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367A -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367A
KR20210004367A KR1020190080678A KR20190080678A KR20210004367A KR 20210004367 A KR20210004367 A KR 20210004367A KR 1020190080678 A KR1020190080678 A KR 1020190080678A KR 20190080678 A KR20190080678 A KR 20190080678A KR 20210004367 A KR20210004367 A KR 20210004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articles
active ingredient
crystalline
base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숙
임지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 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 랩 filed Critical (주)에이티 랩
Priority to KR102019008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367A/ko
Publication of KR2021000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6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ase separation
    • B01J13/1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ase separation removing solvent from the wall-forming material solution
    • B01J13/125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by phase separation removing solvent from the wall-forming material solution by evaporation of the solv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결정형(crystalline morphology) 유효성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상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베이스 및 유상 베이스를 혼합하여 에멀전화함으로써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적에 함유된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마이크로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결정형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MICRO 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정형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는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입자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구형 입자로서, 다양한 유효성분을 포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89582호에서는 기능성 물질이 담지된 서방형 나노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마이크로 입자는 금속착물 아연 리시놀리트와 기능성 물질을 포집하여 다공성 나노 기공에 의해 내부에 담지된 상기 기능성 물질을 서서히 방출할 수 있는 서방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24163호에는 수난용성 약물을 함유하는 서방성 마이크로 입자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마이크로 입자는 수난용성 약물을 서서히 방출하도록 하여 약물의 혈중 농도를 유효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19821호, 10-2019-0027349호에는 목시덱틴 약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입자로서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서방성을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에 따르면, 마이크로 입자가 유효성분을 함유하면서 서방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 등에 적용되는 유효성분들 중 결정형(crystalline morphology)의 유효성분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결정형 유효성분의 경우 마이크로 입자를 구성하는 고분자로 포집하기 곤란하여 유효한 마이크로 입자를 얻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895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2416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1982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273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결정형(crystalline morphology)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는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결정형 유효성분의 용출이 용이하여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입자는 결정형 (crystalline morphology) 유효성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상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베이스 및 유상 베이스를 혼합하여 에멀전화함으로써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적에 함유된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마이크로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정형 유효성분은 브로멜라인(bromelain), 유용성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 및 티몰 트라이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락타이드,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소에스테르,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미노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 베이스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9: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는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결정형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결정형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결정형 유효성분의 용출이 용이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때 그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광학현미경 사진으로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a), 상기 마이크로 입자를 수상에 1% 농도로 분산시키고 30일 경과 후(b), 및 비교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c), 상기 마이크로 입자를 수상에 1% 농도로 분산시키고 3일 경과 후(c)의 사진이다.
도 3은 티몰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의 결정구조(a) 및 결정 성장 상태(b)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a) 및 비교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b)의 전자 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건식 분말 상태(a) 및 수분산 상태(b)에서의 입도분석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고온 저장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입자는 수상 베이스와 유상베이스의 에멀전화를 통해 액적을 제조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제조방법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상 베이스 및 수상 베이스를 각각 제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액적을 이용한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종래기술을 통해 알려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통상의 액적을 이용한 제조방법을 통해 마이크로 입자를 제조하되, 상기 마이크로 입자가 결정형(crystalline morphology) 유효성분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결정형 유효성분은 침상, 판상, 다각형의 결정 구조를 이루는 유효성분으로서 이를 고분자를 이용하여 포집한 마이크로 캡슐이나 마이크로 입자는 상기 유효성분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포집하기 어려워 캡슐 벽이 쉽게 파손되어 사용 전 상기 유효성분이 용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유상 베이스를 제조할 때, 결정형 유효성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수상 베이스를 제조할 때,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상 베이스를 제조할 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더불어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마이크로 입자의 다공성이 감소하며, 이로 인하여 결정성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포집하는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타인(Betaine)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킬 베타인, 알킬 설포베타인, 아실 베타인, 알킬이미다졸리늄 베타인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타인 계열의 계면활성제 중 알킬 베타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베타인 계열의 계면활성제는 4차 암모늄이나 포스포늄과 같은 양이온 기와 카복실기와 같은 음이온 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킬 베타인의 경우 알킬기의 길이에 따라 친수성/소수성 비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마이크로 입자의 다공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유상 및 수상 베이스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할 때 마이크로 입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스 에테르 및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전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병용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함량을 정하게 되며, 유상 및 수상 베이스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상 베이스를 제조할 때 물은 유상 및 수상 베이스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70 중량%의 범위에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상 베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형 유효성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결정형 유효성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결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입자를 형성할 때 안정적으로 포집되지 않아 보관 과정에서 쉽게 용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기 결정형 유효성분을 화장료 조성물 등에 적용할 경우 충분한 피부 흡수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보관 중 용출되어 분리되는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결정형 유효성분의 예로는 난용성 또는 불용성 성분을 들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로멜라인(Bromelain), 티몰 트라이메톡시시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유용성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idin root extract), 파파인(Papain), 아스타잔틴(Astaxanthin)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결정형 유효성분은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마이크로 입자에 포집될 수 있다.
상기 결정형 유효성분은 유상 및 수상 베이스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마이크로 입자 전체 중량에 대하여서는 0.1 내지 40 중량%가 되도록 함유될 수 있다. 마이크로 입자에서 상기 결정형 유효성분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마이크로 입자를 형성하더라도 이를 화장료 조성물 등에 활용할 때 영양성분을 공급하기에 부족하며,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조성물의 성분과 함량을 최적화하더라도 안정적으로 포집한 상태를 유지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상기 함량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상 베이스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마이크로 입자의 구조를 형성하는 성분으로서, 생분해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 등에 적용되어 사용할 때 결정형 유효성분을 포집하고 있다가 피부에 흡수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또는 폴리락틱 애씨드(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라이드(polyglycolide) 또는 폴리글리콜릭 애씨드(polyglycolic acid),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Poly(lactide-co-glycolid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적용할 수 있는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유상 및 수상 베이스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마이크로 입자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99.9 중량%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내지 8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자량이 너무 작거나 너무 크면 마이크로 입자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결정형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유상 베이스와 수상 베이스는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저장용기에 보관되며, 제조 순서는 상관이 없다.
또한, 상기 유상 베이스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로는 통상의 마이크로 입자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펜탄, 헥산, 헵탄, 사이클로헥산, 디이소프로필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테르, 트리클로로에틸렌, 디메톡시에탄, 벤젠, 자이렌, 톨루엔,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폼, 테트로하이드로퓨란, 디메틸카보네이트, 클로로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다이옥산, 피리딘, N-메틸피롤리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i-프로판올, t-부틸알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유상 및 수상 베이스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상 베이스 및 유상 베이스를 혼합하여 에멀전화하면 액적이 형성되는데, 형성된 액적으로부터 유기용매를 제거하면 마이크로 입자가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입자는 평균 입경이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평균 입경 범위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으로 함유될 때 도포, 흡수 등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시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1에서와 같은 비율로 유상 베이스 및 수상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표 1에서 함량은 모두 중량부이다.
유상 베이스의 유기용매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으며, 결정형 유효성분으로는 티몰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를 사용하였고,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락틱애씨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상 베이스는 정제수를 용제로 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폴리비닐알코올,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코카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을 사용하였다.
성분 실시예 비교예
유상 메틸렌클로라이드 200 200
폴리카프로락톤 40 40
폴리락틱애씨드 2.5 2.5
티몰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 7.5 7.5
수상 정제수 500 500
폴리비닐알코올 9 10
코카아미도프로필 베타인 1 -
상기 실험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실시예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를 비교하였다. 또한,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 다공성이 조절되어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포집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결정형 유효성분으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결정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를 적용하였다. 상기 성분은 갈산(Gallic acid)의 유도체로 피부의 멜라닌을 만드는 주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를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기능성으로 알려진 원료인데 원료 자체가 난용성 원료일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 높은 결정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분자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캡슐이나 마이크로 입자를 제조할 때 안정화가 안 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에서 유상 베이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500㎖ 미디어 보틀에 마그네틱 바,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및 폴리락틱애씨드(Polylactic acid)를 첨가한 후에 상온에서 마그네틱 교반기를 이용하여 용해하였다. 투명하게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유효성분인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를 첨가하여 추가 교반하여 투명한 상태의 유상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2L 비커에 정제수,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을 투입하고 이를 70℃로 가온하여 아지-믹서를 이용해서 용해함으로써 수상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투명하게 용해되면 상온까지 온도를 내린 후에, 코카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을 첨가한 뒤 호모-믹서로 5,000rpm 속도로 교반하면서 유상을 천천히 첨가하여 액적을 형성하였다.
5분 동안 유화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해서 액적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회전증발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농축하였다. 항온수조의 온도는 30
Figure pat00001
로 설정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가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수상에 함유되어 있는 계면활성제를 제거하기 위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정제수로 세정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감압여과를 거쳐 마이크로 입자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마이크로 입자는 35
Figure pat00002
챔버에서 24시간동안 건조한 후, 막자사발로 분쇄하여 분말상의 마이크로 입자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의 마이크로 입자는 실시예와 모든 과정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되, 수상 베이스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비닐알코올만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를 Olympus사의 BX41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측정조건은 투과모드로 하였으며, 마이크로 입자가 수상에 1 농도%가 되도록 분산한 직후와 30일 간 방치한 후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마이크로 입자는 30일 간 방치한 후에도 마이크로 입자의 형태를 유지하였으며, 결정형 유효성분이 용출되는 현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의 마이크로 입자의 경우 30일 간 방치하면 결정형 유효성분이 상당량 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정형 유효성분으로 사용된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는 도 3(a)에서와 같이 침상 결정형을 가진 유효성분이다. 이는 상기 유효성분을 에탄올에 용해한 후 에탄올이 휘발되면서 침상 결정형을 관찰할 수 있는데, 장기간 보관하면 도 3(b)에서와 같은 결정 성장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입자는 상기 침상 결정형이 결정 성장을 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어야 하며, 분산 상태에서 침상 결정형이 용출되는 현상이 없어야 한다.
상기 티몰 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의 결정형으로부터 제조된 마이크로 입자를 자세히 관찰하였다. 전자 현미경은 Hitachi사의 S-4300SE를 사용하였으며, 이미지 해상도 5.0nm, 1kV의 조건에서 촬영하였다. 도 4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경우 침상 결정형이 표면에 거의 관찰되지 않으나, 비교예의 마이크로 입자의 경우 침상 결정형이 마이크로 입자 내에 안정적으로 포집되지 못하여 표면에 잔존하는 다량의 결정형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장기간 수분산된 상태에서는 비교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에 함유된 침상 결정형이 쉽게 용출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건식 분말 상태(a) 및 수분산 상태(b)에서의 입도 분석 결과를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입도 분석은 ISO 13320(Laser diffraction methods, 레이저 회절법)에 의거하여 측정한 것으로서, Bechman Coulter사의 LS 13 32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이크로 입자를 습윤(수분산) 상태에서 측정하면 실제 매질에 분산되는 성질을 예측할 수 있는데, 건식 상태에서의 그래프와 수분산 상태에서의 그래프가 거의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 입자를 건조한 후 재분산하여도 캡슐끼리 응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또한, 마이크로 입자의 고온 저장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입자를 10%의 농도로 정제수/부틸렌글라이콜을 1:1의 부피비로 한 용제에 분산시킨 제형을 45℃에서 12개월 간 보관하면서 시간에 따른 유효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함량은 HPLC(Agilent 1100 HPLC Chemstati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HPLC의 컬럼은 Eclipse XDB-C18 5㎛ 4.6×150㎜, 용매로는 HPLC Grade(삼전순약)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Acetonitrile : DI-Water : = 85 : 15 (vol/vol)을 사용하였고, 1.0㎖/min의 flow rate로 측정하였으며, injection volume은 10㎕, Retention time은 3.9min이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약 1년이 경과한 후에도 마이크로 캡슐 내부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90% 이상 안정하게 포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마이크로 캡슐이 결정형 유효성분을 매우 안정적으로 포집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결정형(crystalline morphology) 유효성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상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베이스 및 유상 베이스를 혼합하여 에멀전화함으로써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액적에 함유된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마이크로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정형 유효성분은 브로멜라인(bromelain), 유용성 감초추출물(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Extract), 및 티몰 트라이메톡시신나메이트(Thymol trimethoxycinnamat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락타이드, 폴리락틱-코-글리콜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 폴리포스파진,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소에스테르,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미노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상 베이스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9:1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결정형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
KR1020190080678A 2019-07-04 2019-07-04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4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678A KR20210004367A (ko) 2019-07-04 2019-07-04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678A KR20210004367A (ko) 2019-07-04 2019-07-04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367A true KR20210004367A (ko) 2021-01-13

Family

ID=7414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678A KR20210004367A (ko) 2019-07-04 2019-07-04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436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63B1 (ko) 2010-12-24 2014-08-01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수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마이크로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9821A (ko) 2017-08-18 2019-02-27 (주)인벤티지랩 피나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27349A (ko) 2017-09-06 2019-03-14 (주)인벤티지랩 목시덱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9582B1 (ko) 2017-06-27 2019-06-14 주식회사 엘브스바이오켐 기능성 물질이 담지된 서방형 나노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방법 및 그 마이크로입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63B1 (ko) 2010-12-24 2014-08-01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수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마이크로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9582B1 (ko) 2017-06-27 2019-06-14 주식회사 엘브스바이오켐 기능성 물질이 담지된 서방형 나노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방법 및 그 마이크로입자
KR20190019821A (ko) 2017-08-18 2019-02-27 (주)인벤티지랩 피나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27349A (ko) 2017-09-06 2019-03-14 (주)인벤티지랩 목시덱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5069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krokapseln
US7691296B2 (en) Method for stabilizing active components using polyol/polymer microcapsul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microcapsule
FR2484281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microspheres comportant un noyau solide et une matiere polymere
Lakshmana Prabu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sustained release microspheres of rosin containing aceclofenac
Matsumoto et al. A novel preparation method for PLGA microspheres using non-halogenated solvents
JP7437074B2 (ja) リバスチグミンを含む長期持続型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51342A1 (de) Verkapselung und kontrollierte Freisetzung biologisch aktiver Wirkstoffe mit enzymatisch abbaubaren hyperverzweigten Trägerpolymeren
CN107137714A (zh) 艾纳香精油纳米微胶囊、其制备方法及其应用
JP2017528434A (ja) レチノールまたはレチノール誘導体を含むマイクロニードル
KR101114659B1 (ko)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94907A (zh) 包含着色剂的颗粒及其使用方法
CN106474070B (zh) 一种克服停滞期、恒速释放疏水性药物的微球及制备方法
EP3348259A1 (en) Polymer microsphere having spontaneous pore-closure functiona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orrea et al. Colombian propolis as starting material for the preparation of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JP7085243B2 (ja) デュタステリドを含むマイクロ粒子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20100094227A (ko)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JP2018510886A (ja) 難溶性薬物伝達用の溶解性マイクロニドル
KR20210004367A (ko)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0044B1 (ko) 미립자의 제조 방법
Gibaud et al. Preparation of 3, 4-diaminopyridine microparticles by solvent-evaporation methods
US20240091730A1 (en) Method for stabilizing effective ingredient by using mineral material
KR101054731B1 (ko) 난용성 발모 및 육모 생리활성 물질인 피나스테라이드를포함하는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96374B1 (ko) 폴리올/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유효성분 안정화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astañeda-Fernandez et al. Optimization of rifampicin encapsulation in PLGA polymeric reservoirs
EP1216091B9 (fr) Procede d'encapsulation de matieres actives par coacervation de polymeres en solvant organique non-chl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