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375A - 신규한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375A
KR20120054375A KR1020100115722A KR20100115722A KR20120054375A KR 20120054375 A KR20120054375 A KR 20120054375A KR 1020100115722 A KR1020100115722 A KR 1020100115722A KR 20100115722 A KR20100115722 A KR 20100115722A KR 20120054375 A KR20120054375 A KR 20120054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mpound
whitening
lo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849B1 (ko
Inventor
이남호
박성환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8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색소의 형성 과정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알려진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더불어 피부 노화를 유발하고 주름 및 기미, 주근깨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종의 형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 또한 우수하므로,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작을 예방 또는 해결할 수 있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피부 미백 또는 항산화 작용을 위한 약학적 또는 식품용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화합물들은 천연물에서 추출 가능한 바, 약물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체내에 안정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Nove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oxidant activity or skin-whitening effe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기능 및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신규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동양권의 여성들은 백옥같이 하얗고 깨끗한 피부를 선호하며 이를 미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피부색소 이상침착의 치료 및 미용 욕구 충족을 위한 미백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사람의 피부 색깔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달라지게 되는데, 그 중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근본적인 내적 인자는 천연 피부 색소인 멜라닌이다. 멜라닌은 표피 내 기저층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며, 이 멜라닌 세포는 신경능에서 기원한 세포로서 멜라닌을 생성하여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멜라닌 세포는 수지상 돌기를 갖는 등 신경세포와 형태학적으로 유사하며, 많은 신호 전달 물질, 성장 인자들에 대한 수용체를 공통적으로 갖고 있어 발생학적 기원이 신경 세포와 같음을 보여주는 많은 특징들이 있다. 멜라닌 세포는 자외선, 염증 등의 외부조건, α-MSH 등의 호르몬, IL-1, TNF-α, GM-CSG등의 싸이토카인, 류코 트리엔 등 여러 가지 인자의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멜라닌세포로부터 멜라닌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티로시나아제, TRP-1, TRP-2 등 여러 가지 유전자와 그에 해당하는 효소들의 작용, 또한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로 이동하는 과정에 여러 종류의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다.
멜라닌의 형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멜라노사이트(melaocyte) 내의 멜라노좀이라는 소포체에서 먼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티로신이 도파(DOPA)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고, 도파퀴논으로부터 자동 산화 반응과 효소 반응으로 도파크롬(DOPAchrome)을 거쳐 흑갈색의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을 통해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지고 여기에서 약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 표면으로 나와 각질과 함께 소실된다.
멜라닌 색소 침착을 방지하기 위한 미백제의 개발에 있어서, 현재 생성된 멜라닌 색소를 환원시켜 탈색하는 방법과 멜라닌 색소를 형성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멜라닌 색소를 환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토코페롤이나 비타민류 등을 사용한 미백제는 멜라닌 색소의 탈색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저해제가 주목받고 있다.
한편, 피부 노화에서 외인성 노화와 내인성 노화의 공통되는 원인으로 높은 반응성을 보이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들 수 있다. 사람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체내의 항산화효소와 비타민 E, C, 글루타티온 및 유비퀴놀 등의 항산화제가 감소함으로 인해 산화와 항산화의 불균형이 야기되어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와 피부탄력 감소, 주름 및 기미, 주근깨 생성 등의 외인성 피부노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막는 동시에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미백용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종래의 화장품 분야에서는 미백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아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티로시나아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처방계 중에서의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기존 미백제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탁월한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미백제로서 항산화 활성과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동시에 갖춘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 색소의 형성을 촉진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 작용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의 형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작용을 모두 갖는 새로운 화합물을 최초로 규명함으로서, 그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멜라닌 색소 침착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해결할 수 있도록, 항산화 효과와 티로시나아제 억제활성을 동시에 지닌 새로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하기의 식에서, R1은 수소(H) 또는 메톡시기(CH3O)이고, R2는 수소(H) 또는 메톡시기(CH3O)이고, R3는 하이드록시기(OH) 또는 메톡시기(CH3O)이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표에 기재된 화학식 1 내지 5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좁은잎 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줄기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좁은잎 천선과나무의 줄기에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헥산,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첨가하여 가용 추출한 용매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좁은잎 천선과나무의 줄기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에 물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화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10~100μM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영양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클린져, 바디로션, 샴푸, 유액,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새도우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좁은잎천선과나무의 줄기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에 물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화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색소의 형성 과정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알려진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더불어 피부 노화를 유발하고 주름 및 기미, 주근깨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의 형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또한 우수하므로,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작을 예방 또는 해결할 수 있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화합물들은 천연물에서 추출 가능한 바, 약물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체내에 안정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에탄올 추출물의 여러 분획물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에탄올 추출물의 여러 분획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분리한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에탄올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들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멜라닌 색소의 형성을 유도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 멜라닌 색소 침착을 예방 또는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는 바,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Figure pat00003
신체의 최외각을 이루고 있는 기관인 피부는 항상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서 태양광선, 산소, 세균, 각종 공해 물질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태양광선의 자외선에 대한 피부노출은 과잉의 활성 산소종(ROS)을 생성하는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체내의 항산화효소와 비타민 E, C, 글루타티온 및 유비퀴놀 등의 항산화제가 감소함으로 인해 산화와 항산화의 불균형이 야기되어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알루론산 사슬절단,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오고 결국에는 피부탄력감소, 주름 및 기미, 주근깨 생성 등의 외인성 피부노화가 일어나게 된다(Oikarinen A.,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7(1), 3-4(1990); Yamauchi M., J. Invest. Dermatol., 97, 938-941(1991)).
이러한 외인성 노화는 외부환경과는 무관하게 유전적 요소에 영향을 받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와는 달리 외부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노화현상이므로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선, 산소, 세균, 공해물질, 스트레스 등의 외부 환경적 요인들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이러한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생성된 활성산소나 활성산소가 세포막을 공격하여 피부에 염증을 유발하고 염증화 된 조직에서 생리학적 진행 메커니즘에 의해 단백질이나 유전자 물질 등이 파괴되어 기미, 주름 등이 형성되는 일련의 피부노화 메커니즘의 단계를 모두 억제시켜줄 수 있다면 외인성 노화에 의한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나 아직까지는 그런 이상적인 항노화제를 개발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외부요인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주는 항산화제와 미백과 관련하여서는 멜라닌생성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억제물질을 찾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활성산소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가 진행이 되면 자외선을 흡수하고 활 성산소를 중화시킴으로써 피부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 생성반응 역시 촉진되는데, 이러한 멜라닌은 사람이 갖고 있는 색소로 표피의 기저층에 있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s)에서 생성이 되며 유멜라닌(eumelanin)과 페오멜라닌(pheomelanin)으로 대별된다.
멜라닌의 생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타이로신(tyrosine)이 도파(DOPA)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산화되고 도파퀴논(DOPAquinone)은 자발적으로 엔도사이클(endocycle)을 형성하여 레우코도파크롬(leucodopachrome)으로 된다. 이후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CO2이탈반응, 자동산화반응, 광화학반응, 티로시나아제, 도파크롬 토토머라제(dopachrome tautomerase), DHICA(5,6-dihydroxyindol carboxylic acid)-옥시다제(oxydase) 등에 의해 중합되어 유멜라닌이 생성되며 페오멜라닌은 도파퀴논에 시스테이닐 도파등의 부가물을 경유하여 생성된다.
상기와 같이 멜라노사이트에서의 멜라닌 생성과정의 핵심은 티로시나아제 등의 효소작용과 자동산화반응에 의해 생성과정이 촉진되는데 있으며, 이러한 티로시나아제 등의 효소작용 및 자동산화반응은 자외선 및 자외선으로 인해 유발된 활성산소에 의해 촉진된다(박수남, 대한화장품학회지, 제25권, 2호, p86-88, 1999).
따라서 티로시나아제의 효소활성을 억제하면 멜라닌생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이 효과적인 피부 미백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및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DPPH법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기 기술된 화학식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뛰어난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여 강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이 강력한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뛰어난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7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이 멜라닌 색소 형성을 유발하며 색소 침착 증상의 악화시킨다고 알려진 티로시나아제 및 활성산소종의 활성을 동시에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작용을 통해 항산화 효과 및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품의 제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1은 수소(H) 또는 메톡시기(CH3O)이고, R2는 수소(H) 또는 메톡시기(CH3O)이고, R3는 하이드록시기(OH) 또는 메톡시기(CH3O)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표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1 내지 5 중 하나일 수 있다.
Figure pat0000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들은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들은 천연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연 식물로부터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물질을 추출하고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천연 식물의 줄기, 뿌리 또는 잎은 목적하는 추출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절히 건조하여 침연(macerated)하거나 단지 건조시켜 적절한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목적하는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좁은잎천선과 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로부터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좁은잎천선과(Ficus erecta var. sieboldii)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가는잎천선과라고도 하며, 해안지대와 섬에서 자라고 한국?일본?타이완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 지방, 특히 제주도에 주로 자생하는 식물이다. 하늘의 선녀들이 먹는다고 해서 천선과라 불리는 열매는 달지는 않아도 먹을 수는 있다. 바닷가 산기슭에서 자라며 높이 2-4 m이고, 나무껍질은 잿빛이 섞인 흰색이며 어두운 갈색 피복이 있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천선과 보다 좁은 바소꼴이며 길이 10~20cm이다. 끝부분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거친 톱니가 난다. 곁맥은 5~6쌍이고 잎자루는 길이 1~4cm이다. 주로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 잎과 열매는 먹는다(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979).
이러한 좁은잎천선과나무에 대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효능으로는 보중, 익기, 건비, 화습, 강근장골, 소종, 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고, 류마티스성 관절염, 중기허약, 기혈 쇠미, 사디산언, 근골불리, 타박상, 경폐, 산후유즙 결핍 치료 등에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그 외 피부 미백이나 항산화 효능에 대한 연구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좁은잎천선과 나무로부터 생리활성 성분인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분리 및 정제하였으며, 정제한 성분이 멜라닌 색소 생성의 억제활성 및 활성산소종의 소거 활성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좁은잎천선과 나무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물 또는 유기용매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n-헥산(hexane), 염산, 초산, 포름산, 구연산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좁은잎천선과 나무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수 추출법 등일 수 있고,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득한 좁은잎천선과 나무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고,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좁은잎천선과 나무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은 이후 당업계에 공지된 분리 및 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활성 성분을 수득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좁은잎천선과 나무 추출물을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활성 알루미나(alumina)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olumn chromatography)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추출 및 분리정제 방법은 반드시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순수하게 분리 및 정제된 화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추출물은 좁은잎천선과 나무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좁은잎천선과 나무의 줄기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가용추출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좁은잎천선과나무의 줄기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에 물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화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좁은잎천선과 나무의 추출물 수득 과정과 상기 추출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정제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를 건조시킨 후 건조된 가지 1.0kg을 분쇄한 후, 이를 70% 에탄올 20L에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출시켜 교반하였다. 침출시킨 시료를 감압 흡입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액만 취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더 반복 실시하였다. 이렇게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은 40℃ 이하의 수욕 상에서 진공농축기(rotary vacc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좁은잎천선과 나무 에탄올 추출물 100.0g을 준비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을 물 1L에 현탁시키고, 극성순서에 따라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n-butanol), 물(water)을 넣고 분획하여 에탄올 추출물의 각각의 분획물을 완성하였다. 그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로부터 실리카겔이 충진된 컬럼 및 VLC를 통해 생리 활성 성분인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화합물들은 이후 NMR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와 비교하여 동정하였다(실시예 1 참조).
한편, 동정된 각 화합물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뛰어난 티로시나아제 억제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갖으며, 과다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이 우수하므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의 응용이 가능하며, 천연식물로부터도 유래할 수 있으므로 합성원료들로 야기되는 알러지 및 부작용, 안전성면을 해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은 10~100μM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미백 효과가 있고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 용도에 따라서 상기 범위 이상 또는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이외에도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화합물들은 화장료 조성물 뿐 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피부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활성을 위한 약학 또는 식품용 조성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활성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에 0.1 내지 50 %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과다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 개선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0.5~1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0.5~5 mg/day/체중kg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멜라닌 색소 침착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또는 항산화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또는 피부 표면에 직접 도포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방지,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화합물은 천연물로부터 수득하였기에 생체에 부작용 없이 사용 가능하므로, 멜라닌 생성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멜라닌 색소 침착 증상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즉 항산화 또는 미백용 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멜라닌 과다 생성 증상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원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 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백용 또는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술한 것 이외에 본원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미백용 또는 항산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음료의 경우, 100ml를 기준으로 0.001g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01g 내지 0.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멜라닌 색소 침착 억제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분리 및 동정
<1-1> 좁은잎천선과나무의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는 제주 한라수목원에서 제공받아 준비하였다.
1차 추출을 위해 준비한 좁은잎천선과나무를 건조시킨 후, 건조된 좁은잎천선과나무 가지 1.0kg을 분쇄하고 이를 70% 에탄올 20L에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침출시켜 교반하였다. 2차 추출을 위해 따로 준비한 좁은잎천선과나무는 건조시킨 후, 건조된 좁은잎천선과나무 가지 527g을 분쇄하고 이를 70% 에탄올 10L에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침출시켜 교반하였다. 상기 침출시킨 시료를 감압 흡입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액만 취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더 반복 실시하였다.
이렇게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은 40℃ 이하의 수욕 상에서 진공농축기(rotary vacc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1차 좁은잎천선과나무 에탄올 추출물 100.0g과 2로 2차 에탄올 추출물 45.2g을 준비하였다.
그리고는 1차로 제조한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 추출물을 물 1L에 현탁시키고, 극성순서에 따라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n-butanol), 물(water)을 넣고 각각 분획하여 총 4개의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각 분획물을 감압 건조하여 분말형태인 좁은잎천선과나무 분획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들은 분말형태의 좁은잎천선과나무 헥산분획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부탄올 분획추출물, 물 분획추출물을 완성하였다.
<1-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분리
상기의 <1-1>에서 제조한 분획물 중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및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생리활성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선택하여 VLC 및 실리카 겔(Silica gel) CC를 사용하여 활성성분인 총 8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는 NMR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기존에 보고된 문헌치와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상기 <1-1>에서 1차로 추출한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일부인 3.1g 중 1.6g만을 Hex-EtOAc-MeOH 농도 구배(gradient) 용매로 1차 VLC를 하여 24개의 프랙션(fraction)을 얻었다(Fr. F-V-1-F1 ~ F-V-1-F24).
그 중, Fr. F-V-1-F5(14.6 mg)은 메탄올로 침출시켜 화합물 1로 동정하였고, Fr. F-V-1-F11(40.2mg)은 CHCl3/MeOH(15/1)의 조건으로 실리카 겔(Silica gel) CC를 하여 화합물 7(4.0mg)과 화합물 8(2.3mg)을 얻었다.
또한, 상기의 1차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 일부인 3.1g 중 나머지 1.4g을 Hex-EtOAc-MeOH 농도 구배(gradient) 용매로 2차 VLC를 하여 16개 프랙션(fraction)을 얻었다(Fr. F-V-2-F1 ~ F-V-2-F16).
그 중, Fr. F-V-2-F5 (53.6mg)을 가지고 CHCl3/MeOH(8/1)의 조건으로 실리카 겔 CC를 하여 화합물 2(9.7mg)를 얻었다.
또한, <1-1>에서 2차로 추출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3g을 Hex-EtOAc-MeOH 농도구배(gradient) 용매로 사용하여, 3차 VLC를 하여 총 16개의 프랙션(fraction)을 얻었다(Fr. F-V-3-F1 ~ F-V-3-F16).
그 중, Fr. F-V-3-F2(23.1mg)에서 화합물 3을 동정하였다. 또한, Fr. F-V-3-F3(9.6mg)을 메탄올로 침출시켜 화합물 4를 동정하였다. 그리고 Fr. F-V-3-F6(85.5mg)을 CHCl3/MeOH(8/1)의 조건으로 실리카 겔 CC를 하여 화합물 5(13.6mg)를 얻었다. 마찬가지로 Fr. F-V-3-F8(68.4 mg)을 CHCl3/MeOH(5/1)의 조건으로 실리카 겔 CC를 하여 화합물 6(4.8mg)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분리된 8개의 화합물은 도 9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1은 문헌(M. Rowshanul, Farjana Nikkon, Matiar Rahman, M.Ekamul Haque, M.Rezaul Karim (2007). Isolation of stigmasterol and ß-sitosterol from Methanolic Extract of Root bark of Calotropis gigantea(Linn) . Pakist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10(22): 4174 - 4176)과 비교하여 ß-sitosterol로 동정하였고, 화합물 2은 문헌(Seunguk Paik, Gi Hong Kim, Jae Sung Park (2005). A Symbiotic Bacterium Photorhabdus luminescence as a Rich Source of Cinnamic acid and Its Analogue.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11, No.3, 475-477)과 비교하여 p-hydroxybenzoic acid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3의 NMR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Linoleic acid의 유도체로, 1H NMR에서 δH 0.85~1.26 의 피크들은 CH3 , δH1.6, 2.05, 2.27은 CH2이며, δH4.12은 Ethyl기의 피크로 예상 할 수 있으며, δH 5.36의 피크가 여러 개 나온 것으로 2중 결합의 피크로 예상하였다. 또한 13C NMR에서 δC 14.3, 14.5의 2개의 피크는 CH3의 탄소피크이며, δC 23.5~35.0 사이의 12개의 피크는 Dept135의 측정결과 CH2의 탄소로 확인되었으며, δC 60.4의 피크는 Ethyl기로 예상되었다. 또한 δC 128.1~130.4의 4개의 피크는 사슬구조에서 2중 결합이 2개 있는 것으로 예상 되었으며, δC 174.1의 피크는 카르보닐기을 갖는 구조로 예상 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3을 문헌(Sungran HuH, Young-Soo Kim, Eunsun Jung, Jihee Lim, Kwang Sung Jung, Myeong Ok Kim, Jongsung Lee, Deokhoon Park (2010).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 of Fatty Acid Alkyl Esters Isolated From Oxalis Triangularis: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Vol.33, No.7, 1242-1245)과 비교하여 Ethyl linoleate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4는 13C NMR 스펙트럼(spectrum)에서 30개의 카본 피크와 1H NMR 스펙트럼에서 9개의 메틸기의 단일피크를 포함하여 넓은 범위의 알리파틱 시그널(signal)을 바탕으로 트라이터펜으로 예측하였다. 13C NMR 스펙트럼에서 아세테이트기인 δC 171.3과 81.1의 피크를 나타내었고, Dept135로 4차 탄소 δC 139.8와 3차 탄소인 CH인 δC 124.5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로서 화합물 5는 a-amyrin acetate로 예측하였으며, 2개의 문헌(Dang Thi LAn Huong 등(2002).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from aquilaria agallocha. natural product sciences. 1: 30 - 33, M.d.morris. analysis of the non-rubber constituents of latex from alstonia angustiloba. journal of tropocal forest science. 4(3) : 225-232)을 상호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화합물 5은 문헌(Teresita S. Martin, Hiroe Kikuzaki, Masashi Hisamoto, Nobuji Nakatani.(2000). Constituents Of Amomum tsao-ko and Their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Vol.77, No.6 : 667 - 673)과 비교하여 Vanillic acid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6은 1H NMR에서 δH 7.28의 피크와 δH 3.85, 13C NMR에서 6개의 피크(δC 172.8,146,6,138.6,122.9,106.1,55.0)가 관측 되었고, 두 개의 문헌(hajimeono 등. 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s in a nonhost rutaceous plant, orixa japonica, deter both oviposition and larval feeding in a rutaceae-feeding swallowtail butterfly,papilio xuthus L. Journal of Chemical Ecology, 30, 2, 287-301(2004), Sheng Ming Pan 등. Phenols from the Aerial Parts of Leonurus sibirucus. The Chinese Pharmaceutical Journal. 58: 35-40(2006))을 상호 비교하여 Syringic acid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7과 화합물 8은 각각의 문헌(Song Yan 등(2008). Chemical Constituents of water-soluble part of Mentha soicata L. Journal of Shenyang Pharmaceutical University. Vol.25, No.9 : 705-707, Sang-Hyun Lim 등(2007). Isolation of Herbicidal Compound Methyl-p-Hydroxybenzoate from Epomedium Koranum Nakai. Korea Journal Weed Science 27(3) : 235-240)과 비교하여 Methyl Vanillate와 Methyl p-hydroxybenzoate로 동정하였다.
그 중,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화합물은 Ethyl linoleate(화합물 2), Vanillic acid(화합물 5), Syringic acid(화합물 6), Methyl vanillate(화합물 7), Methyl p-hydroxybenzoate(화합물 8)로 총 5개의 화합물이 해당한다(도 9 참조).
<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자유 라디칼 ( Free radical ) 소거 활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1-2>의 화합물들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DPPH법을 이용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 측정실험을 시행하였다.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을 위해 0.2mM DPPH를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각 시료를 농도별로 준비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0.2 mM DPPH 용액 0.18mL와 다른 농도의 시료가 들은 용액 0.02mL를 각각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로 5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거능력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로 계산되었고, 각 시료의 SC50(DPPH의 농도가 50% 감소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 scavenging concentration) 값을 구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 1 - (Abssample - Absblank) / Abscontrol ] × 100
여기서 Abssample은 시료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Absblank는 시료만의 흡광도, Abscontrol은 DPPH 용액의 흡광도이다. 대조군은 뛰어난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Vitamin) C (SC50=7.88μg/mL)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도 1과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1-1>에서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의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즉, 대조군(SC50=7.24μg/mL)과 비교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SC50 27.56μg/mL을 나타내어, 좁은잎천선과나무의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뛰어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과 관련하여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실험한 모든 화합물 가운데, 화합물(compound) 6 (SC50=8.22μg/mL)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대조군인 비타민 C (SC50=7.24μg/mL)와 비교하여, 더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 억제 활성 분석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1-2>의 화합물들의 미백 활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멜라닌을 생성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알려진 티로나아제 효소 억제 활성 측정실험을 시행하였다.
0.1M 인산칼륨 버퍼(potassium phosphate buffer)(pH6.8), 2mM L-티로신(tyrosine), 1250unit의 티로시나제(Tyrosinase), 그리고 각 시료들을 농도별로 준비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96 웰 플레이트에 버퍼 0.106 mL, L-티로신 0.07mL, 티로시나제(Tyrosinase) 0.004mL, 그리고 다른 농도의 시료가 들은 용액 0.02mL를 각각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로 49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저해율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로 계산되었고, 각 시료의 IC50(티로시나제의 활성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 inhibition concentration) 값을 구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율(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 = [ 1 - (Abssample - Absblank) / Abscontrol ] × 100
여기서 Abssample은 시료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Absblank는 시료만의 흡광도, Abscontrol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흡광도이다. 대조군은 Arbutin (IC50=87.4μg/mL)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1-1>에서 제조한 좁은잎천선과나무의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뛰어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미백용 조성물인 대조군의 활성 정도와 IC50의 값이 유사하게 75.5ug/mL 정도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과 관련하여, 도 7 및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실험한 모든 화합물 가운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대조군인 Arbutin (IC50=87.4μg/mL)과 비교하여, 훨씬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가장 강한 활성을 보이는 화합물은 화합물 2 (IC50=135.4μg/mL)와 화합물 8 (IC50=99.9μg/mL)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H) 또는 메톡시기(CH3O)이고, R2는 수소(H) 또는 메톡시기(CH3O)이고, R3는 하이드록시기(OH) 또는 메톡시기(CH3O)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표에 기재된 화학식 1 내지 5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Figure pat00006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줄기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좁은잎천선과나무의 줄기에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헥산,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첨가하여 가용 추출한 용매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좁은잎천선과나무의 줄기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에 물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화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10~100μM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로 구성된 군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의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좁은잎천선과나무의 줄기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에 물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화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또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15722A 2010-11-19 2010-11-19 신규한 미백용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28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722A KR101283849B1 (ko) 2010-11-19 2010-11-19 신규한 미백용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722A KR101283849B1 (ko) 2010-11-19 2010-11-19 신규한 미백용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375A true KR20120054375A (ko) 2012-05-30
KR101283849B1 KR101283849B1 (ko) 2013-07-08

Family

ID=4627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722A KR101283849B1 (ko) 2010-11-19 2010-11-19 신규한 미백용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8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303A (ko) 2014-08-27 2016-03-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메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3185A (ko) 2018-03-28 2019-10-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대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3959B1 (ko) 2021-10-26 2022-10-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구실잣밤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646B1 (ko) * 2018-06-15 2019-08-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685B1 (ko) * 2019-06-28 2019-08-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475A (ko) * 2002-11-11 2004-05-17 박근형 천연 항산화 활성물질을 포함한 항산화 기능을 갖는대파착즙조제물 및 제조방법
JP2010150207A (ja) * 2008-12-26 2010-07-08 Noevir Co Ltd 保湿剤、抗老化剤、抗酸化剤、中性脂肪蓄積抑制剤、美白剤、抗炎症剤、免疫賦活剤、皮膚外用剤、経口用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303A (ko) 2014-08-27 2016-03-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메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3185A (ko) 2018-03-28 2019-10-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대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3959B1 (ko) 2021-10-26 2022-10-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구실잣밤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849B1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283849B1 (ko) 신규한 미백용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JP5512067B2 (ja) 皮膚化粧料
JP5773111B2 (ja) 皮膚の色素沈着を抑制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KR102425562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00961B1 (ko) 갈대 추출물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047588A (ko) 큰도꼬마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00550B1 (ko) 신갈나무 화분으로부터 분리된 폴리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30023606A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64006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102534239B1 (ko) 글루타치온, 마키베리 추출물 및 상백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36060A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033388A (ko) 푸른여로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44585B1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EP3674296B1 (en) Novel compound produced by means of marine microorganism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enhancing elasticity and skin whitening comprising sam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101742167B1 (ko)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21711B1 (ko)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95901B1 (ko) 줄댕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74364B1 (ko) 물꼬챙이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29943B1 (ko) 마에루아 에둘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74474B1 (ko) 꿩의다리아재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42162B1 (ko) 디프테로카푸스 인트리카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KR20170046028A (ko) 미숙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230089528A (ko) 잣나무 부산물 발효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