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361A - 근력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근력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361A
KR20160031361A KR1020140121382A KR20140121382A KR20160031361A KR 20160031361 A KR20160031361 A KR 20160031361A KR 1020140121382 A KR1020140121382 A KR 1020140121382A KR 20140121382 A KR20140121382 A KR 20140121382A KR 20160031361 A KR20160031361 A KR 2016003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ope
guide
main frame
guide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439B1 (ko
Inventor
홍석표
Original Assignee
홍석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표 filed Critical 홍석표
Priority to KR102014012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4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including a rope or other flexible element moving relative to the surface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 로프의 길이 및 작용점을 조절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도모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탄성 로프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 가이드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가이드부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가 구비된 제 1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가이드부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의 일측 말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가 구비된 제 2 보조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근력강화 운동기구{Exercis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muscle}
본 발명은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 로프의 길이 및 작용점을 조절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도모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력강화를 위한 다양한 운동기구가 존재하고 있다. 각 운동기구는 그 고유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신체의 특정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아령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가슴, 팔 또는 어깨의 근력강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역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가슴, 팔, 어깨, 허리 또는 다리의 근력강화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운동기구 각자의 성질로 인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령을 이용하여 다리의 근력강화 운동을 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위해서는 각 부분에 맞는 운동기구를 갖추어야 하는데, 서로 다른 종류의 운동기구를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종류의 운동기구도 서로 다른 중량의 운동기구를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운동기구를 갖추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며,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하기 위해 운동기구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설치 공간의 크기에 큰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도모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6539호 (2011.02.18)
본 발명은 탄성 로프의 길이 및 작용점을 조절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탄성 로프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 가이드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가이드부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가 구비된 제 1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가이드부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의 일측 말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가 구비된 제 2 보조 프레임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탄성 로프의 길이 및 작용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메인 프레임 및 탄성 로프가 상하로 길게 늘어선 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조 프레임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이드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이드부가 제 2 보조 프레임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근력강화 운동기구(10)는 메인 프레임(110), 제 1 보조 프레임(200), 제 2 보조 프레임(300) 및 탄성 로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10)은 바(bar)의 형상을 가지면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바닥 및 천장에 접하는 고정판(120, 130)이 각각 메인 프레임(110)의 양측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과 고정판(120, 130)의 결합을 위하여 고정판(120, 130)에는 메인 프레임(110)의 말단을 수용하는 수용부(121, 131)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판(120, 130)은 메인 프레임(110)의 장축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데, 이에 메인 프레임(110)의 양단을 지지하는 고정판(120, 130)이 바닥 및 천장에 미는 힘을 작용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10)이 견고하게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바닥에 밀착하는 하측 고정판(130)에는 탄성 로프(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하 하측 고정판(130)에 고정 결합된 가이드부를 고정 가이드부(132)라 한다.
고정 가이드부(132)는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어 탄성 로프(400)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 가이드부(132)는 도르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탄성 로프(400)가 고정 가이드부(132)에 걸려있음으로 인하여 고정 가이드부(132)에 구비된 휠의 회전 방향으로 탄성 로프(40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메인 프레임(110)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보조 프레임(200)은 고정 가이드부(132)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400)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가이드부(250)는 도르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탄성 로프(400)가 제 1 가이드부(250)에 걸려있음으로 인하여 제 1 가이드부(250)에 구비된 휠의 회전 방향으로 탄성 로프(40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조 프레임(200) 및 제 2 보조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110)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는데, 제 1 보조 프레임(200) 및 제 2 보조 프레임(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제 1 보조 프레임(200)은 제 1 슬라이딩부(210), 제 1 가이드 결합부(220), 보강부재(230) 및 제 1 가이드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슬라이딩부(210)는 메인 프레임(110)의 장축 방향으로 제 1 보조 프레임(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슬라이딩부(210)는 메인 프레임(11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 1 보조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10)의 장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 1 슬라이딩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1 가이드 결합부(220)에는 제 1 가이드부(2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슬라이딩부(210)와 제 1 가이드 결합부(220)는 일체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제 1 가이드부(250)는 고정 가이드부(132)를 향하도록 제 1 가이드 결합부(220)의 형태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재(230)는 제 1 슬라이딩부(210)에 대한 제 1 가이드 결합부(220)의 결합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가이드 결합부(220)는 제 1 슬라이딩부(210)에 대하여 바깥쪽 방향으로 길게 늘어선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탄성 로프(4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제 1 가이드 결합부(220)가 휘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재(230)가 제 1 슬라이딩부(210) 및 제 1 가이드 결합부(22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 1 가이드 결합부(22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메인 프레임(110)의 특정 위치에 제 1 보조 프레임(2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1 보조 프레임(200)에는 고정 수단(240)이 구비되고, 메인 프레임(110)에는 고정 홀(111)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수단(240)은 손잡이와 고정 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고정 바가 메인 프레임(110)의 고정 홀(111)에 삽입됨에 따라 제 1 보조 프레임(200)이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고정 바 및 고정 홀(111)에는 나사산 및 나사홈에 각각 구비되어 고정 바와 고정 홀(111)이 나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인 프레임(110)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보조 프레임(300)은 고정 가이드부(132)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400)의 일측 말단이 결합되어 있고, 제 1 가이드부(250)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2 가이드부(330)는 도르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탄성 로프(400)가 제 2 가이드부(330)에 걸려있음으로 인하여 제 2 가이드부(330)에 구비된 휠의 회전 방향으로 탄성 로프(40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 2 보조 프레임(300)은 제 2 슬라이딩부(310), 제 2 가이드 결합부(320) 및 제 2 가이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슬라이딩부(310)는 메인 프레임(110)의 장축 방향으로 제 2 보조 프레임(3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슬라이딩부(310)는 메인 프레임(11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 2 보조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110)의 장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 2 슬라이딩부(3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에는 제 2 가이드부(3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딩부(310)와 제 2 가이드 결합부(320)는 일체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제 2 가이드부(330)는 제 2 보조 프레임(300)상에서 탄성 로프(400)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제 2 가이드 결합부(320)는 회전 지지축(미도시)을 제공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디귿'자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의 회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메인 프레임(110)의 특정 위치에 제 2 보조 프레임(30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2 보조 프레임(300)에는 고정 수단(340)이 구비되고, 메인 프레임(110)에는 고정 홀(111)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수단(340)은 손잡이와 고정 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고정 바가 메인 프레임(110)의 고정 홀(111)에 삽입됨에 따라 제 2 보조 프레임(300)이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고정 바 및 고정 홀(111)에는 나사산 및 나사홈에 각각 구비되어 고정 바와 고정 홀(111)이 나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로프(400)는 탄성 변형 성질을 갖는 로프로서,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 및 복원이 가능한 신축성 있는 소재로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가 탄성 로프(400)의 재료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성 로프(400)의 일측 말단은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에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일측 말단은 제 2 가이드부(33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하,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에 연결되는 탄성 로프(400)의 말단을 연결단이라 하고, 제 2 가이드부(33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탄성 로프(400)의 말단을 노출단이라 한다.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와 연결단간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 2 가이드 결합부(320) 및 연결단에는 연결 고리(350, 4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 고리(350)는 폐쇄형 고리이고, 연결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 고리(410)는 개방형 고리일 수 있다. 또는, 연결단에 구비된 연결 고리(410)는 카라비너(karabiner)와 같이 별도의 탄성 수단에 의하여 평소에는 전체적으로 폐쇄형 고리를 형성하다가 그 일부에 힘을 가하여 개방형 고리로 전환되는 연결 고리일 수 있다. 도 1은 연결단에 구비된 연결 고리(410)가 개방 및 폐쇄 전환이 가능한 연결 고리인 것으로서 폐쇄된 상태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노출단에는 이탈 방지 수단(4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330)는 2개의 휠(331, 332)로 구성되고, 노출단은 2개의 휠(331, 332) 사이를 통하여 노출되는데, 탄성 로프(4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노출단이 2개의 휠(331, 332)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 수단(420)이 구비된다.
이탈 방지 수단(420)은 제 2 가이드부(330)에 구비된 2개의 휠(331, 332)간의 간격보다 큰 일정 크기 이상이 경도를 가진 물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형의 물체일 수 있다.
이탈 방지 수단(420)의 일측에는 걸림 수단(430)이 구비될 수 있는데, 걸림 수단(430)은 별도의 운동기구를 연결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손잡이(500), 또는 도 5에 도시된 발목 지지대(600)를 탄성 로프(400)에 연결할 때 걸림 수단(430)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로프(40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하나 이상의 탄성 로프(40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고정 가이드부(132), 제 1 가이드부(250) 및 제 2 가이드부(330)는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3개씩 탄성 로프(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맞게 고정 가이드부(132), 제 1 가이드부(250) 및 제 3 가이드부도 3개씩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로프(400)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각 탄성 로프(400)의 탄성 복원력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동일하거나, 전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복원력은 탄성 로프(400)를 연신하는데 소요되는 힘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탄성 로프(400)의 일측 말단을 당김으로써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데, 각 탄성 로프(400)를 당기는데 소요되는 힘이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동일하거나, 전부 상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메인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가장 안쪽에 있는 탄성 로프(400)의 두께가 가장 얇고, 가장 바깥쪽에 있는 탄성 로프(400)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탄성 복원력이 크게 형성된다. 도 1과 같은 탄성 로프(400)의 배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조합으로 탄성 로프(400)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고정 가이드부(132), 제 1 가이드부(250) 및 제 2 가이드부(330)가 도르래의 형태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고정 가이드부(132), 제 1 가이드부(250) 및 제 2 가이드부(330)가 도르래의 형태로 제한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통 파이프의 형태로 고정 가이드부(132), 제 1 가이드부(250) 및 제 2 가이드부(330)가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탄성 로프(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정 가이드부(132), 제 1 가이드부(250) 및 제 2 가이드부(330) 중 적어도 하나는 도르래의 형태로 구현되고 나머지는 원통 파이프와 같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메인 프레임(110)이 바(bar)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 1 보조 프레임(200) 및 제 2 보조 프레임(3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 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손잡이(500) 또는 발목 지지대(600)를 탄성 로프(400)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손잡이(500) 또는 발목 지지대(600)에 구비된 연결 고리를 걸림 수단(430)에 연결하고 손잡이(500) 또는 발목 지지대(600)를 당김으로써 사용자는 근력강화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사용자가 손잡이(500)를 걸림 수단(430)에 연결한 이후에 손잡이(500)를 잡아 당김으로써 근력강화 운동을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근력강화 운동기구(10)를 바라본 상태로 손잡이(500)를 잡아 당기거나, 근력강화 운동기구(10)를 등진 상태로 손잡이(500)를 잡아 당기면서 근력강화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근력강화 운동기구(10)를 바라본 상태로 수평으로 팔을 뻗어 손잡이(500)를 잡아당기는 운동을 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보조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110)의 장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데, 도 3은 도 2에 비하여 제 2 보조 프레임(300)이 메인 프레임(110)의 위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배치되어 있고, 도 4는 도 2에 비하여 제 2 보조 프레임(300)이 메인 프레임(110)의 아래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2 보조 프레임(300)이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한 경우 탄성 로프(400)를 잡아당기는 방향이 달라지는데, 도 2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탄성 로프(400)를 잡아당길 수 있었던 반면, 도 3의 경우 사선방향 아래쪽으로 탄성 로프(400)를 잡아당기게 되고, 도 4의 경우 사선방향 위쪽으로 탄성 로프(400)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 로프(400)를 잡아당기는 방향이 달라짐에 따라 사용자는 신체의 다른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가장 바깥쪽 탄성 로프(400)에 손잡이(500)를 연결하여 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조합의 탄성 로프(400)에 손잡이(500)를 연결하거나, 하나의 손잡이(500)에 복수의 탄성 로프(400)를 연결하여 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는 발목 지지대(600)를 걸림 수단(430)에 연결한 사용자가 다리의 근력강화 운동을 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 2 보조 프레임(300)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다리의 특정 부분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을 보다 집중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손잡이(500) 또는 발목 지지대(600)를 탄성 로프(400)에 연결하여 운동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의 다른 부분에 고정시킨 별도의 운동기구를 탄성 로프(400)에 연결하여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조 프레임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은 도 2에 비하여 제 1 보조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10)의 아래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배치되어 있고, 도 7은 도 2에 비하여 제 1 보조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10)의 위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보조 프레임(20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탄성 로프(400)의 장력이 달라지게 된다. 즉, 도 6과 같이 고정 가이드부(132)와 제 1 가이드부(250)간의 거리를 좁히는 경우 탄성 로프(400)의 장력이 작아지고, 도 7과 같이 고정 가이드부(132)와 제 1 가이드부(250)간의 거리를 넓히는 경우 탄성 로프(400)의 장력이 커지는 것이다.
사용자는 제 1 보조 프레임(20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자신의 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탄성 로프(400)의 장력을 자신에게 맞게 설정한 이후에 운동 함으로써 운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구비된 탄성 로프(400)에 의한 장력에 의하여 제 1 보조 프레임(200)을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와 연결단에 연결 고리(350, 410)가 구비되는 것인데, 일단 사용자는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와 연결단의 연결 고리(350, 410)를 모두 연결 해제하고 제 1 보조 프레임(200)을 이동시킨 이후에 제 2 결합부와 연결단의 연결 고리(350, 410)를 다시 연결할 수 있다. 제 2 결합부와 연결단의 연결 고리(350, 410)는 하나씩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전체 탄성 로프(400)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이드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이드부(330)는 복수의 휠이 구비되어 탄성 로프(400)에 의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데, 도 8는 2개의 휠(331, 332)로 구성된 제 2 가이드부(3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중심축을 가진 2개의 휠(331, 332)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탄성 로프(400)의 방향 전환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사선방향 위쪽으로 탄성 로프(400)를 당기는 경우 제 1 휠(331)이 회전하면서 탄성 로프(40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사선방향 아래쪽으로 탄성 로프(400)를 당기는 경우 제 1 휠(331) 및 제 2 휠(332)이 회전하면서 탄성 로프(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또한, 2개의 휠(331, 332)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이탈 방지 수단(420)이 연결되어 있는 탄성 로프(400)의 노출단이 2개의 휠(331, 332) 사이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이탈 방지 수단(420)의 크기는 2개의 휠(331, 332) 간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이드부가 제 2 보조 프레임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가이드부(330)는 제 2 보조 프레임(300)상에서 탄성 로프(400)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2 가이드 결합부(320)는 그 단면이 '디귿'자 형상일 수 있는데,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의 내측으로 삽입된 제 2 가이드부(330)의 일부에 중심축이 형성되고, 제 2 가이드부(330)는 해당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중심축의 형성을 위하여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의 내측에 삽입된 제 2 가이드부(330)의 일부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 2 가이드 결합부(320)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나, 제 2 가이드 결합부(320) 및 제 2 가이드부(330)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와 같이 탄성 로프(400)를 당길 수 있는 힘의 방향이 유연하게 결정됨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자신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탄성 로프(400)를 당기면서 근력강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메인 프레임 200: 제 1 보조 프레임
210: 제 1 슬라이딩부 220: 제 1 가이드 결합부
230: 보강부재 240: 고정 수단
250: 제 1 가이드부 300: 제 2 보조 프레임
310: 제 2 슬라이딩부 320: 제 2 가이드 결합부
330: 제 2 가이드부 340: 고정 수단
350, 410: 연결 고리 420: 이탈 방지 수단
430: 걸림 수단

Claims (8)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어, 탄성 로프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 가이드부;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가이드부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부가 구비된 제 1 보조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가이드부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의 일측 말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에서 연장된 탄성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부가 구비된 제 2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프레임 및 상기 제 2 보조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장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결정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프레임 및 상기 제 2 보조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상에서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각각 포함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탄성 로프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가이드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로프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각 탄성 로프의 탄성 복원력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동일하거나, 전부 상이한 근력강화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복수의 휠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 로프에 의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보조 프레임상에서 상기 탄성 로프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도르래인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20140121382A 2014-09-12 2014-09-12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161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82A KR101619439B1 (ko) 2014-09-12 2014-09-12 근력강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382A KR101619439B1 (ko) 2014-09-12 2014-09-12 근력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361A true KR20160031361A (ko) 2016-03-22
KR101619439B1 KR101619439B1 (ko) 2016-05-10

Family

ID=5564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382A KR101619439B1 (ko) 2014-09-12 2014-09-12 근력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637A1 (ko) * 2019-10-15 2021-04-22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20210044383A (ko) * 2019-10-15 2021-04-23 강기동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850A (en) 1989-08-21 1991-07-09 Verimark (Proprietary) Limited Exercising apparatus
KR101196369B1 (ko) * 2012-02-02 2012-11-01 주식회사 네잎플러스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637A1 (ko) * 2019-10-15 2021-04-22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20210044379A (ko) * 2019-10-15 2021-04-23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
KR20210044383A (ko) * 2019-10-15 2021-04-23 강기동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439B1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5090B2 (en) Full body exercise band system
US8696527B2 (en) Exerciser with easy-to-adjust inelastic straps
US9656115B2 (en) Exercise device including elastic closed loop resistance tension band
US8172727B2 (en) Exercise handle and methods of use
US20150283420A1 (en)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20150182779A1 (en) Cable Attachment Release Mechanism
US8870723B2 (en) Variable resistance pulley for body-weight rotation exercise
AU2015101871A4 (en)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20140080687A1 (en) Resistance-based exercise device
KR101196369B1 (ko)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
KR200481799Y1 (ko) 턱걸이 운동기구
US20060148624A1 (en) Bench press
CN109289154A (zh) 一种转盘式拉力健身器
KR101619439B1 (ko)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1862794B1 (ko) 근력 운동기구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KR20150077894A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51841Y1 (ko) 다기능 로우프 밴드 운동기구
KR20210008208A (ko)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US20180133540A1 (en) Slide handle
US20130109547A1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JP3212138U (ja) 運動器具
RU140447U1 (ru) Тренажер спортивный
KR20210034233A (ko) 도어 설치용 실내 운동기구
KR20130039184A (ko) 웨이브 방식의 허리 근력 보강운동용 트레이닝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