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390A -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390A
KR20210004390A KR1020190080740A KR20190080740A KR20210004390A KR 20210004390 A KR20210004390 A KR 20210004390A KR 1020190080740 A KR1020190080740 A KR 1020190080740A KR 20190080740 A KR20190080740 A KR 20190080740A KR 20210004390 A KR20210004390 A KR 20210004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teoporosis
pharmaceutical composition
sipholenol
osteoclasts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순
윤여대
이경륜
이창우
이명열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8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390A/ko
Publication of KR2021000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55Aquatic anima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A61K35/57 - A61K35/6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ceanograph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포노찰리나 시포넬라 (Siphonochalina siphonella)에서 유래한 트리테르펜 (triterpene) 계열의 화합물인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sipholenol A는 파골세포(osteoclast)의 분화를 억제하므로 골다공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steoporosis comprising Sipholenol A}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단일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산업재해 및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각 골절등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골질환등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골 재생 또는 골 재형성 능력 유도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뼈 이식제와 조골세포의 활성 향상 및 파골세포의 활성 저하시키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관련 질환 치료제들이 개발 및 연구들이 시도 되고 있다.
골은 석회화된 견고한 표면과 골수로 불리는 내부의 세포 성분이 결합된 특수조직이다. 생리적으로 상이한 이 두 구조의 결합은 일생을 두고 지속되는 골 재형성(bone remodeling) 과정에 기인한 것인데 이는 골에 가해지는 호르몬이나 물리적 자극에 의해 골수에 있는 파골세포(osteoclast)들이 골의 표면으로 모여 골을 파고 들어가면서 파괴하는 골흡수(bone resorption)가 일어난 자리에 모여든 조골세포(osteoblast)에 의한 골기질의 합성(bone formation)으로 설명된다(Park JS, Natl. Nutr., 215, pp25-31, 2000). 골표면에 위치하는 조골세포는 세포막에 당단백 효소인 알칼리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를 가지고 있으며 Ⅰ형 콜라겐(type I Collagen, Col ),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OCN),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 뼈 시알로단백(bone sialoprotein, BSP)과 같은 골기질 물질을 분비하고 석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Collier FM et al., Endocrinology, 139(3), pp1258-1267, 1998). 또한 골조직의 2/3는 주로 칼슘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물이고, 1/3은 주로 콜라겐으로 이루어진 유기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골 조직에서 유일하게 골의 파괴를 담당하는 상기 파골세포는 단핵구/대식세포 계통의 세포이며, 여러 조직에 존재하는 단핵구 대식 전구세포로부터 시험관내에서 파골세포의 생성이 가능하다. 파골세포는 특징적으로 TRAP와 풍부한 칼시토닌 수용체를 가지며 실제적으로 뼈의 흡수작용을 할 때는 산 생성이 활발하고, 액틴 고리(actin ring)를 형성하여 골기질을 흡수한다. 파골세포의 생성을 위해서는 NF-κB 리간드의 수용체 활성제(RANKL)와 대식세포증식자극인자(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M-CSF))와 같은 두 종류의 싸이토카인(cytokine)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싸이토카인이 파골세포의 분화를 유도한다(신정민 외, KOREAN J. FOODSCI. TECHNOL. 40(6), 674-679(2008)). 또한, 파골세포 표지 인자로 사용되고 있는 TRAP, 파골세포에 선택적으로 분포하여 골흡수를 일으키는 단백질인 카뎁신 K 및 파골세포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MP-9와 같은 활성화된 파골세포에만 특이하게 발현된다.
또한 골은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활성의 균형을 유지함으로 골의 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들의 활성으로 상기 골의 재형성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조골세포보다 파골세포의 활성이 증가할 때 골의 량이 감소하여 골다공증을 유발하고, 폐경기 이후의 여성은 혈중 에스트로겐농도 감소로 골다공증을 유발한다.
상기 골질환의 대표적인 예인 골다공증은 현재 미국에서만 약 1000만명이 이미 골다공증 질환을 앓고 있으며, 1천 8백만 명이 골다공증의 발생 위험에 놓여 있다. 또한, 국내에서의 경우에도 약 400만 명이 골다공증에 걸려있거나 그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는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어, 이로 인한 사회적 지출과 가족 구성원의 정신적, 경제적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골다공증 발생 원인으로는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골밀도의 감소는 뼈의 대사 즉, 새로운 뼈를 생성하는 골 생성과 오래된 뼈를 제거하는 골의 소실 속도에서의 불균형(unbalance)에 기인하고, 대표적인 원인은 연령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 과정으로 골 손실에 비하여 골의 생성이 낮아짐으로써 발생된다. 특히, 폐경기(menopause) 후 여성의 경우 뼈의 강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 분비가 중지됨에 따라 뼈로부터의 칼슘소실을 유발하게 되어 골다공증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T기술동향 보고서, 제158권(2011)).
또한 현재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에스트로겐(estrogen), 남성화 스테로이드 호르몬(androgenic anabolic steroid), 칼슘 제제, 인산염, 불소 제제, 이프리플라본(Ipriflavone), 비타민 D3 등이 있다. 에스트로겐은 조골세포의 세포고사를 억제하여 세포의 생존기간을 증가시키고 파골세포의 세포고사를 촉진하여 세포의 생존기간을 감소시켜 폐경증상의 치료와 골밀도 유지에 어느 정도 효과적인 방법이나 유방암, 자궁내막 증식증 등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에스트로겐의 긍정적인 치료 효과만을 갖는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자(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sERMs)를 개발하여 에스트로겐 대체 치료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같은 맥락에서 최근에 상대적으로 골에 분포도가 높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아형(subtype)인 ERβ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골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약물이고 SERMs, fluoride 등이 있는데 이들 약물은 단기간(~ 5년 정도)의 치료에는 골밀도 증가에 효과적이나 장기간의 투여시 골량의 증가가 촉진되지 않으며 오히려 장기간의 투여에 따른 부작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장기간의 투여에도 지속적인 골밀도 증가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외에도 골다공증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골 파괴를 억제시키거나, 조골세포의 증식을 통해 골재생 단위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1,25(OH)2D3(calcitriol)(칼시토닌),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제제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 골다공증 치료약제들은 골 흡수만을 차단시키거나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효능만을 갖으며 장기간 투여 시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간 투여에도 지속적인 골밀도 증가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독성이 적고,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시포레놀 A의 효능을 확인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시포레놀 A는 시포노찰리나 시포넬라 (Siphonochalina siphonella)에서 유래한 트리테르펜 (triterpene) 계열의 화합물로, p-gp의 기능을 억제를 확인하여 암에서 MDR 치료 역전제의 치료 가능성 확인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Sipholenol A, a marine-derived sipholane triterpene, potently reverses P-glycoprotein (ABCB1)-mediated multidrug resistance in cancer cells. Cancer Sci. 2007 Sep;98(9):1373-80. Epub 2007 Jul 19.) 또한 트리테르펜 계열의 화합물의 골다공증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64662)은 보고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시포레놀 A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노력한 결과, 시포레놀 A는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시포레놀A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에서 분리 정제된 단일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다공증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골다공증은 노인성 골다공증 및 난소 적출술에 따른 골다공증, 원발성 골다공증; 글루티코르티코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갑상선 기능 항진성 골다공증, 헤파린 유발성 골다공증, 면역 억제 유발성 골다공증, 신부전에 따른 골다공증, 염증성 골다공증, 쿠싱 증후군에 따른 골다공증 및 류마티스성 골다공증 중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포레놀 A는 시포노찰리나 시포넬라 (Siphonochalina siphonella)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은 파골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DC-STAMP(dendritic cell-specific transmembrane protein), OC-STAMP 및 카텝신 (Cathepsin K)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트랩 (TRAP) 양성 파골세포의 형성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은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골다공증은 노인성 골다공증 및 난소 적출술에 따른 골다공증 등의 원발성 골다공증; 글루티코르티코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갑상선 기능 항진성 골다공증 고정 유발성 골다공증, 헤파린 유발성 골다공증, 면역 억제 유발성 골다공증, 신부전에 따른 골다공증, 염증성 골다공증, 쿠싱 증후군에 따른 골다공증 및 류마티스성 골다공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시포레놀 A는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서, 시포레놀 A는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내고, 파골세포의 분화 표지 마커로 알려져 있는 OC-STAMP(osteoclast stimulatory transmembrane protein), DC-STAMP, cathepsin K, 및 TRAP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시포레놀A가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2는 시포레놀A가 파골 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TRAP 용액을 이용한 염색법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3은 시포레놀A가 파골세포 (osteoclast)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시포레놀 A (sipholenol A)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시포레놀 A(sipholenol A)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직접 합성하거나 또는 천연물 등으로부터 분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시포레놀 A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골다공증"이란 뼈에 구조상 아무런 이상이 없으면서 뼈를 구성하는 무기질과 기질의 양이 과도하게 감소하여 뼈에 스펀지처럼 작은 구멍이 많이 나서 무르고 쉽게 부러지는 상태를 말하며, 다른 용어로 골조소증 또는 골소공증이라고도 한다. 상기 골다공증은 일반적으로 골량의 저하, 즉 골밀도의 저하나, 낮은 뼈 질량으로 미세조직이 열화(劣化)되는 증상을 수반한다.
상기 골다공증은 예컨대, 여성에서의 폐경에 따른 골다공증, 노인성 골다공증 및 난소 적출술에 따른 골다공증 등의 원발성 골다공증; 글루티코르티코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갑상선 기능 항진성 골다공증 고정 유발성 골다공증, 헤파린 유발성 골다공증, 면역 억제 유발성 골다공증, 신부전에 따른 골다공증, 염증성 골다공증, 쿠싱 증후군에 따른 골다공증 및 류마티스성 골다공증 등의 이차성 골다공증; 등과 같은 골 질환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파골세포의 분화 표지 마커로 알려져 있는 OC-STAMP(osteoclast stimulatory transmembrane protein), DC-STAMP, cathepsin K, 및 TRAP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골다공증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골다공증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시포레놀 A가 파골세포의 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고자, 5 내지 6주령 된 C57BL/6 마우스에서 경골과 대퇴골을 분리하여 골수세포를 얻어 낸 후, 배양한 다음, 상기 시포레놀 A를 처리 한 다음 파골세포의 형성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포레놀 A의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파골세포 형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파골세포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시포레놀 A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증가된 파골세포의 분화인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파골세포의 형성 및 분화를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파골세포에 의한 골 재흡수를 제어하고, 골다공증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포레놀 A(sipholenol A)”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골질환의 의심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골다공증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인간,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비 경구, 피하, 복강내, 폐 내 및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고, 국부적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병변 내 투여를 포함하는 적합한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파골(Osteoclast 분화
5~6주령 된 C57BL/6 마우스에서 경골과 대퇴골을 분리하여 골수세포를 얻어냈다. 분리한 골수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 (FBS), M-CSF (50 ng/ml)를 첨가한 α-minimum essential medium (α-MEM) 배지에서 3일간 배양 후 부유 세포는 제거하고 부착된 세포를 대식세포 (bone marrow macrophages, BMMs)로 사용하였다. 상기 대식세포를 M-CSF (50 ng/ml)와 RANKL (100 ng/ml)을 첨가한 배지에 4일간 배양 후 TRAP 용액을 이용하여 염색하여 TRAP 양성 다핵 형 세포를 파골세포(osteoclast)로 간주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골수세포에 M-CSF와 RANKL을 처리하여 파골세포(osteoclast)로 분화하는 동안 Sipholenol A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상기 Sipholenol A가 골수세포의 osteoclast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상기 Sipholenol A가 농도의존적으로 골수세포의 파골세포 (osteoclast)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실시예 2> TRAP 활성 측정 및 염색
상기 실시예1의 골수세포 유래 대식세포에 M-CSF (50 ng/ml)와 RANKL (100 ng/ml)을 첨가하고 4일간 배양한 후 culture medium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다. 10% formalin으로 5분간 고정 후 증류수로 세 차례 세척하였다. Chromogenic substrate를 50 μl씩 넣고 37 ℃에서 30분간 염색 (staining) 후 관찰하였다. TRAP 활성 (activity)은 culture supernatant에 chromogenic substrate/tartrate-containing buffer를 170 μl씩 넣고 37 ℃에서 3시간 동안 방치한 후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CA,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확인하였다. 파골세포 (osteoclast) 분화 정도의 평가를 TRAP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활성 (activity)으로 평가한 결과, 상기Sipholenol A가 농도 의존적으로 골수세포의 파골세포(osteoclast)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실시예 3>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상기 실시예1의 골수세포 유래 대식세포에 M-CSF (50 ng/ml)와 RANKL (100 ng/ml)을 첨가하고 3일간 배양한 후 culture medium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하였다. RNeasy Mini kit(QIAGEN)을 이용하여 RNA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RNA에 RT-premix(Bioneer) 및 oligo dT primer를 섞어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된 cDNA는 TRAP, Cathepsin K, OC-STAMP 및 DC-STAMP 유전자 증폭에 사용이 되었고 사용된 primer 서열은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PCR은 95℃에서 30초, 56℃에서 30초, 72℃에서 60초씩 25회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PCR의 결과물은 2%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한 후 EtBR로 염색을 하고 UV illunimator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골수세포에 M-CSF와 RANKL을 처리하여 파골세포 (osteoclast)로 분화하는 동안 Sipholenol A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Sipholenol A가 osteoclast 특이적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파골세포(Osteoclast) 분화의 표지인자인 TRAP, osteoclast에 선택적으로 분포하여 골흡수를 일으키는 단백질인 cathepsin K 및 pre-osteoclast (분화하지 않은 세포) 의 융합(fusion)을 통한 다핵파골세포 (multinucleated osteoclast) 의 형성에 필수적인 OC-STAMP 및 DC-STAMP의 발현을 RT-PCR을 통해 검정한 결과, Sipholenol A가 농도 의존적으로 파골세포 (osteoclast) 특이적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 3 참조).
프라이머 (primer) 서열 목록
유전자 Primer sequence
TRAP 5′-ctgctgggcctacaaatcat-3′
5′-ggtagtaagggctggggaag-3′
Cathepsin K 5′-aggcggctatatgaccactg-3′
5′-ccgagccaagagagcatatc-3′
OC-STAMP 5′-tgggcctccatatgacctcgagtag-3′
5′-tcaaaggcttgtaaattggaggagt-3′
DC-STAMP 5′-actagaggagaagtcctgggagtc-3′
5′-cacccacatgtagagataggtcag-3′
β-actin 5′-ttctacaatgagctgcgtgt-3′
5′-ctcatagctcttctccaggg-3′
아래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약제의 제조
제제예 1 : 산제의 제조
시포레놀 A(sipholenol A) 2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시포레놀 A(sipholenol A) 1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캅셀제의 제조
시포레놀 A(sipholenol A)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 주사제의 제조
시포레놀 A(sipholenol A) 10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794 ㎎
Na2HPO412H2O 26 ㎎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2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 액제의 제조
시포레놀 A(sipholenol A) 1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당량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당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 ㎖로 조절하고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건강 식품의 제조
1. 건강 식품의 제조
시포레놀 A(sipholenol A) 2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mg
판토텐산칼슘 0.5 mg
무기질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조성 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 건강음료의 제조
시포레놀 A(sipholenol A) 2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한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고 멸균된 2 ℓ의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시포레놀 A(sipholenol A)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osteoporosis),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다공증은 노인성 골다공증, 난소 적출술에 따른 골다공증, 원발성 골다공증, 글루티코르티코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갑상선 기능 항진성 골다공증, 헤파린 유발성 골다공증, 면역 억제 유발성 골다공증, 신부전에 따른 골다공증, 염증성 골다공증, 쿠싱 증후군에 따른 골다공증 및 류마티스성 골다공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포레놀 A는 시포노찰리나 시포넬라 (Siphonochalina siphonella)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파골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DC-STAMP(dendritic cell-specific transmembrane protein), OC-STAMP 및 카텝신 (Cathepsin K)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트랩 (TRAP) 양성 파골세포의 형성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포레놀 A(sipholenol A)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9. 시포레놀 A(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골다공증은 노인성 골다공증, 난소 적출술에 따른 골다공증 등의 원발성 골다공증, 글루티코르티코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갑상선 기능 항진성 골다공증 고정 유발성 골다공증, 헤파린 유발성 골다공증, 면역 억제 유발성 골다공증, 신부전에 따른 골다공증, 염증성 골다공증, 쿠싱 증후군에 따른 골다공증 및 류마티스성 골다공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포레놀 A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KR1020190080740A 2019-07-04 2019-07-04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04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40A KR20210004390A (ko) 2019-07-04 2019-07-04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40A KR20210004390A (ko) 2019-07-04 2019-07-04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390A true KR20210004390A (ko) 2021-01-13

Family

ID=7414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740A KR20210004390A (ko) 2019-07-04 2019-07-04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43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5079B1 (en)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ne diseases comprising colforsin daropate
KR101308144B1 (ko) 아젤라신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65894B1 (ko) 살비아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68940A1 (ko) 아르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81709B1 (ko) Sac-1004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3078374A (ja) 筋肉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20210004390A (ko)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92696B1 (ko)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풀무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063962B1 (ko)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59659B1 (ko) 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2465B1 (ko)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 또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52006A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555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22970B1 (ko) 금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조성물
KR101655554B1 (ko) 택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38411A (ko)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39994B1 (ko) 스티그마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58030B1 (ko) 탈염 함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5488B1 (ko) 트리메틸피라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2097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118954A (ko) 시클로피록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6876B1 (ko)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1362A (ko) 크로멘-4-온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09523A (ko) 생강나무 잎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9595B1 (ko) 성게 유래 칼시토닌 유사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