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414A -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414A
KR20210010414A KR1020200089496A KR20200089496A KR20210010414A KR 20210010414 A KR20210010414 A KR 20210010414A KR 1020200089496 A KR1020200089496 A KR 1020200089496A KR 20200089496 A KR20200089496 A KR 20200089496A KR 20210010414 A KR20210010414 A KR 2021001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aging
composition
inhibition
skin whitening
mela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475B1 (ko
Inventor
이상국
박헌주
문동현
박소연
김건용
이강혁
신송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1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화장료 조성물 및 미용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 및 각질세포로의 이동 억제를 통한 우수한 미백효능 및 광노화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물 유래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미백 및 광노화 억제 기능성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 및 미용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Cosmetic and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caffeoylmalic acid having whitening and anti-photoaging activities}
본 발명은 작두콩 추출물 함유하는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화장료 조성물 및 미용식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분야에서 동아시아 여성들 특히 한국, 일본, 중국의 여성들에게 가장 관심이 큰 분야중에 하나는 피부 미백과 노화 방지이다.
피부 미백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피부 멜라닌 색소이다. 미백 기능성 화장품은 이미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색소의 색을 엷게 하여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다. 미백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기전의 기능성 원료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Arbutin, Kojic acid 등의 Tyrosinase inhibition 기전의 원료가 가장 대표적이며 이 외에 vitamin C 유도체들이 국내기능성 주성분으로 고시되고 있다.
멜라닌 또는 색소는 피부, 머리카락 및 눈의 색을 담당하고 피부에서 표피 멜라닌세포는 리소좀 (lysosome)과 관련된 특이 소기관인 멜라노좀 (melanosome)에서 멜라닌을 생성하게 된다 (Raposo and Marks, 2002, Traffic 3, 237-248). 멜라노좀은 명확히 정의된 순차적인 형태학적 단계를 통해 진행되는데 첫 번째 단계는 내부 신체 구조와 유사한 멜라닌이 없는 프리 멜라노좀이고, 두 번째 단계 멜라노좀은 intralumenal fibres (줄무늬)를 가진 길쭉한 구조이며, 세 번째 단계 멜라노좀은 멜라닌 침착을 보여주며 검은색 줄무늬로 이어지는 4 단계 멜라노좀은 멜라닌으로 가득 차 있게 된다 (Raposo et al., 2001, J. Cell Biol. 152, 809-824; Seiji et al., 1963, Nature 197, 1082-1084).
표피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노좀은 주변 각질 세포로 이동하기 전에 미세 소관 및 말초에 대한 액틴-의존적 수송을 거치게 되며 (Anister et al., 2002, Am. J. Hum. Genet. 71, 407-414; Marks et al., Nat. Rev. Mol. Cell Biol. 2, 738-748; Westbroek et al., 2001, Pigment Cell Res. 14, 320-327) 이때 Rab27a는 특정 세포 유형에서 리소좀 관련 소기관 (LRO)의 수송 및 엑소사이토시스를 제어하는 작은 GTPase Rab27 서브 패밀리의 구성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Izumi et al., 2003, Cell. Struct. Funct. 28, 465-474). Rab27a는 활성화된 GTP와의 결합 상태에서 멜라노좀 막에 위치하며 이때 멜라닌 세포-특이적 Rab27a effector인 melanophilin / Slac2-a에 의해 매개 된 액틴-의존적 MyosinVa 모터 단백질에 대한 수용체로서 작용하게 된다 (Fukuda et al., 2002, J. Biol. Chem. 277, 12432-12436; Strom et al., 2002, J. Biol. Chem. 277, 25423-25430; 2003; Wu et al., 2002, Mol. Biol. Cell 13, 1735-1749). 따라서 Rab27a의 발현억제는 Rab27a-melanophilin-myosinVa의 3중 복합체의 기능 상실을 초래하여, 정상적인 actin-dependent melanosome 수송 결함을 야기하고 말초 액틴에 의해 포획되어 피부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타이로신 발현 억제 및 멜라노좀 이동 억제 기전의 원료가 미백 기능성 주성분으로 고시되고 있다.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합성 화합물인 하이드로퀴논이 미백화장품의 주원료로 사용되다가 발암물질로 지정되면서 최근 인체 고유의 보호기능과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는 자연유래 천연성분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알부틴, 닥나무추출물 등 천연소재로 대체되는 등 주요 기능성 화장품의 핵심원료들이 천연추출물 또는 천연유래성분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01027호 (2013-01-03 공개)는 산초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천연물에는 아직도 규명되지 않은 다양한 성분이 존재하며, 새로운 물질을 발견하고 그 용도를 크게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멜라노좀 생성 및 이동과 관련된 근본적인 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천연물질의 발굴이 필요하다.
본원은 독성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으로 멜라노좀 이동 및 생성 저해 및 광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근원적인 천연물질 유래의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화장품 조성물 및 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퀘르세틴 3-O-beta-(2(G)-O-beta-xylopyranosyl- 6(G)-O-alpha-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 또는 루틴 (2-(3,4- dihydroxyphenyl)-5,7-dihydroxy-3-[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yloxy]-4H-chromen-4-one)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한 피부미백은 피부 표피 세포를 구성하는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각질형성 세포로의 이동 억제; 및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기전에 의한 것으로,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멜라닌의 각질세포로의 이동 억제는 이에 관여하는 Rab27A 및 MyosinVa의 발현 억제에 의한 것으로, 이는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광노화 억제는 COX-2 (cyclooxygenase-2) 발현 억제에 의한 것으로, 세포의 분자 수준에서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퀘르세틴 3-O-beta-(2(G)-O- beta-xylopyranosyl-6(G)-O-alpha-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 또는 루틴 (2-(3,4-dihydroxyphenyl)-5,7-dihydroxy-3-[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yloxy]-4H-chromen-4-one)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의한 피부미백은 피부 표피 세포를 구성하는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각질형성 세포로의 이동 억제; 및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기전에 의한 것으로,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의한 멜라닌의 각질세포로의 이동 억제는 이에 관여하는 Rab27A 및 MyosinVa의 발현 억제에 의한 것으로, 이는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본원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의한 광노화 억제는 COX-2 (cyclooxygenase-2) 발현 억제에 의한 것으로, 세포의 분자 수준에서 광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에 따른 추출물이 유래된 작두콩의 사진 및 작두콩잎에서 추출된 의 3종 지표성분 (caffeoylmalic acid (#1), Quercetin 3-O-beta-(2(G)-O- beta-xylopyranosyl-6(G)-O-alpha-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 (#2) 및 rutin (#3))을 나타내는 화학 구조식이다.
도 2는 본원의 한 구현예에 따른 작두콩으로부터 분리동정된 카페오일말릭산의 멜라노좀 이동과 관련된 인자인 Rab27A 발현 억제효능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3은 본원의 한 구현예에 따른 작두콩으로부터 분리동정된 카페오일말릭산의 멜라닌 이동과 관련된 인자인 MyosinVa 발현 억제효능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4는 본원의 한 구현예에 따른 작두콩잎 추출물로부터 분리 동정된 카페오일말릭산 (caffeoylmalic acid)의 멜라닌형성 억제효능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5는 본원의 한 구현예에 따른 작두콩잎 추출물로부터 분리 동정된 caffeoylmalic acid (#1), Quercetin 3-O-beta-(2(G)-O-beta-xylopyranosyl-6 (G)-O-alpha-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 (#2) 및 rutin (#3)의 자외선 조사로 유발된 COX-2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6a는 종래의 연구되고 있는 멜라노좀 이동, 전달 및 Turnover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Hume et al., 2001, The J. of Cell Biol. 152; 795-808).
도 6b는 본원의 작두콩 추출물에서 분리동정된 caffeoylmalic acid가 관여하는 멜라노좀의 표피세포로의 이동에 관여하는 마커인자인 MyosinVa, Rab27A에 대한 발현억제 기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riganti, S., et al., (2003). Pigment Cell Res. 16, 101-110.).
본원은 카페오일말릭산 (Caffeoylmalic acid)이 독성이 없으면서도 멜라노좀 이동 및 생성 억제 및 광노화를 억제할 수 있어 효과적인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화장품 조성물 및 미용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발견에 근거한 것이다.
이에 한 양태에서 본원은 카페오일말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또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카페오일말릭산은 작두콩 (Canavalia gladiata)에서 분리동정된 것이다.
작두콩 (Canavalia gladiata)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 6-7월에 꽃이 피고 8-10월에 열매인 꼬투리를 맺고 늦가을에 열매가 익는다. 동남아시아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며, 열매는 활모양이며 그 모양이 작두와 같아 작두콩 혹은 도두 (刀豆)라 부른다. 도 1은 작두콩의 사진 및 작두콩잎의 3종 지표성분을 나타내는 화학 구조식이다. 작두콩에는 urease, hemaglutinine, canavanine, canavalia gibberellin I과 II 등의 약용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민간요법에서는 축농증, 치질, 종기 등 화농성 염증을 치료하는 특효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작두콩의 우수한 기능성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작두콩을 발효시켜 "개발한 진화 851" 구복액이라는 음료가 건강보조제로 국내에 소개된 적이 있고, 일본에서는 작두콩에 질경이, 율무, 산치자, 예덕나무를 배합해 만든 건강차인 "도두파워"가 제품으로 판매되기도 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작두콩 (Canavalia gladiata)으로 부터 보고된 연구내용은 65편으로 나타나나 어디에도 본원 내용인 멜라닌 이동의 저해를 통한 미백효능 및 광화 억제에 관한 연구내용은 알려진바 없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유효성분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퀘르세틴 3-O-beta-(2(G)-O-beta-xylopyranosyl-6(G)-O-alpha- 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 또는 루틴 (2-(3,4-dihydroxyphenyl)- 5,7-dihydroxy-3-[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yloxy]-4H- chromen-4-one).
피부 표피세포는 각질형성 세포 및 멜라닌 형성 세포를 포함하고 있는데 (도 6a 참조), 본원에 분리된 유효성분 특히 카페오일말릭산은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멜라닌의 생성 억제는 물론 생성된 멜라닌의 각질형성 세포로의 이동을 억제한다.
이에 일 구현예에서 피부 미백은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멜라닌의 합성 억제에 의한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피부 미백은 표피 세포를 구성하는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각질형성 세포로의 이동의 억제에 의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피부미백은 멜라닌의 각질형성 세포로의 이동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Rab27A (Ras-related protein) (Jordens et al., 2006, Pigment Cell Res. 19; 412-423) 및 Myosin Va (Yao et al., Scientific Reports | 5:10874 | DOI: 10.1038/srep10874 1) 발현 억제에 의한 것이다. 특히 본원에 따른 카페오일말릭산은 멜라노좀의 이동과 관련된 마커인 Rab27A 및 MyosinVa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도 2 및 도 3 참조), 이는 피부색소화 과정의 I, II, III 단계 (도 6a 및 도 6b 참조) 중 멜라닌 생합성 이후 멜라노좀의 표피세포로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또한 본원에 따른 카페오일말릭산은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 4 참조),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표피세포에서 멜라닌의 합성 및 이동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따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광노화 억제 효능을 나타낸다. 현재 피부 노화와 관련하여 "Inflammatory"와 "aging"의 합성어로 "Infl ammaging" 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UV와 같은 광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반응에 의한 노화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되고 있는 것이다. UVB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은 prostaglandin이나 leukotriene 등과 같은 염증 매개체 (inflammatory mediator)의 생성을 수반하며, UVB 노출 조건에서 이들 eicosanoid의 생성은 phospholipase A2 (PLA2)의 발현 또는 활성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prostaglandin 생성에 있어 PLA2의 하위 단계인 COX-2 (Cyclooxygenase-2)의 발현 역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야기되는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증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Lee et al., 2012, Exp. Mol. Med. 44; 536-544; Afnan et al., 2016, Exp. Dermatol. 25; 440-446). 따라서 COX-2의 발현 억제는 광노화 억제와 관련되어 있다. 본원에서는 본원에 따른 작두콩 추출물이 이러한 Inflammaging 타겟 중 하나인 COX-2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5 참조), 이는 본원에 따른 작두콩 추출물의 광노화 억제효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미백 및/또는 광노화 억제/개선에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피부 미백" 이란 자외선,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이상 및 임신 등과 같은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피부 내에 색소의 생성이 과하게 일어나 발생하는 피부색의 변화 또는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상술한 각종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거뭇거뭇한 피부, 기미, 주근깨, 다크서클을 개선 또는 방지 또는 예방하는 효과, 피부의 투명감을 증가시키는 효과, 피부의 칙칙함을 개선하여 윤기 및 팽팽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은 자외선에 의한 자극 또는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멜라노사이트가 자극되고 여기에서 생합성된 멜라닌 색소의 피부 침착이 주 원인이다. 따라서 표피 세포를 구성하는 멜라닌 생합성 세포인 멜로노사이트에서 표피 세포를 구성하는 다른 세포인 각질형성 세포로의 멜라닌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본원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한 미백이외에 색소 침착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광노화는 피부 노화를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로, 자외선을 포함하는 빛에 의한 피부 노화를 의미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노화와 광노화의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피부의 주름으로 특징된다. 피부의 주름은 세포재생 능력의 저하로 인해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같은 탄력섬유가 감소하거나 활성산소에 의해 과산화지질이 생성되거나 생체 구성물질의 산화에 따른 변성, 과도한 근육운동에 의한 피로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 따른 작두콩 추출물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Inflammaging 타겟 중 하나인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광노화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 및/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의미하며,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통상적인 의미로서, 로션, 크림, 오일, 세정용 제품 및 기능성 화장품을 모두 포함한다. 기능성 화장품이란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화장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화장품군이나 화장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화장품을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은, 예를 들면, 크림, 로션, 앰플, 스킨, 에센스, 비누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 기초 화장품 조성물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마스크 또는 팩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이 적용될 수 있는 부위는 신체의 특정 지방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색소 침착 억제 또는 미백이 필요한 다양한 부위의 피부, 특히 얼굴, 팔, 다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적용되는 부위에 다양한 투여 경로, 예를 들면 전신 또는 국소, 특히 국소 투여, 경피, 또는 주사, 특히 경피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원의 작두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화장품, 예를 들면 크림의 경우, 식물성 오일, 유화제, 증점제, 향료, 물, 산화방지제, 및 UV 흡수제를 포함 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목적하는 제품의 구체적 용도 또는 제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체 조성물 중에 약 0.001 내지 약 5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 범위를 벋어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작두콩 추출물 및/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에 부가하여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또는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공액리놀레산, 리놀레산, 감마-리놀레산, 알파-리놀레산을 포함하는 불포화지방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수용성 기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마스크,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원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용으로/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용으로/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지나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자극, 알러지 반응 등이 없이 조직 (예를 들어, 피부 또는 모발)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움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유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최소한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특히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제형의 피부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피부용 조성물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원에 따른 작두콩 추출물은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 첨가제로서 또는 미백 및/또는 광노화 개선 기능성 식품 등의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 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기능성식품" 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특히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보조식품" 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서,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기능성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작두콩 추출물 및/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 (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 (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 (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 (예, 스넥류), 유가공품 (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 (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 (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 음료류 등), 천연조미료 (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기능성 음료로 제조되며,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하며, 특히 피부 탄력 향상, 콜라겐 합성 촉진을 위한 음료를 의미한다.
본원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 시 예
실시예 1. 작두콩잎 ( Canavalia gladiata ) 추출물로부터 지표성분 화합물의 분리 동정
작두콩잎 추출물로부터 활성성분 화합물을 분리하기위해 추출물을 제조하고 용매 분획물을 제조 하였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작두콩잎 10kg을 30% (W/W) 에탄올 수용액 (1→30)에 60℃에서 5시간 추출한 후, 25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3 ㎛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해 조추출물은 증류수로 현탁시킨 후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가하여 2회 반복 추출하였다. 그 후 증류수층을 회수하고 감압 농축하여 작두콩잎 증류수 가용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작두콩잎 증류수 가용 추출물은 HP-20 resin column chromaytography를 Water:EtOH (Water 100% → EtOH 30%)의 조건으로 실시하여 추출물을 크게 3개의 분획 (CG-1 ~ CG-3)으로 나누어 수득하였다. CG-1 분획에서 단일 성분을 정제하였으며 분광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Caffeoylmalic acid (2-[(E)-3-(3,4-dihydroxyphenyl)prop-2-enoyl]oxybutanedioic acid) (#1)인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이어, CG-1 분획으로부터 단일 성분을 분리하였고 LC-MS 측정 결과, m/z 743, 611, 465, 303의 ion peak가 확인되었다. m/z 743 모분자로 가지며 m/z 611, m/z 303 을 갖는 것으로 보아 qercetin 배당체임을 알 수 있었고, 모분자로부터 m/z 132가 소실되는 단편이온으로 xylose (m/z 132) 결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m/z 611 로부터 rhamnose (m/z 146)가 제거된 ion 패턴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를 토대로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Quercetin [3-O-beta-(2(G)-O-beta-xylopyranosyl-6(G)-O-alpha-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2)로 동정하였다.
[M+Na]+ 765; [M+H]+ 743; [M+H-xyl]+ 611; [M+H-Rham-xyl]+ 465; [quercetin aglycone]+ 303;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이어 CG-2 분획으로부터 단일 성분을 분리하였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건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Sigma-aldrich 에서 구입한 Rutin 표준품과 비교 분석하여 1차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LC-MS 측정 결과, m/z 611을 모분자로 가지며 m/z 303을 갖는 것을 확인하여 Quercetin 배당체임을 확인하였고 rhamnose (m/z 146)가 제거되고 glucose (m/z 162)가 제거되는 동일한 ion 패턴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를 토대로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Rutin [2-(3,4-dihydroxyphenyl)-5,7-dihydroxy-3-[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yloxy]-4H-chromen-4-one] (#3) 으로 동정하였다.
[M+Na]+ 633; [M+H]+ 611; [M+H-Rham]+ 465; [quercetin aglycone]+ 303;
[표 1]
Figure pat00003
[화학식 3]
Figure pat00004
실시예 2. 멜라닌 이동의 타겟 인자인 Rab27A 및 MyosinVa 발현 억제능 분석
마우스 멜라노사이트인 멜란-에이 세포에서의 멜라닌 이동 주요 마커인자인 Rab27A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Hong JY et al. (2011) J Nat Prod 74:2012-8).
10% FBS가 포함된 RPMI 배지로 100 mm 배양접시에 1ⅹ106 개의 농도로 주입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을 배양한 후 인산 완충 생리식염수 (PBS)로 2회 세척하였다. 부착된 세포를 회수하여 PBS로 2회 세척한 후 끓고 있는 2ⅹ 시료 loading buffer (250 mM Tris-HCl (pH 6.8), 4% SDS, 10% glycerol, 0.006% bromophenol blue, 2% β-mercaptoethanol, 50 mM sodium fluoride와 5 mM sodium orthovanadate)를 넣어 세포를 파쇄시키고 이를 100℃에서 5분간 유지하였다. 식힌 후 20℃에서 보관하였고 사용 직전에 37℃에서 녹여 단백질 정량 및 전기영동에 이용하였다. 80 μg의 단백질을 5 ~ 12 % SDS-polyacrylamide gel (#456-1036, Bio-rad, Hercules, CA)을 이용하여 138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 (membrane, ISEQ15150, Millipore, Bedford, MA)으로 100 V에서 1시간 동안 옮긴 후 PBST로 2회 세척하고 blocking buffer (5% non-fat dry milk in PBS containing 0.1% Tween-20 (PBST))에 주입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진탕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PBST로 5분간 3회씩 세척한 후 해당 단일항체를 PBST로 3% 비지방 건조 우유 (non-fat dry milk)로 희석하여 멤브레인 (membrane)과 함께 4℃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멤브레인 [Membrane, ISEQ 1S150, Millipore, Bedford, MA)을 PBST로 5분간 3회 세척한 후 HRP (horseradish peroxidase)-결합 이차항체를 PBST로 3% 탈지분유로 1:1,000 ~ 1:2,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멤브레인 (membrane)과 함께 상온에서 3 ~ 4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PBST로 5분간 3회 세척한 후 화학발광 (chemiluminescent) 시약 (LabFrontier, Suwon, Korea)으로 처리하였다. LAS-3000 (Fuji Film Corp., Japan)에서 Rab27A 및 β-actin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기재되어 있다. 작두콩으로부터 분리동정된 caffeoylmalic acid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Rab27A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멜란-에이 세포주를 confocal dish에 2 x 104 cells/ml plating 하여 24시간 동안 세포를 증식시킨 후 PBS로 세척하여 세포에 있는 FBS을 완전히 제거하고 4% paraformaldehyde로 15분간 고정한 후 0.1% Triton X-100을 이용하여 5분간 permeabilization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1% BSA를 이용하여 30분간 상온에서 blocking을 수행한 후 4℃에서 1차 antibody 용액에 인큐베이션 (incubation)한 상태로 하룻밤을 수행하였다. Fluorescence-conjugated 2차 antibody를 상온에서 2시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DAPI (0.5 μg/ml)를 반대염색을 시켜준 후 콘포칼 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기재되어 있다. 작두콩 추출물로부터 분리 동정된 카페오일말릭산 20, 40, 60 μM 처리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MyosinVa 단백질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피부 미백 효능 평가
추가적으로, 동물세포주에서 타이로시나제 저해 효능 측정은 작두콩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멜라노사이트 세포주인 멜란-에이 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이뤄졌다. 멜라닌 정량은 호소이 등 (Hosoi J et al., Cancer Res., 45(4), pp1474-1478, 1985)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인 멜란-에이 (Melan-a) 세포를 6-웰 플레이트 (6-well plate)에 3×104 세포수/well로 분주하고 48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후, caffeoylmalic acid를 최종농도 20 μM이 되도록 처리하고 3 ~ 5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세포를 염화칼슘 (CaCl2), 염화마그네슘 (MgCl2))이 들어있지 않은 인산염완충액 (DPBS; Dulbecco's Phosphated Buffered Saline)으로 2회 세척하고 트립신 (trypsin, Gibco, USA)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여 각 군당 동일한 수의 세포를 수집하였다. 세포침전물을 염화칼슘 (CaCl2)), 염화마그네슘 (MgCl2)이 들어있지 않은 인산염완충액 (DPBS; Dulbecco's Phosphated 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하고 100 ㎕의 10% 디메틸술폭시화물 (DMSO)이 첨가된 1 노르말농도 (N)의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으로 현탁한 후 60℃에서 30분간 처리하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합성 멜라닌으로 작성된 표준곡선으로부터 멜라닌양을 환산하여 저해율을 나타낸 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ffeoylmalic acid를 20 μM 첨가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며 (*P < 0.05) 24.4%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두콩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동정된 카페오일말릭산은 멜라노좀 이동성 뿐 만 아니라 멜라닌 생합성도 억제함으로서 미백효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광노화 억제효능 평가 (Inflammaging 타겟 연구)
본원의 작두콩 추출물의 광노화 억제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람의 각질세포인 HaCaT 세포주를 30
Figure pat00005
배양접시에 2.2×105 cells/ml plating 하여 24시간 동안 세포를 증식시킨 후 cell confluency가 90% 정도 도달했을때 PBS로 3번 세척하여 세포에 있는 FBS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후 작두콩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동정된 #1 (caffeoylmalic acid), #2 (Quercetin 3-O-beta-(2(G)-O-beta-xylopyranosyl- 6(G)-O-alpha-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 #3 (rutin)가 각각 20 μM가 함유된 배지 (0.5 % FBS, 1 % AA in colorless DMEM)를 원래 배지량의 1/4 용량만 넣어 15 mJ/cm2 UVB 조사후 남은 배지를 넣어 37℃ 5% CO2 incubator에서 6시간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기재되어 있다. 대표적인 항염 효소계인 COX-2 단백질 발현량이 대조구에 비해 UV 조사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20μg/ml 농도에서 작두콩잎 추출물로부터 분리 동정된 #1, 2, 및 3 물질로부터 광노화 억제효능을 분석한 결과 COX-2 발현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조성물, 마사지크림 조성물, 로션 조성물, 스킨로션 조성물, 에센스 조성물, 팩 조성물 및 클렌징폼 조성물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 (중량%)으로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06
제형예 2. 마사지 크림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 (중량%)으로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07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 (중량%)으로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08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 (중량%)으로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pat00009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 (중량%)으로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pat00010
제형예 6. 팩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 (중량%)으로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11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 (중량%)으로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12
또한 본 발명의 미용식품으로서의 제형예로서 츄잉껌, 캔디, 비스켓, 아이스크림, 소세지, 초콜렛, 일반 음료 및 미백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음료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미용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츄잉껌 (A)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3
제조예 2. 츄잉껌 (B)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4
제조예 3. 캔디 (A)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5
제조예 4. 캔디 (B)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6
제조예 5. 비스켓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7
제조예 6. 아이스크림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8
제조예 7. 소세지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소세지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19
제조예 8. 초콜렛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초콜렛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20
제조예 9. 건강식품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21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10. 건강음료의 제조
하기 표의 조성 및 함량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22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0)

  1.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퀘르세틴 3-O-beta-(2(G)-O-beta-xylopyranosyl-6(G)-O- alpha-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 또는 루틴 (2-(3,4-dihydroxyphenyl)- 5,7-dihydroxy-3-[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yloxy]- 4H-chromen-4-one)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미백은 피부 표피 세포를 구성하는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각질형성 세포로의 이동 억제; 및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에 의한 것인,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의 각질세포로의 이동 억제는 이에 관여하는 Rab27A 및 MyosinVa의 발현 억제에 의한 것인,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노화 억제는 COX-2 (cyclooxygenase-2) 발현 억제에 의한 것인,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6. 카페오일말릭산, 퀘르세틴 3-O-beta-(2(G)-O-beta-xylopyranosyl-6(G)-O- alpha-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퀘르세틴 3-O-beta-(2(G)-O-beta-xylopyranosyl-6(G)- O-alpha-rhamnopyranosyl)glucopyranoside) 또는 루틴 (2-(3,4-dihydroxyphenyl)- 5,7-dihydroxy-3-[α-L-rhamnopyranosyl-(1→6)-β-D-glucopyranosyloxy]- 4H-chromen-4-one)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미백 및 광노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미백은 표피 세포를 구성하는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각질형성 세포로의 이동 억제; 및/또는 멜라닌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에 의한 것인, 피부 미백 및 광노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닌의 각질형성 세포로의 이동 억제는 이에 관여하는 Rab27A 및 MyosinVa의 발현 억제에 의한 것인, 피부 미백 및 광노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노화 억제는 COX-2 (cyclooxygenase-2) 발현 억제에 의한 것인, 피부 미백 및 광노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200089496A 2019-07-19 2020-07-20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457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7333 2019-07-19
KR1020190087333 2019-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414A true KR20210010414A (ko) 2021-01-27
KR102457475B1 KR102457475B1 (ko) 2022-10-21

Family

ID=7423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496A KR102457475B1 (ko) 2019-07-19 2020-07-20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5336A1 (de) 2021-01-25 2022-07-28 Hyundai Mobis Co., Ltd. Reißeinleitungsvorrichtung für PAB-Tü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807A (ko) * 2003-12-09 2005-06-14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작두콩과 작두 콩깍지로부터 물추출한 추출물로 제조되는가식성 필름의 제조방법
KR20110117376A (ko) * 2010-04-21 2011-10-27 (주)아모레퍼시픽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025363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135305A (ko) * 2017-06-12 2018-12-20 (주)아모레퍼시픽 신규한 퀘르세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807A (ko) * 2003-12-09 2005-06-14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작두콩과 작두 콩깍지로부터 물추출한 추출물로 제조되는가식성 필름의 제조방법
KR20110117376A (ko) * 2010-04-21 2011-10-27 (주)아모레퍼시픽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025363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135305A (ko) * 2017-06-12 2018-12-20 (주)아모레퍼시픽 신규한 퀘르세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5336A1 (de) 2021-01-25 2022-07-28 Hyundai Mobis Co., Ltd. Reißeinleitungsvorrichtung für PAB-Tü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475B1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4254B1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beta-mangostin as active ingredient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KR102457475B1 (ko) 카페오일말릭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광노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236212B1 (ko) 하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4375A (ko) 신규한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3606A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47248A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90169B1 (ko) 고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탄력증가활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10069541A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047588A (ko) 큰도꼬마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1257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028803B2 (ja) 美白剤
US20180353403A1 (en)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osemary-derived verbenone as active ingredient
JP6004599B2 (ja) ベラトルム酸またはこの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状態改善用組成物
JP2020045355A (ja) ムレスズメ根抽出物を含有する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2600558B1 (ko) 아트라릭산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795344B1 (ko)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해면 Phorbas 종에서 분리된 가구닌 D를 함유하는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61380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배양물 및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03007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283289B1 (ko) 물푸레나무 유래 신규 쿠마린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8237B1 (ko) 천연 발효물 유래 고 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JP2011032176A (ja) メラニン産生促進剤
KR20140117003A (ko) 홍화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20111340A (ko) 갈릭산 산화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