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140A -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140A
KR20210004140A KR1020190080070A KR20190080070A KR20210004140A KR 20210004140 A KR20210004140 A KR 20210004140A KR 1020190080070 A KR1020190080070 A KR 1020190080070A KR 20190080070 A KR20190080070 A KR 20190080070A KR 20210004140 A KR20210004140 A KR 20210004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ever bracket
pumping device
vehicle sea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296B1 (ko
Inventor
김원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296B1/ko
Priority to US16/903,776 priority patent/US11267373B2/en
Priority to DE102020207944.7A priority patent/DE102020207944B4/de
Priority to CN202010618678.1A priority patent/CN112172623B/zh
Publication of KR2021000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65Hydraulic or pneu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5Adjustable suspension including 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 B60N2/938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Spring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레버브라켓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별도의 구성부품 없이 하우징에 직결됨으로써,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부품이 삭제됨에 따라 제조 단가가 감소되고, 레이아웃이 축소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레버브라켓의 복원을 위한 구성 부품의 감소를 통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고, 레이아웃이 축소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실내 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된 운전석, 보조석 그리고 동승석 좌석의자인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구비한다.
편의장치는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과 더불어 시트의 등받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구비된다.
이에 더해, 최근에는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해 탑승객에게 맞추도록 시트 승강 기능을 하는 펌핑장치도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펌핑장치는 크게 레버유닛, 클러치유닛 및 브레이크유닛으로 구성되며, 레버유닛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아 클러치유닛에 전달하고, 클러치유닛은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력을 시트의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고, 브레이크유닛은 역 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동작 완료된 링크수단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레버유닛은 시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핸들레버의 상하조작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하고 이를 클러치유닛에 전달하는 레버브래킷을 포함한다. 한편, 펌핑장치는 핸들레버 및 레버브래킷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레버브래킷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의 경우 스프링과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가이드가 구성되어야 한다. 즉, 레버브래킷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의 경우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해 스프링가이드가 구비됨에 따라 레이아웃이 커지고, 제조 단가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085059 A (2014.07.0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레버브라켓의 복원을 위한 구성 부품의 감소를 통해 제조 단가가 감소되고, 레이아웃이 축소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외부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브라켓; 레버브라켓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레버브라켓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 및 외측면에 레버브라켓과 스프링이 안착되고, 외측면에서 스프링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플랜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일부 구간이 절개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개된 양끝 단부에는 레버브라켓에 연결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된 벤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버브라켓은 하우징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중앙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연장부가 연장되며, 연장부에는 스프링의 벤딩부가 삽입되는 개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벤딩부는 스프링의 양끝 단부가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통홀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써, 레버브라켓은 개통홀이 연장된 길이만큼 회전 변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프링의 내경은 레버브라켓의 중앙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랜지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스프링의 벤딩부에 각기 접촉되고, 벤딩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플랜지의 반대편에서 스프링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레버브라켓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별도의 구성부품 없이 하우징에 직결됨으로써,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부품이 삭제됨에 따라 제조 단가가 감소되고, 레이아웃이 축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종래의 펌핑디바이스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의 비교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종래의 펌핑디바이스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의 비교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펌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30) 내부에 펌핑어셈블리가 구비되고, 펌핑어셈블리는 클러치캠(A)을 이용하여 브레이킹과 클러치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펌핑어셈블리의 클러치캠(A)은 하우징(30)의 외측면(30a)을 관통하여 레버브라켓(10)에 결합되고, 레버브라켓(10)은 모터 또는 조작레버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펌핑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고, 통상적인 기술인바,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브라켓(10); 레버브라켓(10)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레버브라켓(10)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20); 및 외측면(30a)에 레버브라켓(10)과 스프링(20)이 안착되고, 외측면(30a)에서 스프링(20)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스프링(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플랜지(31)가 형성된 하우징(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레버브라켓(10)은 모터 또는 조작레버를 통해 외부조작력을 전달받으며, 모터 또는 조작레버와 연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드럼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에는 펌핑 디바이스의 브레이킹과 클러치 기능을 수행하는 펌핑어셈블리가 내장되고, 펌핑어셈블리를 이루는 클러치캠(A)이 외측면(30a)을 관통하여 레버브라켓(10)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레버브라켓(10)은 하우징(30)의 외측면(30a)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30)의 외측면(30a)에 스프링(20)이 마련되고, 스프링(20)은 레버브라켓(10)에 연결되어 레버브라켓(10)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프링(20)은 레버브라켓(1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필요로 하며, 이는 하우징(30)에 형성된 플랜지(31)가 지지 구조 역할로서 스프링(20)이 플랜지(31)에 접촉되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즉, 하우징(30)의 외측면(30a)에는 플랜지(31)가 돌출되고, 스프링(20)이 플랜지(31)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레버브라켓(10)의 회전시 스프링(20)이 플랜지(31)에 지지된 상태에서 변형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되어 레버브라켓(1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레버브라켓(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0)이 별도의 구성부품 없이 하우징(30)에 직결됨으로써, 스프링(2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부품이 삭제됨에 따라 제조 단가가 감소되고, 레이아웃이 축소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0)은 일부 구간이 절개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개된 양끝 단부에는 레버브라켓(10)에 연결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된 벤딩부(21)가 형성된다.
즉, 스프링(20)은 'C'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개된 양끝 단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벌어진 후 원래 형태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스프링(20)의 절개된 양끝 단부에는 벤딩부(21)가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벤딩부(21)가 레버브라켓(10)에 삽입됨에 따라 스프링(20)과 레버브라켓(10)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부(21)는 스프링(20)의 양끝 단부가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21)는 스프링(20)의 원주방향에 대해 양끝 단부가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를 가지고 연장됨으로써, 레버브라켓(10)의 회전방향이 유도된다. 즉, 레버브라켓(10)의 회전시, 스프링(20)의 한쪽 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다른 한쪽 단부가 이동되고, 스프링(20)이 오므라지도록 변형되어 탄성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스프링(20)은 양끝 단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오므라진 후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면서 탄성력이 발생되는바, 벤딩부(21)의 절곡 방향이 양끝 단부가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레버브라켓(10)의 위치가 복원되는 방향으로 회전이 원활히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벤딩부(21)가 경사를 가지고 연장됨에 따라, 하기의 레버브라켓(10)에 형성된 연장부(12)의 개통홀(13)에 삽입시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레버브라켓(10)은 하우징(30)의 외측면(30a)에 안착되는 중앙부(11)가 형성되고, 중앙부(11)에서 연장부(12)가 연장되며, 연장부(12)에는 스프링(20)의 벤딩부(21)가 삽입되는 개통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레버브라켓(10)의 중앙부(11)는 하우징(30) 내부의 마련된 펑핌어셈블리의 클러치캠(A)과 결합되고, 중앙부(11)의 둘레를 따라 모터 또는 조작레버와 결합을 위한 체결부(15) 및 스프링(20)과 연결을 위한 연장부(12)가 연장된다. 여기서, 연장부(12)에는 스프링(20)의 벤딩부(21)가 삽입되는 개통홀(13)이 형성됨으로써, 스프링(20)은 벤딩부(21)가 개통홀(13)에 삽입되고, 하우징(30)의 플랜지(31)에 지지된 상태에서 레버브라켓(10)의 회전시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동작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개통홀(13)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써, 레버브라켓(10)은 개통홀(13)이 연장된 길이만큼 회전 변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렇게, 개통홀(13)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레버브라켓(10)이 스프링(20)에 연결된 상태에서 개통홀(13)이 연장된 길이만큼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개통홀(13)이 연장된만큼 스프링(20)이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스프링(20)이 오므라짐에 따른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20)의 내경은 레버브라켓(10)의 중앙부(11)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버브라켓(10)의 중앙부(11) 외측으로 스프링(20)이 감싸는 형태로 상호 조립되어, 레이아웃상으로 유리하다. 또한, 스프링(20)의 내경이 레버브라켓(10)의 중앙부(11)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스프링(20)이 오므라지는 변형이 원활히 수행되어 레버브라켓(10)에 복원력을 원활히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1)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스프링(20)의 벤딩부(21)에 각기 접촉되고, 스프링(20)의 벤딩부(21)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20)은 'C'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벤딩부(21)가 복수개로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30)의 플랜지(31)는 스프링(20)의 벤딩부(21)에 매칭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스프링(2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30)의 플랜지(31)는 스프링(20)의 벤딩부(21)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됨으로써, 스프링(20)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동작이 제한되고, 레버브라켓(10)의 회전시 스프링(20)의 한쪽 단부가 플랜지(31)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 단부가 이동되면서 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외측면(30a)에는 플랜지(31)의 반대편에서 스프링(20)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돌출된 지지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30)의 외측면(30a)에는 플랜지(31)와 함께 플랜지(31)의 반대편으로 지지부(32)가 형성됨으로써, 하우징(30) 외측면(30a)에 안착되는 스프링(20)은 벤딩부(21)가 플랜지(31)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32)를 통해 거동이 제한되어 견고하게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펌핑디바이스를 도시한 "a"와 본 발명의 펌핑디바이스를 도시한 "b"를 비교하더라도, 스프링(2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부품이 삭제되고, 하우징(30)을 통해 스프링(20)이 고정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폭이 축소되는 차이가 있다.
아울러, 스프링(2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부품이 삭제됨에 따라 제조 단가가 감소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레버브라켓
20:스프링
30:하우징

Claims (8)

  1. 외부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는 레버브라켓;
    레버브라켓에 연결되고, 원주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레버브라켓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스프링; 및
    외측면에 레버브라켓과 스프링이 안착되고, 외측면에서 스프링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플랜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프링은 일부 구간이 절개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개된 양끝 단부에는 레버브라켓에 연결되도록 절곡되어 연장된 벤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레버브라켓은 하우징의 외측면에 안착되는 중앙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연장부가 연장되며, 연장부에는 스프링의 벤딩부가 삽입되는 개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벤딩부는 스프링의 양끝 단부가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5. 청구항 3에 있어서,
    개통홀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써, 레버브라켓은 개통홀이 연장된 길이만큼 회전 변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6. 청구항 3에 있어서,
    스프링의 내경은 레버브라켓의 중앙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7. 청구항 2에 있어서,
    플랜지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스프링의 벤딩부에 각기 접촉되고, 벤딩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플랜지의 반대편에서 스프링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0190080070A 2019-07-03 2019-07-03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299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70A KR102299296B1 (ko) 2019-07-03 2019-07-03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16/903,776 US11267373B2 (en) 2019-07-03 2020-06-17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DE102020207944.7A DE102020207944B4 (de) 2019-07-03 2020-06-26 Pump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CN202010618678.1A CN112172623B (zh) 2019-07-03 2020-06-30 用于车辆座椅的泵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70A KR102299296B1 (ko) 2019-07-03 2019-07-03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40A true KR20210004140A (ko) 2021-01-13
KR102299296B1 KR102299296B1 (ko) 2021-09-08

Family

ID=7391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070A KR102299296B1 (ko) 2019-07-03 2019-07-03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67373B2 (ko)
KR (1) KR102299296B1 (ko)
CN (1) CN112172623B (ko)
DE (1) DE102020207944B4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472B1 (ko) * 2012-06-28 2013-08-16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40085059A (ko) 2012-12-27 2014-07-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683428B1 (ko) * 2016-06-29 2016-12-0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75005A1 (fr) * 1976-12-23 1978-07-21 Stephanoises Forges Mecanisme d'entrainement reversible pour cle a cliquet
CN100451373C (zh) * 2000-08-08 2009-01-14 株式会社Ntn 离合装置
JP2008249020A (ja) * 2007-03-30 2008-10-16 Ntn Corp 一方向クラッチおよび一方向クラッチの製造方法
EP2169249B1 (en) * 2007-07-24 2019-09-04 NTN Corporation Clutch unit
CN102753852B (zh) * 2010-02-18 2015-04-22 Ntn株式会社 离合器单元
EP2549141B1 (en) * 2010-03-15 2021-05-05 NTN Corporation Clutch unit
JP5717283B2 (ja) * 2011-03-09 2015-05-13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WO2013157375A1 (ja) * 2012-04-20 2013-10-24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WO2014077389A1 (ja) * 2012-11-19 2014-05-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操作レバー、シート装置及び操作部構造
CN104723910B (zh) * 2013-12-18 2017-02-15 上海交运汽车精密冲压件有限公司 汽车座椅调高机构
CN104999931A (zh) * 2015-07-24 2015-10-28 浙江龙生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间隙运动且带自锁功能的调节泵
CN106467041A (zh) * 2015-08-14 2017-03-01 浦项奥斯特姆(苏州)汽车配件有限公司 用于车辆座椅的泵送装置
KR101791993B1 (ko) * 2016-03-03 2017-11-0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펌핑 디바이스
JP6665000B2 (ja) * 2016-03-18 2020-03-13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JP6636366B2 (ja) * 2016-03-22 2020-01-29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JP6789726B2 (ja) * 2016-08-30 2020-11-25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JP6738691B2 (ja) * 2016-08-30 2020-08-12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JP2018035871A (ja) * 2016-08-31 2018-03-08 Ntn株式会社 クラッチ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472B1 (ko) * 2012-06-28 2013-08-16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40085059A (ko) 2012-12-27 2014-07-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683428B1 (ko) * 2016-06-29 2016-12-0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67373B2 (en) 2022-03-08
CN112172623A (zh) 2021-01-05
DE102020207944A1 (de) 2021-01-07
CN112172623B (zh) 2022-10-28
US20210001761A1 (en) 2021-01-07
KR102299296B1 (ko) 2021-09-08
DE102020207944B4 (de)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8347B2 (ja) 折り畳み,タンブル,ニーリングシートアッセンブリ
JP4457434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9469219B2 (en)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EP2062772A1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automobile seat
EP2511126B1 (en)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cushion
KR10149188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7258219B2 (en) Planetary gear actuator apparatus and method
KR10149188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20100127543A1 (en) Lumbar Support Device of Seat for Vehicles
JP2007112393A (ja)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
US20150202996A1 (en) Seat Assembly Having an Actuator Member
EP1706008B1 (en) Silent actuator for ergonomic supports
KR101746109B1 (ko) 헤드레스트 가동장치
KR10221529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210004140A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236896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WO2007145299A1 (ja) 車両シート等の操作装置
EP1215075A1 (en) Separation/attachement of a vehicle seat to a vehicle floor
KR102402994B1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JP5263929B2 (ja) 椅子
JP200814985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7067409B2 (ja) 乗物用シートロック装置
KR20200140057A (ko) 펌핑 디바이스용 편심 방지기구
KR20100062479A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엑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