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107A -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 Google Patents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107A
KR20210007107A KR1020190082957A KR20190082957A KR20210007107A KR 20210007107 A KR20210007107 A KR 20210007107A KR 1020190082957 A KR1020190082957 A KR 1020190082957A KR 20190082957 A KR20190082957 A KR 20190082957A KR 20210007107 A KR20210007107 A KR 20210007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 allowance
seam
stitching
fabric
ini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튼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튼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튼밀
Priority to KR102019008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107A/ko
Publication of KR2021000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음질방법을 개선하여 옷 전체를 홑겹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처리의 경우 박음질에 필요한 최소폭으로 시접을 두 번 형성하여 상기 시접 위로 적어도 한번 이상의 박음질을 행하며, 이음매 처리의 경우 이음될 부분의 끝단을 접어 시접을 만들고 상기 시접을 감싸도록 시접과 접하는 원단을 접어 겹침시접을 만든 후 상기 겹침시접 위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박음질을 행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원단과 겹쳐지는 시접 끝단 없이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최소폭의 시접을 형성하여 옷 전체를 홑겹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얇은 원단 특유의 부드러운 실루엣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시접처리에 의한 안면과 겉면의 구별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제거되는 원단의 낭비요소를 감소시켜 질적인 면에서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How to Stitch on Clothes with Improved Method}
본 발명은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의류 제작시 사용되는 박음질방법을 개선하여 끝단처리 및 합복의 이음매처리 등을 박음질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접으로 행함으로써 옷 전체가 하나의 홑겹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그 제작시 소매나 등판, 앞판, 깃(칼라) 등의 옷본을 천위에 뜨고 이를 재단한 다음 재단된 각각의 옷본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옷으로 완성시키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각각의 옷본들을 연결하는 합복의 이음매처리 방법으로는 통상 이음선을 결정짓는 일련의 박음질 작업 후, 상기 박음질선을 중심으로 솔기부분을 양측 또는 일측으로 접어서 완성하는 방법과, 서로 이음하고자 하는 두 개의 옷본에 각각 속으로 접혀 들어가는 솔기부분인 시접을 형성하여 상기 시접들을 겹친 후, 박음질을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끝단처리 방법으로는 통상 오버룩 처리를 행하는데, 이는 소정의 두께로 넓은 휘갑치기를 행하면서 천의 단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끝단의 올풀림을 방지하게 되며, 이후 오버룩 처리한 단을 접어 박음질 함으로써 끝선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앞여밈을 위하여 단추구멍을 내거나 단추를 다는 앞섶 부분은 몸판과 같은 천으로 안단을 대고 박음질 한 다음 뒤집어서 완성하므로 앞섶 부분의 천은 2겹 혹은 3겹 이상이 된다.
그러나 실크나 레이온 같은, 안감을 넣지 않고 제작하는 얇은 원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박음질방법으로 단처리 및 이음매 처리 등을 행하는 경우 얇은 원단 특유의 부드러움과 유연한 실루엣 등을 표현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얇은 원단의 경우, 속으로 접혀 들어가는 시접 부분을 따라 박음질을 행하므로 상기 박음질에 따른 시접부분의 요철현상이 발생하여 매끄러운 이음선을 기대할 수 없으며, 깃과 앞길 안단으로 심지를 붙이고 작업을 행함으로써 깃과 앞길의 두겹을 이루게 되고 상기 심지로 인하여 심지가 있는 안단과 심지가 없는 몸판의 무게 차이로 인하여 잔류 신장이 일어나 옷의 형태가 장시간 고정 및 안정되지 못하여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옷태를 저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앞판과 등판 및 소매를 연결하는 소매 암홀, 즉 진동둘레의 대부분은 종래의 오버룩 처리를 이용하여 끝단 처리를 행하므로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끝단의 요철현상으로 질적인 면에서의 한계를 가지게 되며, 안단과 칼라 및 시접이 형성되는 밑단 등으로 제거되는 원단의 낭비가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박음질방법을 개선하여 단처리 및 합복의 이음매처리 등을 박음질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접으로 행함으로써 옷 전체를 하나의 홑겹으로 완성할 수 있으며 원단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의류의 홑겹 박음질방법을 제공한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류의 단처리에 있어서, 끝단을 접어 시접을 만드는 시접형
성 1단계와, 상기 시접전체를 접어 곁침시접을 만드는 시접형성 2단계와, 상기 겹침시접 위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박음질을 행하는 박음질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의류의 이음처리에 있어서, 이음될 적어도 두장 이상의 원단을 동일면이 포개지도록 배치하는 준비
단계와, 이음될 부분의 끝단을 접어 시접을 만드는 시접형성 1단계와, 상기 시접을 감싸도록 시접과 접하
는 원단을 접어 겹침시접을 만드는 시접형성 2단계와, 상기 겹침시접 위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박음질을
행하는 박음질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끝단과 이음매처리 등을 최소한의 시접 사용으로 행하여 홑겹으로 옷 전체를 제작할 수 있으므
로, 원단 특유의 부드러움과 유연한 실루엣 등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박음질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접을 사용하여 옷 전체를 하나의 홑겹으로 완성함으로써 얇은 원단의 경우, 원단 특유의 특성들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으며, 원단의 낭비요소를 감소시켜 질적인 면에서의 향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단처리와 이음매처리로 인한 안면과 겉면의 구별이 거의 없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구분없이 양쪽면으로 모두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으로 제작하는 의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으로 제작하는 의류의 후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가운데 단처리 방법의 단계를 도시하는 단계 순서도.
제4도~제8도는 제3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원단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가운데 이음매처리 방법의 단계를 도시하는 단계 순서도.
제10도~제18도는 제9도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원단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홑겹 박음질방법으로 제작되는 의류의 전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의류의 후면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의는 통상 좌우 한 쌍으로 재단되는 앞판(2,4) 및 뒤판(6,8)과, 좌우 소매(10,12)와, 깃(14)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의는 각각의 옷본들을 천 위에 뜨고 이를 재단한 다음 상기 옷본들을 이음하여 하나의 상의로 완성하는 것으로, 상기 좌우 앞판(2,4)은 각각의 좌우 뒤판(6,8)과 이어지고, 좌우소매(10,12)는 상기 결합된 좌우 앞판(2,4)과 뒤판(6,8)에 각각 결합되며, 깃(14)은 그 일단이 좌측앞판(4) 또는 우측앞판(2)에서 이음되기 시작하여 뒤판 중앙(6,8)을 따라 반대쪽 앞판(2,4)으로 연결됨으로써 마무리 지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옷본들이 다른 옷본들과 연결되는 이음선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하였으며, 각 본들의 끝단선은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옷본들이 다른 옷본들에 연결되는 이음매처리와 각 옷본들의 끝단부처리는 본 발명에 의해 속으로 접혀 들어가는 솔기부분인 시접을 취소화하고 심지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의 전체가 홑겹을 이루도록 박음질 처리되는 바, 점선으로 표시되는 단부처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홑겹 박음질방법 가운데 단처리 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단계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구현되는 홑겹 박음질방법은 끝단을 접어 접힘단을 만드는 시접형성 1단계(S1)와, 상기 시접을 따라 초기 박음질을 행하는 초기 박음질 단계(S2)와, 상기 초기 박음선과 근접하도록 접힘단의 끝단을 제거하는 시접끝단부 제거단계(S3)와, 상기 시접 전체를 접어 겹침시접을 만드는 시접형성 2단계(S4)와, 상기 겹침시접 위로 박음질을 행하는 박음질 단계(S5)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4~도 8은 상기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원단의 사시도로서, 음영처리한 부분이 원단의 겉감을, 음영처리하지 않은 부분이 원단의 안감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원단의 끝단을 접어 겉감이 안감을 향하도록 시접을 만든 후(S1),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초기 박음질을 수행하여 초기 박음질 단계(S2)를 완성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초기 박음질이 완성된 시접(18)의 끝단부가 초기 박음선(20)과 매우 근접하도록 시접(18)의 끝단부를 가위 등의 수단으로 절개하여 제거하며(S3), 이 후 도 6에서 도시하듯이 상기 초기 박음질이 완성된 시접(18) 전체를 기준선 A를 중심으로 안단을 향하여 접어 겹침시접(22)를 형성한다.(S4)
상기 시접형성 2단계(S4) 후,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 박음선(20)과 평행하게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박음질을 행하는 바(S5), 상기 박음질은 원단(16)에 상기 겹침시접(22)이 공고히 이음될 수 있도록 안면을 향하는 겹침시접(22)의 단부로 시행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박음질 단계(S5) 까지의 모든 단계를 마치고 완성된 원단(16)을 겉면에서 바라보면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줄의 박음선(24)만이 나타나므로 단처리가 간결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지며, 종래와 같이 원단에 겹치는 일정한 길이의 시접 대신 박음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소한의 폭을 갖는 시접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이 새롭게 구현하는 홑겹 박음질방법 가운데 각각의 옷본들을 연결시키는 이음매처리에 대한 박음질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이음매처리를 위한 홑겹 박음질방법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단계 순서도로서, 이음될 두장의 원단을 겹치도록 배치하는 준비단계(P1)와, 이음선을 따라 초기 박음질을 행하는 초기 박음질 1단계(P2)와, 상기 초기 박음질이 완성된 끝단을 접어 시접을 만드는 시접형성 1단계(P3)와, 상기 시접의 끝단부를 제거하는 시접끝단부 제거단계(P4), 상기 시접 위로 박음질을 행하는 초기 박음질 2단계(P5)와, 상기 시접을 감싸도록 시접과 마주하는 한 장의 원단을 접어 겹침시접부를 만드는 시접형성 2단계(P6)와, 상기 겹침시접부 위로 박음질을 행하는 박음질 단계(P7)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도 18은 상기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원단의 사시도로서, 상기한 도면들과 동일하게 음영처리한 부분이 겉감을 , 음영처리하지 않은 부분이 원단의 안감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음될 두장의 원단(26,28)을 겉면과 겉면이 마주하도록 배치한 다음(P1), 화살표 방향을 따라 초기 박음질을 행하며(P2), 상기 초기 박음질이 완성된 2장의 원단(26,28)을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선 B를 중심으로 접어 시접(32)를 형성한다.(P3)
그리고 도 12에서 도시하듯이 상기 초기박음선(30)과 근접하도록 시접(32)의 끝단부를 가위 등의 수단으로 절개하여 제거함으로 시접끝단부 제거단계(P4)를 수행한다.
상기 시접끝단부 제거(P4)후,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기 박음선(30)과 평행하도록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2초기 박음질을 행하여 초기 박음질 2단계(P5)를 완성하는데, 이 때 시접(32)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으로는 제2초기 박음선(34)만이 나타나게 되며, 이를 도 14에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접(32)를 감싸도록 상기 시접(32)과 접하는 제1원단(26)을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 겹침시접부(36)를 형성하며(P6), 이의 완성된 모습은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상기 겹침시접부(36) 형성(P6) 후, 도 17에서 도시하듯이 겹침시접부(36) 위로 제2초기 박음선(34)과 평행하도록 화살표 방향을 따라 완성 박음질을 행하면(P7), 제1원단(26)과 제2원단(28)이 이어지는 안면으로 2줄의 박음선이 나타나며 종래와 같이 일정 길이의 끝단을 가지는 시접부 없이 간결하게 이음된다.
또한 이를 겉면에서 바라보면 도 1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줄기의 완성 박음선(38)만이 나타나므로 더욱 간결한 이음매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끝단과 이음매 처리에 있어서, 박음질이 행해지는 시접은 시접끝단 없이 대략 01~015mm정도의 극히 좁은 폭으로 이루어지며, 겉면으로 노출되는 박음선 수는 한줄이고, 안면으로 노출되는 박음선 수는 두줄로서 안면과 겉면의 박음선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단처리와 이음매처리로 인한 안면과 겉면의 구별은 거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면과 겉면의 구분 없이 어느면으로든 착용할 수 있으며, 이로서 채색이나 무늬 등을 달리하여 안면과 겉면에 차별을 가하는 경우, 한벌의 옷으로 두 벌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 또한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7)

  1. 의류의 단처리에 있어서, 끝단을 접어 시접을 만드는 시접형성 1단계와; 상기 시접 전체를접어 겹침시접을 만드는 시접형성 2단계와; 상기 겹침시접 위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박음질을 행하는 박음질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형성 2단계 전에 시접 위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박음질을 행하는 초기 박음질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박음질 단계 후에 초기 박음선과 근접하도록 시접의 끝단을 제거하는 시접끝단부 제거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4. 의류의 이음처리에 있어서, 이음될 적어도 두장 이상의 원단을 동일면이 포개지도록 배치하는 준비단계와; 이음될 부분의 끝단을 접어 시접을 만드는 시접형성 1단계와; 상기 시접을 감싸도록 시접과 접하는 원단을 접어 겹침시접을 만드는 시접형성 2단계와; 상기 겹침시접 위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박음질을 행하는 박음질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형성 1단계 전에 이음선을 따라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박음질을 행하여 시접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초기 박음질 1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형성 1단계 후에 초기 박음선과 근접하도록 시접의 끝단을 제거하는 시접끝단부 제거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형성 2단계 전에 시접 위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박음질을 행하여 겹침시접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초기 박음질 2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KR1020190082957A 2019-07-10 2019-07-10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KR20210007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957A KR20210007107A (ko) 2019-07-10 2019-07-10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957A KR20210007107A (ko) 2019-07-10 2019-07-10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107A true KR20210007107A (ko) 2021-01-20

Family

ID=7430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957A KR20210007107A (ko) 2019-07-10 2019-07-10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71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4452A (zh) * 2022-08-08 2022-11-18 江苏中馨纺织智能设备有限公司 自动缝制机双边向下卷边折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4452A (zh) * 2022-08-08 2022-11-18 江苏中馨纺织智能设备有限公司 自动缝制机双边向下卷边折叠装置
CN115354452B (zh) * 2022-08-08 2023-12-19 江苏中馨纺织智能设备有限公司 自动缝制机双边向下卷边折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80268A (ja) 伸縮性布地の縫製方法
WO2006129686A1 (ja) 身頃筒状部に開き部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US3875768A (en) Knitted terminal edging
KR101660651B1 (ko) 깨끼한복용 이음매의 박음질 방법
KR20210007107A (ko) 방법을 개선한 의류 박음질 방법
KR20210048193A (ko) 원래 모양을 유지할 수 있는 니트 소재 목깃 제조방법 및 니트소재 목깃을 이용한 의류
KR100234884B1 (ko) 의류 홑겹 박음질방법
JP2019044286A (ja) テーラードジャ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97008B1 (ko) 라운드형 목깃 및 그 제조 방법
WO2021057135A1 (zh) 一种全成形横向沿背中心分片编织方法及编织织物
JPH08299627A (ja) 布地の縫製方法
KR101666772B1 (ko) 의복의 개선된 트임구조 및 의복 트임부의 제작 방법
JP2019203234A (ja) 縫い構造の製造方法及び服地
JP3049066U (ja) 前後及び表裏兼用に着用可能な衣服
JP2001164448A (ja) 経編による衣類用の無縫製生地と、これを用いた衣類の製造方法
JPH10504071A (ja) ニット・ウェア製造法
JPH0770885A (ja) ポケット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
JP3246302U (ja) 上着
JP3224045U (ja) ビジネスカジュアルウェア
US3277496A (en) Shirt placket construction
US2204152A (en) Collar, cuff, and the like
JP3434810B1 (ja) 縫製物の縫合せ方法
US3009161A (en) Unitary insert structure for shirts and the like
JP3231812U (ja) 上衣
JP2001295116A (ja) 編成された衿地及びこの衿地を備えた衣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