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103A - 항산화 효과를 갖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효과를 갖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103A
KR20210009103A KR1020190085675A KR20190085675A KR20210009103A KR 20210009103 A KR20210009103 A KR 20210009103A KR 1020190085675 A KR1020190085675 A KR 1020190085675A KR 20190085675 A KR20190085675 A KR 20190085675A KR 20210009103 A KR20210009103 A KR 2021000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ragrance
weight
composition
perfu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간수연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08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103A/ko
Publication of KR2021000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1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테 앱솔루트, 월계수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향료 조성물은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를 사용하여, 안전하며 고객에게 신뢰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높은 항산화 효능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항산화 효과를 갖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 조성물{EWG green grade natural perfume composition with antioxidant effect}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를 갖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체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유라디칼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된다는 자유라디칼 이론이 가장 타당성이 있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유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서, 피부가 자외선에 조사되었을 때 발생하거나 피부내 세포의 호흡 과정에서 발생된다. 피부의 노화와 관련이 있는 자유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 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일중항 산소(single oxygen) 등이 있다. 이러한 활성산소종들은 자외선 조사시 혹은 호흡과정에서 발생되어 다단계의 연쇄 반응을 통하여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자유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은 피부노화와 관련이 깊으므로, 종래에는 화장료에 수퍼옥사이드 디스뮤네이즈(SOD), 비타민-E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상기에 언급된 물질들은 합성원료로써, 최근 안전성 면에서 고객에게 신뢰감을 주기 힘든 부분이 있다.
이에 따라, 안전성 개선을 위하여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천연 원료 중 마테는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향료 조성물에 천연 원료로서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마테는 향취가 매우 강하고 색상이 매우 진하여 단독으로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향기에 대한 기호도가 떨어지고 변색의 우려가 존재한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4793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마테 앱솔루트에 월계수 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조합할 경우, 좋은 향을 가지는 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 조합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마테 앱솔루트, 월계수 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마테 앱솔루트, 월계수 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마테 앱솔루트의 함량은 5 내지 70 중량%인 항산화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향료 조성물 및 오렌지 블로섬, 허벌(herbal), 시트러스, 플로럴 로즈, 바닐라 및 우디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향료 조성물 또는 조합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방향용제품, 피부외용제, 퍼스널케어 제품, 및 홈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높은 항산화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인 마테 앱솔루트, 월계수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사용하여 안전하며 고객에게 신뢰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향료 조성물에 향기의 기호성 향상을 위하여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를 추가로 첨가하여 항산화 효능이 높고 인체에 대해 안전하며, 향기의 기호성이 우수한 천연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최근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킨 옥시 사태 이후로, 화학 성분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화장품 제조시 사용되는 원료의 EWG 등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EWG는 Environmental Working Group의 약자로 1993년 설립된 미국 비영리 단체이다. 상기 단체에서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물질에 대한 정보를 등급으로 나누어 위험도를 제시한 데이터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EWG 스킨딥 데이터베이스는 화장품의 성분 및 제품들을 10개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1 내지 2등급은 안전함(그린 등급), 3 내지 6등급은 주의요망, 7 내지 10등급은 위험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료의 안전성 면에서 고객에게 더욱 안심감을 줄 수 있도록, EWG 그린 등급(1-2 등급)에 해당되는 천연 향료로 구성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마테 앱솔루트, 월계수 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포함한다.
마테(mate, Ilex paraguayensis)는 감탕나무과(Aquifoliaceae)의 상록 소교목으로 높이 6m 정도의 식물로, 남아메리카의 파라과이나 브라질 지역에 분포한다. 야생 상태에서는 본래 윗부분이 둥근 형태를 하고 있지만 재배할 경우에는 그 형태가 변형되어 줄기가 많은 관목이 되고, 야생 상태보다 양질의 차잎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추수는 2년에 한 번 한다. 잎에 2% 내외의 카페인이 들어 있고 타닌 수지(樹脂) 및 약간의 정유(精油)가 들어 있기 때문에 향기가 있어 마테차(Paraguay tea)를 만든다.
월계수 잎은 향신료의 일종으로,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Laurus nobilis(월계수)의 잎으로, 그대로 또는 건조한 상태로 쓰인다. 남부유럽 원산으로 그리스를 주산지로 한다. 고상한 향기와 다소의 쓴맛을 가져 식육의 풋내 제거에 적합하다. 정유를 1~3% 함유하고 그 주성분은 cineol로 정유 중의 45~50%, 기타 eugenol(0.5~1.7%), pinene, linalool, geraniol 등을 함유한다.
메리골드(Tagetes minuta.L)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들이나 길가, 공터에 서식한다. 높이는 약 20~80cm까지 자라고 강한 냄새가 난다. 줄기는 나무와 같이 단단하며, 털이 없고 줄기가 자라는 방향을 따라 깊게 파인 골이 발달한다. 개화기는 7~11월이며, 꽃은 우산꽃차례에 밀집하여 핀다. 혀꽃은 2~3송이이고, 옅은 황색이다. 대롱꽃은 4~7송이이며, 짙은 황색을 띠고, 길이는 약 4~5mm이다. 남미 원산으로 아시아,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북미,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제주도 및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상기 마테 앱솔루트, 월계수 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은 모두 EWG 그린 등급의 향료로서, 소비자로 하여금 안전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마테 앱솔루트는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향료 원료이다. 그러나, 상기 마테 앱솔루트는 향취가 매우 강하고 색상이 매우 진하여, 향료로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향기에 대한 기호도가 떨어지고 변색의 우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테 앱솔루트에 월계수 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첨가하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향기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마테 앱솔루트를 소량 사용하여도 조합을 통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마테 앱솔루트의 함량은 5 내지 70 중량%, 5 내지 30 중량%, 또는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경제적이면서 안전성이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마테 앱솔루트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향에 대한 기호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월계수 잎 오일의 함량은 10 내지 70 중량%, 25 내지 70 중량% 또는 35 내지 65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메리골드 오일의 함량은 10 내지 30 중량%, 25 내지 60 중량%, 또는 25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경제적이면서 안전성이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향료 조성물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향료 조성물에 향기 성분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 및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향기 성분으로 오렌지 블로섬, 허벌(herbal), 시트러스, 플로럴 로즈, 바닐라 및 우디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오렌지 블로섬으로는 네놀리 오일을 들 수 있다. 상기 네놀리 오일은 고급스러운 오렌지 플라워 향기로 고가의 향료이다. 허벌(herbal)로는 카모마일 로만 오일 및 카모마일 저먼 오일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모마일 로만 오일은 은은한 허벌 프루티 애플 향기이며, 카모마일 저먼 오일은 은은한 허벌 아로마틱 향기이다. 시트러스로는 만다린 오일 및 리치아 큐베바 오일을 들 수 있다. 만다린 오일은 상큼한 시트러스 만다린 향기이고, 리치아 큐베바 오일은 스위트한 시트러스 레몬글라스 향기이다. 플로럴 로즈로는 팔마로사 오일 및 로즈 오일을 들 수 있다. 상기 팔마로사 오일은 부드러운 시트러스 로즈 플로럴 향기이고, 로즈 오일은 매혹적인 로즈 플로럴 향기이다. 또한, 바닐라로는 스위트한 바닐라 향기인 바닐라 앱솔루트를 들 수 있고, 우디로는 우디 향기인 베티버 오일을 들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추가의 향기 성분은 상기 향기 성분 100 중량%에 대하여 오렌지 블로섬 5 내지 10 중량%, 허벌 10 내지 18 중량%, 시트러스 35 내지 55 중량%, 플로럴 로즈 20 내지 28 중량%, 바닐라 5 내지 15 중량% 및 우디 2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시트러스 및 플로럴 로즈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조합 향료 조성물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향기 성분은 네놀리 오일, 카모마일 로만 오일, 카모마일 저먼 오일, 만다린 오일, 리치아 큐베바 오일, 팔마로사 오일, 로즈 오일, 바닐라 앱솔루트 및 베티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기 성분은 모두 EWG 그린 등급의 향료로서, 향료 조성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 또는 조합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료 또는 피부외용제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및 바디 화장품 등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기초 화장품의 예로는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고;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스크린 크림, 썬 오일 등일 수 있다. 피부외용제는,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제형 및 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로 들어,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은 비교적 높은 농도일 수 있는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를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방향용 물품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방향제, 탈취제, 디퓨저, 양초, 유류, 젤, 구슬, 플러그인 등에 포함되어 방향용 물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퍼스널케어 제품 또는 홈케어 제품에 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퍼스널케어 제품은,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헤어 에센스 등의 헤어 제품; 치약, 가글 등의 구강 제품; 바디워시, 바디젤, 비누 등의 피부 세정제 등일 수 있고, 상기 홈케어 제품은, 향수 등의 방향제; 섬유 유연제, 주방 세제 등의 세탁 세제류 등일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제조예 1-3: 항산화 효능이 있는 향료 조성물 제조
마테 앱솔루트(제조사: Charabot), 월계수 잎 오일(제조사: Charabot) 및 메리골드 오일(제조사: Charabot)을 하기 표 1의 함량(중량%)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마테 앱솔루트 월계수잎 오일 메리골드 오일
제조예 1 60% 20% 20%
제조예 2 20% 30% 50%
제조예 3 10% 60% 30%
한편, 비교-제조예 1로 마테 앱솔루트를, 비교-제조예 2로 월계수잎 오일을, 비교-제조예 3으로 메리골드 오일을 각각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에 대한 기호성을 관능평가를 통해 실시하였다.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제조예의 시료는 모두 동일하게 준비하였다. 즉, 테스트 성분을 동일 함량으로 조성한 조성물(올리브 오일에 2%로 포함)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관능평가는 20 내지 45세의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향료 조성물의 향취를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2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향취의 기호성을 조사하였다.
설문지
질문: 1) 전혀 좋지 않다.
2) 별로 좋지 않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매우 좋다.
상기 평과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향 기호도 (평균)
비교-제조예 1 1.2
비교-제조예 2 1.7
비교-제조예 3 1.6
제조예 1 3.0
제조예 2 3.1
제조예 3 3.4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테 앱솔루트, 월계수 잎 오일, 메리골드 오일 각각은 향 기호도가 1.2 내지 1.7로 향 기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기 세 성분을 혼합한 제조예의 향료 조성물은 기호도가 3 이상으로 향상된 향 기호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마테 앱솔루트 10%, 월계수 잎 오일 60% 및 메리골드 오일 30%를 포함하는 제조예 3의 향료 조성물은 기호도가 약 3.5로 높은 향 기호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향료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 자유라디칼 소거율
상기 제조된 향료 조성물에 대하여, 실험예 1의 방법에 따라 IC50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의 향료 조성물의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는 시그마사(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0.15 mM(0.06 mg/ml)의 표준 DPPH 메탄올 용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의 향료 조성물과 기준물질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에 각각 메탄올을 가하여 0.1%, 0.5%, 0.01% … 0.00001%(w/v)의 시료를 만들었다.
그 다음 상기 시료와 표준 DPPH 용액을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상온에서 30 분간 반응시키고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 대신 메탄올을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억제중간값(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인 IC50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IC50은 무첨가 대조군의 자유라디칼을 50% 제거하는데 필요한 아스코르빈산 및 향료 조성물의 농도로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IC50(% w/v)
아스코르빈산 0.001
비교-제조예 1 0.001
비교-제조예 2 0.008
비교-제조예 3 0.034
제조예 1 0.002
제조예 2 0.003
제조예 3 0.002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마테 앱솔루트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빈산(vitamin C)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월계수 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 각각은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그 활성은 낮았다.
그러나, 마테 앱솔루트에 월계수 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혼합한 제조예의 향료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졌으며, 아스코르빈산 및 마테 앱솔루트 단일 물질과 비교하여도 충분한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 자극성 실험
제조예 3의 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해, 건강한 성인 남, 여 50 명을 대상으로 등 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 g)을 24시간 첩포 한 후, 핀 챔버를 제거하고 4 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였다.
상기 판독 결과(피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_ +- -
음성대조군
(증류수)
50 - - 2 48 0.04
양성대조군(SLS 0.1%) 50 4 3 2 41 0.40
제조예 3 50 - - 1 48 0.04
올리브 오일 50 - - 1 49 0.02
[주]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0점)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1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2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3점)
자극도 = {(+-)수 X 1} + {(+)수 X 2} + {(++)수 X 3} / 피험자수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3의 향료 조성물은 음성 대조군인 증류수와 비슷한 정도의 낮은 피부 자극도 가지며, 저자극 성분으로 널리 알려진 올리브 오일과 비교해서도 유사 수준의 저자극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이 피부에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4: 향취 개선을 위한 조합 향료 조성물 제조
향료 조성물의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향기의 기호성이 높고 EWG 그린 등급에 해당하는 천연 향료 9종(제조사: 9종 모두 Charabot)을 첨가하여 조합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의 함량은 10, 20, 30, 40, 50, 60, 70 중량% 로 첨가하였다. 조합 향료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6과 같다.
향료명 EWG
등급
조합향료 번호
4-A 4-B 4-C 4-D 4-E 4-F 4-G
향료 조성물(제조예 3) 1 10 20 30 40 50 60 70
네놀리 오일 1 6 6 5 5 4 3 2
카모마일
로만 오일
1 5 5 5 4 3 3 2
카모마일
저먼 오일
1 5 5 5 4 3 3 2
만다린 오일 2 20 15 15 14 13 11 10
리치아
큐베바 오일
1 14 13 11 10 10 7 5
팔마로사 오일 1 14 14 12 10 8 6 5
로즈 오일 1 6 5 5 5 3 3 2
바닐라
앱솔루트
1 12 10 7 5 4 3 2
베티버 오일 1 8 7 5 3 3 2 1
총함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4: 제조예 4에서 제조된 조합 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제조예 4에서 제조된 조합 향료 조성물의 향취 기호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는 실험예 1의 방법으로 수행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 에 나타내었다.
평가 요원 질문 (기호성)
조합향료 번호
4-A 4-B 4-C 4-D 4-E 4-F 4-G
1 4.0 3.0 3.0 4.0 4.0 5.0 3.0
2 4.0 5.0 5.0 5.0 5.0 3.0 3.0
3 5.0 3.0 3.0 3.0 4.0 4.0 3.0
4 4.0 4.0 3.0 3.0 4.0 3.0 5.0
5 4.0 3.0 4.0 3.0 5.0 3.0 3.0
6 5.0 5.0 5.0 5.0 4.0 3.0 5.0
7 4.0 5.0 4.0 4.0 4.0 4.0 4.0
8 3.0 4.0 4.0 3.0 3.0 3.0 3.0
9 5.0 5.0 4.0 4.0 4.0 4.0 4.0
10 3.0 4.0 5.0 5.0 4.0 4.0 3.0
11 5.0 5.0 5.0 4.0 5.0 3.0 3.0
12 4.0 5.0 4.0 4.0 3.0 3.0 3.0
13 5.0 5.0 4.0 5.0 3.0 3.0 3.0
14 4.0 4.0 4.0 4.0 4.0 4.0 4.0
15 5.0 4.0 3.0 3.0 3.0 5.0 3.0
16 5.0 4.0 5.0 5.0 3.0 4.0 3.0
17 4.0 5.0 4.0 5.0 4.0 3.0 3.0
18 5.0 5.0 5.0 5.0 3.0 4.0 5.0
19 4.0 3.0 4.0 4.0 3.0 3.0 3.0
20 4.0 5.0 4.0 4.0 4.0 4.0 4.0
평균 4.3 4.3 4.1 4.1 3.8 3.6 3.5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3의 향료 조성물에 향기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기호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마테 앱솔루트, 월계수 잎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마테 앱솔루트의 함량은 5 내지 70 중량%인 항산화용 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마테 앱솔루트 5 내지 70 중량%, 월계수 잎 오일 10 내지 70 중량% 및 메리골드 오일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마테 앱솔루트 5 내지 15 중량%, 월계수 잎 오일 35 내지 65 중량% 및 메리골드 오일 2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 및
    오렌지 블로섬, 허벌(herbal), 시트러스, 플로럴 로즈, 바닐라 및 우디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향기 성분을 포함하는 조합 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향기 성분은 네놀리 오일, 카모마일 로만 오일, 카모마일 저먼 오일, 만다린 오일, 리치아 큐베바 오일, 팔마로사 오일, 로즈 오일, 바닐라 앱솔루트 및 베티버 오일을 포함하는 조합 향료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향료 조성물 5 내지 90 중량% 및 향기 성분 10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조합 향료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조합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피부외용제, 방향용 제품, 퍼스널 케어 제품 또는 홈 케어 제품의 제조를 위한 것인 조합 향료 조성물.
KR1020190085675A 2019-07-16 2019-07-16 항산화 효과를 갖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 조성물 KR20210009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75A KR20210009103A (ko) 2019-07-16 2019-07-16 항산화 효과를 갖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75A KR20210009103A (ko) 2019-07-16 2019-07-16 항산화 효과를 갖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103A true KR20210009103A (ko) 2021-01-26

Family

ID=7430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75A KR20210009103A (ko) 2019-07-16 2019-07-16 항산화 효과를 갖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1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793A (ko) 2008-03-03 2010-11-29 글로벌 바이오-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재조합 미생물 및 l-리신을 생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793A (ko) 2008-03-03 2010-11-29 글로벌 바이오-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재조합 미생물 및 l-리신을 생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shi et al. Herbal cosmetics and cosmeceuticals: An overview
Saudagar et al. Review on herbal cosmetics
KR101796154B1 (ko) 프리지아 샤이니 골드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TWI554287B (zh) A deodorant containing a polyol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20210009103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ewg 그린 등급의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50084252A (ko) 인삼 에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20140103633A (ko) 대나무 잎 추출물 및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203848A (ja) 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CN114632036A (zh) 含玫瑰萃取物和山茶花萃取物的缓解压力及增进心神稳定用萃取水组合物
KR101947595B1 (ko)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Patel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sunscreen
KR101720739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020043073A (ko) 생강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KR102314004B1 (ko)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94241B1 (ko) 감 심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20200060840A (ko) 섬백리향, 구슬댕댕이나무 및 왕벚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4269B1 (ko) 심비디움 아로마핑크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12854B1 (ko) 홍화꽃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68821B1 (ko)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4064B1 (ko)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ÇANKAYA Obtaining Cosmetic Raw Materials from the Natural Resources of Turkey and Getting Them to the Industry
KR20220067218A (ko) 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의집중력 증진용 조성물
KR102309551B1 (ko)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바디스크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