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794B1 - 근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근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794B1
KR101862794B1 KR1020170017762A KR20170017762A KR101862794B1 KR 101862794 B1 KR101862794 B1 KR 101862794B1 KR 1020170017762 A KR1020170017762 A KR 1020170017762A KR 20170017762 A KR20170017762 A KR 20170017762A KR 101862794 B1 KR101862794 B1 KR 101862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weight
pulling member
muscle exercise
pulling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riority to KR102017001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3Fluid-like particles, e.g. gun shot or s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양 측면과 배면 및 상면에 중량부재를 걸어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걸어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당김부재; 상기 당김부재의 왕복 이동 시 중량을 갖도록 상기 당김부재에 설치되는 중량부재;를 마련하여 고정부재에 당김부재를 자유로이 설치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고, 각각 다른 중량을 갖는 중량부재를 이용하여 근력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당김부재의 회전롤러 설치 위치에 따라 근력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력 운동 시 양 손을 이용한 근력 운동과 한 손을 이용한 근력 운동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으며, 당김부재와 중량부재를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하게 되어 고장이나 파손의 우려 없이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근력 운동기구{Muscle Strength Device}
본 발명은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중량의 모래주머니를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시킴에 따라 신체의 근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스포츠나 레저 활동 뿐만 아니라 각종 운동기구를 이용한 실내 및 실외운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건강은 모든 사람들이 추구하는 가장 본질적인 삶의 목표이다. 따라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이고 유익한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을 통해서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에 활력도 불어 넣을 수 있게 되며, 특히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사무직 종사자가 증가하고, 자가용이나 대중교통 등을 많이 이용하는 현대인들에게는 운동이 더욱 많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크게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유연성 운동을 위한 기구로 분류될 수 있는데, 상체 및 하체를 구분하여 근력운동을 자신의 신체적인 조건에 맞게 체계적으로 트레이닝 할 수 있는 근력운동기구들이 다양하게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실내에서 운동을 통해 신체 단련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자의 효율적인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다기능 근력운동기구의 필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 중 탄성체를 이용한 근력운동기구는 대개 고탄력 고무줄이나 고무 밴드로 형성된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양측 끝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체를 이용한 근력운동기구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0219913(2001.01.31)에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탄성체를 이용한 근력운동기구는 양단을 손으로 잡아당기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힘으로 잡아당길 수 없으며, 만약 재활 중 초과된 힘으로 운동 시 재활할 수 없는 신체조건이 되어 재활을 포기하거나 악화될 우려가 있어 운동효과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근력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근력운동기구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 어느 하나가 상기 피스톤과 연결하되,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는 절개홈을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서로 연동되는 한 쌍의 가압유닛,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의 좌우 이동시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하는 부하형성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길이방향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기준으로 좌우에 하나씩 마련하되,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연결뭉치부로 이루어지고, 어느 일측 연결뭉치부는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좌우 커넥터,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뭉치부와 연결되는 가압부로 이루어진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근력강화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근력강화운동기구는 내측에는 중심부을 기점으로 양측에 힌지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측 상단에는 상측부로 돌출된 손잡부가 형성된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힌지삽입공에 삽입결합되어 회동되고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지지프레임이 구비된 힌지축, 상기 힌지축의 지지프레임 일측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이 안착할 수 있는 발판, 상기 바닥프레임과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힌지축과 결합되도록 힌지결합공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발판이 외부로 도출되도록 반구형 삽입공이 형성된 상부프레임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99018호(2014년 5월 27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2013-0004508호(2013년 7월 22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근력운동기구는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사용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케이스 내부에 실린더 및 가압부재가 래크 및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져 있어 가압부재의 이동 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선택하여 운동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근력강화운동기구는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반구형 삽입공의 길이를 따라 발판을 움직여 운동하는 것으로, 제한된 길이로 왕복 이동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운동을 할 수 없고, 연결밴드의 양쪽에 기어가 맞물려 회전되므로 소음이 발생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선택하여 운동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근력을 증진시키는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근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근력운동할 수 있는 근력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는 양 측면과 배면 및 상면에 중량부재를 걸어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걸어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당김부재; 상기 당김부재의 왕복 이동 시 중량을 갖도록 상기 당김부재에 설치되는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테두리에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당김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걸어 설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격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걸어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에 왕복 이동되게 걸리는 당김줄; 상기 당김줄의 선단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손잡이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고정부재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 상기 후크의 하단 양측에 고정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당김줄이 이탈되지 않도록 반원형으로 홈부가 형성된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에 의하면, 고정부재에 당김부재를 자유로이 설치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고, 각각 다른 중량을 갖는 중량부재를 이용하여 근력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당김부재의 회전롤러 설치 위치에 따라 근력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력 운동 시 양 손을 이용한 근력 운동과 한 손을 이용한 근력 운동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으며, 당김부재와 중량부재를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하게 되어 고장이나 파손의 우려 없이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당김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당김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회전롤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고정버클을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중량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는 양 측면과 배면 및 상면에 중량부재(30)를 걸어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고정부재(10), 상기 고정부재(10)에 걸어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당김부재(20), 상기 당김부재(20)의 왕복 이동 시 중량을 갖도록 상기 당김부재(20)에 설치되는 중량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는 중량을 갖는 중량부재(30)를 당김부재(20)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당김부재(20)를 잡아당김과 풀어줌에 따라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고정부재(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자유로이 설치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다수개로 마련되는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도록 양 측면, 배면과 상면에 설치된다.
즉, 고정부재(10)는 양 측면과 배면 및 상면에 설치되어 보다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고정부재(10)는 양 측면과 상면 및 저면에 설치되도록 마련됨은 물론 배면에도 설치되도록 다수개로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테두리에 고정되는 프레임(11), 상기 당김부재(20)를 원하는 위치에 걸어 설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격자프레임(1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 사이에 격자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프레임(11)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당김부재(20) 및 중량부재(30)를 걸어둘 수 있도록 격자프레임(12)이 고정된다.
상기 당김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10)에 걸어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21), 상기 회전롤러(21)에 왕복 이동되게 걸리는 당김줄(28), 상기 당김줄(28)의 선단에 마련되는 손잡이(29)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부재(20)는 한 손으로 당길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당김부재(20a)와 양 손으로 당길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당김부재(20b)로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당김부재를 도시한 일부 확대 입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당김부재(20a)는 양 손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 당김부재(20a)는 고정부재(10)의 격자프레임(12)에 걸어 둘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21)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21)에 걸어주어 잡아당기도록 마련되는 당김줄(28)이 구비되며, 상기 당김줄(28)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손잡이(29)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당김부재를 도시한 일부 확대 입체도이다.
한편 제1 당김부재(20a)와 제2 당김부재(20b)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당김부재(20b)는 한 손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2 당김부재(20b)는 고정부재(10)의 격자프레임(12)에 걸어둘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21)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21)에 걸어주어 잡아당기도록 마련되는 당김줄(28)이 구비된다.
아울러 제2 당김부재(20b)의 당김줄(28)에는 중량부재(30)를 걸어주는 고리(28a)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당김부재(20a)는 근력 운동을 하는데 있어 고정부재(10)에 한 쌍의 회전롤러(21)를 설치한 상태에서 양 손의 근력 운동을 함에 있어 제1 당김부재(20a)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제2 당김부재(20b)는 근력 운동을 하는데 있어 고정부재(10)에 한 쌍의 회전롤러(21)를 설치한 상태에서 한 손의 근력 운동을 함에 있어 제2 당김부재(20b)를 사용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당김부재(20a)는 고정부재(10)의 격자프레임(12)에 걸리는 한 쌍의 회전롤러(21)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를 도시한 일부 확대 입체도이다.
상기 회전롤러(21)는 상기 고정부재(1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22), 상기 후크(22)의 하단 양측에 고정되는 바디(23), 상기 바디(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당김줄(28)이 이탈되지 않도록 반원형으로 홈부(25)가 형성된 바퀴(24)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롤러(21)는 격자프레임(12)에 걸어둘 수 있도록 후크(22)가 고정되고, 상기 후크(22)에는 대략 'U'자 형상의 바디(23)가 고정된다.
상기 바디(23)에는 당김줄(28)에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회전되는 바퀴(24)가 결합되고, 바퀴(24)에는 당김줄(28)이 원활하게 이동되게 함은 물론 이탈되지 않도록 반원형상의 홈부(25)가 형성된다.
상기 당김줄(28)은 강성을 가지는 로프 또는 밧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당김줄(2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버클(26)이 구비된다.
아울러 당김부재(20)는 상기 손잡이(29)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버클(26)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를 도시한 일부 확대 입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버클(26)에는 당김줄(28)이 끼워지도록 고정구멍(27)이 형성된다.
또한 당김줄(28)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29)가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29)는 목재,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부재(30)는 당김부재(20)에 걸어둘 수 있도록 대략 'S'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고리(31), 상기 걸림고리(31)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고리(32), 소정의 무게를 갖도록 중량물이 수용되어 상기 고리(32)에 걸리는 모래주머니(33)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고리(31)는 당김부재(20)와 모래주머니(33)가 각각 걸리도록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측은 당김부재(20)의 당김줄(28)에 걸리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모래주머니(33)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고리(32)는 모래주머니(33)를 걸림고리(31)에 걸어둘 수 있도록 모래주머니(33)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모래주머니(33)는 중량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래주머니(33)는 다른 중량을 갖도록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부재(1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1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프레임(13)이 고정된다. 즉, 수평프레임(13)은 일정 직경을 갖는 환봉으로 이루어져 당김부재(20) 및 중량부재(30)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는 대략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에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당김부재(20) 및 상기 당김부재(20)에 중량을 부여하는 중량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대략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양 측면, 배면 및 상면에 배치되도록 다수개로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부재(10)는 테두리에 프레임(11)을 고정하고, 이들 프레임(11)에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격자프레임(12)을 고정한다.
이러한 프레임(11)은 비교적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격자프레임(12) 또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중량부재(30)에 따른 중량에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당김부재(20)는 격자프레임(12)에 걸리는 한 쌍의 회전롤러(21), 상기 회전롤러(21)를 따라 자유로이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당김줄(28)을 포함한다.
상기 당김부재(20)는 제1 당김부재(20a)와 제2 당김부재(20b)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당김부재(20a)는 사용자가 양 손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 당김부재(20b)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당김부재(20a)는 한 쌍의 회전롤러(21), 당김줄(28), 상기 당김줄(28)에 설치되는 손잡이(29)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당김부재(20b)는 한 쌍의 회전롤러(21), 당김줄(28)로 이루어진다.
상기 당김부재(20)의 회전롤러(21)는 당김줄(28)을 안정되게 걸어주면서 사용자가 당김줄(28)을 원하는 위치에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롤러(21)는 일측에 후크(22)를 고정하고, 후크(22)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23)를 고정한다.
이러한 후크(22)는 바디(23)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 바디(23)에는 당김줄(28)이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홈부(25)가 형성된 바퀴(24)를 설치하며, 상기 바퀴(24)는 바디(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당김줄(28)에는 사용자가 당김줄(28)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버클(26)을 끼우고, 고정버클(26)에는 당김줄(28)에 끼울 수 있도록 고정구멍(27)을 형성한다.
또한 당김줄(28)의 선단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9)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고정버클(26)의 일측은 도 2에서와 같이, 당김줄(28)의 선단에 고정하고, 고정버클(26)의 타측은 당김줄(28)의 소정 위치에 끼워 줌으로써 손잡이(29)를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상기 중량부재(30)는 제1 당김부재(20a)의 소정 위치에 걸리도록 걸림고리(31)를 형성하는데, 걸림고리(31)는 모래주머니(33)에 끼워진 고리(32)를 걸어줄 수 있도록 대략 'S'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기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력 운동기구는 각각 다른 중량을 갖는 모래주머니(33)를 사용하여 운동할 수 있다.
즉, 중량부재(30)는 10㎏, 15㎏, 20㎏, 30㎏ 등의 중량으로 구비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중량의 중량부재(30)를 이용하게 된다.
사용자는 근력 운동을 하기 위하여 제1 당김부재(20a) 또는 제2 당김부재(20b)를 사용하게 되며, 제1 당김부재(20a)는 양 손으로 근력 운동을 할 때 사용하고, 제2 당김부재(20b)는 한 손으로 근력 운동을 할 때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근력 운동은 팔 뿐만 아니라 다리로도 운동할 수 있는데, 상기 당김부재(20)의 당김줄(28)은 로프 또는 밧줄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당김줄(28)을 손목 또는 발목에 착용하는 보호대(미도시)로 고정시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부재(10)의 격자프레임(12) 또는 수평프레임(13)에는 당김부재(20)의 회전롤러(21)를 설치하게 된다. 즉, 한 쌍의 회전롤러(21) 중 하나는 고정부재(10)의 상면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의 회전롤러(21)는 고정부재(10)의 측면에 설치한다.
이러한 한 쌍의 회전롤러(21)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아울러 회전롤러(21)는 격자프레임(12) 또는 수평프레임(13)에 끼워 걸어줌으로써 회전롤러(21)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롤러(21)의 바퀴(24)에는 당김줄(28)을 이동 가능하게 걸어주는데, 제1 당김부재(20a)는 한 쌍의 회전롤러(21) 사이에 중량부재(30)를 걸어주고, 제2 당김부재(20b)는 당김줄(28)의 일단에 구비된 고리(28a)에 걸어주게 된다.
즉, 제1 당김부재(20a)의 당김줄(28)에는 중량부재(30)를 걸어주고, 제2 당김부재(20b)의 선단에 중량부재(30)를 걸어주게 된다.
상기 중량부재(30)는 걸림고리(31)의 상측에 당김줄(28)에 걸어주고, 걸림고리(31)의 하측에 모래주머니(33)를 걸어주어 모래주머니(33)의 중량이 당김줄(28)에 가해지도록 한다.
이렇게 당김줄(28)에 중량부재(30)를 설치한 상태에서 당김줄(28)을 반복적으로 잡아당겨 줌에 따라 근력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근력 운동 중 중량부재(30)의 중량이 가벼운 경우 중량이 무거운 중량부재(30)로 바꾸어 줌에 따라 보다 강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근력 운동 중 중량부재(30)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 중량이 가벼운 중량부재(30)로 바꾸어 근력 운동의 강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동일한 중량을 갖는 중량부재(30)를 이용하여 근력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21)는 고정부재(10)의 상면에 높게 설치함으로써 중량부재(30)의 중량을 늘리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고, 회전롤러(21)를 고정부재(10)에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중량부재(30)의 중량을 낮추어 근력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고정부재 11: 프레임
12: 격자프레임
20: 당김부재 21: 회전롤러
22: 후크 23: 바디
24: 바퀴 25: 홈부
26: 고정버클 27: 고정구멍
28: 당김줄 29: 손잡이
30: 중량부재 31: 걸림고리
32: 고리 33: 모래주머니

Claims (5)

  1. 테두리에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프레임간으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면서 양 측면과 배면 및 상면을 이루는 격자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격자프레임에 걸어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에 왕복 이동되게 걸리는 당김줄과 상기 당김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버클 및 상기 당김줄의 양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로서 이루어지는 당김부재;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의 상기 당김줄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의 일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고리 및 상기 고리에 걸리도록 하면서 소정의 무게를 갖도록 중량물이 수용되는 모래주머니로서 구비되어 상기 당김줄의 왕복 이동에 의해 상기 당김줄의 양측에 상기 모래주머니의 중량이 가해지도록 하는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고정부재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후크;
    상기 후크의 하단 양측에 고정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당김줄이 이탈되지 않도록 반원형으로 홈부가 형성된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운동기구.

KR1020170017762A 2017-02-08 2017-02-08 근력 운동기구 KR101862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762A KR101862794B1 (ko) 2017-02-08 2017-02-08 근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762A KR101862794B1 (ko) 2017-02-08 2017-02-08 근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794B1 true KR101862794B1 (ko) 2018-05-30

Family

ID=6229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762A KR101862794B1 (ko) 2017-02-08 2017-02-08 근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7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720B1 (ko) * 2020-06-11 2020-12-30 주식회사 좋은운동장 장애인용 다목적 홈트레이닝 장치
KR102225060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KR102270772B1 (ko) * 2020-06-23 2021-06-28 김의택 근력강화 운동기구
KR20240036925A (ko) 2022-09-14 2024-03-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유압을 이용한 근력운동기구용 중량구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력운동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92A (ja) * 2000-06-01 2001-12-11 Sakai Medical Co Ltd ロープ締結具及び訓練用器具
CN201880278U (zh) * 2010-11-12 2011-06-29 张志良 多功能组合家庭康复训练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92A (ja) * 2000-06-01 2001-12-11 Sakai Medical Co Ltd ロープ締結具及び訓練用器具
CN201880278U (zh) * 2010-11-12 2011-06-29 张志良 多功能组合家庭康复训练床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060B1 (ko) * 2019-10-16 2021-03-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보행 재활 장치
KR102196720B1 (ko) * 2020-06-11 2020-12-30 주식회사 좋은운동장 장애인용 다목적 홈트레이닝 장치
KR102270772B1 (ko) * 2020-06-23 2021-06-28 김의택 근력강화 운동기구
KR20240036925A (ko) 2022-09-14 2024-03-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유압을 이용한 근력운동기구용 중량구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력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794B1 (ko) 근력 운동기구
US8696527B2 (en) Exerciser with easy-to-adjust inelastic straps
US9757604B2 (en) Multipurpose exercise training device
US7775936B2 (en) Total body exercise machine
US8075453B1 (en) Total body exercise machine
US9517374B2 (en) Air straps
US8007413B1 (en) Exerciser with length-adjustable inelastic straps
US10857407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50238799A1 (en) Isotonic Body Gym System
US20150283420A1 (en)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KR100905049B1 (ko) 다용도 운동기구
US20160346596A1 (en) Exercise apparatus
AU2015101871A4 (en)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9873013B2 (en) Exercise system
US11311763B2 (en) Suspendible exercise strap
US20180311523A1 (en) Modular Structure for Physical Exercise
US20120100968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JP2007130368A (ja) 機能回復訓練装置
CN109289154A (zh) 一种转盘式拉力健身器
US9707428B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220008783A1 (en) Exercise device
KR20140103073A (ko) 악력완력기
US20200069994A1 (en) Portable Exercise Device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US20220387844A1 (en)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