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821A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821A
KR20210004821A KR1020200055610A KR20200055610A KR20210004821A KR 20210004821 A KR20210004821 A KR 20210004821A KR 1020200055610 A KR1020200055610 A KR 1020200055610A KR 20200055610 A KR20200055610 A KR 20200055610A KR 20210004821 A KR20210004821 A KR 20210004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unit
toilet seat
unit
valve
sanitar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298B1 (ko
Inventor
사키 야마무라
타케시 야마카와
마사유키 모치타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6Water pressure regulating means in flush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electromagnetically-operated valve, e.g. for wash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과제) 밸브 유닛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인체 국부를 향해 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급수원과 노즐 사이의 관로 상에 설치되고, 전자 밸브를 갖는 밸브 유닛과, 노즐 및 밸브 유닛을 수납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내부에 히터를 갖는 변좌를 구비하고, 밸브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급수원으로부터 노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로 상에 전자 밸브 등을 포함하는 밸브 유닛을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밸브 유닛에는 급수원으로부터 1차압으로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 밸브 유닛은 단단한 재질로 구성된다.
그러나 밸브 유닛을 단단한 재질로 구성하면 밸브 유닛 내의 물이 동결되어 팽창했을 때에 밸브 유닛이 물의 팽창에 따라 변형되지 않아 파손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2-294801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밸브 유닛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인체 국부를 향해 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급수원과 상기 노즐 사이의 관로 상에 설치되고, 전자 밸브를 갖는 밸브 유닛과, 상기 노즐 및 상기 밸브 유닛을 수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내부에 히터를 갖는 변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히터를 갖는 변좌의 하방에 밸브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함으로써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밸브 유닛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밸브 유닛의 강도 향상을 위해 밸브 유닛을 단단한 재질로 구성한 경우이어도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상기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밸브 유닛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를 밸브 유닛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크게 함으로써 변좌에 대향하는 밸브 유닛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좌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에 전달할 수 있고,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변좌의 후방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이 변좌의 후방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밸브 유닛의 보다 넓은 범위를 변좌의 하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좌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에 전달할 수 있고,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20% 이상은 상기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밸브 유닛의 20% 이상이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변좌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로 상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 유닛은 상기 변좌의 상기 히터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동결하기 어려운 열교환기 유닛을 변좌의 히터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변좌의 하방에 밸브 유닛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변좌의 하방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어 케이싱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배부와, 상기 저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배부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큰 고배부를 갖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저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변좌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의 상면을 따르도록 밸브 유닛의 상단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게 함과 아울러, 변좌를 저배부의 상면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변좌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변좌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의 상면을 따르도록 밸브 유닛의 상단을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게 함과 아울러, 변좌를 저배부의 상면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변좌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1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전자 밸브의 상류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전자 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축경부를 더 갖고, 상기 축경부의 내경은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축경부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축경부를 변좌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축경부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해 축경부가 막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스트레이너를 변좌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동결에 의한 스트레이너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제 1 내지 제 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전자 밸브를 변좌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동결에 의한 전자 밸브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밸브 유닛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변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장치(900)는 좌식 대변기(변기)(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200)와, 변기 덮개(300)를 갖는다. 변좌(200)와 변기 덮개(300)는 케이싱(40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은 하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와, 상부에 위치하는 케이스 커버(400b)를 갖고, 내부의 공간에 노즐(473) 등의 기능부를 수납한다. 변좌(200)의 내부에는 변좌(200)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히터(21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상방」, 「하방」, 「전방」, 「후방」, 「우측방」, 및 「좌측방」을 사용하지만, 이들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국부의 세정을 실현하는 국부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국부 세정 기능부는, 예를 들면 노즐(473)을 포함한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에는 사용자의 변좌(200)로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404)(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리모컨 등의 조작부(500)(도 2 참조)를 조작하면 노즐(473)을 변기(800)의 보울(801) 내에 진출시키거나, 보울(801) 내로부터 후퇴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노즐(473)이 보울(801) 내에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노즐(473)은 인체 국부를 향해 물(세정수)을 토출하여 인체 국부의 세정을 행한다.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473)은 그 선단에 형성된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또는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는, 노즐(473)은 그 선단에 형성된 비데 세정 토수구(474c)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변좌(200)에 앉은 여성의 여성 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온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엉덩이」를 세정하는 모드 중에는,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엉덩이 세정」보다 소프트한 수류로 부드럽게 세정하는 「부드러운 세정」이 포함된다. 노즐(473)은,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과, 「부드러운 세정」과, 「비데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비데 세정 토수구(474c)가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보다 노즐(473)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보다 노즐(473)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의 설치 위치는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노즐(473)에서는 3개의 토수구가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가 생략되어 있어도 좋고, 4개 이상의 토수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요부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도수부(20)를 갖는다. 도수부(20)는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노즐(473)에 도달하는 관로(20a)를 갖는다. 도수부(20)는 관로(20a)에 의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에 유도한다. 관로(20a)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급수 호스(15), 급수 접속부(420), 밸브 유닛(430), 열교환기 유닛(440), 유로 스위칭부(472) 등의 각 부와, 이들 각 부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관에 의해 형성된다.
급수 호스(15)는 급수원(10)으로부터 케이싱(40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한다. 급수 호스(15)는 가요성이 있는 호스이다. 급수 접속부(420)는 급수 호스(15)와 밸브 유닛(430)을 접속한다. 급수 접속부(420)는 밸브 유닛(430)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밸브 유닛(430)과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밸브 유닛(430)은 관로(20a) 상에 있어서 급수 호스(15)의 하류에 설치된다. 밸브 유닛(430)은 적어도 전자 밸브(432)를 갖는다.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은 전자 밸브(432)와, 전자 밸브(432)의 상류에 설치된 스트레이너(431)와, 전자 밸브(432)의 하류에 설치된 조정 밸브(433)와, 조정 밸브(433)의 하류에 설치된 역지 밸브(434)를 갖는다. 밸브 유닛(430)은, 예를 들면 관로(20a) 상에 있어서 급수 호스(15)의 하류로부터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류까지 사이에 설치된다. 밸브 유닛(430)은 급수 접속부(420)를 포함해도 좋다.
밸브 유닛(430)의 상류측에는 스트레이너(431)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431)는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에 포함되는 이물 등을 여과한다. 이 예에서는 급수 접속부(420)는 스트레이너(431)의 상류측에 있어서 스트레이너(43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스트레이너(431)의 하류에는 전자 밸브(432)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432)는 개폐 가능한 전자 밸브이며, 케이싱(400)의 내부에 형성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밸브(432)는 관로(20a)를 개폐한다. 전자 밸브(432)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관로(20a)에 흐른다.
전자 밸브(432)의 하류에는 조정 밸브(433)가 설치되어 있다. 조정 밸브(433)는 관로(20a) 내의 압력이나 물의 유량을 조정한다. 조정 밸브(433)는, 예를 들면 관로(20a) 내의 압력을 소정 범위로 조정하는 조압 밸브이다. 조정 밸브(433)는, 예를 들면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소정 범위로 조정하는 정유량 밸브이어도 좋다.
조정 밸브(433)의 하류에는 역지 밸브(434)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434)는 관로(20a) 내의 압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등에 역지 밸브(434)보다 상류측으로의 물의 역류를 억제한다. 역지 밸브(434)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생략 가능하다.
밸브 유닛(430)의 하류에는 열교환기 유닛(440)(가열부)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히터를 갖고,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해서, 예를 들면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한다. 즉, 열교환기 유닛(440)은 온수를 생성한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예를 들면 세라믹 히터 등을 사용한 순간 가열식(순간식)의 열교환기이다. 순간 가열식의 열교환기는 온수 저장 탱크를 사용한 온수 저장 가열식의 열교환기와 비교하면, 짧은 시간으로 물을 규정의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은 순간 가열식의 열교환기에는 한정되지 않고, 온수 저장 가열식의 열교환기이어도 좋다. 또한, 가열부는 열교환기에 한정되는 일 없이, 예를 들면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하는 것 등 다른 가열 방식을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제어부(405)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500)의 조작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440)을 제어함으로써 조작부(500)에서 설정된 온도로 물을 승온한다.
열교환기 유닛(440)의 하류에는 유량 센서(442)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토출된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즉, 유량 센서(442)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지한다. 유량 센서(44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센서(442)는 유량의 검지 결과를 제어부(405)에 입력한다. 또한, 유량 센서(442)는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유량 센서(442)의 하류에는 전해조 유닛(450)이 설치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내부를 흐르는 수도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수도물로부터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액(기능수)을 생성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기능수의 생성을 행한다. 전해조 유닛(450)은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생략 가능하다.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예를 들면 은 이온이나 구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전해 염소나 오존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어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기능수는 산성수나 알칼리수이어도 좋다.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에는 배큐엄 브레이커(VB)(452)가 설치되어 있다.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물을 흘리기 위한 유로와, 유로 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와, 흡기구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를 갖는다. 밸브 기구는, 예를 들면 유로에 물이 흐르고 있을 시에 흡기구를 막아 물의 흐름의 정지와 함께 흡기구를 개방해서 유로 내에 공기를 도입한다. 즉,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도수부(20)에 물의 흐름이 없을 때에 관로(20a) 내에 공기를 도입한다. 밸브 기구에는, 예를 들면 플로트 밸브가 사용된다. 또한,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전해조 유닛(450)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상기와 같이 관로(20a) 내에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면 관로(20a)의 배큐엄 브레이커(452)보다 하류의 부분의 물빼기를 촉진시킨다.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예를 들면 노즐(473)의 물빼기를 촉진한다. 이렇게 배큐엄 브레이커(452)는 노즐(473) 내의 물을 빼내어 노즐(473) 내에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면 노즐(473) 내의 세정수나 보울(801) 내에 모인 오수 등이 급수원(10)(상수)측으로 역류해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배큐엄 브레이커(452)의 하류에는 압력 변조부(454)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도수부(20)의 관로(20a) 내의 물의 흐름에 맥동 또는 가속을 부여하고, 노즐(473)의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 및 비데 세정 토수구(474c)나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로부터 토수되는 물에 맥동을 부여한다. 즉,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 내를 흐르는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 변조부(454)는 제어부(405)에 의한 제어에 의거하여 물의 유동 상태를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관로(20a) 내의 물의 압력을 변동시킨다. 압력 변조부(454)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어 생략 가능하다.
압력 변조부(454)의 하류에는 유량 조정부(471)가 형성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는 수세(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의 하류에는 유로 스위칭부(472)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스위칭부(472)는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부(478)로의 급수의 개폐나 스위칭을 행한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1개의 유닛으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는 제어부(405)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조정부(471) 및 유로 스위칭부(472)의 동작은 제어부(405)에 의해 제어된다.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노즐(473),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은 노즐 구동부(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변기(800)의 보울(801) 내에 진출하거나 보울(801) 내로부터 후퇴하거나 한다.
노즐 세정부(478)는, 예를 들면 토수부로부터 기능수 또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을 세정한다. 분무 노즐(479)은 세정수나 기능수를 미스트 형상으로 해서 보울(801)에 분무한다. 이 예에서는 인체를 세정하기 위한 노즐(473)과는 별도로 분무 노즐(479)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미스트 형상의 액체를 보울(801)에 분무하기 위한 토수구를 노즐(473)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473)에 공급하는 엉덩이 세정 유로(21)와, 부드러운 세정 유로(22)와, 비데 세정 유로(23)가 설치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1)는 유로 스위칭부(472)와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를 접속한다. 부드러운 세정 유로(22)는 유로 스위칭부(472)와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를 접속한다. 비데 세정 유로(23)는 유로 스위칭부(472)와 비데 세정 토수구(474c)를 접속한다.
또한, 유로 스위칭부(472)의 하류에는 표면 세정 유로(24)와, 분무용 유로(25)가 설치되어 있다. 표면 세정 유로(24)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노즐 세정부(478)의 토수부로 유도한다. 분무용 유로(25)는 도수부(20)를 통해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기능수를 분무 노즐(479)에 유도한다.
제어부(405)는 유로 스위칭부(472)를 제어함으로써 엉덩이 세정 유로(21), 부드러운 세정 유로(22), 비데 세정 유로(23), 표면 세정 유로(24), 및 분무용 유로(25)의 각 유로의 개폐를 스위칭한다. 이렇게 유로 스위칭부(472)는 엉덩이 세정 토수구(474a),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474b), 비데 세정 토수구(474c), 노즐 세정부(478), 및 분무 노즐(479) 등의 복수의 토수구 각각에 대해서 관로(20a)에 연통시킨 상태와, 관로(20a)에 연통시키지 않은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어부(405)는 전원 회로(401)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인체 검지 센서(403)나, 착좌 검지 센서(404)나, 유량 센서(442)나, 조작부(500)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전자 밸브(432)나, 열교환기 유닛(440)이나, 전해조 유닛(450)이나, 압력 변조부(454)나, 유량 조정부(471)나, 유로 스위칭부(472)나, 노즐 구동부(476)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5)는 노즐(473)이나 밸브 유닛(43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변좌(200) 및 케이스 커버(400b)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변좌(200)의 위치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A1-A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B1-B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C1-C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 열교환기 유닛(440), 및 제어부(405)는 케이싱(400)의 내부(즉, 케이스 플레이트(400a)와 케이스 커버(400b)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유닛(430), 열교환기 유닛(440), 및 제어부(405)는 케이싱(400)에 수납된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 및 열교환기 유닛(440)은 제어부(405)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유닛(430)의 후단은 제어부(405)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의 후단은 제어부(405)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은 제어부(405)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플레이트(400a)가 좌우 방향의 중앙측 및 전방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밸브 유닛(430)을 제어부(405)보다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되었을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이 제어부(405)에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플레이트(400a)가 좌우 방향의 중앙측 및 전방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 유닛(440)을 제어부(405)보다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누수되었을 경우에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샌 물이 제어부(405)에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케이싱(400)의 내저면에는 밸브 유닛(430)이나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누수되었을 경우에 밸브 유닛(430)이나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샌 물을 변기(800)에 배출하기 위한 배수 경로(415)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에는 배수 경로(415)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 경로(41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밸브 유닛(430)을 제어부(405)보다 전방에 배치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변기(800)까지의 배수 경로(415)(후술하는 제 1 영역(415a))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을 용이하게 변기(800)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수 경로(415)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400)의 저면의 경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4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해서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와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변좌(200)의 히터(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의 히터(210)와 겹친다. 밸브 유닛(430)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후방부의 하방에 배치된다. 변좌(200)의 후방부는 변좌(200)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렇게 내부에 히터(210)를 갖는 변좌(200)의 하방에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함으로써 히터(210)로부터의 열에 의해 밸브 유닛(430)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밸브 유닛(430)의 강도 향상을 위해 밸브 유닛(430)을 PPS 등의 단단한 재질로 구성했을 경우이어도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유닛(430)의 20% 이상이 변좌(200)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20%」란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밸브 유닛(430)의 면적의 20%이다. 즉, 밸브 유닛(430) 중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와 겹쳐 있는 부분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면적이 밸브 유닛(430) 전체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면적의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유닛(430)의 50% 이상이 변좌(200)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밸브 유닛(430)의 20% 이상이 변좌(20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유닛(430)의 전체가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밸브 유닛(430)의 후단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해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은 스트레이너(431)와, 전자 밸브(432)와, 조정 밸브(433)와, 역지 밸브(434)를 갖는다.
스트레이너(431)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트레이너(43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와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이너(431)는 변좌(200)의 히터(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트레이너(43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의 히터(210)와 겹친다. 스트레이너(431)의 후단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렇게 스트레이너(431)를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동결에 의한 스트레이너(431)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전자 밸브(432)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밸브(43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와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밸브(432)는 변좌(200)의 히터(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자 밸브(432)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의 히터(210)와 겹친다. 전자 밸브(432)의 후단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렇게 전자 밸브(432)를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동결에 의한 전자 밸브(43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은 스트레이너(431)와 전자 밸브(432) 사이에 위치하는 축경(縮徑)부(436)를 더 갖는다. 축경부(436)는 스트레이너(431)와 전자 밸브(432)를 접속한다. 축경부(436)의 내경은 스트레이너(431)의 내경보다 작다.
축경부(436)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축경부(436)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와 겹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경부(436)는 변좌(200)의 히터(2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축경부(436)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변좌(200)의 히터(210)와 겹친다. 축경부(436)의 후단은, 예를 들면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렇게 축경부(436)를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축경부(436)의 동결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해 축경부(436)가 막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정 밸브(433)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434)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유닛(430)과 열교환기 유닛(440)의 접속부(435)는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전방측에 위치하는 저배부(410)와, 후방측에 위치하는 고배부(411)를 갖는다. 저배부(410)는 고배부(411)의 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변좌(200)의 하방에 위치한다. 고배부(411)는 저배부(410)의 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변좌(200)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고배부(411)의 상하 방향의 길이(L2)는 저배부(410)의 상하 방향의 길이(L1)보다 크다. 밸브 유닛(430)은 케이싱(400)의 저배부(410)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 낮아져 있다.
이렇게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게 함으로써 변좌(200)와 케이싱(400)의 이음매를 매끄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아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단을 향해 낮아져 있다. 이 예에서는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중앙측(좌측방측)으로부터 우측방측을 향해 낮아져 있다.
이하, 밸브 유닛(4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밸브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a)는 우측방으로부터 본 밸브 유닛(430)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좌측방으로부터 본 밸브 유닛(430)의 측면도이다.
도 7(a), 도 7(b),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는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보다 작다. 즉,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는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크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는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작다. 즉,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는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크다.
여기에서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하방에 있는 부품의 하단으로부터,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상방에 있는 부품의 상단까지의 거리이다.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는 스트레이너(431)의 하단으로부터 조정 밸브(433)의 상단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전방에 있는 부품의 전단으로부터,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후방에 있는 부품의 후단까지의 거리이다.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는 스트레이너(431)의 전단으로부터 조정 밸브(433)의 후단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우측방에 있는 부품의 우측단으로부터,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가장 좌측방에 있는 부품의 좌측단까지의 거리이다. 이 예에서는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는 스트레이너(431)의 우측단으로부터 전자 밸브(432)의 좌측단까지의 거리이다.
이렇게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를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보다 작고, 또한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작게 함으로써 종래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있었던 케이싱(400)의 전방부의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400)의 내부의 데드 스페이스를 삭감하고,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를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보다 작고, 또한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작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되었을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이 제어부(405)에 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 및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를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크게 함으로써 변좌(200)에 대향하는 밸브 유닛(430)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달할 수 있고,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함으로써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는, 예를 들면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작다.
이렇게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를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작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을 저배부(410)의 보다 전방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400) 내부의 데드 스페이스를 보다 삭감하여 케이싱(400)을 보다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를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작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변기(800)까지의 배수 경로(415)(후술하는 제 1 영역(415a))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을 보다 용이하게 변기(800)에 배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전후 방향의 길이(D1)를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길이(W1)보다 작게 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이 변좌(200)의 후방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밸브 유닛(430)의 보다 넓은 범위를 변좌(200)의 하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달할 수 있고,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함으로써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다. 즉, 밸브 유닛(43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높이가 높은 부품은 밸브 유닛(43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높이가 낮은 부품은 밸브 유닛(43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스트레이너(431)의 높이는 전자 밸브(432)의 높이보다 낮다. 스트레이너(431)는 전자 밸브(432)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이너(431)의 전단은 전자 밸브(432)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정 밸브(433)의 높이는 전자 밸브(432)의 높이보다 높다. 조정 밸브(433)는 전자 밸브(432)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밸브(433)의 전단은 전자 밸브(432)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게 함으로써 저배부(410)의 상면(410a)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지는 경우에도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기 쉽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게 함으로써 상면(410a)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지는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밸브 유닛(430)이 케이싱(400)의 상부(케이스 커버(400b))에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되었을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이 케이싱(400)의 상부(케이스 커버(400b))에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이 케이싱의 간극(케이스 플레이트(400a)와 케이스 커버(400b)의 간극)으로부터 기외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상단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아져 있다. 즉, 밸브 유닛(430)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유닛(430)을 구성하는 부품 중 높이가 높은 부품은 밸브 유닛(430)의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높이가 낮은 부품은 밸브 유닛(430)의 측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스트레이너(431)의 높이는 전자 밸브(432)의 높이보다 낮다. 스트레이너(431)는 전자 밸브(432)보다 측단측(이 예에서는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레이너(431)의 우측단은 전자 밸브(432)의 우측단보다 측단측(우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정 밸브(433)의 높이는 전자 밸브(432)의 높이보다 높다. 조정 밸브(433)는 전자 밸브(432)보다 중앙측(이 예에서는 좌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밸브(433)의 우측단은 전자 밸브(432)의 우측단보다 중앙측(좌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게 함으로써 저배부(410)의 상면(410a)이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아지는 경우에도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기 쉽다.
또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게 함으로써 상면(410a)이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아지는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밸브 유닛(430)이 케이싱(400)의 상부(케이스 커버(400b))에 지나치게 가까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되었을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이 케이싱(400)의 상부(케이스 커버(400b))에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이 케이싱의 간극(케이스 플레이트(400a)와 케이스 커버(400b)의 간극)으로부터 기외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20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밸브 유닛(43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게 함과 아울러, 변좌(200)를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좌(20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밸브 유닛(430)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의 상단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르도록 밸브 유닛(430)의 상단을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게 함과 아울러, 변좌(200)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변좌(200)로부터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밸브 유닛(4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은 밸브 유닛(430)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은 밸브 유닛(430)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의 후단은 밸브 유닛(430)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이 예에서는 열교환기 유닛(44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어부(405)와 밸브 유닛(4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하 방향의 길이(H2)는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크다.
이렇게 열교환기 유닛(440)을 밸브 유닛(430)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열교환기 유닛(440)을 높이의 제약을 보다 받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하 방향의 길이(H2)를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크게 할 수 있어 열교환기 유닛(440)의 저수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을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어부(405)와 밸브 유닛(43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제어부(405)와 밸브 유닛(430)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되었을 경우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이 제어부(405)에 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 유닛(440)의 상하 방향의 길이(H2)가 밸브 유닛(430)의 상하 방향의 길이(H1)보다 클 경우에는 열교환기 유닛(440)이 벽이 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이 제어부(405)에 튀는 것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은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은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어부(405)는, 예를 들면 열교환기 유닛(440)이 동결하지 않도록 동결 억제 제어를 행한다. 동결 억제 제어에 의해 열교환기 유닛(440)은 동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밸브 유닛(430)과 같이 변좌(200)로부터의 열로 동결을 억제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열교환기 유닛(440)은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 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열교환기 유닛(440)을 변좌(200)의 히터(210)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변좌(200)의 하방에 밸브 유닛(430)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변좌(200)의 하방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고,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은, 예를 들면 저배부(410)에 위치한다. 이렇게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단을 저배부(410)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 유닛(440)의 적어도 일부를 저배부(410)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 유닛(440)을 케이싱(400)의 전방측에 배치할 수 있고, 케이싱(400)을 보다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 유닛(440)과 밸브 유닛(430)의 접속부(435)는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유닛(430)은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방측에서 열교환기 유닛(440)과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열교환기 유닛(440)과 밸브 유닛(430)의 접속부(435)를 열교환기 유닛(440)의 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접속부(435)로부터 누수되었을 경우에 접속부(435)로부터 샌 물이 제어부(405)에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접속부(435)과 제어부(405) 사이에 열교환기 유닛(440)이 위치함으로써 열교환기 유닛(440)이 벽이 되어 접속부(435)로부터 샌 물이 제어부(405)에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예를 들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위로 볼록한 곡면이다.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예를 들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경사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저배부(410)의 상면(410a)은, 예를 들면 전방을 향해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저배부(410)의 상면(410a)을 전후 방향에 있어서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함으로써 저배부(410)의 스페이스를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배부(410)에 밸브 유닛(430)을 보다 배치하기 쉬워진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저배부(41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1)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저배부(41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1)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과 겹친다.
이렇게 밸브 유닛(430)의 적어도 일부를 저배부(41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1)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을 높이의 제약을 보다 받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케이싱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서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 상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는 밸브 유닛(430), 열교환기 유닛(440), 제어부(405), 및 노즐(473)의 위치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a)는 도 9에 나타내는 D1-D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에 나타내는 E1-E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9,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내저면에 배수 경로(415)를 갖는다. 배수 경로(415)는, 예를 들면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에 설치된다. 케이싱(400)의 내저면(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 상의 물은 배수 경로(415)를 지나 변기(800)에 배출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경로(415)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어부(405)와 겹치지 않는다. 배수 경로(415)는, 예를 들면 제 1~제 3 영역(415a~415c)을 갖는다. 제 1 영역(415a)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밸브 유닛(430)과 겹친다.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은 제 1 영역(415a)을 지나 변기(800)에 배출된다. 제 2 영역(415b)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열교환기 유닛(440)과 겹친다. 열교환기 유닛(440)으로부터 샌 물은 제 2 영역(415b)을 지나 변기(800)에 배출된다. 제 3 영역(415c)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노즐(473)과 겹친다. 노즐(473)로부터 샌 물은 제 3 영역(415c)을 지나 변기(800)에 배출된다.
제 1 영역(415a) 및 제 2 영역(415b)은 제어부(405)의 전방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영역(415a)의 후단 및 제 2 영역(415b)의 후단은 제어부(405)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제 1 영역(415a)은 제 2 영역(415b)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 3 영역(415c)은 제어부(405)의 측방에 위치한다. 제 3 영역(415c)은 제 1 영역(415a) 및 제 2 영역(415b)의 측방에 위치한다. 제 3 영역(415c)은 제 1 영역(415a) 및 제 2 영역(415b)보다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위치한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경로(415)의 제 1 영역(415a)에는 좌우 방향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영역(415b)에는 좌우 방향의 단부로부터 중앙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영역(415a) 및 제 2 영역(415b) 상의 물은 경사면을 따라 좌우 방향의 중앙측을 향해 흐른다.
또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경로(415)의 제 3 영역(415c)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제 3 영역(415c) 상의 물은 경사면을 따라 전방측을 향해 흐른다.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에는 배수 가이드부(416)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 가이드부(416)는 밸브 유닛(430)의 전방에 형성된다. 배수 가이드부(416)는, 예를 들면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입면(리브)이다. 케이스 플레이트(400a) 상의 물은 배수 가이드부(416)에 의해 배수 가이드부(416)보다 전방으로 흐르지 않도록 막아진다. 바꾸어 말하면 배수 가이드부(416)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 상의 물을 좌우 방향의 중앙측에 유도한다.
도 9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저부에 형성된 제 1 배수구(417a)와 제 2 배수구(417b)를 갖는다. 제 1 배수구(417a) 및 제 2 배수구(417b)는, 예를 들면 케이스 플레이트(400a)에 형성된다. 케이스 플레이트(400a) 상의 물은 제 1 배수구(417a) 및 제 2 배수구(417b)를 통해 변기(800)에 배출된다. 즉, 위생 세정 장치(100)를 변기(800)에 설치한 상태로 제 1 배수구(417a) 및 제 2 배수구(417b)는 보울(801)의 개구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 1 배수구(417a) 및 제 2 배수구(417b)는 노치이어도 좋다.
제 1 배수구(417a)는 노즐(473)의 가까이에 형성되는 배수구이다. 제 2 배수구(417b)는 밸브 유닛(430)의 가까이에 형성되는 배수구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배수구(417a)와 노즐(473) 사이의 거리는 제 2 배수구(417b)와 노즐(473)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제 2 배수구(417b)와 밸브 유닛(430) 사이의 거리는 제 1 배수구(417a)와 밸브 유닛(430)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이렇게 밸브 유닛의 가까이에 제 2 배수구(417b)를 형성함으로써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을 노즐(473)의 가까이에 형성된 제 1 배수구(417a)까지 유도하지 않아도 밸브 유닛(430)의 가까이에 형성된 제 2 배수구(417b)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변기(800)까지의 배수 경로(415)(제 1 영역(415a))를 짧게 할 수 있고,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을 보다 용이하게 변기(800)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수 경로(415)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400)의 상하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해서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위생 세정 장치(100)를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13~도 16은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도 16에서는 변좌(20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도 13, 도 15, 및 도 16에서는 급수 호스(15)의 위치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변기(800)의 관통공(810)의 위치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F1-F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G1-G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나타내는 H1-H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나타내는 J1-J2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2~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0)은 저면(400d)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몰되는 오목부(412)를 갖는다. 케이싱(400)의 저면(400d)은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하단에 위치하는 면이다. 케이싱(400)의 저면(400d)은,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를 변기(800)에 부착한 상태로 변기(800)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12)는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과, 상면(412b)을 갖는다. 오목부(412)의 상면(412b)은 오목부(412)의 상단에 위치하는 면이다. 오목부(412)의 상면(412b)은 케이싱(400)의 저면(400d)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오목부(412)의 깊이는 급수 호스(15)의 외경(R1)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412)의 상면(412b)과 케이싱(400)의 저면(400d) 사이의 상하 방향의 거리는 급수 호스(15)의 외경(R1)보다 크다.
급수 접속부(420)는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형성된다. 급수 접속부(420)는 후방 또는 측방으로 개구한다. 즉, 급수 접속부(420)는 수평 방향으로 개구한다. 이 예에서는 급수 접속부(420)는 오목부(412)의 후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급수 호스(15)는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는 급수 접속부(42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케이싱(400)에 저면(400d)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몰되는 오목부(412)를 형성하고, 급수 접속부(420)를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형성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급수 접속부(420)로부터 후방이나 측방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기(800)로부터 분리한 위생 세정 장치(100)를 바닥이나 변기(800) 위에 가거치할 때에 급수 호스(15)가 바닥과 케이싱(400) 사이나, 변기(800)와 케이싱(400) 사이에 끼워져 킹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15)의 반력에 의해 케이싱(400)이 기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거치하기 쉬워진다. 또한, 가요성이 있는 급수 호스(15)를 사용함으로써 변기(800)에 형성된 관통공(810)에 급수 호스(15)를 삽입할 경우에 관통공(810)의 위치가 급수 접속부(420)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킹크를 억제하면서 급수 호스(15)를 다룰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15)를 급수 접속부(420)로부터 후방이나 측방을 향해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상하 방향으로 콤팩트화하기 쉽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 개구하는 급수 접속부(420)에 대하여 급수 호스(15)를 수평 방향으로 직접 접속함으로써 급수 호스(15)와 급수 접속부(420)를 접속하는 급수관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연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810)을 갖는 변기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설치할 경우, 급수 접속부(42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급수 호스(15)를 연직 방향으로 구부려서 관통공(810)에 삽입한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싱(400)은 급수 호스(15)의 일부를 구부려서 수납할 수 있는 호스 수납부(413)를 갖는다. 호스 수납부(413)는 관통공(810)을 갖는 변기(800)에 설치할 때에 급수 호스(15)가 케이싱(400)의 외주보다 외측으로 나오지 않도록 수납하면서 급수 호스(15)를 구부릴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이렇게 케이싱(400)에 급수 호스(15)의 일부를 구부려서 수납할 수 있는 호스 수납부(413)를 형성함으로써 변기(800)에 형성되는 관통공(810)의 위치에 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급수 호스(15)를 관통공(8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변기(800)의 관통공(810)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15)를 급수 접속부(42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접속함으로써 위생 세정 장치(10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호스 수납부(413)를 형성함으로써 변기(800)로부터 분리한 위생 세정 장치(100)를 바닥이나 변기(800) 위에 가거치할 때에 급수 호스(15)가 바닥과 케이싱(400) 사이나, 변기(800)와 케이싱(400) 사이에 끼워져 킹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호스 수납부(413)는 오목부(412)이다. 즉, 호스 수납부(413)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호스 수납부(413)는 케이스 플레이트(400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는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케이싱(400)의 저면(400d)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함몰되는 오목부(412)를 호스 수납부(413)로 하고, 급수 접속부(420)를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을 향하는 측면(412a)에 형성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케이싱(400)의 내부에서 급수 접속부(420)에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급수 호스(15)를 급수 접속부(42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12)는 케이싱(400)의 측부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412)는 케이싱(400)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오목부(412)는, 예를 들면 케이싱(400)을 좌우 방향으로 3개의 영역으로 등분한 경우에 케이싱(400)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즉, 측부의 영역)에 형성된다.
이렇게 오목부(412)를 케이싱(400)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케이싱(400)의 내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CL2) 부근에 수납되는 노즐(473) 등의 부품과 오목부(412)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412)에 있어서 급수 호스(15)를 다루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412)의 깊이(D2)는 급수 호스(15)의 외경(R1)의 2배보다 크다. 이 예에서는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은 후방이다. 이 예에서는 깊이(D2)는 오목부(412)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거리이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은 측방(예를 들면, 우측방)이어도 좋다. 이 경우, 깊이(D2)는 오목부(412)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의 거리이다.
이렇게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412)의 깊이(D2)를 급수 호스(15)의 외경(R1)의 2배보다 크게 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구부려서 다루는 경우에도 급수 호스(15)를 다루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12)의 폭(W2)은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을 향해 넓어진다. 이 예에서는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은 후방이다. 이 예에서는 폭(W2)은 오목부(412)의 좌우 방향의 길이이다. 즉, 이 예에서는 오목부(412)의 전단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오목부(412)의 후단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작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오목부(412)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작은 전방 부분과, 전방 부분의 후방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의 길이가 전방 부분보다 큰 후방 부분을 갖는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은 측방이어도 좋다. 이 경우, 폭(W2)은 오목부(412)의 전후 방향의 길이이다.
이렇게 오목부(412)의 폭(W2)을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을 향해 넓게 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다루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오목부(412)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400)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는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 접속부(420)의 전단은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급수 접속부(420)의 후단은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급수 접속부(420)의 후단은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즉, 급수 접속부(420)는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급수 접속부(420)를 케이싱(400)의 전후 방향의 중앙(CL3)보다 전방에 형성함으로써 급수 호스(15)의 킹크를 억제하면서 급수 호스(15)를 구부리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 접속부(420)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변기(800)의 관통공(810)에 대하여 급수 호스(15)를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
도 12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접속부(420)는 케이싱(400)의 측단(400e)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측단(400e)과 급수 접속부(420)의 좌우 방향의 거리는, 예를 들면 20㎜ 이하이다.
이렇게 급수 접속부(420)를 케이싱(400)의 측단(400e)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호스 수납부(413)를 케이싱(400)의 측단(400e)에 가까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공(810)을 갖지 않는 변기(800)에 설치할 경우에 급수 호스(15)를 다루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호스 수납부(413)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400)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관통공(810)을 갖는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할 경우, 급수 접속부(420)는, 예를 들면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한 상태로 관통공(810)이 개구하는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수 접속부(420)는, 예를 들면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한 상태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81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급수 접속부(420)는, 예를 들면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한 상태로 관통공(810)보다 전방에 형성된다. 또한, 급수 접속부(420)는, 예를 들면 변기(800)에 위생 세정 장치(100)를 부착한 상태로 관통공(810)보다 측방(측단(400e)측)에 형성된다. 급수 접속부(420)와 관통공(810)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면 급수 호스(15)의 외경(R1)의 2배보다 크다.
도 12~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12)의 측방에는 커버 부재(419)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419)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커버 부재(419)는 오목부(412)의 후방 및 측방을 덮고 있다. 커버 부재(419)는, 예를 들면 오목부(412)의 측방만을 덮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변기(800)에 급수 호스(15)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8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커버 부재(419)를 분리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오목부(412)의 측방에 다룰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변기(800)에 급수 호스(15)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810)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커버 부재(419)를 부착함으로써 오목부(412)의 측방을 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 접속부(420)를 사용자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419)를 분리함으로써 호스 수납부(413)(오목부(412))는 후방 또는 측방의 적어도 일방을 향해 개방된다. 즉, 급수 접속부(420)가 향하는 방향에는 케이싱(400)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호스 수납부(413)를 후방 또는 측방의 적어도 일방을 향해 개방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호스 수납부(413)의 후방 또는 측방의 적어도 일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기(800)에 관통공(8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도 급수 호스(15)의 킹크를 억제하면서 급수 호스(15)를 다룰 수 있다. 즉, 관통공(810)을 갖는 변기(800) 및 관통공(810)을 갖지 않는 변기(800) 중 어느 것에도 위생 세정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15)를 오목부(412)의 후방 또는 측방의 적어도 일방으로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 호스(15)를 다루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오목부(412)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400)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을 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12~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생 세정 장치(100)는 급수 호스(15)를 정규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414)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부(414)는, 예를 들면 급수 호스(15)의 상방이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정규의 방향으로 유도한다.
이렇게 급수 호스(15)를 정규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414)를 형성함으로써 가요성이 있는 급수 호스(15)가 급수 접속부(420)에 접속된 상태로 킹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414)는, 예를 들면 오목부(412)의 상면(412b)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412)의 상면(412b)은, 예를 들면 가이드부(414)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오목부(412)의 상면(412b)에 의해 급수 호스(15)를 유도함으로써 급수 호스(15)가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억제하여 급수 호스(15)의 킹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414)는 커버 부재(419)와, 커버 부재(419)에 대향하는 오목부(412)의 측면(412c)을 포함한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 부재(419) 및 오목부(412)의 측면(412c)은, 예를 들면 가이드부(414)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오목부(412)의 측방에 형성되는 커버 부재(419)와 커버 부재(419)에 대향하는 오목부(412)의 측면(412c)에 의해 급수 호스(15)를 유도함으로써 급수 호스(15)를 좌우 방향으로 구부려서 접속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급수 접속부(42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3,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05)는 케이싱(400)의 내부에 있어서 오목부(4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의 하단은 오목부(412)의 상면(412b)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어부(405)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오목부(412)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렇게 제어부(405)를 케이싱(400)의 내부에 있어서 오목부(412)의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어부(405)를 밸브 유닛(4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누수되었을 때에 밸브 유닛(430)으로부터 샌 물이 제어부(405)에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밸브 유닛(430)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동결에 의한 밸브 유닛(43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당히 설계 변경을 추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급수원, 15: 급수 호스, 20: 도수부, 21: 엉덩이 세정 유로, 22: 부드러운 세정 유로, 23: 비데 세정 유로, 24: 표면 세정 유로, 25: 분무용 유로, 100: 위생 세정 장치, 200: 변좌, 210: 히터, 300: 변기 덮개, 400: 케이싱, 400a: 케이스 플레이트, 400b: 케이스 커버, 400d: 저면, 400e: 측단, 401: 전원 회로, 403: 인체 검지 센서, 404: 착좌 검지 센서, 405: 제어부, 410: 저배부, 410a: 상면, 411: 고배부, 412: 오목부, 412a: 측면, 412b: 상면, 412c: 측면, 413: 호스 수납부, 414: 가이드부, 415: 배수 경로, 415a~415c: 제 1~제 3 영역, 416: 배수 가이드부, 417a, 417b: 제 1, 제 2 배수구, 419: 커버 부재, 420: 급수 접속부, 430: 밸브 유닛, 431: 스트레이너, 432: 전자 밸브, 433: 조정 밸브, 434: 역지 밸브, 435: 접속부, 436: 축경부, 440: 열교환기 유닛, 442: 유량 센서, 450: 전해조 유닛, 452: 배큐엄 브레이커, 454: 압력 변조부, 471: 유량 조정부, 472: 유로 스위칭부, 473: 노즐, 474a: 엉덩이 세정 토수구, 474b: 부드러운 세정 토수구, 474c: 비데 세정 토수구, 476: 노즐 구동부, 478: 노즐 세정부, 479: 분무 노즐, 500: 조작부, 800: 변기, 801: 보울, 900: 변기 장치

Claims (28)

  1. 인체 국부를 향해 물을 토출하는 노즐과,
    급수원과 상기 노즐 사이의 관로 상에 설치되고, 전자 밸브를 갖는 밸브 유닛과,
    상기 노즐 및 상기 밸브 유닛을 수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내부에 히터를 갖는 변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상기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밸브 유닛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변좌의 후방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유닛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밸브 유닛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20% 이상은 상기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상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 유닛은 상기 변좌의 상기 히터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배부와, 상기 저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배부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큰 고배부를 갖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저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변좌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변좌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전자 밸브의 상류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전자 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축경부를 더 갖고,
    상기 축경부의 내경은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축경부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20% 이상은 상기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상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 유닛은 상기 변좌의 상기 히터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상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 유닛은 상기 변좌의 상기 히터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배부와, 상기 저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배부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큰 고배부를 갖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저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변좌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배부와, 상기 저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배부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큰 고배부를 갖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저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변좌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변좌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배부와, 상기 저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저배부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큰 고배부를 갖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저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배부의 상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밸브 유닛의 상단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낮아져 있으며,
    상기 변좌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저배부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전자 밸브의 상류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전자 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축경부를 더 갖고,
    상기 축경부의 내경은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축경부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전자 밸브의 상류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전자 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축경부를 더 갖고,
    상기 축경부의 내경은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축경부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전자 밸브의 상류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전자 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축경부를 더 갖고,
    상기 축경부의 내경은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축경부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전자 밸브의 상류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전자 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축경부를 더 갖고,
    상기 축경부의 내경은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축경부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전자 밸브의 상류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와, 상기 스트레이너와 상기 전자 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축경부를 더 갖고,
    상기 축경부의 내경은 상기 스트레이너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축경부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변좌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200055610A 2019-07-05 2020-05-11 위생 세정 장치 KR102411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6039A JP6979176B2 (ja) 2019-07-05 2019-07-05 衛生洗浄装置
JPJP-P-2019-126039 2019-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821A true KR20210004821A (ko) 2021-01-13
KR102411298B1 KR102411298B1 (ko) 2022-06-21

Family

ID=7160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610A KR102411298B1 (ko) 2019-07-05 2020-05-11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14951B2 (ko)
EP (1) EP3760799B1 (ko)
JP (1) JP6979176B2 (ko)
KR (1) KR102411298B1 (ko)
CN (1) CN112177120B (ko)
TW (1) TWI7716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98A1 (ko) 2021-01-13 2022-07-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뱅크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979177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80147B2 (ja) * 2019-11-29 2023-11-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23031550A (ja) * 2021-08-25 2023-03-09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801A (ja) 2001-03-29 2002-10-0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3139403A (ja) * 2001-10-31 2003-05-14 Toto Ltd 衛生洗浄装置
KR20180022545A (ko) * 2016-08-24 2018-03-06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JP2018204297A (ja) * 2017-06-02 2018-12-2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90453B (ko) * 1993-12-30 1996-11-11 Toto Ltd
EP1273726B1 (en) * 2000-04-10 2008-07-16 Inax Corporation Western style water closet
JP2001311200A (ja) * 2000-05-02 2001-11-0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2294810A (ja) * 2001-03-28 2002-10-0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2294836A (ja) * 2001-03-30 2002-10-09 Toto Ltd 衛生洗浄装置における洗浄強度の表現方法、及び同表現方法を用いた表示物
CN1670320A (zh) * 2004-09-10 2005-09-21 董建海 水或汽热式坐便器
CN101117815B (zh) * 2006-08-04 2011-09-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洗净水水箱和卫生洗净装置
JP5305065B2 (ja) * 2008-02-29 2013-10-02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CN101960077B (zh) * 2008-02-29 2012-12-26 Toto株式会社 冲厕装置
JP5660519B2 (ja) * 2010-03-26 2015-01-2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318370B2 (ja) 2013-09-10 2018-05-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596944B2 (ja) 2015-06-05 2019-10-30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6718590B2 (ja) 2016-03-28 2020-07-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N206376339U (zh) * 2016-03-31 2017-08-04 爱信精机株式会社 卫生清洗装置
WO2020222502A1 (ko) * 2019-04-30 2020-11-05 박겨레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801A (ja) 2001-03-29 2002-10-09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3139403A (ja) * 2001-10-31 2003-05-14 Toto Ltd 衛生洗浄装置
KR20180022545A (ko) * 2016-08-24 2018-03-06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JP2018204297A (ja) * 2017-06-02 2018-12-27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498A1 (ko) 2021-01-13 2022-07-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뱅크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298B1 (ko) 2022-06-21
EP3760799A1 (en) 2021-01-06
JP6979176B2 (ja) 2021-12-08
CN112177120B (zh) 2022-07-29
JP2021011720A (ja) 2021-02-04
US20210002884A1 (en) 2021-01-07
TW202102749A (zh) 2021-01-16
CN112177120A (zh) 2021-01-05
TWI771673B (zh) 2022-07-21
EP3760799B1 (en) 2023-05-10
US11214951B2 (en)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298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425802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410720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530859B1 (ko) 위생 세정 장치
KR20230002244A (ko) 위생 세정 장치
JP7300114B2 (ja) 衛生洗浄装置
JP2022092239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