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208A -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208A
KR20210008208A KR1020190083472A KR20190083472A KR20210008208A KR 20210008208 A KR20210008208 A KR 20210008208A KR 1020190083472 A KR1020190083472 A KR 1020190083472A KR 20190083472 A KR20190083472 A KR 20190083472A KR 20210008208 A KR20210008208 A KR 20210008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handle
various places
ro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스포츠
Priority to KR102019008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8208A/ko
Publication of KR2021000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18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or against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을 사용 또는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실내나 야외의 다양한 장소에서 탄성을 이용하여 신체의 다양한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을 쉽고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양발을 고정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중앙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발걸이부와 일정길이로 이루어져 좌우 양단에 걸이수단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줄과 일측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하여 상기 발걸이부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줄의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수단을 연결하고, 타측단의 걸이수단에는 손잡이의 연결고리를 연결하여 양발을 발걸이부에 끼운 상태에서 줄에 연결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탄성 또는 비탄성의 당김으로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을 다양한 장소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al exercise equipment capable of whole body exercise in various places}
본 발명은 줄당김으로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기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구조물을 사용하거나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실내나 야외의 다양한 장소에서 탄성을 이용하여 신체의 다양한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을 쉽고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바쁜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불규칙한 식생활 등으로 인하여 육체적 피로감과 정신적인 피로감이 가중되면서 근력이나 신진대사가 저하되어 신체가 점점 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체력강화를 위해 조깅이나 헬스장이나 주변 공원에 설치된 시설물을 이용하여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운동은 바쁜 현대인들에게 장소와 시간에 따른 많은 제약이 존재하여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가정에서 탄성밴드의 탄성을 이용하여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면서도 근력이나 스트레칭을 쉽게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운동기구는 벽이나 문틈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에 분리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고정앵커가 일측에 구비된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의 타측에 구비되는 고리에 의해서 손잡이가 연결되는 탄성 또는 비탄성의 로프나 밴드로 이루어진 줄을 장착하여 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상체나 하체의 근력이나 스트레칭 운동을 하게 되고, 탄성 또는 비탄성의 로프나 밴드 복수 개를 연결하여 당기는 힘을 강하게 함으로서 더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기구의 문제점이 운동을 위한 설치를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동을 하기 위한 사용의 불편함이 있었다.
즉, 줄의 당김작용을 위해서 고정앵커가 걸림되도록 벽면에 고정브라켓을 설치할 경우에는 벽면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문틀과 문의 문틈 사이에 스트랩을 끼워 고정앵커가 걸림되도록 설치할 경우에는 운동중에 다른 사람이 문을 사용할 수 없게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반드시 구조물이 있는 실내에서만 설치가 가능하고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바쁜 현대인들이 쉽게 운동을 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10-0100757 A (2010.09.15.) KR 10-2015-0117618 A (2015.10.20.)
따라서 본 발명은 운동기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구조물을 이용하거나 구조물이 필요없이도 신체를 이용하여 야외나 실내와 같은 다양한 장소에서 누구나 손쉽게 다양한 자세로 광범위한 전신의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발을 고정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걸이부가 형성되고, 걸이부의 중앙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발걸이부와 일정길이로 이루어져 좌우 양단에 걸이수단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줄과 일측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하여 상기 발걸이부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줄의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수단을 연결하고, 타측단의 걸이수단에는 손잡이의 연결고리를 연결하여 양발을 발걸이부에 끼운 상태에서 줄에 연결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탄성 또는 비탄성의 당김으로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을 다양한 장소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이 용이하고 장소에 구분없이 다양한 운동효과를 발휘함에 따라서 바쁜 현대인들 또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언제나 쉽고 간단하게 운동을 접할 수 있는 고품질의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발걸이부의 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3은 본 발명의 줄의 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4는 본 발명의 손잡이의 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 예.
도5는 본 발명의 손잡이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 예.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줄과 손잡이의 다양한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사용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의 별도의 운동기구로 사용되는 발걸이부의 또 다른 사시도.
도13은 도12의 발걸이부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양발이 고정되는 걸이부(110)와 연결고리(120)가 형성된 발걸이부(100)와 일정길이로 이루어져 좌우 양단에 걸이수단(210)이 형성된 탄성 또는 비탄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줄(200)과 연결고리(310)가 형성된 손잡이(300)로 구성되어 발걸이부(100)의 연결고리(120)에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수단(210)으로 하나 이상의 줄(200)을 연결하고, 줄(200)의 타측단에 형성된 걸이수단(210)에 손잡이(300)에 형성된 연결고리(310)를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앉은 상태나 서있는 상태에서 발걸이부(100)에 양발을 끼운 후 손잡이(300)를 잡은 상태에서 당김으로 신체의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을 설치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걸이부(100)의 걸이부(110)는 양 발을 동시에 끼우거나 각각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걸이부(100)의 조립구조는 일정길이의 관체로 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봉(130)과 상기 봉(130)에 두 개의 발바닥지지부(111)가 끼워지고, 상기 봉(130)에 의해 좌우 양단이 끼워져 발이 끼워지는 고리형태가 만들어지도록 걸이띠(112)가 각각의 발바닥지지부(111)에 각각 연결되거나 두 개의 발바닥지지부(111)를 하나의 걸이띠(112)를 연결하고, 상기 발바닥지지부(111)의 사이에는 끼움골(122)이 형성된 스트랩(121)에 의해서 줄(200)의 걸이수단(210)이 연결되는 연결고리(120)를 장착하고 상기 봉(130)의 좌우 양측에는 조립된 걸이띠(112)의 풀림을 방지하는 마감캡(131)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바닥지지부(111)와 걸이띠(112)는 쿠션력을 갖는 스폰지나 압축폼의 재질로 형성되어 발바닥이나 발등이 아프지 않도록 푹신함을 제공하거나 당김운동을 하면서 지지되는 발바닥과 발등에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발바닥지지부(111)와 걸이띠(112)에 지압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을 하면서 지압효과를 제공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줄(200)은 탄성 또는 비탄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탄성일 경우에는 수축과 팽창이 이루어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근력 및 스트레칭을 운동을 행할 수 있고, 비탄성일 경우에는 당김에 의해 줄이 버티는 힘으로 또 다른 근력 및 스트레칭의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줄(200)의 좌우 양 측단에는 걸이수단(2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에 의해 연결홀(221)이 형성된 연결구(220)를 형성하여 걸이수단(210)을 연결홀(221)을 통해서 교환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고, 줄(200)의 올이 풀리지 않게 마감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을 갖는 줄(200)일 경우에는 튜브체로 이루어지거나 직물일 경우에는 직조에 따라서 탄성력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운동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강한 탄성과 약한 탄성을 갖는 줄(200)을 혼용하여 사용함으로써 근력 및 스트레칭에 따른 상승된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300)는 하나의 손잡이로 이루어져 양손을 동시에 파지하여 양팔을 동시에 당김으로 운동을 하거나 두 개의 손잡이로 이루어져 양손을 각각 파지하여 양팔을 번갈아서 당김하는 운동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300)가 하나의 손잡이로 사용될 경우에는 일정길이의 관체로 된 봉(320)과 상기 봉(320)에 두 개의 파지부(330)가 장착되고, 상기 파지부(33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움골(312)가 형성된 스트랩(311)에 의해 연결고리(310)가 장착되고, 상기 봉(320)의 좌우 양측으로 파지부(300)가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봉(320)의 구멍을 마감하는 마감캡(321)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300)가 두 개의 손잡이로 사용될 경우에는 관체로 이루어진 파지부(330)와 상기 파지부(330)에 하나의 연결띠(340)가 관통된 상태에서 연결띠(340)의 양단이 봉재되어 연결되고, 연결띠(340)의 봉재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연결고리(310)가 장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손잡이(300)이의 선택에 따라서 근력 및 스트레칭을 위한 다양한 운동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걸이부(100)에 형성되는 연결고리(110)에는 연결고리(110)가 형성되지 않은 끼움골(122)의 타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스트립(141)에 의해서 벽면에 설치되는 브라켓이나 문틈에 고정하는 고정앙카(140)를 봉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거나 상기 연결고리(110)에 연결수단(142)이 형성된 연장스트립(141)으로 고정앙카(140)를 별도로 연결하여 발걸이부(100)만을 사용하여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스트립(141)에 연결수단(142)이 형성된 고정앙카(140)를 줄(200)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걸이수단(210)에 연결하여 문틈이나 벽면의 브라켓에 고정하고, 줄(200)의 타측 걸이수단(210)에 손잡이(300)를 연결토록 함으로써 줄(200)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신체의 또 다른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0: 발걸이부 110: 걸이부
120: 연결고리
200: 줄 210: 걸이수단
300: 손잡이 310: 연결고리

Claims (7)

  1. 양발이 고정되는 걸이부(110)와 연결고리(120)가 형성된 발걸이부(100)와,
    일정길이로 이루어져 좌우 양단에 걸이수단(210)이 형성된 탄성 또는 비탄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줄(200)과
    연결고리(310)가 형성된 손잡이(300)로 구성되어
    상기 발걸이부(100)의 연결고리(120)에 하나 이상의 줄(200)을 일측단에 형성된 걸이수단(210)으로 연결하고, 타측단에 형성된 걸이수단(210)에는 손잡이(300)의 연결고리(310)를 연결하여 발걸이부(100)에 양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줄(200)에 연결된 손잡이(300)를 이용하여 탄성 또는 비탄성으로 당김되는 줄(200)에 의하여 근력 및 스트레칭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부(100)는 일정길이의 관체로 된 봉(130)과 상기 봉(130)에 발바닥지지부(111) 및 발바닥지지부(111)를 사이에 두고 고리형태가 되도록 봉(130)에 좌우 양단이 끼워지는 걸이띠(112)로 이루어진 걸이부(110)가 좌우 양측으로 한 쌍이 장착되고, 상기 걸이부(110)의 중앙에는 끼움골(122)이 형성된 스트랩(121)에 의해 연결고리(120)가 장착되고, 봉(130)의 좌우 양측으로 마감캡(131)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지지부(111)와 걸이띠(112)에는 발바닥과 발등을 지압하는 지압돌기(1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200)은 좌우 양 측단에 성형에 의해 연결홀(221)이 형성된 연결구(220)가 형성되어 마감되고, 상기 연결구(220)의 연결홀(221)으로 걸이수단(210)이 걸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0)는 일정길이의 관체로 된 봉(320)과 상기 봉(320)에 두 개의 파지부(330)가 장착되고, 상기 파지부(33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끼움골(312)가 형성된 스트랩(311)에 의해 연결고리(310)가 장착되고, 상기 봉(320)의 좌우 양측으로 마감캡(321)이 결합되어 복수로 연결된 줄(200)을 연결하여 양팔을 동시에 운동하는 하나의 손잡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0)는 관체로 이루어진 파지부(330)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330)에 하나의 연결띠(340)가 관통되어 양단이 봉재되면서 연결고리(310)가 형성되어 복수로 연결되는 각각의 줄에 연결하여 양팔을 각각 운동하는 복수의 손잡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부(100)에는 연결고리(110)의 타측으로 연장스트립(141)에 의해 벽면이나 문틈에 고정하는 고정앙카(140)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고리(110)를 통해서 연결수단(142)으로 별도로 연결되어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190083472A 2019-07-10 2019-07-10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210008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472A KR20210008208A (ko) 2019-07-10 2019-07-10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472A KR20210008208A (ko) 2019-07-10 2019-07-10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08A true KR20210008208A (ko) 2021-01-21

Family

ID=7423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472A KR20210008208A (ko) 2019-07-10 2019-07-10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82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833B1 (ko) * 2021-06-30 2022-06-23 주식회사 맥시브 다용도 운동기구
WO2023133326A3 (en) * 2022-01-10 2023-09-14 Caerus Strength Incorporated Strength training and exercise vest system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757A (ko) 2007-09-17 2010-09-15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앵커를 구비한 운동 기구
KR20150117618A (ko) 2014-04-10 2015-10-20 충-푸 창 벨트 당김 운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757A (ko) 2007-09-17 2010-09-15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앵커를 구비한 운동 기구
KR20150117618A (ko) 2014-04-10 2015-10-20 충-푸 창 벨트 당김 운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833B1 (ko) * 2021-06-30 2022-06-23 주식회사 맥시브 다용도 운동기구
WO2023133326A3 (en) * 2022-01-10 2023-09-14 Caerus Strength Incorporated Strength training and exercise vest system and metho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7622B2 (en) Resist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1110269B1 (ko)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US9259605B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KR100905049B1 (ko) 다용도 운동기구
US20200094103A1 (en) Exercise Bar
US20190336821A1 (en) Studios, devices and methods for exercising or improving posture
KR20210008208A (ko)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KR102022311B1 (ko) 실내용 어깨운동구
KR102524740B1 (ko) 어깨 운동 키트
KR200451767Y1 (ko)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
US20110251026A1 (en) Exercise pole
CA2801763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KR101232794B1 (ko) 휴대용 운동기구
CN114144241A (zh) 系绳器、利用系绳器的运动器材、用于运动辅助器材的框架以及包括该框架的运动辅助器材
JP3212138U (ja) 運動器具
KR200434032Y1 (ko) 전신 운동 기구
JP3239383U (ja) 運動用具
KR20100043129A (ko) 허리 유연성 및 근기능 강화용 운동기구
KR20160031361A (ko) 근력강화 운동기구
CN210644973U (zh) 一种健美操力量训练装置
KR20110029954A (ko) 전신 운동기구
KR20180002452U (ko)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KR102395323B1 (ko) 요가 기구용 고정구
KR20100013695A (ko) 운동보조기구 장착용 체결구 및 이것이 구비된 다기능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