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421A -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 Google Patents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421A
KR20210010421A KR1020200129607A KR20200129607A KR20210010421A KR 20210010421 A KR20210010421 A KR 20210010421A KR 1020200129607 A KR1020200129607 A KR 1020200129607A KR 20200129607 A KR20200129607 A KR 20200129607A KR 20210010421 A KR20210010421 A KR 20210010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constant velocity
skirt
velocity joint
fix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이규선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서한산업(주)
주식회사 건화이엔지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산업(주), 주식회사 건화이엔지,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한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12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421A/ko
Publication of KR20210010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2003/22303Details of ball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부트의 확장부를 고정하기 위해 절곡되는 스커트가 곡면상태로 부트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예리한 끝단부가 샤프트를 향하도록 절곡 성형하여 부트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과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핸 부트 고정커버는 밴드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부트의 확장부는 부트 고정커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스커트 사이로 리세스공간이 마련되는 부트 고정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부트 고정커버에 있어서,
상기 부트 고정부의 스커트는 구동 샤프트의 중심과 나란하게 연장한 상태로 중첩부가 상기 스커트 외측으로 중첩되게 절곡 성형하고,
상기 중첩부와 스커트의 이음부에는 곡면부가 형성되어 부트의 확장부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부트 고정부의 외측에는 부트의 확장부를 향해 오목하게 가압홈부를 원주면 따라 형성하여 부트와 부트 고정커버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Boot fixed cover of constant velocity joint and this boot fixed cover with constant velocity joint}
본 발명은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부트의 확장부를 고정하기 위해 절곡되는 스커트가 곡면상태로 부트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예리한 끝단부가 샤프트를 향하도록 절곡 성형하여 부트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과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인트는 회전축의 각도가 서로 다른 회전축에 회전동력(토크)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전달각도가 작은 추진축의 경우에는 후크 조인트, 플렉시블 조인트 등이 사용되고, 동력전달 각도가 큰 구동축의 경우에는 등속조인트가 사용된다.
상기 등속조인트는 구동축과 피동축의 교차각이 큰 경우에도 등속으로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독립 현가 방식의 구동축에 주로 사용되는데, 변속기측(인보드측)은 트라이포드식 등속조인트나 슬라이드식 볼타입 등속조인트 등이 주로 사용되고, 휠측(아웃보드측)은 고정식 볼타입 등속조인트가 주로 사용된다.
슬라이드식 볼타입 등속조인트의 일종인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CGJ : Cross Groove Joint)는, FF(Front engine Front wheel drive) 타입의 전륜 구동차량의 구동축인 경우에는 변속기측에만 적용되지만, FR(Front engine Rear wheel drive) 타입의 후륜 구동차량의 구동축인 경우에는 변속기측과 휠측 양쪽 모두에 적용된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용 조인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조인트(이하, '조인트'라고 한다)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부를 구성하며 일단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구동 샤프트(10)와, 구동 샤프트(10)의 스플라인에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내륜이 고정되어 있고, 이 내륜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되는 외륜(20)이 포함되어 조인트 몸체를 형성한다.
구동 샤프트(10)의 축 외주면의 일부는 부트(40)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부트(40)의 일측 또는 외측은 밴드(1)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10)의 축 외주면에 고정되며, 부트(40)의 확장부(41)는 부트 고정커버(5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부트 고정커버(50)는 외륜(20)에 장착되는 장착부(51)와, 장착부(51)에서 구동 샤프트(12)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트(40)의 확장부(41)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부트 고정부(52)를 포함하고 있다.
부트 고정부(52) 내면에는 부트(40)의 확장부(41)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스커트(53) 사이로 리세스공간(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륜(20)의 외측면에는 차폐커버(30)가 마련되어, 내륜과 다수의 볼들 및 케이지를 포함한 부품들을 차폐하게 된다.
종래, 부트 고정커버(50)에 부트(40)의 확장부(41)를 끼워서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짧은 관 형태의 부트 고정부(52) 구조는, 도2 및 도3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2는 부트(40)의 확장부(41)가 부트 고정부(52) 내면으로 스커트(53)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공간(54)으로 끼워져 스커트(53)가 변형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3은 스커트(53)의 단부를 부트(40)의 확장부(41)를 향해 가압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내측의 그리스(grease)의 누유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 유입은 차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커트(53)의 단부가 부트(40)를 결합하기 위해 확장부(41) 단면을 향하여 눌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날카로운 단면에 의해 부트(40)가 찢겨지는 손상이 쉽게 발생되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원인이 되었다.
스커트(53)를 가압하는 위치에 따라 끝단부가 솟아 오를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불량 등의 품질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3211호(공개일자 2019년04월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846호(등록일자 2018년06월29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날카로운 스커트의 끝단부가 부트의 반대방향으로 샤프트를 향하도록 하여 부트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품질과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부트의 확장부는 부트 고정커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스커트 사이로 리세스공간이 마련되는 부트 고정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부트 고정커버에 있어서,
상기 부트 고정부의 스커트는 구동 샤프트의 중심과 나란하게 연장한 상태로 중첩부가 상기 스커트 외측으로 중첩되게 절곡 성형하고,
상기 중첩부와 스커트의 이음부에는 곡면부가 형성되어 부트의 확장부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부트 고정부의 외측에는 부트의 확장부를 향해 오목하게 가압홈부를 원주면 따라 형성하여 부트와 부트 고정커버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가압홈부의 설치 위치는 스커트의 길이 범위내에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중첩부의 끝단부는 구동 샤프트의 중심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밴드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부트의 확장부는 부트 고정커버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스커트 사이로 리세스공간이 마련되는 부트 고정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부트 고정커버에 있어서,
상기 부트 고정부의 스커트는 끝단부의 내측으로 성형되는 둥근 호형의 코킹부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중심으로부터 부트의 확장부를 향해 경사지게 성형되고,
상기 스커트의 끝단부는 부트의 확장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하여 부트와 부트 고정커버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스커트의 끝단부 위치는 스커트가 시작되는 선단부의 내경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스커트의 끝단부는 구동 샤프트의 중심에 대하여 수평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의 스플라인에 치차 결합되는 내륜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되는 외륜과,
구동 샤프트의 축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일측 또는 외측은 밴드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축 외주면에 고정되며, 확장부를 구비하고 있는 부트와,
상기 외륜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부트의 확장부를 삽입 고정하는 부트 고정부가 구비된 부트 고정커버가 포함되어 있는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부트 고정부의 스커트는 구동 샤프트의 중심과 나란하게 연장한 상태로 중첩부가 상기 스커트 외측으로 중첩되게 절곡 성형하고,
상기 중첩부와 스커트의 이음부에는 곡면부가 형성되어 부트의 확장부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부트 고정부의 외측에는 부트의 확장부를 향해 오목하게 가압홈부를 원주면 따라 형성하여 부트와 부트 고정커버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를 제공한다.
상기 가압홈부의 설치 위치는 스커트의 길이 범위내에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를 제공한다.
상기 부트의 확장부의 외경에는 가압홈부의 위치로 걸림홈이 오목하게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의 스플라인에 치차 결합되는 내륜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그루브가 형성되는 외륜과,
구동 샤프트의 축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일측 또는 외측은 밴드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축 외주면에 고정되며, 확장부를 구비하고 있는 부트와,
상기 외륜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부트의 확장부를 삽입 고정하는 부트 고정부가 구비된 부트 고정커버가 포함되어 있는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부트 고정부의 스커트는 끝단부의 내측으로 성형되는 둥근 호형의 코킹부에 의해 구동 샤프트의 중심으로부터 부트의 확장부를 향해 경사지게 성형되고,
상기 스커트의 끝단부는 부트의 확장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하여 부트와 부트 고정커버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를 제공한다.
상기 스커트의 끝단부 위치는 스커트가 시작되는 선단부 높이와 일치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를 제공한다.
상기 부트의 확장부 내경에는 코킹부의 위치로 걸림홈이 오목하게 파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부트 고정커버의 날카로운 끝단부 모서리가 부트를 향하지 않고 구동 샤프트를 향하거나, 부트로부터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되어 연질의 부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구동 샤프트의 절각시에도 부트 고정커버의 날카로운 끝단 모서리가 부트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부트의 찍힘 등에 의한 손상 염려가 전혀 없어 제품의 품질과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등속조인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장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것으로 부트 고정커버의 스커트가 변형되기 직전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커트가 변형되어 부트의 확장부를 결착시킨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트 고정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트 고정커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부트 고정커버의 일부절결 단면도이다.
도 6은 부트 고정커버와 부트의 확장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부트 고정커버에 부트의 확장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부트 고정커버에 스커트부를 향해 가압홈부가 압입된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트 고정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9는 부트 고정커버에 부트의 확장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스커트가 변형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부트 고정커버의 스커트에 코킹부가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등속조인트는 차량용 프로펠러 샤프트의 일부를 구성하며 일단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되는 구동 샤프트(10)와, 구동 샤프트(10)의 스플라인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내륜(13)이 내부로 삽입되는 외륜(20)이 그 몸체를 형성한다.
구동 샤프트(10)의 축 외주면의 일부는 부트(40)에 의하여 둘러싸이고, 부트(40)는 밴드(1)에 의하여 구동 샤프트(10)의 축 외주면에 고정되며, 부트(40)의 확장부(41)는 부트 고정커버(5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부트 고정커버(50)는 외륜(20)에 장착되는 장착부(51)와, 장착부(51)에서 구동 샤프트(10)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트(40)의 확장부(41)가 고정되어 지지되는 부트 고정부(52)를 포함한다.
부트 고정부(52) 내면에는 부트(40)의 확장부(41)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스커트(53)의 사이로 리세스공간(54)이 형성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내륜의 그루브와 외륜(20)의 그루브 사이에는 다수의 볼들이 배치되어 케이지에 의하여 지지되며, 외륜(20)의 외측 단부에는 차폐커버(30)가 마련되고, 그 내측으로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 등속 조인트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을 차폐시키게 되는 것은 통상적이다.
본 발명은, 부트 고정커버(50)의 날카로운 끝단부 모서리가 부트(40)를 향하지 않고 구동 샤프트(10)를 향하거나, 또는 부트(40)로부터 접촉되지 않도록 떨어진 위치로 이격시켜서 연질의 부트(40)가 찍히거나 찝혀서 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트 고정커버(50)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부트 고정커버(50)를 일부 절결하여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부트 고정부(52)를 구성하는 스커트(53)는 그 길이를 더 연장하여 끝단 내측에서 내경을 향해 중첩시키고, 부트 고정부(52)의 외경부에는 부트(40)의 확장부(41)를 향해 가압홈부(57)가 성형되어 부트(40)가 부트 고정커버(50)와 결합되어 내부에 채워지는 그리스의 누유 방지와, 외부 이물질 유입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트 고정부(52)의 스커트(53)는 구동 샤프트(10)의 중심과 대략 나란하게 연장되어 리세스공간(54)의 위치로 부트(40)의 확장부(41)가 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도6은 부트 고정부(52)의 리세스공간(54)으로 부트(40)의 확장부(41)가 조립되는 과정을 요부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7은 상기 리세스공간(54)으로 부트(40)의 확장부(41)가 끼워 조립된 상태에서 가압홈부(57)가 성형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가압홈부(57)가 성형된 상태를 각각 요부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6 내지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커트(53)로부터 구동 샤프트(10)의 방향으로 중첩되는 상기 중첩부(55)와 스커트(53)의 이음부에는 곡면부(56)가 형성되고, 이 둥근 곡면부(56)가 부트(40)의 확장부(41)와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중첩부(55)의 연장으로 인해 그 끝단부에 형성되는 예리한 모서리가 부트(40)와 거리를 충분하게 유지한 상태로 접촉되지 않게 되므로, 찍힘이나 찢겨지는 경우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구동 샤프트(10)의 절각시에도 날카로운 끝단면에 의한 부트(40)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트 고정부(52)의 외경부에 부트(40)의 확장부(41)를 향해 오목하게 성형되는 가압홈부(57)에 의해 부트(40)와 부트 고정커버(50)가 결합된다.
상기 가압홈부(57)는 공구에 의한 롤링(Rolling) 공정에 의해 원통형으로 되는 부트 고정부(52)의 원주면 따라 형성하게 된다.
또, 상기 가압홈부(57)의 설치 위치는 곡면부(56)를 포함한 스커트(53)의 길이 범위내에서 위치된다.
만약, 가압홈부(57)의 설치 위치가 스커트(53)를 벗어난 위치에서 성형되면 부트(40)의 확장부(41)를 가압하여 고정되는 결착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여기서, 상기 부트(40)의 확장부(41) 외부면에는 가압홈부(57)의 위치로 걸림홈(42)이 오목하게 파여져, 이 걸림홈(42)의 위치로 가압홈부(57)가 돌출되는 것에 의해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탈 방지효과를 크게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중첩부(55)의 끝단부는 부트(40)와 충분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히 끝단면은 구동 샤프트(10)의 중심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부트(40)와의 접촉이 없으므로 찍힘 등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도9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트 고정커버(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9는 스커트(53)를 변형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고, 도10은 스커트(53)의 끝단 내측부를 가압하여 코킹부(58)가 성형된 상태를 확대 단면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즉, 도9와 같이 스커트(53)를 변형시키기 전에는 부트(40)와 부트 고정커버(50)를 조립하기 위해 마련되는 리세스공간(54)의 위치로 부트(40)의 확장부(41)가 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스커트(53)는 대략 수평상태로 끝단은 중심을 향해 일부 경사진 상태로 벌어져 있게 된다.
그리고, 리세스공간(54)에 부트(40)의 확장부(41)가 조립된 후에는 대략 스커트(53)의 수평부분와 경사부분 경계 위치에서 공구를 이용해 가압 하여 코킹부(58)를 원주를 따라 성형하게 된다.
코킹부(58)는 둥근 호형의 단면 형상으로 구동 샤프트(10)의 중심으로부터 부트(40)의 확장부(41)를 향해 경사지게 성형된다.
이때, 상기 스커트(53)의 끝단부는 부트(40)의 확장부(41)로부터 외부, 즉 구동 샤프트(10)를 향한 상태로 부트(40)와 부트 고정커버(5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커트(53)의 끝단부 위치는 스커트(53)가 시작되는 선단부의 내경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선(L)에 위치되도록 성형하여 예리한 스커트(53)의 끝단부가 부트(40)로부터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여 접촉을 방지하게 된다.
코킹부(58)에 의해 절곡된 스커트(53)의 끝단면은 구동 샤프트(10)의 중심선과 대략 수평하게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부트(40)의 확장부(41) 내측면에는 코킹부(58)의 성형 위치로 걸림홈(43)이 오목하게 파여져, 이 걸림홈(43)의 위치로 코킹부(58)가 돌출 성형되는 것에 의해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부트(40)와의 결합력을 크게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부트(40)와의 접촉 가능성이 전혀 없으므로 구동 샤프트(10)의 절각시에도 찍힘 등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구동 샤프트 20 - 외륜
30 - 차폐커버 40 - 부트
41 - 확장부 42,43 - 걸림홈
50 - 고정커버 51 - 장착부
52 - 고정부 53 - 스커트
54 - 리세스공간 55 - 중첩부
56 - 곡면부 57 - 가압홈부
58 - 코킹부

Claims (5)

  1. 구동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구동 샤프트 방향으로 연장되어 부트 고정커버에 결합되는 확장부;
    상기 결합부와 확장부를 연결하도록 절곡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외경 또는 내경 중 적어도 하나에서 내측으로 파여 상기 부트 고정커버와 간섭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부트 고정커버의 곡면부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두께가 줄어들면서 곡면으로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가 상기 구동 샤프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밴드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확장부 또는 연결부 보다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확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곡면부 사이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
KR1020200129607A 2020-10-07 2020-10-07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KR20210010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607A KR20210010421A (ko) 2020-10-07 2020-10-07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607A KR20210010421A (ko) 2020-10-07 2020-10-07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341A Division KR20210010027A (ko) 2019-07-19 2019-07-19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421A true KR20210010421A (ko) 2021-01-27

Family

ID=7423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607A KR20210010421A (ko) 2020-10-07 2020-10-07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4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846B1 (ko) 2016-02-12 2018-07-05 서한산업(주) 크로스 그루브 등속조인트
KR20190043211A (ko) 2017-10-18 2019-04-26 서한산업(주) 조인트 부트 고정 커버용 도금용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846B1 (ko) 2016-02-12 2018-07-05 서한산업(주) 크로스 그루브 등속조인트
KR20190043211A (ko) 2017-10-18 2019-04-26 서한산업(주) 조인트 부트 고정 커버용 도금용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591B2 (en) Propeller shaft and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ed therein
KR970000325B1 (ko) 정속 유니버설 볼 조인트
US7677981B2 (en) Sealed joint assembly
JP3651196B2 (ja) 車輪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US6709338B2 (en) Constant velocity fixed ball joint as a counter track joint
US10508692B2 (en) Propeller shaft and propeller shaft production method
US4275571A (en) Homokinetic universal joint
KR102224161B1 (ko) 차량의 구동륜 액슬장치
JP2007504410A (ja) シール装置を備えた等速ジョイント
JPS5944540B2 (ja) 自在継手
JP2009068510A (ja) 等速自在継手
JP2009085380A (ja) 等速自在継手
JP2007056995A (ja) 等速自在継手用フレキシブルブーツ
KR20210010421A (ko)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KR20210010027A (ko) 등속조인트용 부트 고정커버 및 그 부트 고정커버를 갖는 등속조인트
US9636945B2 (en) Bearing device for wheel
KR101874846B1 (ko) 크로스 그루브 등속조인트
JP4512476B2 (ja) 継手用ブーツ
JP2007056947A (ja) 等速自在継手用フレキシブルブーツ
WO2023037744A1 (ja) プロペラシャフト用の等速ジョイントおよびプロペラシャフト
JP2007056949A (ja) 等速自在継手用フレキシブルブーツ
JPH11190358A (ja) 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
WO2007023802A1 (ja) 等速自在継手用フレキシブルブーツ
JP2012077857A (ja) ダブルオフセット型等速ジョイント
US3262284A (en) Universal j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