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868A -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868A
KR20210006868A KR1020200084387A KR20200084387A KR20210006868A KR 20210006868 A KR20210006868 A KR 20210006868A KR 1020200084387 A KR1020200084387 A KR 1020200084387A KR 20200084387 A KR20200084387 A KR 20200084387A KR 20210006868 A KR20210006868 A KR 20210006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polyurethane foam
flame retardant
graphite
rigid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성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
Publication of KR20210006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86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1816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having carbocycl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1825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having hydroxy or primary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5Water, e.g. hydrated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제조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50~60℃로 가열하여 폴리에스터폴리올과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혼합하는 주원료 혼합 단계; 상기 주원료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에 흑연 난연제를 투입하는 단계;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로서 트리클로로 이소 프로필 인산(TCPP:(Tris-chloroisopropyl)phosphate)과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로서 트리클로로 에틸 인산(TCEP: Tris(2-chloroethyl)phosphate)을 혼합하는 보조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주원료 및 보조 원료 혼합 단계를 거친 주원료와 보조 원료에 가교제 로서 실리콘 오일과 촉매제로서 디메틸에탄올(dimethyletanol) 아민, 디메틸시클로(dimethylcyclohexyl,DMCHA) 아민 중 어느 하나의 아민계 촉매를 투입하는 첨가제 투입 단계;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주원료와 보조 원료 그리고 첨가제가 혼합 조성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의 물을 투입, 발포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nvironment-friendly water-blown rigid polyurethane foam}
본 발명은 건축, 전자제품, 패널 또는 선박 등의 단열재로 이용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폼의 부스러짐 없이 열전도 성능을 유지하고 기존보다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도록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 한편 난연성능을 개선하고, 위생 보건용 구조재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폼)는 단열 성능, 치수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냉장고, 냉동 4창고, 건축 재료 등의 단열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경질 폴리우레탄 폼은 뛰어난 단열성을 살려, 주택용 재료, 냉동선, LNG 탱크, 석유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에너지 기술과 저온기술에 불가결한 재료로 용도의 확대가 추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종래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발포제로는 낮은 열전도율과 바람직한 비점을 가지는 클로로플로로카본류(CFC계)와 하이드로 클로로플로로카본류인 HCFC계를 사용하고 있으나 기후 변화 협약에 대한 교토의정서가 2005년 공식적으로 발효된 이후로 오존층 파괴 물질인 CFC계와 HCFC계는 이 협약에 따라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클로로플루오로카본류(CFC계)는 분자 중에 염소 원자를 포함하고, 또한 안정적인 분자이므로 확산 효과에 의해 오존층까지 도달하고 오존과 반응하여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로 분류되어 CFC계의 사용은 전면적으로 폐지되어 있으나 현재,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발포제로는 하이드로 클로로플로로카본류(HCFC계), 하이드로플로로카본류(HFC계) 또는 사이클로펜탄(C-Pentane)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단열 성능이 요구되는 것에 대해서는, HCFC류 중에서도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HCFC-141b의 사용이 주류가 되고 있으나 이러한 물질들은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 파괴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이 발포제는 최근에는 펜탄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펜탄 등의 발포제는 폭발 위험성이 있어 취급시 반드시 방폭 설비가 갖춰져야 사용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 방폭 설비는 일반설비에 비해 설비비가 고가여서 중소 제조업체에서 투자하여 설치 운용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조성하는 조성물이 복잡하고 발포 안전에도 문제가 많아 생산성을 개선하고 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고, 난연성능을 개선하고, 위생 보건용 구조재로 사용이 적합한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5-0046871(공개일2014년04월21일)
특허문헌 2.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2-0074560(공개일2012년07월06일)
특허문헌 3.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1-0129429(공개일2011년09월23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오존층 파괴 물질이나 유사 발포제의 사용 없이 수발포로 대체하여 친환경적으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친환경적으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서 방폭설비 없이 저비용으로 폴리우레탄폼을 안정적으로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난연성능을 개선하고 동시에 위생 보건용 구조재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제조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50~60℃로 가열하여 폴리에스터폴리올과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혼합하는 주원료 혼합 단계; 상기 주원료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에 흑연 난연제를 투입하는 단계;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로서 트리클로로 이소 프로필 인산(TCPP:(Tris-chloroisopropyl)phosphate)과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로서 트리클로로 에틸 인산(TCEP: Tris(2-chloroethyl)phosphate)을 혼합하는 보조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주원료 및 보조 원료 혼합 단계를 거친 주원료와 보조 원료에 가교제 로서 실리콘 오일과 촉매제로서 디메틸에탄올(dimethyletanol) 아민, 디메틸시클로(dimethylcyclohexyl,DMCHA) 아민 중 어느 하나의 아민계 촉매를 투입하는 첨가제 투입 단계;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주원료와 보조 원료 그리고 첨가제가 혼합 조성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의 물을 투입, 발포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연 난연제의 투입 단계에서, 흑연 난연제의 사용량은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이 혼합된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2~3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연 난연제에는 화염 접촉시 흑연의 팽창을 촉진하여 탄화막의 형성을 도와 난연성을 배가시키는 팽창제를 흑연과 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흑연 난연제에는 흑연의 입자 침전을 억제하기 위한 분산제를 첨가하여 흑연의 침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제는 흑연의 분산 효율을 위해 폴리올과 흑연의 브랜딩 이 완료된 이후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원료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2중량부의 항균제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제는 물에 용해되는 것을 사용하되 용해 온도 50℃의 온수에 사전 투입하여 용해된 상태에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원료 혼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보조 원료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혼합한 주원료에 혼합되는 상기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의 함량을 상기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에 비해 2 내지 3배로 조절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물성치나 열전도 성능을 위해 환경 파괴 물질인 CFC계 및 HCFC계의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수발포로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함으로써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기존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특성을 유지 할 수 있도록 경질 폴리우레판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펜탄 계열의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방폭설비 없이 수발포로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함으로써 방폭설비 등을 포함하는 제조시설 투자 비용을 줄이고 제조 안전성과 제품 신뢰성을 개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흑연이 첨가된 난연제 사용하여 화재발생시 팽창하는 흑연의 팽창 원리로 화재발생시 팽창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자체적으로 탄화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난연성을 배가시켜 비교되는 유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비해 우수한 난연성능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cas no 27668-52-6 항균제를 사용하여 냉동, 냉장이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고, 특히 외부로 부터 침투하는 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청결 위생 및 보건 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KS F 2271의 난연 등급 2급과 난연 등급 3급을 충족시키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0.023 W/mK(0.0198 kcal/mhr℃) 이하의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KS M 1998-2의 T-VOC(휘발성유기화합물방출량)을 기준치 1.25mg/㎡h 이하 HCHO(폼알데하이드방출량)을 기준치 4mg/㎡h 이하로 만족시키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ODP(오존층파괴지수)가 0이고, GWP(지구온난화지수)가 0인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박용, 주택용, 패널용, 보드용 등에 적합한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펜탄 계열의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방폭설비 없이 수발포로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폭설비 등을 포함하는 제조시설 투자 비용을 줄이고 제조 안전성과 제품 신뢰성을 개선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흑연이 첨가된 난연제 사용하여 화재발생시 팽창하는 흑연의 팽창 원리로 화재발생시 팽창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자체적으로 탄화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난연성을 배가시켜 비교되는 유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비해 우수한 난연성능을 얻을 수 있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cas no 27668-52-6 항균제를 사용하여 냉동, 냉장이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고, 특히 외부로 부터 침투하는 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청결 위생 및 보건 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혼합하는 주원료 혼합 단계와, 주원료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에 흑연 난연제를 투입하는 단계와,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 Tris-chloroisopropyl(chloropropyl) phosphate)와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Tris-chloroisopropyl(chloroethyl) phosphate)를 혼합하는 보조 원료 혼합 단계와, 상기 주원료 및 보조 원료 혼합 단계를 거친 주원료와 보조 원료에 가교제 로서 실리콘 오일과 촉매제로서 디메틸에탄올(dimethyletanol) 아민, 디메틸시클로(dimethylcyclohexyl,DMCHA) 아민 중 어느 하나의 아민계 촉매를 투입하는 첨가제 투입 단계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주원료와 보조 원료 그리고 첨가제가 혼합 조성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의 물을 투입, 발포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주원료는 폴리올(Polyol-1/Polyol-2, 폴리히드록시화합물)로서 관능기와 수산기를 갖는 것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은 20~1000mgKOH/g의 평균 수산기 중 240mgKOH/g수산기와 점도 1000~1200cps,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은 20~1000mgKOH/g의 평균 수산기 중 320mgKOH/g수산기와 점도 1800~2500cps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산기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Isocyanate group, -N-C=O)와 부가 중합반응(AdditionPolymerization Reaction)하는 것으로서, 평균 수산기가 20~1000mgKOH/g를 갖는 것을 이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와의 가교밀도가 커지도록 하여 제조완료된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경질의 물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주원료인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혼합하는 경우 바람직한 수산기는 시험결과 200~400mgKOH/g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원료인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혼합하는 주원료 혼합 단계에서는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50~60℃로 가열하는 가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원료의 혼합에서 주원료를 50~60℃의 온도로 조성하는 가열 단계를 거치는 경우, 발포제인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킬 때 생성되는 발포체 셀의 모양과 크기를 양호한 상태로 조절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흑연 난연제 투입 단계에서, 흑연 난연제의 사용량은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이 혼합된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2~3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흑연 난연제의 투입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기술적인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흑연 난연제의 투입 단계에서, 흑연 난연제의 사용량은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이 혼합된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2~3중량부를 투입한다.
둘째, 흑연 난연제에는 화염 접촉시 흑연의 팽창을 촉진하여 탄화막의 형성을 도와 난연성을 배가시키는 팽창제를 흑연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셋째, 흑연 난연제에는 흑연의 입자 침전을 억제하기 위한 분산제를 첨가하여 흑연의 침전을 제어하도록 처리한다.
넷째, 분산제는 흑연의 분산 효율을 위해 폴리올과 흑연의 브랜딩이 완료된 이후에 투입한다.
여기서, 흑연 난연제의 투입은 일반적인 수발포는 발포체를 물로 사용하기 때문에 난연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흑연이 첨가된 난연제 사용하였고,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100중량부(parts)당 2중량부(parts)를 첨가할 수 있다. 이렇게 폴리올에 첨가되는 흑연은 발포 후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미세 입자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발포체에 존재하는 흑연 미세입자는 발포체에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고른 분포로 분포할수록 평균적으로 우수한 난연성을 기대할 수 있다.
흑연이 미세 입자로 잔류하는 발포체에 화염이 접촉하는 경우 흑연 특성상 팽창 현상이 일어나고 그 원리로 화재 발생시 팽창하여 발포체에 탄화막을 자체적으로 형성하게 하여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흑연 입자가 고른 분포로 미세하게 분포하지 않을 경우 난연성능이 저할 수 있는데 이런 문제는 흑연 난연제를 폴리올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고 있다.
즉, 흑연 특성상 혼합물에 혼합되는 경우 침전이 일어나는 현상이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분산제를 첨가하여 침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폴리올과 혼합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 반드시 폴리올과 먼저 브랜딩 후 투입하는 것이 우수한 난연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주원료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2중량부의 항균제를 투입한다.
항균제는 물에 용해되는 것을 사용하되 용해 온도 50℃의 온수에 사전 투입하여 용해된 상태에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에 투입한다.
항균제의 투입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기술적인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항균제로는 'FandaChem'사의 'cas no 27668-52-6' 항균제이다(cas no 27668-52-6(https://www.fandachem.com/aem-5700-antimicrobial-CasNo-27668-52-6.html) 인터넷 사이트 참조).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 개시된 'FandaChem'사의 'cas no 27668-52-6' 항균제는 MF:26583CHClnosi/EINECS:248-595-8/분자 무게:496.29이고 항균성 및 안티 펑거스 콰트 실란 사양은 IPA(Isopropanol)60%, 프로필렌 글리콜(PG)60%, 메탄올 42%, IPA42% 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대부분은 냉동, 냉장이 필요한 곳에 쓰이기 때문에 외부로 부터 침투하는 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항균 기능이 필요하다.
일반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서 첨가물로서 항균제의 첨가 자체는 공지되어 있으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서는 보다 정밀하게 선별된 항균제의 선택과 폴리올과의 혼합에 관한 기술적인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항균제는 물에 용해는 되지만 반드시 50℃의 온수에 녹여서 사용할 때 유의미한 항균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50℃ 이하의 용해 온도에서 항균제를 ㅌ투투입하는 경우 항균 기능을 상실하거나 저하 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용해 온도에 주의가 필요하다. 항균제의 사용량은 폴리올 100중량부(parts)당 1.5~2중량부(parts)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드시 온수에 녹여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난연제로 사용되는 흑연 난연제, 'FandaChem'사의 'cas no 27668-52-6' 항균제로 구분되는 두 원료는 모두 무기질이며 수용성으로 친환경 적이므로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서 바람직한 첨가제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원료 혼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보조 원료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혼합한 주원료에 혼합되는 상기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의 함량을 상기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에 비해 2 내지 3배로 조절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원료로 사용되는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 Tris-chloroisopropyl(chloropropyl) phosphate)는 경질 계통에 사용되고,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Tris-chloroisopropyl(chloroethyl) phosphate)는 연질 계통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조 원료를 TCPP와 TCEP로 혼합 조성하여 주원료에 혼합 사용하는 경우, TCPP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부스러짐이 적고, 적당한 경연성을 얻을 수 있다. 시험 결과 보조 원료로서 TCPP와 TCEP를 혼합 조성하여 폴리우레탄폼을 제조하는 경우 단열재로 필수적인 낮은 열전도율 유지와 부스러짐이 적어 구조 재료로 형상화하는데 필요로 하는 적절한 밀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혼합한 주원료에 혼합되는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의 함량은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에 비해 약 2~3배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질 폴리우레탄폼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의 함량을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에 비해 더 높힘으로서 이를 통해 단열재 등의 구조 재료로 형상화하여 제조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와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는 인계난연제 분류되는 것으로서, 이는 다른 무기계, 할로윈계 등으로 구분되는 난연제에 비해 우수한 난연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주원료로서 폴리에스터폴리올 50~70중량%와 폴리에테르폴리올 10~20중량%로 혼합하고, 보조 원료로서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 1~13중량%와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 1~5중량%를 혼합하며, 첨가제로는 가교제 2~5중량%와 촉매제 2~5중량%로 조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구성하는 조성물 중 첨가제로 사용되는 가교제로서 실리콘 오일(silicone oil)이 바람직한 가교제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교제로 사용되는 실리콘 오일(silicone oil)은 곧은 사슬 모양의 디올가노폴리실록산으로서, 본 발명의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서 가교제로 투입되는 경우 넓은 온도 범위에서 점성률의 변화를 적게 하고 내열성, 내한성, 발수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도록 기능할 수 있고 비휘발성이므로, 폴리우레탄 폼 제조과정에서 포름알데하이드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용출이 거의 없다. 또한, 70~200℃에 이르는 넓은 온도 범위에서 폴리우레탄폼의 물성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 후 알코올, 아세톤, 물에 녹지 않으며 분자량이 커지면 점성도가 커지고 비중은 0.7에서 1에 가까워질 수 있으므로 단열재, 전기절연 등으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인체에 대해서는 무해하므로,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가교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촉매(CAT-1~4, catalyst)로는,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ethanol amine, DMEA), 디메틸시클로아민(dimethylcyclohexyl amine, DMCHA)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아민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텔시클로헥신아민(dimethylcyclohexyl amine, DMCHA), 펜타메틸렌디에틸렌트리아민(pentametylenediethylene triamine, PMDETA), 테트라메틸렌-헥실디아민(tertamethylene-hexyldiamine,TMHDA)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포 단계에서 발포제로 사용되는 물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조성물 100중량부는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 가교제, 촉매제가 혼합된 혼합물로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로 투입하는 물의 양이 3중량%이하이면, 발포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5중량%를 초과하면 발포 밀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제로 투입하는 물은 3~5중량%로 조절하여 발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발포제로 사용되는 물은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간의 고분자 반응 중에 기포를 생성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경우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제조 완료 후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셀이 일정의 밀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물의 조성이 3중량% 이하이면,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이 미량이어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가 50kg/㎥ 이상으로 높아져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경질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이 많아져 제조 완료된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가 25kg/㎥ 이하로 낮아져 폴리우레탄 발포체가 지나치게 연질화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투입되는 물은 3~5중량%로 조절하여 발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오존층의 파괴 또는 지구온난화를 야기하는 CFC(염화불화탄소), HCFC(수소화염화플루오르화탄소) 또는 HFC(수소화불화탄소)를 발포제로 사용하지 않고 물을 발포제로 사용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사 발포제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인 C-Pentane, N-Pentane와 같은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폭발방지를 위한 방폭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설비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생산원가 절감을 포함하여 생산성과 제조의 효율 및 제조 안전성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터폴리올 50~70중량%와 폴리에테르폴리올 10~20중량%를 혼합하는 주원료 혼합 단계;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 10~13중량%와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 3~5중량%를 혼합하는 보조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주원료 및 보조 원료 혼합 단계를 거친 주원료와 보조 원료에 가교제 2~5중량%와 촉매제 2~5중량%를 투입하는 첨가제 투입 단계; 및 발포제로서 물 3~5중량%를 상기 주원료와 보조 원료 및 첨가제가 혼합 조성된 조성물에 투입, 발포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와 관련하여, 폴리에스터폴리올 50~70중량%와 폴리에테르폴리올 10~20중량%를 혼합하는 주원료 혼합 단계에서는 서로 혼합되기 이전의 각 수지의 온도를 50~60℃의 상태에서 상호 혼합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수지 온도가 50℃ 미만이면, 발포제인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발포체 셀의 모양과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져 제조 완료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60℃를 초과하면, 발생된 이산화탄소가 높은 온도에 의하여 급격하게 발포체 외부로 빠져나가 제조완료된 경질 폴리우레탄발포체의 밀도가 지나치게 낮아짐과 동시에 발포체 셀의 모양이 일정하지 못하게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서로 혼합되기 이전의 각 수지의 온도는 50~60℃의 상태에서 상호 혼합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조성을 제1 내지 5의 실시예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표이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폴리올-1 100 70 20
폴리올-2 30 70 50
폴리올-3 30 20 70
폴리올-4 10 10
폴리올-5 20
TCPP 17 17 17 17 17
silicone oil 4 4 4 4 4
CAT-1~4 4 4 4 4 4
4 4 4 4 4
C-MDI 1:1 1:1 1:1 1:1 1:1
다음의 표 2는 상기 표 1의 제1 내지 5의 각 실시예들에 따라 KS M 3809(열전도율) 및 KS M 1998-2(포름알데하이드 방출량) 그리고 각 물성시험을 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밀도(kg/㎥) 42 37 36 38 40
열전도율 0.029 0.025 0.023 0.025 0.026
독립기포율 85%이상 85%이상 85%이상 85%이상 85%이상
VOCs - - - - -
creem time 3 2 2 3 3
tack time 7 6 6 7 7
gel time 11 11 9 10 1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열전도율을 비교 대조군과 단열재의 종류로 구분 비교하여 KS M 3809(열전도율)에 따라 측정한 결과 다음의 표 3과 같이 측정되었다.
단열재의 종류별로 구분 측정된 열전도율(0℃)
구분(단열재의 종류) 열전도율〔㎉/mㆍhㆍ℃〕
경질 폴리우레탄 폼(본 발명의 실시예 2) 0.025
대조군-폴리스티렌 폼(융착 성형) 0.032
대조군-폴리스티렌 폼(압출 성형) 0.029
대조군-로크울 0.034
대조군-유리 섬유 0.038
대조군-경질 섬유판 0.04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들의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열전도율은 비교 대조군들에 비해 가장 낮은 열전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KS M 3809의 측정 평가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은 열전도율이 0.024W/mK(0.0172kcal/mhr℃)이하의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다른 대조군들인 폴리스크렌폼(융착/압착), 로크울, 유리 섬유, 경질 섬유판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열전도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밀도 36~42kg/㎥, 열전도율 0.029W/mK(0.0172kcal/mhr)이하, 독립기포율 85%이상, VOCs 미검출 등의 특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단열재 및 냉장, 냉동용 구조 재료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KS F 2271의 난연 등급 2급과 난연 등급 3급을 충족시키고, 열전도율이 0.024W/mK(0.0198 kcal/mhr℃) 이하의 우수한 단열성을 충족시키며, KS M 1998-2의 T-VOC(휘발성유기화합물방출량)을 기준치 1.25mg/㎡h 이하 HCHO(폼알데하이드방출량)를 기준치 4mg/㎡h 이하로 만족시키면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제로 물을 사용함으로써 ODP(오존층파괴지수)가 0이고, GWP(지구온난화지수)가 0인 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펜탄 계열의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사용하여 방폭설비 없이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폭설비 등을 포함하는 제조시설 투자 비용을 줄이고 제조 안전성과 제품 신뢰성을 개선하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흑연이 첨가된 난연제 사용하여 화재발생시 팽창하는 흑연의 팽창 원리로 화재발생시 자체적으로 팽창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자체적으로 탄화막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을 배가시켜 비교되는 유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비해 우수한 난연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cas no 27668-52-6 항균제를 사용하여 냉동, 냉장이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고, 특히 외부로 부터 침투하는 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청결 위생 및 보건 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Claims (8)

  1.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제조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50~60℃로 가열하여 폴리에스터폴리올과 폴리에테르폴리올을 혼합하는 주원료 혼합 단계; 상기 주원료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에 흑연 난연제를 투입하는 단계;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로서 트리클로로 이소 프로필 인산(TCPP:(Tris-chloroisopropyl)phosphate)과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로서 트리클로로 에틸 인산(TCEP: Tris(2-chloroethyl)phosphate)을 혼합하는 보조 원료 혼합 단계; 상기 주원료 및 보조 원료 혼합 단계를 거친 주원료와 보조 원료에 가교제 로서 실리콘 오일과 촉매제로서 디메틸에탄올(dimethyletanol) 아민, 디메틸시클로(dimethylcyclohexyl,DMCHA) 아민 중 어느 하나의 아민계 촉매를 투입하는 첨가제 투입 단계;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주원료와 보조 원료 그리고 첨가제가 혼합 조성된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의 물을 투입, 발포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 난연제의 투입 단계에서, 흑연 난연제의 사용량은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이 혼합된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2~3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 난연제에는 화염 접촉시 흑연의 팽창을 촉진하여 탄화막의 형성을 도와 난연성을 배가시키는 팽창제를 흑연과 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 난연제에는 흑연의 입자 침전을 억제하기 위한 분산제를 첨가하여 흑연의 침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흑연의 분산 효율을 위해 폴리올과 흑연의 브랜딩이 완료된 이후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 혼합 단계에서 혼합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2중량부의 항균제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물에 용해되는 것을 사용하되 용해 온도 50℃의 온수에 사전 투입하여 용해된 상태에서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 혼합물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원료 혼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보조 원료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터폴리올(polyol-1)과 폴리에테르폴리올(polyol-2)을 혼합한 주원료에 혼합되는 상기 제1 우레탄난연가소제(TCPP)의 함량을 상기 제2 우레탄난연가소제(TCEP)에 비해 2 내지 3배로 조절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0200084387A 2019-07-09 2020-07-08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 KR202100068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2901 2019-07-09
KR1020190082901 2019-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868A true KR20210006868A (ko) 2021-01-19

Family

ID=7423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387A KR20210006868A (ko) 2019-07-09 2020-07-08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6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336B1 (ko) * 2023-03-17 2023-07-06 강응선 3액형 시스템을 이용한 심재 준불연성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폼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429A (ko) 2009-02-26 2011-12-01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분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74560A (ko) 2010-12-28 2012-07-06 김경현 수발포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KR20150046871A (ko) 2013-10-23 2015-05-04 조혁진 레이저를 이용한 경사각도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429A (ko) 2009-02-26 2011-12-01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분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74560A (ko) 2010-12-28 2012-07-06 김경현 수발포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KR20150046871A (ko) 2013-10-23 2015-05-04 조혁진 레이저를 이용한 경사각도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336B1 (ko) * 2023-03-17 2023-07-06 강응선 3액형 시스템을 이용한 심재 준불연성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폼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6847B2 (ja) ポリウレタン発泡用組成物、ポリウレタン発泡体、およびその使用
EP3036288B1 (en) Rigid foam and associated article and method
JP2016531196A (ja) 混合発泡剤を使用して独立気泡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を作製するための真空支援方法
JP5547722B2 (ja) 天然油ポリオールを用いる、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方法
CN104017154B (zh) 电热水器用组合聚醚、聚氨酯及原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PL192466B1 (pl) Sposób wytwarzania sztywnej pianki poliuretanowej
KR100585531B1 (ko) 경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냉재
JP2004285321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保冷材
KR20210006868A (ko) 친환경 수발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방법
CA2610410C (en) Polyurethane foam and a resin composition
BR0115467B1 (pt) processo para produzir uma espuma de poliuretano rÍgida de baixa densidade, espuma de poliuretano rÍgida e painel isolante tÉrmico.
CN109422907B (zh) 包含多胺和醇胺盐的发泡剂及用于聚氨酯连续板泡沫体材料中的用途
KR20170002016A (ko) 우레탄품의 난연성과 단열성이 보완된 우수한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2567888B1 (ko) 페놀 수지 발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KR20220051846A (ko) 가공성이 개선된 대체 발포제를 갖는 난연성 폴리우레탄 폼
JP6768631B2 (ja) 難燃性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
KR101297582B1 (ko) 시클로펜탄 난연성 경질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KR20160023050A (ko) 메틸포메이트 발포제를 사용한 고난연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재
KR100978577B1 (ko) 수용성 발포 팽창 경질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JP7289203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
KR20190014522A (ko) 난연성 반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KR20120074560A (ko) 수발포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KR100975091B1 (ko) 경질 폴리우레탄폼용 포리올 조성물 및 경질폴리우레탄폼의 제조 방법
KR20030059697A (ko)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KR101446339B1 (ko) 스프레이용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