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962B1 -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962B1
KR102063962B1 KR1020170139076A KR20170139076A KR102063962B1 KR 102063962 B1 KR102063962 B1 KR 102063962B1 KR 1020170139076 A KR1020170139076 A KR 1020170139076A KR 20170139076 A KR20170139076 A KR 20170139076A KR 102063962 B1 KR102063962 B1 KR 10206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mula
osteoporosis
bone
compound represen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017A (ko
Inventor
장원구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9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9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캄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조골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인 Dlx5, Runx2, ALP, OC의 발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또는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파골세포를 표적으로 하기보다는 조골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골형성을 촉진시켜 근본적으로 골다공증을 치료할 수 있으며, 2차 골절 예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containing camphen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캄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산업재해 및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골다공증 및 그에 따른 골절등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골질환등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골 재생 능력유도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뼈이식제와 조골세포의 활성향상 및 파골세포의 활성을 저하시키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관련질환 치료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골종양, 골결손이 심한 부위를 채울 수 있는 신생골을 능동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줄기세포와 조골세포를 이용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골의 재형성 과정은 오래된 골이 주기적으로 새로운 골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이 과정은 증식, 분화 및 세포외기질의 석회화유도 등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골 형성과 흡수 과정은 중간엽줄기세포 유래의 조골세포와 조혈모세포 유래의 파골세포의 상호작용에 의해 균형을 이루면서 골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조골세포의 활성도가 낮아져 골 형성이 감소 되거나 파골세포의 활성도가 강해져 골 흡수가 증가 되는 등의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간의 활성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면 조직 내 화학조성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골 질량이 감소하여 골다공증(osteoporosis)과 같은 골 대사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골다공증은 유전적 요인이나 식이, 생활 방식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질병으로,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에 이르면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골 감소가 급격히 진행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골다공증 치료제는 비타민 D, 여성호르몬제, 비스포스포네이트제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칼시토닌 제제 등이 있는데 대부분 파골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켜 골 흡수를 조절함으로써 뼈의 소실을 막아주는 방식에 의하고 있다. 그러나 파골세포의 활성억제를 통한 골다공증 치료법들은 근본적으로 골다공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이 아니기 때문에 완치에 한계가 있으며 실질적인 골밀도 증가 및 골 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골세포 활성의 증가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골다공증은 약물의 단기 투여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고 약물의 장기 투여가 필수적인 질환이므로, 약물을 장기 투여할 때에도 부작용이 없으면서 우수한 약효를 갖는 새로운 물질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존 치료법의 부작용 최소화와 골 소실을 최소화하면서 골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한약재 및 식품 등의 천연물 유래 활성성분을 이용한 대체요법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캄펜(Camphene)은 무색의 장뇌 비슷한 냄새가 나는 결정으로 물에는 녹지 않지만 에탄올이나 에테르 등의 유기용매에는 잘녹는 특징이 있으며, 장뇌의 합성, 향료의 원료 등에 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우회전성을 가진 D형은 삼나무·노송나무의 가지·잎의 정유(精油)나 생강의 뿌리 ·줄기에 함유되어 있고, 좌회전성인 L형은 소나무 잎의 정유에 함유되어 있으며, 라세미형은 여러 가지 정유의 성분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캄펜의 피부재생효과, 항산화효과, 항염증효과 및 미백효과가 연구된 바있으며, 어류의 대량 폐사를 유발하는 스쿠티카충 살충효과에 대해서도 연구된 바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러한 캄펜에 대한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097호
본 발명자들은 근본적으로 골다공증을 치료하기 위해 실질적인 골밀도 증가 및 골 강화를 위해 조골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약학적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캄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들이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우수하고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적은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105368308-pat00001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캄펜(camphene)으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의 농도는 0.01 내지 2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는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Dlx5(distal-less homeobox 5), OC(osteocalcin) 및 ALP(alkaline phosphatas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골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경질 캡슐제, 연질 캐슐제 또는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05368308-pat00002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의 농도는 0.01 내지 20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조골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인 Dlx5, Runx2, ALP, OC의 발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또는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파골세포를 표적으로 하기보다는 조골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골형성을 촉진시켜 근본적으로 골다공증을 치료할 수 있으며, 2차 골절 예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캄펜(camphene)의 농도에 따른 MTT 분석의 결과 그래프이다(*** P < 0.001).
도 2는 캄펜(camphene)의 농도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의 mRNA 발현을 나타낸 <실험예 2>에 따른 결과이다.
도 3은 캄펜(camphene)의 처리시간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의 mRNA 발현을 나타낸 <실험예 2>에 따른 결과이다.
도 4는 캄펜(camphene)의 시너지 효과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의 mRNA 발현을 나타낸 <실험예 2>에 따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감소하고 질적인 변화로 인하여 뼈의 강도가 약해진 상태를 의미하고,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라 함은 골 밀도 저하, 골 손실로 인한 각종 질병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05368308-pat00003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캄펜(camphene)으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캄펜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것이나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이나 기원은 한정되지 않는다.
캄펜은 쥐오줌풀, 소나무, 산박하, 개똥풀, 녹나무 등 여러 가지 식물의 정유 성분으로, 진정 작용, 진경이뇨, 거풍, 소종 고혈압, 부종, 불면증, 지방 감소 등 여러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화합물은 골다공증 및 골절 등과 같은 질환 및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치주질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Zhang et al., ShanghaiKou Qiang Yi Xue 7(2), pp99-103, 1998; Cahill et al, Biol Blood Marrow Transplant 10(10), pp709-717, 2004), 화상으로 비롯되는 골 성장 장애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연구도 보고된바 있다(Klein et al.,Osteoporos Int. 16(6), pp631-635, 2005).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조골세포 등의 부족으로 인한 골 형성에 문제가 있는 질환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에스트로겐의 부족으로 인한 인터루킨-1(IL-1)에 의한 골 파괴와 염증성 질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과도한 파골 세포의 골 흡수에 의한 골다공증, 뼈전이암 병소(bone metastatic lesion), 원발성으로 뼈에 생성된 종양, 류마티스성 또는 퇴행성 관절염, 치주질환, 염증성 치조골 흡수질환, 염증성 뼈 흡수 질환 및 파제트병(Paget's disease) 등과 같은 병리학적 골 질환으로 골 파괴를 촉진하는 질환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의 농도는 0.01 내지 20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일 농도가 0.01 μM 미만일 경우 약학적인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날 수 있고, 20 μM를 초과할 경우 세포독성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는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Dlx5(distal-less homeobox 5), OC(osteocalcin) 및 ALP(alkaline phosphatas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골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조골세포 분화는 호르몬, 뼈형성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s:BMPs)과 같은 사이토카인,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Id1(inhibitor of DNA binding 1), Dlx5(distal-less homeobox 5), OC(osteocalcin), ALP(alkaline phosphatase)과 같은 다양한 전사인자에 의해서 조절된다. 그 중에서도 Id1, Dlx5, Runx2는 조골세포 분화 초기에 발현되는 필수적인 유전자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은 조골세포 분화가 가속화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는 조골세포 분화에 있어 중요한 조절자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다분화능세포 또는 조골전구세포에서 ALP(alkaline phosphatase), OC(osteocalcin) 그리고 골격시알로단백질(bone sialoprotein)과 같은 유전자를 조절함으로써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유전자이다.
Id1(inhibitor of DNA binding 1)은 조골세포에서 세포의 성장과 분화 사이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전사인자이고, 조골세포 특이적 분화에 있어서 초기 단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근원세포,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조골세포 분화로 전환될 때 Id1(inhibitor of DNA binding 1)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따라 분화가 촉진된다.
Dlx5(distal-less homeobox 5) 또한 뼈에 의해 유도되며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의 프로모터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전사를 조절하고, 조골세포 분화의 후기 표지 유전자인 OC(osteocalcin)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조골세포 분화를 조절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경질 캡슐제, 연질 캐슐제 또는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사전 충전식 주사 용액제의 형태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유효 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다양한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증상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05368308-pat00004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캄펜 (camphene) 으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도체의 농도는 0.01 내지 20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만일 농도가 0.01 μM 미만일 경우 약학적인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날 수 있고, 20 μM를 초과할 경우 세포독성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비제한적으로 각종 음료, 껌, 차, 과자, 비타민 복합체, 건강 보조식품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골다공증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되는 경우도 포함하며, 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바람직한 섭취량은 섭취자의 상태 및 체중, 증상의 정도, 식품 형태, 섭취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골의 형성과정에 조골세포의 분화는 유전형질의 발현에 의해 조절되며, 배양방법에 따라 고유의 특성을 가진다. 골세포의 분화 및 골 형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신호전달체계는 대표적으로 변화 성장 인자-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와 뼈형성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윈트/베타-카테닌(Wnt/β-catenin), 섬유아세포 증식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헤지호그(hedgehog), 노치(notch)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신호전달체계는 골세포 분화과정 동안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및 Dlx5(Distalless-related homeobox 5) 등과 같은 골 형성과 관련한 다양한 전사인자의 발현과 활성화를 유도하며, ALP(alkaline phosphatase), Id1(inhibitor of DNA binding 1), OC(Osteocalcin) 등의 골 분화 관련 유전자를 발현시킨다. 이러한 조골세포에서의 분화 유도 물질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AA), 베타-글리세로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β-GP),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알려져있다.
본 발명에서는 골조직에 존재하는 조골세포와 유사한 MC3T3-E1 전조골세포(preosteoblasts)를 이용하여 캄펜이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캄펜은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 실험예 1> 세포독성실험
1-1. 실험방법
(1) 실험재료 및 세포배양
캄펜(Sigma aldrich co., St. louis, MO, USA)을 에탄올에 녹여 사용하였으며, 마우스에서 유래된 MC3T3-E1 cell(ATCC, Manassas, VA, USA)을 사용하였고, 세포배양에는 알파-최소필수영양배지(alpha-minimum essential medium:α-MEM, Sigma aldrich)와 포스페이트 버퍼 살린(Phosphate Buffer Saline: PBS,Gibco, Grand Island, NY, USA)을 사용하였다.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은 ATLAS에서 구입하였고, 이를 제외한 시약들은 모두 Sigma Aldrich Korea에서 구입하였다.
MC3T3-E1(전조골세포)는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과 10% 소태아혈청(FBS)이 첨가된 알파-최소필수영양배지(α-MEM)에서 배양하며, 포스페이트 버퍼 살린으로 멸균 후 0.25% Trypsin EDTA(Gibco) 용액을 사용하여 37℃, 5% CO2 이하의 환경에서 계대배양하며, 2일에 한 번씩 배양액을 교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의 조건을 위하여 캄펜을 농도변화와 시간별로 나누어서 배양하였으며, 실험의 대조군을 위하여 5mM 농도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과 50μg/ml 농도의 베타-글리세로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β-GP)를 혼합한 것을 배양하여 처리하였다.
(2) MTT 분석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브로마이드(MTT)(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한 MTT assay로 살아있는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MC3T3-E1 세포를 48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세포가 들어가도록 분주한 후 세포들이 부착될 수 있도록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캄펜을 각 농도별(10, 20, 50, 100, 200 μM)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MTT 분석 방법으로, 다양한 농도의 캄펜으로 배양된 세포를 5mg/mL 농도의 MTT 배양액 10%로 웰에 처리하여, 1시간 동안 37°C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보라색으로 염색이 되면 배지를 제거해주고 400μl의 디메틸설폭사이드(DMSO,Dimethyl sulfoxide)를 첨가하여 용액을 96-웰 플레이트에 100μl씩 분주하고, 분석기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1-2. 실험결과
캄펜(camphene)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C3T3-E1 세포에서 진행된 MTT 분석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20 μM 이하 농도의 캄펜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50 μM 이상의 농도에서는 독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캄펜(camphene)처리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마커의 발현 분석
2-1. 실험방법
(1) RNA 추출
RNA 추출을 위하여 6-웰 플레이트에 300μl 트리졸을 처리하고, 스크랩퍼로 cell을 모아 1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클로로폼 60μl를 첨가 후 다시 10분간 반응시켰다.
원심분리(14500rpm, 4℃, 15min)후 상층액의 RNA 부분을 옮겨 이소프로필 150μl 처리하고, 4°C에 30분간 반응시켰다. 다시 원심분리(14500rpm, 4℃, 10min)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펠렛을 70%에탄올로 워싱하며, 또 다시 원심분리(13000rpm, 4℃, 10min)하였다. 에탄올을 제거한 후 20분간 건조해주며, 3차 증류수 4℃에 30분간 녹였다.
(2) cDNA 합성
cDNA 제조를 위해 260~280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고, 25μl에 맞추어 RNA, 3차 증류수, Kit(Top script™ RT Drymix)(Enzynomics, Daejeon, Korea)의 양을 조절하여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cDNA 합성을 위해 42℃에서 60분, 95℃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3)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cDNA 1μl와, 각각의 2μl 프라이머를 Emerald Green mixture(Takara Bio, Otsu, Japan) 10ul와 3차 증류수 7μl를 혼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각 프라이머의 염기서열과 실험조건을 표1 및 표2에 나타내었다. 그 후 1% 아가로스 겔(Agaros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하였고, 결과로 나온 밴드를 Gel doc(Alpha innotech corporation, San francisco, USA)으로 측정하였다.
유전자
프라이머 시퀀스(Primer Sequence)
Forward Reverse
β-actine 5'-TTC TTT GCA GCT CCT TCG TTG CCG-3' 5'-TGG ATG GCT ACG TAC ATG GCT GGG-3'
Runx2 5'-CCG CAC GAC AAC CGC ACC AT-3' 5'-CGC TCC GGC CCA CAA ATC TC-3'
Dlx5 5'-CAG AAG AGT CCC AAG CAT CC-3' 5'-GAG CGC TTT GCC ATA AGA AG-3'
OC 5'-GCA AAT AAG GTA GTG AAC AGA CTC C-3' 5'-GTT TGT AGG CGG TCT TCA AGC-3'
ALP 5'-ATC TTT GGT CTC GCT CCC ATG-3' 5'-TTT CCC GTT CAC CGT CCA C-3'
유전자
반응 조건
Cycle Number Pre-
Denaturation
Denaturation Annealing Extention Post-
Extension
β-actine 25 cycle

95℃ 5min



95℃ 30sec

66℃ 30sec

72℃ 30sec



72℃ 5min

Runx2
30 cycle
62℃ 30sec
Dlx5 63℃ 30sec
OC 60℃ 30sec
ALP 35 cycle
2-2. 실험결과
(1) 캄펜의 농도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의 mRNA 발현
세포독성실험 결과에 따라 10, 20 μM의 캄펜 농도에서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의 mRNA 발현정도를 나타내는 실험을 Runx2, Dlx5, ALP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캄펜 10, 20 μM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발현양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든 mRNA의 발현정도에서 20μl보다 10μl에서 더 큰 발현양의 증가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캄펜의 처리시간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의 mRNA 발현
캄펜의 농도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의 mRNA 발현결과, 10 μM의 농도에서 가장 강하게 발현하였고, 이에 따라 10 μM의 캄펜 농도에서 각 시간에 따라 캄펜을 처리하여 mRNA 발현정도를 나타내는 실험을 Runx2, Dlx5, ALP, OC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시간의존적으로 발현양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확실한 증가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캄펜의 시너지 효과에 따른 조골세포 분화 유전자의 mRNA 발현
캄펜의 시너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조건(AA+β-GP:아스코르브산+베타-글리세로포스페이트, CP:캄펜, AA+β-GP+CP:아스코르브산+베타-글리세로포스페이트+캄펜)에 맞게 처리한 다음 Runx2, Dlx5, ALP, OC를 이용해 mRNA 발현정도를 나타내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AA+β-GP와 캄펜을 혼합한 mRNA 발현은 독립적인 AA+β-GP의 mRNA 발현보다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1. 산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5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캅셀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5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50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 10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체를 제조한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06093091-pat0000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는 0.01 내지 2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Dlx5(distal-less homeobox 5), OC(osteocalcin) 및 ALP(alkaline phosphatas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골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경질 캡슐제, 연질 캐슐제 또는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9006093091-pat00006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조골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는 0.01 내지 20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70139076A 2017-10-25 2017-10-25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ctive KR10206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76A KR102063962B1 (ko) 2017-10-25 2017-10-25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076A KR102063962B1 (ko) 2017-10-25 2017-10-25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17A KR20190046017A (ko) 2019-05-07
KR102063962B1 true KR102063962B1 (ko) 2020-01-08

Family

ID=6665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076A Active KR102063962B1 (ko) 2017-10-25 2017-10-25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49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유머스트알엔디 캠펜을 포함하는 근위축 또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01669B1 (en) * 2009-11-19 2018-01-24 Yissum Research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Arylated camphen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KR101298097B1 (ko) 2010-12-21 2013-08-20 (주)창조바이오텍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쿠티카충 구제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49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유머스트알엔디 캠펜을 포함하는 근위축 또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017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70805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lder tree or the isolated compounds therefrom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keleton muscle-related disorder and the use thereof
KR20140045893A (ko) 마치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63962B1 (ko) 캄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90022706A (ko) 우르솔릭산 또는 2-α-하이드록시-우르솔릭산을 포함하는,조골세포 분화 및 활성 촉진용 약학 조성물
KR101308144B1 (ko) 아젤라신 d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07978A (ko) 콜포신 다로페이트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134840A (ko) 안토시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1481709B1 (ko) Sac-1004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2074B1 (ko)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JP5562515B2 (ja) 骨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その組成物を含有する機能性食品もしくは健康食品、並びにその組成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製剤
KR102015488B1 (ko) 트리메틸피라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61111B1 (ko) 리나로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39994B1 (ko) 스티그마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92696B1 (ko)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풀무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158980B1 (ko) 아젤라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52006A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4541B1 (ko) 유칼립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64014B1 (ko) 아미노쿠마린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555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12927B1 (ko) 오랍텐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아세포분화촉진제, 골형성촉진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90044986A (ko) 베타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741004B1 (ko) 시포레놀 A (Sipholen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41362A (ko) 크로멘-4-온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57984B1 (ko) 솔라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77967B1 (ko) 아미노벤조에이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