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173A -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미의 절단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미의 절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173A
KR20210006173A KR1020190082129A KR20190082129A KR20210006173A KR 20210006173 A KR20210006173 A KR 20210006173A KR 1020190082129 A KR1020190082129 A KR 1020190082129A KR 20190082129 A KR20190082129 A KR 20190082129A KR 20210006173 A KR20210006173 A KR 2021000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dummy
work table
poin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017B1 (ko
Inventor
이정화
정윤철
윤소진
Original Assignee
(주) 성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성부 filed Critical (주) 성부
Priority to KR102019008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0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4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 B23K20/126Workpiece support, i.e. back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25Particular aspects of welding with a non-consumabl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using a non-consumable tool, e.g. friction stir welding
    • B23K20/123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welding process
    • B23K20/124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welding process at the beginning or at the end of a weld

Abstract

본 발명은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미를 연속적으로 공급가능하여 마찰교반용접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판 형태를 이루며 일측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 피가공물 및 제2 피가공물에 대하여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의 접촉부와 일직선 상인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의 일단과 타단 측에 공구를 통한 마찰교반용접의 시작점과 끝점을 제공할 더미가 공급되되, 상기 더미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에 맞닿도록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Automatic supply and cutting system for dummy}
본 발명은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찰교반용접시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를 자동으로 공급 및 절단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찰교반용접(FSW; Friction Stir Welding)은 나사산 형태의 돌기(probe)를 가지는 비소모성 공구(tool)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피접합재에 삽입하면 공구와 피접합재와의 상호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하며, 이러한 마찰열에 의해 공구 주변의 재료는 연화되며, 공구의 교반에 의한 재료의 소성유동으로 접합면 양쪽의 재료들이 강제적으로 혼합되는 원리로 피접합재의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마찰교반용접은 기존 용융접합에 비해 기계적 특성 향상 및 우수한 접합부를 형성하여, 접합용 공구와 시편의 마찰열을 이용하여 기존의 용융 용접에 비해 낮은 입열로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은 잔류응력, 적은 변형 등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킨 용접방법이다. 또한, 기존의 용융용접과 달리 별도의 열원, 용접봉, 용가제 등이 불필요하며 접합과정에서 유해광선이나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접합기술이다.
다만, 마찰교반용접은 피접합재의 용접 끝 부분에 공구로 인한 구멍이 남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490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접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금속 부재(1)의 측면을 접촉시키고, 두 개의 금속 부재(1)의 접촉면과 일직선 상인 금속 부재(1)의 일단과 타단 측에 제1 탭재(2)와 제2 탭재(3)를 용접 접합하고 제1 탭재(2)로부터 제2 탭재(3)까지 공구로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찰교반용접시 피접합재인 금속 부재(1)에는 공구로 인한 구멍이 남지 않고 탭재에 구멍이 생기게 되므로, 접합을 요하는 피접합재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1 탭재(2)와 제2 탭재(3)는 작은 판 형태의 조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를 금속 부재(1)에 용접하기 위하여 금속 부재(1)와 수평을 이루도록 접촉시키기 위하여 클램프로 고정시키는 작업에 어려움이 따름은 물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은 판 형태의 조각인 탭재(더미)를 매 작업시 클램프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이 따르며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490호 '접합 방법 및 마찰 교반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미를 연속적으로 공급가능하여 마찰교반용접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은 판 형태를 이루며 일측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 피가공물 및 제2 피가공물에 대하여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의 접촉부와 일직선 상인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의 일단과 타단 측에 공구를 통한 마찰교반용접의 시작점과 끝점을 제공할 더미가 공급되되, 상기 더미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에 맞닿도록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띠 형태로 이루어진 더미는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진 후 소정의 길이만큼만 절단하고 다시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질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에 맞닿도록 하는 방식으로 계속적인 더미의 자동공급이 가능하며, 또한, 마찰교반용접를 위해 더미를 별도로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파지되어 공급되는 더미를 통해 피가공물과의 용접 및 마찰교반용접을 진행할 수 있는바 생산성과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 피가공물의 마찰교반용접시 사용되는 더미의 구조와 설치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더미를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에 대하여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작업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에 적용되는 더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더미를 연속적으로 공급가능하여 마찰교반용접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과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판 형태를 이루며 일측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 피가공물 및 제2 피가공물에 대하여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의 접촉부과 일직선 상인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의 일단과 타단 측에 공구를 통한 마찰교반용접의 시작점과 끝점을 제공할 더미가 공급되되, 상기 더미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제1 피가공물과 제2 피가공물에 맞닿도록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은 첨부된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각각 판 형태를 이루는 제1 피가공물(10) 및 제2 피가공물(20)의 일측이 맞닿도록 하고,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의 일단과 타단 측에 더미(30)가 구비된다.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은 동종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서로 다른 종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은 각각 금속, 플라스틱, 알루미늄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두께가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께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질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일측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미(30)는 피가공물과 동일 또는 상이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이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작업의 용이함을 위해 피가공물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더미(30)는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접촉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공급되며, 공구(1)를 통한 마찰교반용접의 시작점과 끝점을 제공한다.
즉, 마찰교반용접을 위해 고속회전하며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접촉부에서 재료의 소성유동시키는 공구(1)가 상기 접촉부로 진입하기 전 일단 측에 공급된 더미(3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접촉부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접촉부를 지나 타단 측에 공급된 더미(30)까지 이동된 후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진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에는 공구(1)의 하방 및 상방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홀이 생기지 않고 더미(30)에 홀이 생기게 된다. 또한,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양단에 맞닿은 더미(30)는 제1 피가공물(10) 및 제2 피가공물(20)과 용접이 된 후,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더미(30)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에 맞닿도록 자동으로 공급된다. 이처럼 띠 형태로 이루어져 자동으로 공급되는 더미(30)는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진 후 마찰교반용접의 시작점과 끝점을 제공하였는바, 소정의 길이만큼만 절단하고 이동되어 다시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질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에 맞닿게 되는바, 계속적인 더미의 자동공급이 가능하여,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마찰교반용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과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더미(30)가 자동으로 공급되기 위한 구체적인 일 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대(100)와 더미공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대(100)는 일측이 맞닿도록 제1 피가공물(10) 및 제2 피가공물(20)이 상면에 놓여져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상면은 평면으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미공급부(200)는 작업대(100)의 양단 측에 구비되며, 띠 형태를 이루는 더미(30)를 적어도 일부 클램핑한 상태로 작업대(100)를 향해 이동하거나, 더미(30)의 클램핑을 해제한 상태로 작업대(100)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한다. 일 예로, 더미공급부(200)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대(100)와 작업대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더미공급부(200)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더미(30)를 파지하기 위한 제2 클램프(2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클램프(210)는 일 예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를 이루고 더미(30)의 양측을 감싸도록 더미공급부(200)에 돌출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방으로 이동하여 더미(200)를 파지하거나 상방으로 이동하여 더미(30)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클램프(210)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된 상태로 더미(30)가 작업대(100)를 향해 이동된 후 더미(30)의 클램핑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마찰교반용접 전의 더미(30)와 피가공물 간의 용접과 마찰교반용접시 더미(30)에 대한 별도의 고정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 증대를 꾀할 수 있다.
한편, 더미공급부(200)에 의해 작업대(100)를 향해 이동된 더미(30)는 마찰교반용접이 진행된 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과 맞닿아 용접된 제1 지점(31)과, 제1 지점(31)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루는 제2 지점(32)이 절단될 수 있다. 더미(30)의 절단시 레이저절단기 또는 커팅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미(30)는 절단되는 길이(d2), 즉 제1 지점(31)으로부터 제2 지점(32)까지의 길이(d1)의 절반보다 짧은 길이가 작업대(100)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작업대(100)를 향해 이동된 더미공급부(200)는 일단이 작업대(100) 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정지될 수 있다.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진 후, 더미공급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30)의 클램핑을 해제한 상태에서 작업대(100)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시 더미(30)가 제2 지점(32)으로부터 작업대(100)의 상면에 놓일 정도의 길이만큼 더미공급부(20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더미공급부(200)가 이동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공급부(200)가 작업대(100)의 반대편으로 이동된 후 더미(30)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제1 지점(31)과 제2 지점(32)을 절단한다. 절단시 제2 지점(32)을 제1 지점(31)보다 먼저 절단하거나 제1 지점(31)과 제2 지점(32)을 동시에 절단할 수 있으나, 더미(30)의 절단시 피가공물의 훼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절단된 더미(30)가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제1 지점(31)을 절단한 후 제2 지점(31)을 절단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지점(31)을 절단시, 더미(30)는 제2 클램프(21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마찰교반용접이 완료된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은 후술할 제1 클램프(11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므로, 제1 지점(31)의 절단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아 깔끔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제2 지점(32)을 절단할 시 절단된 더미(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에 절단된 길이의 절반보다 짧은 길이가 위치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대(100)는 더미공급부(200)가 구비되는 양단 측에 절단된 더미(30)가 수용될 수 있는 더미수거함(130)이 구비될 수 있다.
더미(30)는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진 후 제1 지점(31)과 제2 지점(32)의 절단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지점(31)을 절단한 후 제2 지점(32)을 절단함이 바람직한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30)가 놓여지는 작업대(10)의 부분을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점(31)과 제2 지점(32)이 순차적으로 절단된 더미(30)는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떨어져 수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대(100)의 상면에 놓여지는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이 각각 별개의 피가공물공급부(300)에 의해 공급될 수 있으나, 이러할 경우 더미공급부(200)의 위치를 고려하였을 때, 각각의 피가공물공급부(300)를 작업대(10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시켜야 하는바, 완제품을 작업대(100)의 밖으로 이동시킴에 있어 작업대(100)의 상측에서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집게 형태인 지그를 이용하거나 작업자가 임의로 들어올려 작업대(100)로부터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속도가 다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로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을 공급하는 피가공물공급부(300)와,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지고 더미(30)가 절단되어 가공이 완료된 완제품(40)을 작업대(100) 밖에서 이동시키는 완제품배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가공물공급부(300)는 더미공급부(200)와 직교하는 방향인 작업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이 번갈아 놓여지고, 번갈아 놓여진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을 작업대(100)를 향해 이동시킨다. 또한, 완제품배출부(400)는 작업대(100)의 타측, 즉 피가공물공급부(300)가 구비된 반대편에 구비되어 완제품(40)을 작업대(100)로부터 전달받아 작업대(100)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시킨다. 그리고, 피가공물공급부(300)와 완제품배출부(400)는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을 신속하게 작업판(100)으로 전달하거나, 완제품(40)을 작업대(100)의 반대편을 향해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공급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을 파지하기 위한 제1 클램프(110)와, 피가공물공급부(300)로부터 전달받을 시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작업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걸림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110)는 일 예로, 'ㄱ'자 형태를 이루고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양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공급부(300)로부터 작업대(100)로 이동되는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은 그 양단이 상방으로 이동된 제1 클램프(110)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동된다.
그리고, 걸림구(120)는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자 형태를 이루며 작업대(100)로부터 돌출되도록 상방으로 이동되거나 작업대(10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120)는 피가공물공급부(300)의 반대편 측 가장자리부에 구비되어, 피가공물공급부(300)로부터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공급시 작업대(100)로부터 돌출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가공물(10)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완제품(40)을 완제품배출부(400)로 이동시 작업대(100)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한편, 띠 형태를 이루는 더미(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마련되고 일부가 풀려 더미공급부(200)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띠 형태를 이루는 더미(30)로 인해 증가될 작업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1 : 공구
10 : 제1 피가공물 20 : 제2 피가공물
30 : 더미 31 : 제1 지점
32 : 제2 지점 40 : 완제품
100 : 작업대 110 : 제1 클램프
120 : 걸림구 130 : 더미수거함
200 : 더미공급부 210 : 제2 클램프
300 : 피가공물공급부 400 : 완제품배출부

Claims (5)

  1. 판 형태를 이루며 일측이 맞닿도록 구비되는 제1 피가공물(10) 및 제2 피가공물(20)에 대하여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접촉부와 일직선 상인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일단과 타단 측에 공구(1)를 통한 마찰교반용접의 시작점과 끝점을 제공할 더미(30)가 공급되되,
    상기 더미(30)는 띠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이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에 맞닿도록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맞닿도록 제1 피가공물(10) 및 제2 피가공물(20)이 상면에 놓여지는 작업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작업대(100)의 양단 측에는 더미(30)를 클램핑한 상태로 작업대(100)를 향해 이동하거나 더미(30)의 클램핑을 해제한 상태로 작업대(100)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하는 더미공급부(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공급부(200)와 직교하는 방향인 작업대(100)의 일측에는 번갈아 놓여진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을 작업대(100)를 향해 이동시키는 피가공물공급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100)의 타측에는 작업대(100)에서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지고 더미(30)가 절단되어 가공이 완료된 완제품(40)을 작업대(100)의 반대편을 향해 이동시키는 완제품배출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는 'ㄱ'자 형태를 이루고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양단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하방으로 이동시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을 파지할 수 있는 제1 클램프(110)와, '1'자 형태를 이루며 피가공물공급부(300)로부터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의 공급시 작업대(100)로부터 돌출되어 제1 피가공물(10)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완제품(40)을 완제품배출부(400)로 이동시 작업대(100)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걸림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공급부(200)에 의해 작업대(100)를 향해 이동된 더미(30)는 마찰교반용접이 진행된 후 제1 피가공물(10)과 제2 피가공물(20)과 맞닿아 용접된 제1 지점(31)과, 제1 지점(31)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루는 제2 지점(32)이 절단되되,
    상기 더미(30)는 절단되는 길이의 절반보다 짧은 길이가 작업대(100)의 상면에 놓인 상태로 마찰교반용접이 이루어지고, 절단시 제2 지점(32)으로부터 작업대(100)의 상면에 놓일 정도의 길이만큼 더미공급부(200)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더미공급부(200)가 이동된 다음, 제2 지점(32)과 제1 지점(31)이 순차적으로 절단되는 것을 하는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및 절단 시스템.
KR1020190082129A 2019-07-08 2019-07-08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미의 절단 방법 KR102267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129A KR102267017B1 (ko) 2019-07-08 2019-07-08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미의 절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129A KR102267017B1 (ko) 2019-07-08 2019-07-08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미의 절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173A true KR20210006173A (ko) 2021-01-18
KR102267017B1 KR102267017B1 (ko) 2021-06-18

Family

ID=7423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129A KR102267017B1 (ko) 2019-07-08 2019-07-08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미의 절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01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477A (ja) * 1996-05-31 1998-03-17 Boeing Co:The 摩擦スター溶接工具および方法
JP2003164976A (ja) * 2001-11-27 2003-06-10 Kawasaki Heavy Ind Ltd 摩擦攪拌接合用回転ツ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摩擦攪拌接合方法並びに摩擦攪拌接合装置
JP2004050281A (ja) * 2002-07-24 2004-02-19 Nisshin Steel Co Ltd ステンレス帯鋼の突き合せtigアーク溶接方法
KR100496761B1 (ko) * 1997-06-26 2005-11-2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마찰교반접합법및마찰교반접합장치
JP2008073710A (ja) * 2006-09-20 2008-04-03 Nippon Light Metal Co Ltd 接合方法
JP2008302421A (ja) * 2007-06-11 2008-12-18 Nikkeikin Aluminium Core Technology Co Ltd 接合用治具
KR101152490B1 (ko) 2006-10-02 2012-06-01 니폰게이긴조쿠가부시키가이샤 접합 방법 및 마찰 교반 방법
JP5863996B2 (ja) * 2012-12-19 2016-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接合材の製造方法、及び接合用治具
KR101595279B1 (ko) * 2014-09-03 2016-02-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gb 용접방법
JP6273821B2 (ja) * 2013-12-18 2018-02-0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477A (ja) * 1996-05-31 1998-03-17 Boeing Co:The 摩擦スター溶接工具および方法
KR100496761B1 (ko) * 1997-06-26 2005-11-2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마찰교반접합법및마찰교반접합장치
JP2003164976A (ja) * 2001-11-27 2003-06-10 Kawasaki Heavy Ind Ltd 摩擦攪拌接合用回転ツ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摩擦攪拌接合方法並びに摩擦攪拌接合装置
JP2004050281A (ja) * 2002-07-24 2004-02-19 Nisshin Steel Co Ltd ステンレス帯鋼の突き合せtigアーク溶接方法
JP2008073710A (ja) * 2006-09-20 2008-04-03 Nippon Light Metal Co Ltd 接合方法
KR101152490B1 (ko) 2006-10-02 2012-06-01 니폰게이긴조쿠가부시키가이샤 접합 방법 및 마찰 교반 방법
JP2008302421A (ja) * 2007-06-11 2008-12-18 Nikkeikin Aluminium Core Technology Co Ltd 接合用治具
JP5863996B2 (ja) * 2012-12-19 2016-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接合材の製造方法、及び接合用治具
JP6273821B2 (ja) * 2013-12-18 2018-02-0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接合方法
KR101595279B1 (ko) * 2014-09-03 2016-02-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gb 용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017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424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KR101329530B1 (ko) 용접 비드 제거장치
CN205290081U (zh) 通用型板状工件激光焊接机
KR100373983B1 (ko)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CN108526691B (zh) 激光焊接方法
CN204504516U (zh) 激光焊接切割生产线
JP2015160279A (ja) H形鋼の開先加工方法及び開先加工装置
KR20210006173A (ko) 접합 범위가 소재 초과시 필요로 하는 더미의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미의 절단 방법
CN105798467A (zh) 激光焊接切割生产线
CN204135533U (zh) 一种平面任意轨迹自动氩弧焊装置
KR101356061B1 (ko) 충격시험편용 가공편 자동 제조장치
KR20050023543A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CN213163737U (zh) 激光切割机定位及气动固定装置
CN205290225U (zh) 用于板状工件焊接的夹持固定座
CN209936112U (zh) 一种橄榄扣焊接用工作台
JP5391287B2 (ja) 接合用治具
JP4350194B2 (ja) 継手金具用木口加工機
KR200485734Y1 (ko) 파이프 용접면 가공장치
CN217913469U (zh) 一种复合型的激光切割机装置
CN212350776U (zh) 一种全自动内八角螺母焊接机
JP5229996B2 (ja) ガス切断方法
CN211162393U (zh) 三工位正面镭焊装置
TW201829100A (zh) 具有穿帶空間之帶鋸機
JPH10230406A (ja) 加工機
CN105729192A (zh) 一种压块型锯床夹紧装置的夹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