이상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길이의 10 분의 1, 5 분의 1 또는 4 분의 1 이상의 스팬을 가질 수 있고,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의 제1 길이 방향 단부(364a)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06a)가 길이 방향 내측으로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길이의 10 분의 1, 5 분의 1 또는 4 분의 1 이상의 스팬을 가질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의 제2 길이 방향 단부(364b)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가 길이 방향 내측으로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의 제2 길이 방향 단부(366a)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의 제2 길이 방향 단부(366b)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와 일체형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와 일체형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의 제1 길이 방향 단부(364a)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136)의 아일렛 구조(140)는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의 제1 길이 방향 단부(364b)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와 제1 단일 유닛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통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와 제2 단일 유닛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통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일 유닛 및 제2 단일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대한 추가 고정 지점(securing point) 및/또는 홀딩 지점(holding point)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을 강화하여 충격력에 대한 저항 강화 및/또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제1 중간 브라켓(178) 및 제2 중간 브라켓(17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134)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136)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중간 브라켓(178) 및 제2 중간 브라켓(179)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내부에 삽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내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중간 브라켓(178)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중간 브라켓(179)이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 제1 중간 브라켓(178) 및 제2 중간 브라켓(179)은 각각 한 쌍의 평행 벽부(171, 173) 및 상호 연결베이스 부(175)를 갖는 U 자형 브라켓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주 내벽에 고정된 각각의 한 쌍의 평행 벽부(171, 173)와 함께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중간 브라켓(178) 및 제2 중간 브라켓(179)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주 내벽들에 고정된 각각의 한 쌍의 평행 벽부(171, 173)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커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한 쌍의 평행 벽부(171, 173)는 리벳, 나사 및 너트 쌍, 또는 볼트 및 너트 쌍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통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주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한 쌍의 평행 벽부(171, 173)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일렬로 배열된 3 개의 고정 부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주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134, 136)의 상호 연결베이스 부(175)와 제1 및 제2 중간 브라켓(178, 179)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17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강 부재(360a)는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의 상호 연결베이스 부(175)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177)을 통해 삽입되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보강 부재(360b)는 제2 종단 커버(176)의 상호 연결베이스 부(175)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177)을 통해 삽입되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으로부터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의 제1 길이 방향 단부(364a)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는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의 제2 길이 방향 단부(364b)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의 제2 길이 방향 단부(366a)는 제1 중간 브라켓(178)의 상호 연결베이스 부(175)의 적어도 하나의 홀(177)에 체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의 제2 길이 방향 단부(366b)는 제2 중간 브라켓(179)의 상호 연결베이스 부(175)의 적어도 하나의 홀(177)에 체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가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 및 제1 중간 브라켓(178)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가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140) 및 제2 중간 브라켓(179)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은 두 개의 동일한 쌍의 제1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a, 36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동일한 쌍의 제1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a, 360b)는 동일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100)의 셔터 커튼(120)의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도 2a 및도 2b의 적어도 하나의 긴 보강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 셔터(100)의 셔터 커튼(120)의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도 3a 및 도 3b의 제1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a, 36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100)의 셔터 커튼(120)의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된 도 2a 및 도 2b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및 도 3a 및 도 3b의 제1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들(360a, 360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을 포함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120)이 완전히 하강할 때 도 1의 롤러 셔터(100)의 셔터 커튼(1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120)이 부분적으로 하강할 때 도 1의 롤러 셔터(100)의 셔터 커튼(1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100)의 유지 장치(480)(또는 유지 및 정렬 장치)를 도시하는 도 4a의 원형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100)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을 지면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정렬하고 유지 또는 구속하고, 셔터 커튼(120)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위치에서 측면 또는 측면 이동으로부터 바닥 레일(428)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유지 장치(480)(또는 유지 및 정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장치(480)는 셔터 커튼(120)이 하강됨에 따라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이 지면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와 정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장치(480)는 셔터 커튼(120)이 완전히 내려지면 하단 레일(428)이 정렬에서 쉽게 이동(또는 옆으로 이동 또는 측면으로 이동)되지 않거나 수평 이동에 대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장치(480)는 측면 또는 수평 또는 측면 이동에 대해 바닥 레일(428)을 측면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장치(480)는 지면에 고정된 2 개의 볼라드(482a, 482b) 및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에 부착된 2 개의 대응하는 캡(484a, 484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커튼(120)이 하강할 때 2 개의 상응하는 캡(484a, 484b)이 2 개의 볼라드(482a, 482b) 위에 끼워짐에 따라,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은 2 개의 볼라드(482a, 482b)를 연결하는 직선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볼라드(482a, 482b) 각각은 원뿔형 볼라드 또는 절두 원뿔형 볼라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볼라드(482a, 482b) 각각은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대응하는 캡(484a, 484b) 각각은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캐비티는 대응하는 캡(484a, 484b)이 끼워지는 볼라드(482a, 482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볼라드(482a, 482b)는 셔터 커튼이 하강될 때 제1 볼라드(482a)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볼라드(482b)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9)에 인접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캡(484a)은 제1 연결부(486a)를 통해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캡(484b)은 제2 연결부(486b)를 통해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의 스토퍼 요소(155)는 제1 및 제2 연결 부분(486a, 486b)을 각각 관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의 스토퍼 요소(155)는 각각의 코드(154, 156)의 길이 내에서 바닥 레일(428)을 유지하거나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의 스토퍼 요소(155)는 각각의 제1 및 제2 연결 부분(486a, 486b)이 각각의 코드(154, 156)의 코드 단부(153)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닥 레일(428) 및 각각의 제1 및 제2 연결 부분(486a, 486b)을 통하여 제1 및 제2 캡(484a, 484b)에 연결된 각각의 코드들(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에서,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는 셔터 커튼(120)이 하강될 때 하부 레일(428)이 유지 장치(480)에 의해 제한되거나 유지되기 때문에 유지 장치(480)에 의해 측면 또는 측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코드(154, 156)가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서 바닥 레일(428)로 연장되는 경우, 셔터 커튼(120)(바닥 레일(428 포함))의 모든 슬랫(130)은 제1 및 제2 코드(154, 156)의 길이 내에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 커튼(120)이 하강될 때, 셔터 커튼(120)은 각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를 지면으로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코드(154, 156)는 각각의 코드(154, 156)가 셔터 커튼(12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셔터 커튼(120)에 추가 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서 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500)를 도시한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120)이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도 5의 롤러 셔터(500)의 셔터 커튼(1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120)이 부분적으로 하강하였을 때 도 6a의 롤러 셔터(500)의 셔터 커튼(1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 장치(580)를 도시하는 도 6a의 원형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롤러 셔터(500)는 도 1의 롤러 셔터(100)와 유사하게 롤러 셔터(50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롤러 셔터(500)는 롤러의 유지 장치(580, 또는 유지 및 정렬 장치)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롤러 셔터(100)의 유지 장치(480)와 상이하다는 점과 도 5로 도시된 롤러 셔터(500)가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90)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측면에서 도 1의 롤러 셔터(100)와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롤러 셔터(500)는 도 1의 롤러 셔터(100)와 유사하게, 특히 회전 가능한 드럼(110);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을 갖는 셔터 커튼(120); 셔터 커튼(120)의 제 1 및 제 2 측면 경계(124, 126)를 따라 각각 형성된 아일렛 구조(140)의 제1 열(144) 및 아일렛 구조(140)의 제2 열 (146);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 (260, 360a, 360b); 및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에 결합된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500)는 유지 장치(580)(또는 유지 및 정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장치(580)는 도 4a 내지 도 4c의 유지 장치(480)와 유사하게, 셔터 커튼(120)이 하강하였을 때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을 지면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정렬되고 상기 위치에서 측면 또는 측면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장치(580)는 도 4a 내지 도 4c의 유지 장치(480)와 유사하게, 셔터 커튼(120)이 하강할 때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이 다음과 같이 지면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와 정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장치(580)는 도 4a 내지 도 4c의 유지 장치(480)와 유사하게, 일단 셔터 커튼(120)이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바닥 레일(428)이 쉽게 정렬에서 벗어나지 않도록(또는 측면 이동, 옆으로 이동)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장치(580)는 측면, 수평, 옆 방향 이동으로부터 바닥 레일(428)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장치(580)는 유지 장치(580)가 2 개의 브라켓(582a, 582b)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브라켓(582a, 582b)이 고정된 Y 자형 슬롯을 가지고, 지면에 고정되고, 두 개의 상응하는 2 개의 대응하는 삽입 부재(584a, 584b)가 셔터 커튼(120)이 2 개의 브라켓(582a, 582b)에 끼워진다는 점에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정렬 장치(480)와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부착된다. 셔터 커튼(120)이 하강할 때, 2 개의 대응하는 삽입 부재(584a, 584b)는 각각의 브라켓(582a, 582b)에 삽입되고,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은 두 개의 브라켓(582a, 582b)을 연결하는 직선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대응하는 삽입 부재(584a, 584b) 각각은 대응하는 삽입 부재(584a, 584b)가 끼워지거나 삽입될 각각의 브라켓(582a, 582b)의 슬롯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2 개의 브라켓(582a, 582b)은 셔터 커튼이 하강하였을 때 제1 브라겟(582a)이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인접하고, 제2 브라켓(582b)은 셔터 커튼(120)의 하단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인접하도록 이격된 방식으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 부재(584a)가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삽입 부재(584b)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는 각각의 제1 및 제2 삽입 부재(584a, 584b)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 및 제2 삽입 부재(584a, 584b)는 각각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의 스토퍼 요소(155)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의 스토퍼 요소(155)는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아일렛 구조(140)의 각각의 열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삽입 부재(584a, 584b)를 통해 바닥 레일(428)에 결합되는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에서, 각각의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는 셔터 커튼(120)이 하강될 때 유지 장치(580)에 의해 바닥 레일(428)이 유지 장치(580)에 의해 억제되거나 유지되는 것에 기인하여 측면 이동이 억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코드(154, 156)가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서 바닥 레일(428)로 연장됨에 따라, 셔터 커튼(120)의 모든 슬랫(130)이 각각의 코드(154, 156)의 길이 내에 한정될 수 있다. 셔터 커튼(120)이 하강하였을때, 셔터 커튼(120)은 각 코드(154, 156)의 제2 코드 단부(153)를 지면으로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코드(154, 156)는 각각의 코드(154, 156)가 셔터 커튼(12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방식으로 셔터 커튼(120)에 추가 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서 지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셔터(500)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각각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격되며 셔터 커튼(120)이 하강하였을 때 셔터 커튼(120)의 제1 및 제2 측면 경계(124, 126)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로드(592a) 및 제2 가이드 로드(592b)를 포함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로드(592a)와 제2 가이드 로드(592b)는 지면에서 위쪽으로 세워지고, 제1 측면 경계(124)에서 제2 측면 경계(126)까지 측정한 셔터 커튼(120)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에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90)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각각 부착된 제1 슬라이딩 요소(594a) 및 제2 슬라이딩 요소(59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라이딩 요소(594a)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 요소(594b)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슬라이딩 요소(594a)는 제1 삽입 부재(584a)를 통해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 요소(594b)는 제2 삽입 부재(584b)를 통해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슬라이딩 요소(594a)는 제1 가이드 로드(592a)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 요소(594b)는 제2 가이드 로드(592b)와 연결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 및 제2 슬라이딩 요소(594a, 594b)는 중앙 관통 구멍을 갖는 중공 원통형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제2 슬라이딩 요소(594a, 594b) 각각이 각각의 제1 및 제2 가이드 로드(592a, 592b)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제1 가이드 로드(592a)는 제1 슬라이딩 요소(594a)의 중앙 관통 구멍을 통과하고, 제2 가이드 로드(592b)는 제2 슬라이딩 요소(594b)의 중앙 관통 구멍을 통과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700)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는 도 1의 롤러 셔터(100)와 유사하게 롤러 셔터(70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는 모든 측면에서 도 1의 롤러 셔터(100)와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각각의 연장된 슬랫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는 셔터 커튼(120)의 제1 및 제2 측면 경계(124, 126)를 따라 각각 형성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과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는 도 1의 롤러 셔터(100)와 유사하게 회전 가능한 드럼(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는 롤러 셔터(100)와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커튼(120)은 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셔터 커튼(120)은 도 1의 롤러 셔터(100)와 유사하게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들의 연속을 이루도록 시퀀스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길이 방향 에지 대 길이 방향 에지 배열로 차례로 피벗식으로 연동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회전 가능한 드럼(110)의 회전축(112)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감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셔터 커튼(120)의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도 1의 롤러 셔터(100)와 유사하게, 제1 길이 방향 단부(13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136)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의 각각의 말단에서 각각의 부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은 셔터 커튼(120)의 제1 측면 경계(124) 및 제2 측면 경계(126)를 각각 형성하도록 각각 정렬될 수 있다. 셔터 커튼(120)의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모든 제1 길이 방향 단부(134)는 셔터 커튼(120)의 제1 측면 경계(124)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인 라인을 형성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모든 제2 길이 방향 단부(136)는 셔터 커튼(120)의 제2 측면 경계(126)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인 라인을 형성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는 각각 그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으로부터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 중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은 각각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 및 각각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연장된 부분은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연장된 부분은 2 개의 아이 홀, 내부 아이 홀(741a) 및 외부 아이 홀(741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아이 홀(741a)은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135)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외부 아이 홀(741b)은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135)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아이 홀(741a, 741b)은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 및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은 셔터 커튼(120)의 제1 및 제2 측면 경계(124, 126)를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3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모든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제1 열(744)을 구성하도록 일렬로 배열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 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130)의 모든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내부 아이 홀(741a)(또는 내부 구멍)은 서로 정렬될 수 있으며,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130)의 모든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들(13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외부 아이홀(741b)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130)의 모든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연속되어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이 셔터 커튼(120)의 제2 경계(126)에 따라 형성되도록 직선으로 위치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들의 모든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내부 아이홀(741)은 서로 직선으로 위치할 수 있고,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130)의 모든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들(136)의 모든 더블 아일렛 구조(740)의 외부 아이올(741b)(또는 외측 홀)은 서로 직선으로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는 제1 내부 코드(754a), 제1 외부 코드(754b), 제2 내부 코드(756a) 및 제2 외부 코드(756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 셔터(700)는 4 개의 코드(754a, 754b, 756a, 756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4 개의 코드(754a, 754b, 756a, 756b) 각각은 강철 와이어, 강철 케이블 또는 강철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코드(754a)는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모든 내부 아이홀(741a)을 통해 느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코드(754b)는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모든 외부 아이홀(741b)을 통해 느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각각의 내부 및 외부 아이홀(741a, 741b)을 통과하거나 관통하는 제1 내부 코드(754a) 및 제1 외부 코드(754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코드(756a)는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의 모든 내부 아이 홀(741a)을 통해 느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코드(756b)는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의 모든 외부 홀(741b)을 통해 느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각각의 내부 및 외부 구멍(741a, 741b)을 통과하거나 관통하는 제2 내부 코드(756a) 및 제2 외부 코드(756b)에 의하여 연결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4 개의 코드(754a, 754b, 756a, 756b) 각각은 각 코드(754a, 754b, 756a, 756b)의 길이 내에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각 열(744, 74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코드(754a)는 내부 아이 홀(741a)을 통해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제1 내부 코드(754a)의 길이로 정의된 경계 또는 한계 내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내부 아이홀(741a)을 통해 제1 내부 코드(754a)로부터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제1 내부 코드(754a)에 배치되거나 놓일 수 있으며 제1 내부 코드(754a)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코드(754a)는 내부 아이 홀(741a)을 통해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제1 내부 코드(754a)의 길이로 정의된 경계 또는 한계 내에 유지하거나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내부 아이홀(741a)을 통해 제1 내부 코드(754a)로부터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제1 내부 코드(754a)에 배치되거나 놓일 수 있으며 제1 내부 코드(754a)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코드(754b)는, 외부 아이 홀(741b)을 통해,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제1 외부 코드(754b)의 길이로 정의된 경계 또는 한계 내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외부 아이홀(741b)을 통해 제1 내부 코드(754b)로부터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제1 외부 코드(754b)에 배치되거나 놓일 수 있으며 제1 외부 코드(754b)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코드(754a)의 길이는 제1 외부 코드(754b)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코드(756a)는 내부 아이 홀(741a)을 통해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제2 내부 코드(756a)의 길이로 정의된 경계 또는 한계 내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내부 아이홀(741a)을 통해 제2 내부 코드(756a)로부터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제2 내부 코드(756a)에 배치되거나 놓일 수 있으며 제2 내부 코드(756a)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코드(756a)는 내부 아이 홀(741a)을 통해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제2 내부 코드(756a)의 길이로 정의된 경계 또는 한계 내에 유지하거나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내부 아이홀(741a)을 통해 제2 내부 코드(756a)로부터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제2 내부 코드(756a)에 배치되거나 놓일 수 있으며 제2 내부 코드(756a)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부 코드(756b)는, 외부 아이 홀(741b)을 통해,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제2 외부 코드(756b)의 길이로 정의된 경계 또는 한계 내에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의 모든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외부 아이홀(741b)을 통해 제2 내부 코드(756b)로부터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제2 외부 코드(756b)에 배치되거나 놓일 수 있으며 제2 외부 코드(756b)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부 코드(756a)의 길이는 제2 외부 코드(756b)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네 개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는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코드(754a, 754b, 756a, 756b) 각각은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 고정 결합된 제1 코드 단부(151) 및 상기 코드(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가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각각의 열(744, 746)에서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토퍼 요소(155)를 갖는 제2 코드 단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코드(754a, 754b, 756a, 756b)의 제1 코드 단부(151)는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드럼(110)은 이중 아일렛 구조(740)가 제1 코드 단부(151)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 코드(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에 있는 스토퍼 요소(155)에서, 스토퍼 요소(155)는 이중 아일렛 구조(740)가 제2 코드 단부(153)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 요소(155)는 크림프 단부(crimp end), 코드 단부 캡(cord end cap), 매듭이 있는 단부(knotted ed), 돌출 단부(bulged end), 또는 확장 단부(expanded en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는 상기 코드의 제1 코드 단부가 각각의 아일렛 구조 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1 스토퍼 요소를 갖는 제1 코드 단부 및 상기 코드의 제2 코드 단부가 각각의 아일렛 구조 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2 스토퍼 요소를 갖는 제2 코드 단부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토퍼 요소 및 제2 스토퍼 요소가 각각 상기 코드의 제1 코드 단부 및 제2 코드 단부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제1 코드 단부의 제1 스토퍼 요소는 아일렛 구조가 제1 코드 단부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고, 제2 코드 단부에 있는 제2 스토퍼 요소는 아일렛 구조가 제2 코드 단부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토퍼 요소 및 제2 스토퍼 요소는 각각 크림프 단부, 코드 단부 캡, 매듭된 단부, 돌출 단부 또는 확장 단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부 코드(754a), 제1 외부 코드(754b), 제2 내부 코드(756a) 및 제2 외부 코드(756b)는 아일렛 구조물(740)이 각각의 연장된 슬랫이 파손되거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더라도 각각의 연장된 슬랫이 유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연장된 슬랫에 대한 추가 고정 지점 및/또는 유지 지점을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각각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 및 이중 아일렛의 제2 열(746)과 협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내부 코드(754a), 제1 외부 코드(754b), 제2 내부 코드(756a) 및 제2 외부 코드(756b)는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 및 이중 아일렛의 제2 열(746)과 함께 구조(740)는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한 통합된 전체 시스템을 형성하는 상호 작용 및/또는 상호 의존적 특징의 조합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 연장된 슬랫(130)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로부터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740)에서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릿 구조(740)는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의 각각의 아이홀 들의 각 연장된 슬랫(130)의 폭에 평행 방향인 축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140)의 내부 및 외부 아이홀(741a, 741b) 각각의 축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두 길이 방향 사이로 연장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로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들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각각의 길이방향 단부 부분(134, 136)에서 돌출된 두 개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134)은 그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은 그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긴 슬랫(130)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표면이 절개된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셔터 커튼의 두 개의 피봇식으로 결합된 연장된 슬랫들(130)을 도시한다. 도 8b는 하나의 연장된 슬랫들(130)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분해된 도 2a의 피봇식으로 결합된 연장된 슬랫들(13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롤러 셔터(100)와 유사한 도 7의 롤러 셔터(700)는, 복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 도 9a 및 도 9b 참조)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 각각은 로드, 폴, 바, 튜브, 와이어, 케이블 또는 코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된 슬랫들(130) 각각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과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상기 연장된 슬랫(130) 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연장된 슬랫(13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는 상기 연장된 슬랫(130)을 강화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연장된 슬랫(130)과 고정되거나 커플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연장된 슬랫(13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는 충격력에 대한 저항 향상 및/또는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상기 연장된 슬랫(130)을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 및 도 8b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260)은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를 거쳐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에 걸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 및 도 8b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각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 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260)과 일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264)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266)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134)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 및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부가적 고정점 및/또는 홀딩 지점을 제공하도록 단일한 유닛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이 충격력에 대한 저항 강화 및/또는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결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는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의 롤러 셔터(100)과 유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내에서 연장되도록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방향 단부 부분(134)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264)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부재(26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266)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264)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방향 단부 부분(134)에서 제1 길이방향 단부 커버(174) 외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와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266)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부분(136)에서 제2 길이 방향 커버(176) 외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는 각각이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를 가로지를 수 있는 두 개의 동일한 연장된 보강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두 개의 동일한 연장된 보강 부재(260)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9a는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셔터 커튼(120)의 두 개의 피봇 방식으로 결합된 연장된 슬랫들(130) 중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연장된 슬랫의 내부의 변형을 도시하기 위하여 표면이 절개된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을 도시한다. 도 9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된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을 포함하는 도 9a의 두 개의 피봇 방식으로 결합된 연장된 슬랫들(130)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은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방향 단부 부분(134)에서 내측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길이의 1/4, 1/5, 1/10 이상으로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길이의 1/4, 1/5, 1/10 이상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9a 및 도 9b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와 일체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구조 아일렛 구조(740)는 제2 보강 부재(360b)와 일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의 제1 길이 방향 단부(364a)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는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의 제1 길이 방향 단부(364b)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방향 단부 부분(134)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와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는 제1 단일 유닛을 형성하도록 일체화되거나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의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과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는 제2 단일 유닛을 형성하도록 일체화 되거나 결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단일 유닛 및 제2 단일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슬랫(130)에 추가적인 고정 지점 및/또는 홀딩 지점을 제공하고, 충격력에 대한 저항 강화 및/또는 충격력 완화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을 강화하도록 협력적으로 기능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a와 도 9b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은 제1 중간 브라켓(178) 및 제2 중간 브라켓(17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고,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중간 브라켓(178) 및 제2 중간 브라켓(179)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삽입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내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중간 브라켓(178)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고, 제2 중간 브라켓(179)은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보강 부재(360a)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보강 부재(360b)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제1 길이 방향 보강 부재(360a)의 제1 길이 방향 단부(364a)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는 제2 길이 방향 보강 부재(360b)의 제2 길이 방향 단부(364b)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의 제2 길이 방향 단부(366a)는 제1 중간 브라켓(178)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의 제2 길이 방향 단부(366b)는 제2 중간 브라켓(179)에 고정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연장된 보강 부재(360a)는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4),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4)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 및 제1 중간 브라켓(178)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과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연장된 보강 부재(360b)는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136)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아일렛 구조(740) 및 제1 중간 브라켓(179)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은 서로 동일한 제1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들(360a, 360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두 개의 서로 동일한 연장된 보강 부재들(360a, 360b)는 동일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셔터 커튼(120)의 연장된 슬랫들(130)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도 8a, 도 8b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 보강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셔터 커튼(120)의 연장된 슬랫(130) 각각은 도 9a 및 도 9b의 제1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들(360a, 360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롤러 셔터(700)의 셔터 커튼(120)의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130)은 연장된 슬랫(130)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도 8a 및 도 8b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 및 도 9a 및 도 9b의 제1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들(360a, 360b)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셔터 커튼(120)이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셔터 커튼(1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셔터 커튼(120)이 부분적으로 하강하였을 때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셔터 커튼(1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7의 롤러 셔터(700)의 유지 장치(1080, 또는 유지 및 정렬 장치)를 도시하는 도 10a에서 원 부분의 확대된 도면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의 롤러 셔터(100)과 유사한 롤러 셔터(700)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을 바닥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렬하고, 바닥 레일(428)이 셔터 커튼(120)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위치에서 측면 혹은 옆방향 움직임들을 유지 또는 제한하도록 구성된 유지 장치(1080, 또는 유지 및 정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지 장치(1080)는 셔터 커튼(120)이 하강함에 따라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이 바닥의 미리 정해진 위에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유지 장치(1080)는 셔터 커튼(120)이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바닥 레일(428)이 수평 움직임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또는 용이하게 정렬에서 벗어나지 않도록(또는 측면 혹은 옆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장치(1080)은 측면, 또는 수평 또는 옆방향 움직임들에 대하여 바닥 레일(428)을 측면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지 장치(1080)는 바각에 고정된 두 개의 볼라드들(1082a, 1082b)과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에 부착된 두 개의 상응하는 캡들(1084a, 1084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셔터 커튼(120)이 하강할 때 두 개의 상응하는 캡들(1084a, 1084b)들이 두 개의 볼라드들(1082a, 1083b)에 결합됨에 따라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은 두 볼라드들(1082a, 1082b) 사이의 직선에 부합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두 볼라드(1082a, 1082b) 각각은 원뿔형 볼라드 또는 절두 원뿔형 볼라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두 볼라드(1082a, 1082b) 각각은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두 개의 상응하는 캡들(1084a, 1084b)은 각각은 상응하는 캡들(1084a, 1084b)이 결합되는 볼라드(1082a, 1082b)의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두 개의 볼라드들(1082a, 1082b)은 셔터 커튼이 하강하였을 때, 제1 볼라드(1082a)가 셔터 커튼(120)의 바달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인접하고, 제2 볼라드(1082b)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인접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캡(1084a)는 제1 연결 부분(1086a)을 통해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캡(1084b)는 제2 연결 부분(1086b)을 통해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내부 코드(754a) 및 제1 외부 코드(754b) 각각의 제2 코드 단부(153)는 제1 연결 부분(1086a)를 관통하여 연결될(threaded)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내부 코드(756a) 및 제2 외부 코드(756b) 각각의 제2 코드 단부(153)는 제2 연결 부분(1086b)를 관통하여 연결될(threaded)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의 스토퍼 요소(155)는 각각의 제1 및 제2 연결 부분(1086a, 1086b)을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길이 내로 한정하도록 유지하거나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의 스토퍼 요소(155)는 각각의 제1 및 제2 연결 부분들(1086a, 1086b)이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에서 미끄러지져 나오지 않도록 제한하거나 한정하거나 또는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으로 기능할 수 있다. 바닥 레일(428)과 각각의 제1 및 제2 연결 부분(1086a, 1086b)을 통해 제1 및 제2 캡(1084a, 1084b)에 연결되는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와 함께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는 셔터 커튼(120)이 하강할 때 유지 장치(1080)에 의하여 바닥 레일(428)이 제한되거나, 유지됨에 따라 측방향 또는 옆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서 바닥 레일(428)까지 연장되는 네 개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과 함께, 셔터 커튼(120, 바닥 레일 428을 포함)의 모든 슬랫들(130)은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길이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셔트 커튼(120)이 하강할 때, 셔터 커튼(120)은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42)에 바닥방향으로 무게를 실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은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서 바닥까지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이 셔터 커튼(120)에 제공된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셔터 커튼(120)에 추가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 셔터(1100)를 도시한다. 도 1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셔터 커튼(120)이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도 11의 롤러 셔터(1100)의 셔터 커튼(1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셔터 커튼(120) 부분적으로 하강하였을 때 도 12a의 롤러 셔터(1100)의 셔터 커튼(1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지 장치(1180)을 도시하는 도면 12a의 원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의 롤러 셔터(1100)는, 도 1의 롤러 셔터(100), 도 5의 롤러 셔터(500) 및 도 7의 롤러 셔터(700)와 유사할 수 있고, 롤러 셔터(110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1의 롤러 셔터(1100)은 도 7의 롤러 셔터(700)와 유사할 수 있으나, 도 11의 롤러 셔터는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도시된 롤러 셔터(700)의 유지 장치(1080)와 상이한 유지 장치(1180, 또는 유지 및 정렬 장치)를 포함하고, 도 11의 롤러 셔터(1100)은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1190)을 더 포함한다는 측면에서 상이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1의 롤러 셔터(1100)은 도 7의 롤러 셔터(700)과 유사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회전가능한 드럼(110);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130)을 포함하는 셔터 커튼(120); 셔터 커튼(120)의 각각 제1 및 제2 측면 경계(124, 126)을 따라 형성된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1 열(744) 및 이중 아일렛 구조(740)의 제2 열(746); 각 연장된 슬랫(130) 내부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260, 360a, 360b); 및 각 연장된 슬랫(130)에 결합된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260)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176)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유사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롤러 셔터(1100)는 유지 장치(1180, 또는 유지 및 정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지 장치(1180)는 도 10a 내지 도 10c의 유지 장치(1080)와 유사할 수 있고,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을 바닥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렬하고, 셔터 커튼(120)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위치에서 측면 또는 옆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지 장치(1180)는 도 10a 내지 도 10c의 유지 장치(1080)에 유사할 수 있고, 유지 장치(1180)는 셔터 커튼의 바닥 레일(428)이 셔터 커튼(120)이 하강함에 따라 바닥의 미리 정해진 위치와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유지 장치(1180)는 도 10a 내지 도 10c의 유지 장치(1080)에 유사할 수 있고, 유지 장치(1180)는 셔터 커튼(120)이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바닥 레일(428)이 용이하게 정렬(측면으로 움직이거나, 옆방향으로 움직이거나)된 상태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장치(1180)는 측면, 수평 또는 옆방향 움직임에 대항하여 바닥 레일(428)을 측면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정렬 장치(1180)는 두 개의 브라켓(1182a, 1182b)을 포함하며, 각 브라켓(1182a, 1182b)은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에 결합되며 Y 형태의 슬롯을 포함하고, 바닥에 고정되고, 두 개의 상응하는 삽입 부재(1184a, 1184b)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0a 내지 도 10c의 정렬 장치(1080)와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셔터 커튼(120)이 하강할 때 두 개의 상응하는 삽입 부재들(1184a, 1184b)이 두 개의 브라켓(1182a, 1182b)에 삽입됨에 따라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은 두 브라켓들(1182a, 1182b)을 지나는 직선에 상응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두 개의 브라켓들(1182a, 1182b)은 셔터 커튼(120)이 하강할 때, 제1 브라켓(1182a)이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인접하고, 제2 브라켓(1182b)이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인접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 부재(1184a)는 제1 연결 부분(1186a)를 통하여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결합하고, 제2 삽입 부재(1184b)는 제2 연결 부분(1186b)를 통하여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내부 코드(754a) 및 제1 외부 코드(754b) 각각의 제2 코드 단부(153)는 제1 연결 부분(1186a)를 관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내부 코드(756a) 및 제2 외부 코드(756b) 각각의 제2 코드 단부(153)은 제2 연결 부분(1186b)를 관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의 스토퍼 요소(155)는 각각의 제1 및 제2 연결 부분(1186a, 1186b)을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길이 내로 제한 또는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의 스토퍼 요소(155)는 각각의 제1 및 제2 연결 부분들(1186a, 1186b)이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에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해하거나, 제한하거나, 저지하는 물리적 배리어로 기능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연결 부분(1186a, 1186b)를 통하여 제1 및 제2 삽입 부재(1184a, 1184b) 및 바닥 레일(428)에 연결된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에서,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측면 또는 옆방향 움직임은 제2 코드 단부(153)는 셔터 커튼(120)이 하강할 때 유지 장치(1180)에 의하여 바닥 레일(428)이 제한됨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서 바닥 레일(428)까지 연장되는 네 개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에서, 셔터 커튼(120, 바닥 레일(428)을 포함)의 모든 슬랫들은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길에 내로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 커튼(120)이 하강하였을 때, 셔터 커튼(120)은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의 제2 코드 단부(153)를 바닥으로 무게를 싣는다. 따라서,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은 각각의 코드들(754a, 754b, 756a, 756b)이 셔터 커튼(120)에 가해진 충격력을 완화하도록 셔터 커튼(120)에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110)에서 바닥 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롤러 셔터(1100)는 지면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되고, 셔터 커튼(120)이 하강하였을 때 셔터 커튼(120)의 각각 제1 및 제2 측면 경계들(124, 126)과 인접하도록 서로 이격된 제1 가이딩 로드(1192a) 및 제2 가이딩 로드(1192b)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1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딩 로드(1192a) 및 제2 가이딩 로드(1192b)는 바닥에서 윗 방향으로 서있을 수 있고 제1 측면 경계(124)에서 제2 측면 경계(126)까지 측정된 셔터 커튼(120)의 폭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1190)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각각 결합된 제1 슬라이딩 요소(1194a) 및 제2 슬라이딩 요소(119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라이딩 요소(1194a)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슬라이딩 요소(1194b)는 셔터 커튼(120)의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슬라이딩 요소(1194a)는 바닥 레일(428)의 제1 길이 방향 단부(427)에 제1 삽입 부재(1184a)와 제1 연결 부분(1186a)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 요소(1194b)는 바닥 레일(428)의 제2 길이 방향 단부(429)에 제2 삽입 부재(1184b)와 제2 연결 부분(1186b)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슬라이딩 요소(1194a)는 제1 가이딩 로드(1192a)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슬라이딩 요소(1194b)는 제2 가이딩 로드(1192b)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및 제2 슬라이딩 요소(1194a, 1194b) 각각은 중앙 관통홀을 가지는 비어있는 실린더 형태일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1 가이딩 로드(1192a)는 제1 슬라이등 요소(1194a)의 중앙 관통홀을 관통하고, 제2 가이딩 로드(1192b)는 제2 슬라이등 요소(1194b)의 중앙 관통홀을 관통한다.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하나의 아이홀(단일 아일렛 구조) 또는 두 개의 아이홀(이중 아일렛 구조)을 포함하는 아일렛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롤러 셔터의 아일렛 구조는 아일 홀의 개수는 일 예로, 하나의 아이홀, 두 개의 아이홀 또는 세 개의 아이홀과 같이 제한이 없다. 따라서, 따라서, 롤러 셔터는 상기하는 방식으로 아이홀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아이홀을 관통하는 코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예들은 다양한 구현예와 관련된다.
예 1은 롤러 셔터에 관한 것으로, 롤러 셔터는:
롤러 셔터로, 상기 롤러 셔터는: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드럼;
셔터 커튼으로, 상기 셔터 커튼은:
피봇가능하게 차례로 길이방향 에지 대 길이방향 에지로 결합되고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의 상기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로, 각각의 상기 연장된 슬랫들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들은 각각 정렬되어 각각 상기 셔터 커튼의 제1 측면 경계 및 제2 측면 경계를 형성하고, 각 연장된 슬랫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 및 상기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은 각각 그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아일렛 구조의 제1 열 및 상기 아일렛 구조의 제2 열은 각각 상기 셔터 커튼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경계를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 및 제2 코드로, 상기 제1 코드는 상기 아일렛 구조의 상기 제1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느슨하게 관통하고, 제2 코드는 아일렛 구조의 상기 제2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느슨하게 관통하며, 각 코드는 각 코드의 길이 이내로 아일렛 구조의 각각의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예 2에서, 예 1의 주제는 각 코드는 회전 가능한 드럼에 고정되어 연결된 제1 코드 단부와 코드의 제2 코드 단부가 아일렛 구조의 각각의 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토퍼 요소를 포함하는 제2 코드 단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3에서, 예 1의 주제는 상기 코드의 제1 코드 단부가 아일렛 구조들의 각각의 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 요소를 가지는 제1 코드 단부 및 상기 코드의 제2 코드 단부가 아일렛 구조의 각각의 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스토퍼 요소를 가지는 제2 코드 단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4에서, 예 2 또는 예 3의 주제는 각각의 스토퍼 요소는 크림프 엔드(crimp end), 코드 단부 캡(cord end cap), 매듭이 있는 단부(knotted end), 불룩한 단부(bulged end) 또는 확장된 단부(expanded end)를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5에서, 예 1 내지 예 4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각각의 연장된 슬랫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상기 연장된 슬랫의 길이 방향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상기 연장된 슬랫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의 연장된 슬랫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의 홀의 축에 따른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6에서 예 1 내지 예 5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각각의 연장된 슬랫들이 상기 연장된 슬랫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에서 돌출된 두 개의 아일렛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7에서, 예 1 내지 예 6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복수의 연장된 보강 부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연장된 슬랫들은 상기 연장된 슬랫과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상기 연장된 슬랫 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8에서, 예 7의 주제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는 상기 연장된 슬랫의 전체 길이를 거쳐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9에서, 예 8의 주제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각 길이 방향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 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0에서, 예 7의 주제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은 제1 연장된 보강 부재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연장된 보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제1 길이 방향 단부에서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길이의 1/4, 1/5, 또는 1/10 이상 길이로 연장되고, 제2 연장된 보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제2 길이 방향 단부에서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길이의 1/4, 1/5, 또는 1/10 이상 길이로 연장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1에서, 예 10의 주제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제1 연장된 보강 부재와 일체이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제2 보강 부재와 일체인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2에서, 예 1 내지 예 11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바닥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셔터 커튼의 바닥 레일을 정렬하고, 셔터 커튼이 하강할 때 상기 위치에서 바닥 레일의 측면 또는 옆방향 움직임을 유지하거나 제한하도록 구성된 유지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3에서, 예 12의 주제는 유지 장치는 바닥에 고정된 두 개의 볼라드 들과 셔터 커튼의 바닥 레일에 연결된 두 개의 상응하는 캡들을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4에서, 예 12의 주제는 유지 장치는 두 개의 브라켓을 포함하며, 각 브라켓은 각각 바닥에 고정된 Y 형태의 슬롯과 셔터 커튼의 바닥 레일에 부착된 두 개의 상응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5에서, 예 12 내지 예 14 중 어느 하나는 바닥에서 직립한 방향으로 고정되고 셔터 커튼이 하강하였을 때 각각 셔터 커튼의 제1 및 제2 측면 경계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1 가이딩 로드 및 제2 가이딩 로드 및 셔터 커튼의 바닥 레일의 각각 제1 길이 방향 단부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에 결합된 제1 슬라이딩 요소 및 제2 슬라이딩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슬라이딩 요소는 제1 가이딩 로드와 결합하고, 제2 슬라이딩 요소는 제2 가이딩 로드와 결합한다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 16에서, 예 1 내지 예15 중 어느 하나는 각 아일렛 구조는 이중 아일렛 구조이거나 이중 아일렛 구조를 포함하며, 아일렛 구조의 제1 열은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1 열을 형성하고, 아일렛 구조의 제2 열은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2 열을 형성할 수 있고, 롤러 셔터는 제3 코드와 제4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코드는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1열의 이중 아일렛 구조의 모든 내부 아이홀을 느슨하게 관통하고, 제2 코드는 아일렛 구조의 제2 열의 이중 아일렛 구조의 모든 내부 아이홀들을 느슨하게 관통하고, 제3 코드는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1 열의 이중 아일렛 구조의 모든 외부 아이홀을 느슨하게 관통하고, 제4 코드는 이중 아일세 구조의 제2 열의 이중 아일렛 구조의 모든 외부 아일렛을 느슨하게 관통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갑작스런 충격력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는 롤러 셔터를 제공하여, 셔터 커튼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된 슬랫의 위험이 최소화되거나 제거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의 롤러 셔터는 폭발 또는 폭발 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사용될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 된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수정, 형태 및 세부 사항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표시되며, 따라서 청구 범위의 동등성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100, 500, 700, 1100: 롤러 셔터 110: 회전 가능한 드럼
112: 회전축 120: 셔터 커튼
122: 리드부 124: 제1 측면 경계
126: 제2 측면 경계 130: 슬랫
132: 길이 방향 에지 134: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
136: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 140: 아일렛 구조물
141: 아이홀 144: 아일렛 구조의 제1 열
146: 아일렛 구조의 제2 열 151: 제1 코드 단부
153: 제2 코드 단부 154: 제1 코드
155: 스토퍼 요소 156: 제2 코드
171, 173: 한 쌍의 평행 벽부 174: 제1 길이 방향 단부 커버
175: 상호 연결 베이스 부 176: 제2 길이 방향 단부 커버
177: 구멍 178: 제1 중간 브라켓
179: 제2 중간 브라켓 260: 보강 부재
264: 제1 길이 방향 단부 266: 제2 길이 방향 단부
360a: 제1 연장된 보강 부재 360b: 제2 연장된 보강부재
364a: 제1 길이 방향 단부 366a: 제2 길이 방향 단부
427: 바닥 레일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428: 바닥 레일 429: 바닥 레일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480, 580, 1080, 1180: 유지 장치 482a, 482b, 1082a, 1082b: 볼라드
484a, 484b, 1084a, 1084b: 캡
486a, 486b, 1086a, 1086b, 1186a, 1186b: 제1 및 제2 연결 부분
590, 1190: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 582a, 582b, 1182a, 1182b: 브라켓
584a, 584b, 1184a, 1184b: 제1 및 제2 삽입 부재
592a, 592b, 1192a, 1192b: 제1 및 제2 가이드 로드
594a, 594b, 1194a, 1194b: 제1 및 제2 슬라이딩 요소
740: 이중 아일렛 구조 744: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1 열
746: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2 열 741a: 내부 아이 홀
741b: 외부 아이 홀 754a: 제1 내부 코드
754b: 제1 외부 코드 756a: 제2 내부 코드
756b: 제2 외부 코드

Claims (16)

  1. 롤러 셔터로, 상기 롤러 셔터는: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 가능한 드럼;
    셔터 커튼으로, 상기 셔터 커튼은:
    피봇가능하게 차례로 길이방향 에지 대 길이방향 에지로 결합되고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의 상기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일련의 세 개 이상의 연장된 슬랫들로, 각각의 상기 연장된 슬랫들은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들은 각각 정렬되어 각각 상기 셔터 커튼의 제1 측면 경계 및 제2 측면 경계를 형성하고, 각 연장된 슬랫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 및 상기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은 각각 그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아일렛 구조의 제1 열 및 상기 아일렛 구조의 제2 열은 각각 상기 셔터 커튼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경계를 따라 형성되고;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코드 및 제2 코드로, 상기 제1 코드는 상기 아일렛 구조의 상기 제1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느슨하게 관통하고, 제2 코드는 아일렛 구조의 상기 제2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느슨하게 관통하며, 각 코드는 각 코드의 길이 이내로 아일렛 구조의 각각의 열의 모든 아일렛 구조를 제한하는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코드를 포함하는 롤러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코드는 상기 회전 가능한 드럼에 고정되어 결합된 제1 코드 단부 및 상기 코드 단부의 제2 코드 단부가 아일렛 구조의 각각의 상기 열에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스토퍼 요소를 가지는 롤러 셔터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코드는 제1 코드 단부와 제2 코드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드 단부는 아일렛 구조의 각각의 열로부터 상기 코드의 상기 제1 코드 단부가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드 단부는 아일렛 구조의 각각의 열로부터 상기 코드의 상기 제2 코드 단부가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 요소를 포함하는 롤러 셔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스토퍼 요소는 크림프 엔드(crimp end), 코드 단부 캡(cord end cap), 매듭이 있는 단부(knotted end), 불룩한 단부(bulged end) 또는 확장된 단부(expanded end)를 포함하는 롤러 셔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된 슬랫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상기 연장된 슬랫의 길이 방향에서 돌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각각의 연장된 슬랫의 각각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의 홀의 축에 따라 상기 연장된 슬랫의 폭에 평행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롤러 셔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장된 슬랫은 상기 연장된 슬랫의 각 길이 방향의 단부 부분에서 돌출된 두 개의 아일렛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 셔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셔터는
    복수의 연장된 보강 부재들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연장된 슬랫은 상기 연장된 슬랫과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상기 연장된 슬랫 내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롤러 셔터.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보강 부재는 상기 연장된 슬랫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롤러 셔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각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 내에서 연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 부재와 일체인 롤러 셔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은
    제1 연장된 보강 부재 및 제2 연장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된 보강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길이의 1/10 이상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장된 보강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길이의 1/10 이상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롤러 셔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상기 제1 연장된 보강 부재와 일체이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슬랫의 제2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아일렛 구조는 상기 제2 연장된 보강 부재와 일체인 롤러 셔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셔터는
    상기 셔터 커튼의 바닥 레일을 바닥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렬하고,
    상기 셔터 커튼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바닥 레일의 상기 위치에서 측면 또는 옆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유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롤러 셔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바닥에 고정된 두 개의 볼라드들과,
    상기 셔터 커튼의 바닥 레일에 결합된 두 개의 상응하는 캡들을 포함하는 롤러 셔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두 개의 브라켓을 포함하며,
    각 브라켓은 상기 바닥에 고정된 Y 형태의 슬롯과, 상기 셔터 커튼의 상기 바닥 레일에 결합된 삽입 부재들을 포함하는 롤러 셔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롤러 셔터는,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는
    지면에서 직립한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셔터 커튼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셔터 커튼의 상기 제1 및 제2 측면 경계들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이격된 제1 가이딩 로드 및 제2 가이딩 로드 및
    상기 셔터 커튼의 상기 바닥 레일의 제1 길이 방향 단부 및 제2 길이방향 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슬라이딩 요소 및 제2 슬라이딩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제1 가이딩 로드와 결합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제2 가이딩 로드와 결합하는 롤러 셔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일렛 구조는, 아일렛 구조의 상기 제1 열은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1 열을 형성하고, 아일렛 구조의 제2 열은 이중 아일렛 구조의 상기 제2 열을 형성하는 이중 아일렛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셔터는 제3 및 제4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드는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1 열의 상기 이중 아일렛 구조의 모든 내부 아이홀을 느슨하게 관통하고,
    상기 제2 코드는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2 열의 상기 이중 아일렛 구조의 모든 내부 아이홀을 느슨하게 관통하고,
    상기 제3 코드는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1 열의 상기 이중 아일렛 구조의 모든 외부 아이홀을 느슨하게 관통하고,
    상기 제4 코드는 이중 아일렛 구조의 제2 열의 상기 이중 아일렛 구조의 모든 외부 아이홀을 느슨하게 관통하는 롤러 셔터.
KR1020207033944A 2019-06-06 2019-07-25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롤러 셔터 KR102335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905150P 2019-06-06
SG10201905150PA SG10201905150PA (en) 2019-06-06 2019-06-06 Roller shutter for mitigating impact force
PCT/SG2019/050363 WO2020246941A1 (en) 2019-06-06 2019-07-25 Roller shutter for mitigating impact fo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986A true KR20210010986A (ko) 2021-01-29
KR102335678B1 KR102335678B1 (ko) 2021-12-03

Family

ID=7110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944A KR102335678B1 (ko) 2019-06-06 2019-07-25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롤러 셔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7108693B2 (ko)
KR (1) KR102335678B1 (ko)
CN (1) CN112352088B (ko)
AU (1) AU2019341063B9 (ko)
CA (1) CA3174041C (ko)
DK (1) DK3765698T3 (ko)
FI (1) FI3765698T3 (ko)
NZ (1) NZ76246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76A (ko) 2004-02-13 2004-04-01 최재도 자동 수동 겸용 오버 헤드 셔터 도어
KR20080003740A (ko) 2007-07-20 2008-01-08 양희주 셔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3078A1 (de) * 1978-05-26 1979-11-29 Joseph Strohs Einseitige arretierung aus drahtklammern, fuer rolladeneinschubprofile
JPS6089397U (ja) * 1983-11-19 1985-06-19 三和シヤツター工業株式会社 採光窓付き建築用シヤツタ−の施錠装置
GB9205834D0 (en) * 1992-03-18 1992-04-29 Alsecure Ltd Shutter assemblies and laths for them
FR2742187B1 (fr) * 1995-12-12 1998-01-30 Bubendorff Sa Volet roulant muni de moyens de blocage de la lame finale
DE20112771U1 (de) * 2001-08-01 2001-12-20 Roma Rolladensysteme Gmbh Gliedertor
JP2009161962A (ja) * 2007-12-28 2009-07-23 Shotaku:Kk シャッター
ES2476090T3 (es) * 2008-06-06 2014-07-11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Puerta enrollable de alta velocidad con hoja enrollable
EP3221541B1 (en) * 2014-11-21 2020-04-08 Asi Doors Inc. Roll-up door with a spiral guide
US9637973B1 (en) * 2015-12-01 2017-05-02 Mechoshade Systems, Inc. Hembar guide cable finial
CN205823118U (zh) * 2016-06-02 2016-12-21 上海宏黎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铝合金卷帘窗
US11028639B2 (en) * 2016-06-10 2021-06-08 Overhead Door Corporation Low friction high speed roll door at high wind loads
JP2018009356A (ja) * 2016-07-13 2018-01-18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シャッターカーテン、開閉装置
CN207194783U (zh) * 2017-08-31 2018-04-06 王惠珍 一种能互锁的卷帘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76A (ko) 2004-02-13 2004-04-01 최재도 자동 수동 겸용 오버 헤드 셔터 도어
KR20080003740A (ko) 2007-07-20 2008-01-08 양희주 셔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74041A1 (en) 2020-12-10
KR102335678B1 (ko) 2021-12-03
JP7108693B2 (ja) 2022-07-28
FI3765698T3 (fi) 2023-11-03
CN112352088B (zh) 2022-04-12
CA3174041C (en) 2024-05-07
DK3765698T3 (da) 2023-11-06
JP2022516589A (ja) 2022-03-01
AU2019341063B9 (en) 2021-05-27
CN112352088A (zh) 2021-02-09
AU2019341063B1 (en) 2020-06-25
NZ762462A (en)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445B2 (en) Tri-truss self-closing gate
US6179035B1 (en) Venetian blind
US7409980B1 (en) Rolling shutter assembly
EP2694752B1 (en) Guardrail
US11268293B2 (en) Bollard fence
DK2563991T3 (en) Scaffolding with a scaffolding elements and method for erecting thereof
US6581665B2 (en) Venetian blind with upper and lower slat units that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ir tilting angles
EP3765698B1 (en) Roller shutter for mitigating impact force
US6808000B1 (en) Vertically movable security partition
KR20210010986A (ko)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롤러 셔터
KR102088185B1 (ko) 횡형 블라인드
US20130174495A1 (en) Deployable structural units and systems
KR20160120635A (ko) 창호 시스템
KR102160160B1 (ko) 다수의 섹션들로 이루어진 이동식 밀폐 빌딩
KR101503428B1 (ko) 가동형 그물망 휀스
EP3124716A1 (en) Solar protection system with a movable pergola
JP7342667B2 (ja) ブラインド
KR102553833B1 (ko)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KR102612484B1 (ko) 조립식 고소작업대
JP7434857B2 (ja) ブラインド
CN219794754U (zh) 一种具有伸缩功能的水平洞口防护装置
EP3643835B1 (de) Verbindungsleiste für leitern zum aufbau einer sichtschutzwand und sichtschutzwandelement
JPH0421999Y2 (ko)
JPH0419194Y2 (ko)
DE1918773C3 (de) Aus Bauteilen zusammensetzbare, aufhängbare und in Abschnitten verlängerbare Arbeltsbüh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