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497A -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 Google Patents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497A
KR20210009497A KR1020190086075A KR20190086075A KR20210009497A KR 20210009497 A KR20210009497 A KR 20210009497A KR 1020190086075 A KR1020190086075 A KR 1020190086075A KR 20190086075 A KR20190086075 A KR 20190086075A KR 20210009497 A KR20210009497 A KR 20210009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riving motor
camera
guide member
e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939B1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극동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극동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9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불법 주정차 단속을 피하기 위해 단속카메라의 아래 즉,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 된 차량에 대한 단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ILLEGALITY PARKING AND STOP CONTROL SYSTEM FOR CONTROL OF DEAD ZONE}
본 발명은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불법 주정차 단속을 피하기 위해 단속카메라의 아래 즉,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 된 차량에 대한 단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는 차량이 탑승자 등을 기다리거나, 화물을 싣거나 고장 등의 사유로 인하여 계속하여 정지한 상태 또는 차의 운전자가 차로부터 떠나서 즉시 운전할 수 없는 상태이고, 정차는 차량이 5분을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지하는 것으로 주차 이외의 정지 상태를 말한다.
차량의 운전자 등은 잘못된 운전습관으로 소화전, 교차로, 횡단보도, 버스정류장, 주택가 등 주정차 금지 장소에서의 불법 주정차로 인하여 원활한 교통 소통과 보행자의 안전 및 긴급 차량의 신속한 이동 등을 방해함에 따라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불법 주정차를 단속 및 계도하기 위하여 도로 감시구역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에 단속카메라를 설치한 형태의 단속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단속시스템은 단속카메라가 지지대에 고정되면서 단속카메라의 아래가 촬영이 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형성하므로 인해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단속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운전자 등이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단속 카메라의 바로 아래쪽에 차량을 집중적으로 불법 주정차함에 따라 교통혼란 등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9504호(2008.09.24.) '사각지대 단속이 가능한 무인 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불법 주정차 단속을 피하기 위해 단속카메라의 아래 즉,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 된 차량에 대한 단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주(110); 양단부가 상기 지주(1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지주(1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바(120); 양단부가 상기 지주(1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20)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바(130);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카메라(140); 및 상기 단속카메라(140)를 상기 가이드바(13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동장치(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바(130)는,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공(131)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동장치(150)는, 상기 가이드바(130)의 내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류(151); 상기 스크류(15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52); 및 상부가 스크류(151)에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링(154)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링(154)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가이드공(131)을 통과하여 상기 단속카메라(140)에 연결되는 가이드돌기(155)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153)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152)는, 불법 주정차를 단속하는 통제실의 제어기를 통해 구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153)와 함께 상기 단속카메라(140)가 상기 가이드바(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장치(150)는, 상기 단속카메라(140)의 전후 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153)가 일정지점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제어수단(15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크류(151)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모터(152)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156)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13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어수단(157)은, 상기 가이드바(130)의 전단부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제어스위치(157a); 및 상기 가이드바(130)의 후단부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제어스위치(157b)를 포함하며, 상기 단속카메라(140)는, 상기 구동모터(152)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가이드부재(153)와 함께 전방으로 진행되고, 상기 구동모터(152)의 역방향 구동시, 상기 가이드부재(153)와 함께 후방으로 진행되며, 상기 제1제어스위치(157a)는, 전방으로 진행되는 상기 가이드부재(153)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15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53)가 상기 가이드공(131)을 이루는 전단부나, 상기 지지부재(156)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제어스위치(157b)는, 후방으로 진행되는 상기 가이드부재(153)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15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53)가 상기 가이드공(131)을 이루는 후단부나, 상기 구동모터(152)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장치(150)는, 상기 단속카메라(140)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단속카메라(140)의 하부에 주정차된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15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감지센서(158)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52)를 구동시켜 상기 단속카메라(140)가 사각지대에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단속시, 단속카메라가 지지바의 타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불법 주정차 단속을 피하기 위해 단속카메라의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단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각지대가 아닌 장소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단속시, 단속카메라가 지지바의 타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차량과의 이격거리를 좁힘으로써 촬영 영상에 대한 해상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가이드바의 내부에 구비된 이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에서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이하 "단속시스템"이라 한다)(100)은 지주(110), 지주(1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바(120), 지지바(120)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바(130),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카메라(140) 및 단속카메라(140)를 가이드바(13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동장치(150)를 포함한다.
지주(110)는 하부가 지면 등에 고정 설치되면서 지면 등으로부터 지지바(120) 및 가이드바(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지지바(120)는 양단부가 지주(1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일단부가 지주(1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된다.
단속카메라(140)는 이동장치(150)에 의해 가이드바(13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촬영한다. 여기서, 단속카메라(140)는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촬영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바(1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단속카메라(14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가이드바(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인 단속시스템의 경우, 본원발명과 같은 지주, 지지바 및 단속카메라로 이루어지면서 단속카메라가 지지바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단속카메라 또는 지지바의 타단부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지면의 위치가 단속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어려운 사각지대를 형성하면서 일부 운전자 등이 이러한 점을 악용하여 사각지대에 차량을 집중적으로 불법 주정차함에 따라 통행의 불편함 등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속시스템(100)은 지지바(120)의 타단부에 가이드바(130)가 구비되는 한편, 이동장치(150)의 구동에 따라 단속카메라(140)가 가이드바(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인해 지지바(120)의 타단부 하측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 즉,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여 사각지대로의 불법 주정차를 단속할 수 있다.
즉, 단속카메라(140)는 지지바(120)의 타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이동장치(150)의 구동에 따라 가이드바(13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로 이동됨으로써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의 번호판 확인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어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단속카메라(140)는 지지바(120)의 타단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가이드바(13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로 이동됨으로써 사각지대가 아닌 장소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과의 이격거리가 좁혀지면서 촬영시, 촬영 영상에 대한 해상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단속시스템(100)은 사각지대는 물론, 사각지대가 아닌 장소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단속을 통해 불법 주정차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바(130)는 양단부가 지주(1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양단부 사이 중앙부가 지지바(120)이 타단부에 고정된다.
가이드바(130)는 내부가 빈 봉 형태를 이루며,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공(131)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바(130)는 양단부가 와이어 등에 의해 지주(110)와 연결되면서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바(130)는 상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된 곡면을 이루고 하부가 평면을 이루면서 가이드공(1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장치(150)는 가이드바(13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스크류(151), 스크류(15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52) 및 상부가 스크류(151)에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링(154)과 상부가 가이드링(154)에 연결되고 하부가 가이드공(131)을 통과하여 단속카메라(140)에 연결되는 가이드돌기(155)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153)를 포함한다.
스크류(151)는 일단부가 구동모터(15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156)에 의해 가이드바(130)를 이루는 바닥면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구동모터(152)의 구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스크류(15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가이드부재(153)는 가이드링(154)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스크류(151)로 나사결합된다.
가이드부재(153)는 가이드돌기(155)가 가이드링(154)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가이드공(131)을 통과하므로 인해 구동모터(152)의 구동에 따른 스크류(151)의 회전시, 스크류(151)와 함께 회전됨이 없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단속카메라(140)는 구동모터(152)의 구동에 따른 스크류(151)의 회전시, 가이드부재(153)와 함께 스크류(15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주정차 금지구역 등에 주정차된 불법 주정차 차량을 촬영할 수 있다.
단속카메라(140)는 전후 방향으로의 적절한 이동을 통해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사각지대가 아닌 장소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촬영시, 해상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구동모터(15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불법 주정차를 단속하는 통제실 등에서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제실에 단속카메라(14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가 설치되는 한편, 구동모터(15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되면서 구동모터(152)에 대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구동모터(152)는 통제실에서의 제어를 통해 정,역회전되면서 가이드부재(153)와 함께 단속카메라(140)가 가이드바(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통제실에서는 구동모터(152)의 구동을 제어하여 단속카메라(14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효과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각지대가 아닌 장소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촬영시, 해상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속시스템(100)은 사각지대는 물론, 사각지대가 아닌 주정차 금지구역으로의 불법 주정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동장치(150)는 가이드부재(153)의 전후 이동시, 가이드부재(153)가 구동모터(152) 또는 지지부재(156)와 충돌하기 전에 구동모터(15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어스위치(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스위치(157)는 제1,2리미트스위치(157a,157b)로 이루어지며, 가이드공(131)의 전,후단부에 이웃하도록 가이드바(130)의 내측에 구비된다.
예를 들면, 제1리미트스위치(157a)는 가이드바(130)의 전단부 내측 상부에 구비되면서 구동모터(152)의 정방향 구동시, 단속카메라(140)와 함께 전방으로 진행되는 가이드부재(153)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면서 구동모터(152)의 정방향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모터(152)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다 제어기에 의한 제어시,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후방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제2리미트스위치(157b)는 가이드공(131)의 후단부 내측 상부에 구비되면서 구동모터(152)의 역방향 구동시, 단속카메라(140)와 함께 후방으로 진행되는 가이드부재(153)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면서 구동모터(152)의 역방향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때, 구동모터(152)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다 제어기에 의한 제어시, 정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전방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동장치(150)는 단속카메라(1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차량감지센서(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감지세서(158)는 단속카메라(140)의 하부에 주정차된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여 통제실의 제어기로 전달한다.
제어기는 차량감지센서(158)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52)를 구동시켜 단속카메라(140)가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확인 및 촬영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단속시스템(100)은 불법 주정차 단속을 피하기 위해 단속카메라(140)의 사각지대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단속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단속시스템 110 : 지주
120 : 지지바 130 : 가이드바
131 : 가이드공 140 : 단속카메라
150 : 이동장치 151 : 스크류
152 : 구동모터 153 : 가이드부재
154 : 가이드링 155 : 가이드돌기
156 : 지지부재 157 : 제어스위치
158 : 차량감지센서

Claims (5)

  1. 지주(110);
    양단부가 상기 지주(1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지주(1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바(120);
    양단부가 상기 지주(1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120)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바(130);
    불법 주정차된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카메라(140); 및
    상기 단속카메라(140)를 상기 가이드바(13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동장치(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30)는,
    하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공(131)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동장치(150)는,
    상기 가이드바(130)의 내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류(151);
    상기 스크류(15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52); 및
    상부가 스크류(151)에 나사결합되는 가이드링(154)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링(154)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가이드공(131)을 통과하여 상기 단속카메라(140)에 연결되는 가이드돌기(155)를 구비하는 가이드부재(153)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152)는,
    불법 주정차를 단속하는 통제실의 제어기를 통해 구동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153)와 함께 상기 단속카메라(140)가 상기 가이드바(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150)는,
    상기 단속카메라(140)의 전후 이동시, 상기 가이드부재(153)가 일정지점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제어수단(15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151)는,
    일단부가 상기 구동모터(152)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156)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13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어수단(157)은,
    상기 가이드바(130)의 전단부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1제어스위치(157a); 및
    상기 가이드바(130)의 후단부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제2제어스위치(157b)를 포함하며,
    상기 단속카메라(140)는,
    상기 구동모터(152)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가이드부재(153)와 함께 전방으로 진행되고, 상기 구동모터(152)의 역방향 구동시, 상기 가이드부재(153)와 함께 후방으로 진행되며,
    상기 제1제어스위치(157a)는,
    전방으로 진행되는 상기 가이드부재(153)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15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53)가 상기 가이드공(131)을 이루는 전단부나, 상기 지지부재(156)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제어스위치(157b)는,
    후방으로 진행되는 상기 가이드부재(153)와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15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53)가 상기 가이드공(131)을 이루는 후단부나, 상기 구동모터(152)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150)는,
    상기 단속카메라(140)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단속카메라(140)의 하부에 주정차된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158)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감지센서(158)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152)를 구동시켜 상기 단속카메라(140)가 사각지대에 주정차된 차량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20190086075A 2019-07-17 2019-07-17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KR10223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75A KR102237939B1 (ko) 2019-07-17 2019-07-17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075A KR102237939B1 (ko) 2019-07-17 2019-07-17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497A true KR20210009497A (ko) 2021-01-27
KR102237939B1 KR102237939B1 (ko) 2021-04-14

Family

ID=7423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075A KR102237939B1 (ko) 2019-07-17 2019-07-17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9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504B1 (ko) 2008-01-16 2008-09-24 (주)서광시스템 사각지대 단속이 가능한 무인 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장치
KR101051005B1 (ko) * 2011-01-18 2011-07-26 렉스젠(주)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5732A (ko) * 2013-08-01 2015-02-11 (주) 현명건설 천장 이동형 cctv 카메라 장치
KR20160053488A (ko) * 2014-11-05 2016-05-13 노남섭 사각지대 단속이 용이한 주정차 단속 카메라 장치
KR20170086820A (ko) * 2016-01-19 2017-07-27 (주) 신도컴퓨터 지능형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504B1 (ko) 2008-01-16 2008-09-24 (주)서광시스템 사각지대 단속이 가능한 무인 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장치
KR101051005B1 (ko) * 2011-01-18 2011-07-26 렉스젠(주) 불법 주정차 단속장치, 단속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5732A (ko) * 2013-08-01 2015-02-11 (주) 현명건설 천장 이동형 cctv 카메라 장치
KR20160053488A (ko) * 2014-11-05 2016-05-13 노남섭 사각지대 단속이 용이한 주정차 단속 카메라 장치
KR20170086820A (ko) * 2016-01-19 2017-07-27 (주) 신도컴퓨터 지능형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939B1 (ko)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45321T3 (es) Un sistema de prevención de accidentes y un vehículo que incluye el sistema de prevención de accidentes
JP6374787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US201101415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a collision of an object with a first vehicle door of a stationary vehicle
CN109643365B (zh) 用于识别车库门的开启状态的方法与装置
KR101648898B1 (ko) 사각지대 단속이 용이한 주정차 단속 카메라 장치
KR100859504B1 (ko) 사각지대 단속이 가능한 무인 주정차 단속용 카메라장치
KR102237939B1 (ko) 사각지대의 단속이 가능한 불법 주정차 단속시스템
KR200457930Y1 (ko) 차량사고예방용 유도비상등 시스템
JP3418139B2 (ja) 車両用カメラ装置
KR200489836Y1 (ko) 주차장용 입출고 경보 시스템
KR20070047944A (ko) 후방감지 리어 뷰 카메라 시스템
JP6143036B2 (ja) 車両用後方監視装置
US20200223353A1 (en) Specific signalling system to warn road users of the imminent opening of vehicle doors
JP6475563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KR101636942B1 (ko) 차량 진출입로에서의 적정한 스티어링 유도를 위한 유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시스템
KR101675069B1 (ko) 차량번호 인식장치
KR20190005071A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101881487B1 (ko) 차량용 안전장치
KR102213390B1 (ko) 차량 출발시 사고발생방지를 위한 사각지대 경고장치
JP6478140B2 (ja) 車両の衝突体保護装置
KR102591105B1 (ko) 일방통행용 도로의 역방향 주행 방지장치
KR19980048812U (ko) 차량손상가해자 기록장치
KR102475196B1 (ko) 레이다 센서 모듈을 이용한 차량 감시 시스템 및 차량 감시 방법
KR100774647B1 (ko) 차량 사각 감지용 카메라 장치
KR102611567B1 (ko) 예약 주차 가이드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카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