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263A - 다각프레임의 절곡 및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다각프레임의 절곡 및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263A
KR20210006263A KR1020190082357A KR20190082357A KR20210006263A KR 20210006263 A KR20210006263 A KR 20210006263A KR 1020190082357 A KR1020190082357 A KR 1020190082357A KR 20190082357 A KR20190082357 A KR 20190082357A KR 20210006263 A KR20210006263 A KR 2021000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contact
frame
ben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섭
Original Assignee
(주)스틸아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틸아토 filed Critical (주)스틸아토
Priority to KR102019008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6263A/ko
Publication of KR2021000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1Construction of forming members having more than on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은, 설정 길이와 설정 너비 및 설정 높이를 갖는 판재를 구비하는 단계;상기 판재의 양 측단에 일정 간격마다 레이저 절단 가공 후, 절곡 라인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판재를 굽힘 공정에 의해 봉 부재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봉 부재의 일 면은 연결 면으로 두고, 일정 간격마다 상기 레이저 절단공정에 의해 상기 연결 면의 일 측으로 서로 대향되는 접촉 면을 접촉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 면에 대한 휨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대향되는 접촉 면들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봉 부재의 양 단부가 접촉되는 배면 부위에 용접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한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은, 다각 형상을 이루되, 외면 둘레의 모서리부 중 하나의 모서리부만 접촉되어 연결되고, 나머지 모서리부들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되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각프레임의 절곡 및 제작방법{method of makingcutting and polygonal frames}
본 발명은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및 이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각 형상의 테두리를 이루는 프레임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제작 방법 및 이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 등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그 주변 둘레를 철재나 목재 등의 프레임으로 감싼 형태로 제작된다.
즉, 거울 등은 파손의 우려가 크고 손으로 직접 잡는 경우 얼룩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상해의 우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 주변 둘레의 테두리를 일정 두께의 프레임으로 감싸도록 하여 제작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소시키게 된다.
이 때, 프레임은 거울 등의 주변 테두리를 감쌈에 따라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거울 등의 프레임은 원 형상을 비롯하여 다각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원 형상의 프레임은 그 공정이어려워 제작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거울 등의 프레임은 다각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게 되는데, 철재의 프레임을 제작하게 되는 경우, 여러 개의 조각 편들을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제작한 후, 각각의 조각 편들 접촉 면을 용접 등에 의해 조립시켜서 제작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다각 프레임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각 프레임에 거울 등의 글라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고,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각 프레임(10)은 각각 설정된 길이로 절단된 복수의 조각 편(2들)0을 구비하고, 이들 조각 편(20)들의 양 접촉 면들을 서로 연접하는 다른 조각 편들의 대응되는 접촉 면들과밀착시킨 후, 용접 등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다각 프레임(10)을 제작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다각 프레임(10)은 8각 형상인 것이므로, 이의 경우 모두 8개의 조각 편들을구비하되, 이들 각 조각 편들의 양 접촉 면이 설정 각도를 이루도록 절단한 후, 서로 연접하는 조각 편들의 접촉 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서로 접합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서로 다른 조각 편(20)들은 모두 객체로 구비되는바, 서로 다른 조각 편(20)들을 용접에 의해 조립하는경우, 둘레 전체에 대하여 용접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바, 그 조립 공수가 늘어나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조각 편(20)들을 용접에 의해 조립시킨 경우, 각 모서리부들의 외면 측에 용접 면이 볼록하게형성되는바, 이러한 용접 면들을 모두 매끄럽게 처리하기 위하여 후 공정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전체적인 제작 공정이 길어져서 생산성이 좋지 못함은 물론 불량 발생률이 높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제작 단가가상승하게 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그 제작 공정이 간단하여 결국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있는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및 이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방법은, 설정 길이와 설정 너비 및 설정 높이를 갖는 판재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판재의 양 측단에 일정 간격마다 레이저 절단 가공 후, 절곡 라인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판재를 굽힘 공정에 의해 봉 부재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봉 부재의 일 면은 연결 면으로 두고, 일정 간격마다 상기 레이저 절단 공정에 의해 상기 연결 면의 일 측으로 서로 대향되는 접촉 면을접촉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 면에 대한 휨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대향되는 접촉 면들이 접촉된상태에서 상기 봉 부재의 양 단부가 접촉되는 배면 부위에 용접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재의 굽힙 공정에 의해 단차를 갖는 ㄱ 자 단면 형상의 봉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되는 접촉 면들은 45도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의 굽힘 공정에 의해 봉 부재가 형성된 경우, 서로 접촉하게 되는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점 용접에 의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은, 다각 형상을 이루되, 외면 둘레의 모서리부 중 하나의 모서리부만 접촉되어연결되고, 나머지 모서리부들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및 이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에 의하면,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그 제작 공정이 간단하여 결국 제작 단가가 낮아짐은 물론 불량 발생률이 줄어들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각 프레임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배면도.
도 2는 종래의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의 배면도.
도 3은 도 2의 다각 프레임에 거울 등의 글라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에 사용되는 원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원판에 레이저 가공 후, 절곡 라인을 커팅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의 공정 순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 8은 도 6의 원판을 굽힘(절곡) 공정에 의해 단차를 갖는 봉 부재로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봉 부재에서 일 면을 제외한 타 면에 설정 각도를 갖는 접촉 면들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10 내지 도 16은 봉 부재를 순차적으로 휨 공정에 의해 다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작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17은 도 16의 다각 프레임에 거울 등의 글라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각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정면도.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각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다각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및 이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에 사용되는 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원판에 레이저 가공 후, 절곡 라인을 커팅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프레임의 제작 방법의 공정 순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은, 일정 길이와 일정 너비 및 일정 두께를 갖는원판인 판재(100)를 구비한 후, 이 판재(100)를 이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정 길이와 일정 너비 및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인 판재(100)를 절단 공정에 의해 구비(S10)하고, 이 원판인 판재(100)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단에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이저 가공 후 절곡 라인의 커팅 공정(S20), 굽힘(절곡) 공정(S30), 휨 공정(S40), 용접 공정(S50)에 의해 다각 형상을 이루되, 외면 둘레의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만 연결되어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부들은 일체를 이루는 다각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일정 너비 및 일정 두께를 갖는 판재(100)를 이용하여 다각 프레임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 6 내지 도 1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6의 원판을 굽힘(절곡) 공정에 의해 단차를 갖는 봉 부재로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봉 부재에서 일 면을 제외한 타 면에 설정 각도를 갖는 접촉 면들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배면도이며, 도 10 내지 도 16은 봉 부재를 순차적으로 휨 공정에 의해 다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작한 상태를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일정 너비 및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인 판재(100)의 양 측단에일정 간격을 두고 레이저 가공 후 절곡 라인 커팅 공정(S20)을 실시하고, 이를 굽힘(절곡) 공정(S30)에 의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의 단차를 갖는 봉 부재(110)로 형성한다.
따라서, 봉 부재(110)는 굽힘이 이루어진 각 모서리들은 서로 인접하는 면 [0039] 들을 일체로 연결하게 되며, 하나의모서리부만 서로 인접하는 면들이 분리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는, 봉 부재(110)가 2단의 단차를 갖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며, 1단 즉 4각 단면 형상의 봉 부재일 수도 있고, 3단 이상의 단차를 갖는 단면 형상의 봉 부재일 수도있다.
즉, 일정 길이와 일정 너비 및 일정 두께를 갖는 판재(100)의 굽힘(절곡) 공정(S30)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을갖는 봉 부재(110)를 형성할 수 있다.
[004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에서는, 2단의 단차를 갖는 봉 부재(110)를 형성함에 따라봉 부재(110)는 대략 ㄱ 자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굽힘(절곡) 공정(S30)에 의해 단차를 갖는 봉 부재(110)를 형성하게 되면 일 면을 이루는 외면 측의일 면인 연결 면(120)을 제외한 나머지 면 들에는 레이저 가공 후 절곡 라인 커팅 공정(S20)에 의해 형성된 커팅 면(102)들에 의해 서로 대향되는 접촉 면(130 : 131,132,133,134,135,136,137)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부재(110)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일 면을 이루는 연결 면(120)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은 레이저 가공 후 절곡 라인 커팅 공정(S20)과 굽힘(절곡) 공정(S30)에 의해일정 각도를 갖도록 서로 대향되게 접촉 면(130 : 131,132,133,134,135,136,137)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면은 프레임이 제작되었을 때 외면을 이루는 면일 수 있고, 나머지 면들은 내면 및 전,후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다각 프레임은 8각 프레임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므로,레이저 절단 공정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접촉 면(130 : 131,132,133,134,135,136,137)들이 형성될 때의 일정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한 쪽의 접촉면은 연결 면(120)에 대하여 대략 675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다각 프레임이 3각 이상의 다각 프레임인 경우, 해당 각에 따라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접촉 면(130 : 131,132,133,134,135,136,137)들의 각도와 연결 면(120)에 대한 어느 한쪽의 접촉 면의 각도는 달라질 수 있다.
도 9를 다시 한 번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다각 프레임은, 8각 프레임을 이루는 경우, 레이저 가공 후 절곡 라인 커팅 공정(S20) 및 굽힘(절곡) 공정(S30)에 의해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접촉 면(130 : 131,132,133,134,135,136,137)들은 설정된 간격을 두고 모두 7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절단 공정(S40)에 의해 봉 부재(110)의 일 면 즉, 외면일 수 있는 연결 면(120)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설정 각도로 서로 대향되게 접촉 면(130 : 131,132,133,134,135,136,137)들이 형성되도록 가공된상태에서,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촉 면(130 : 131,132,133,134,135,136,137)들을 사
이에 두고 인접하는 각 부재(20)들을 휨 공정(S40)에 의해 접촉 면(130:131,132,133,134,135,136,137)들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다각 프레임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봉 부재(110)의 외면을 이루는 연결 면(120)은 레이저 가공 후 절곡 라인 커팅 공정(S20)에 의해 절단되지 않은 면을 이루게 됨에 따라 휨 공정(S40)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각 부재들을 일체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부재(110)가 8각 형태를 이루는 경우, 외면을 이루는 연결 면(120)의 모서리부들중, 선단과 후단이 맞닿아 접촉하게 되는 하나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부들은 연결 면(120)이 일체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선단과 후단이 맞닿아 접촉하게 되는 하나의 모서리부에만 외측 면에 용접 공정(S50)에 의해 서로 연결시키게 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각 형상의 프레임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각 접촉 면(130 : 131,132,133,134,135,136,137)들의 연결 부위에도 용접 공정(S50)을 수행함과 아울러 굽힘(절곡) 공정(S30)에 의해 서로 맞닿게 되는 연결 부위에도 동시에 용접 공정(S50)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16을 다시 한 번 참조하면, 각 접촉
면(130 : 131,132,133,134,135,136,137)[0054] 들의 접촉 부위는 외면
을 이루는 연결 면(120)을 제외한 내면 쪽에서만 용접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8각 즉, 다각 프레임의 결합력을증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다각 프레임의 연결 면(1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끈한 일체 형의 면을 이룸에 따라 외관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용접 공정수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단의 단차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다각 형상의 거울(30)을 제작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안쪽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내측에 단차진 부위에 거울(30) 등의 글라스 전면이 지지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거울
(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거울(30)의 배면과 프레임 사이에 실리콘(40) 등으로 마감 처리를 하게 되면, 용접 부위가 외부로드러나지 않게 되고, 이를 정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전면은 매끈한 형상을이룰 수 있게 된다.
즉, 거울(30)에 의해 내측 용접 부위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어 미관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 때, 모두 8군데의 모서리부들 중, 하나의 모서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7군데의 모서리부는 그 외면을 이루는연결 면(120)이 일체 형을 이룸에 따라 외관이 매우 향상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에 의해 다각 프레임을 제작하게 되면, 종래에서와 같이 복수의 조각 편들을 설정 길이에 맞게 절단하고, 이들을 용접 공정 등에 의해 서로결합시켜야 함에 따라 외관이 불량하고 조립 공수의 증가로 제작 시간 및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및 이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은, 앞서설명한 바와 같이 외관이 향상됨은 물론 용접 부위가 현저히 줄어 들게 되어 조립 공수가 줄어들게 되는바, 제작 시간 및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의 각 모서리부들 중, 하나의 모서리부 외면에만 용접 공정(S50)에 의한용접 부위가 형성되는바, 하나의 모서리부에 대한 용접 부위만 후 가공에 의해 매끈하게 처리한 후, 프레임 전체에 대한 도색 공정 등을 수행하면 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효과는 더욱 배가될 수 있다.
한편,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각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다각 형상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프레임을 상기한 공정에 의해 형성하고, 복수개의 프레임의 연접 부위만을 용접 공정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다각 프레임을 제작할 수도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작 방법으로 다각 프레임을 제작하는 경우, 전체적인 원판 및 봉 부재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는바, 비교적 사이즈가 큰 다각 프레임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분 별로 상기한 공정 방법에 의해 프레임들을 선 제작하고, 이들 프레임들을 용접 공정에 의해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4개의 프레임을 제작한 후, 이들을 용접 공정에 의해 조립할 수 있으며,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2개의 프레임을 제작한 후, 이들을 용접 공정에 의해 조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프레임들로 제작하여 용접 공정에 의해 다각 프레임을 제작하게 되면, 판재 및 봉 부재의운반과 그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다각 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서, 접촉 면들의 각도를 달리함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다각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판재
110 : 봉 부재
120 : 연결 면(외면)
130(131,132,133,134,135,136,137) : 접촉 면

Claims (1)

  1. 청구항 1
    (A) 설정 길이와 설정 너비 및 설정 높이를 갖는 판재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판재의 양 측단에 일정 간격마다 레이저 절단 가공 후, 절곡 라인을 커팅하는 단계
    (B) 상기 판재를 굽힘 공정에 의해 봉 부재로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봉 부재의 일 면은 연결 면으로 두고, 일정 간격마다 상기 레이저 절단 공정에 의해 상기 연결 면의
    일 측으로 서로 대향되는 접촉 면을 접촉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 면에 대한 휨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로 대향되는 접촉 면들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봉 부재의 양 단부가 접촉되는 배면 부위에 용접 공
    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판재의 굽힙 공정에 의해 단차를 갖는 ㄱ 자 단면 형상의 봉 부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대향되는 접촉 면들은 45도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판재의 굽힘 공정에 의해 봉 부재가 형성된 경우, 서로 접촉하게 되는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점 용접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청구항 5
    다각 형상을 이루되, 외면 둘레의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만 접촉되어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 외의 다른 모서리부들은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의한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프레임.
KR1020190082357A 2019-07-08 2019-07-08 다각프레임의 절곡 및 제작방법 KR20210006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57A KR20210006263A (ko) 2019-07-08 2019-07-08 다각프레임의 절곡 및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57A KR20210006263A (ko) 2019-07-08 2019-07-08 다각프레임의 절곡 및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263A true KR20210006263A (ko) 2021-01-18

Family

ID=7423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357A KR20210006263A (ko) 2019-07-08 2019-07-08 다각프레임의 절곡 및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62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359B1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4웨이 테넌 조인트 프레임
US20110168963A1 (en) Temporary fence panel
KR20210006263A (ko) 다각프레임의 절곡 및 제작방법
KR20180135244A (ko) 다각 프레임의 제작 방법 및 이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다각 프레임
US20060150543A1 (en) Assembled frame
KR20150088126A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테넌 조인트
CA2945712A1 (en) Welding method and device
JP6650790B2 (ja) 焼き網の製造方法
KR100781935B1 (ko) 금속 천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7895Y1 (ko) 프레임 연결핀
JPH0233388A (ja) スクリーン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2672760B1 (ko) 강성 보강 구조 힌지 컨베이어 체인 제조방법
JP6326233B2 (ja) アングル材端部の組合せ構造並びにフレーム構造体
KR100730583B1 (ko) 강화유리 도어의 테두리 결합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JP2740731B2 (ja) 枠体の製造方法
KR100459648B1 (ko) 모서리 절곡부를 갖는 진열용 랙 및 그 모서리 절곡방법
KR20120107604A (ko) 목재창호틀
JPH11130190A (ja) パネル組立式貯留槽の溶接継手
JP2016185252A (ja) 商品陳列什器用支柱部材および商品陳列什器
JP6040277B1 (ja) 収納ラック
KR20200010948A (ko) 목재를 활용한 대구경 목조기둥 제작방법
JPH07151118A (ja) アングル枠構造物の組立材および組立法
KR101607117B1 (ko) 필터 프레임 및 그 제작방법
JP2774747B2 (ja) 配電盤の箱枠体
KR101166894B1 (ko) 한옥용 조합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