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792A -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792A
KR20210002792A KR1020190078503A KR20190078503A KR20210002792A KR 20210002792 A KR20210002792 A KR 20210002792A KR 1020190078503 A KR1020190078503 A KR 1020190078503A KR 20190078503 A KR20190078503 A KR 20190078503A KR 20210002792 A KR20210002792 A KR 2021000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mensional fabric
fabric
adhesive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581B1 (ko
Inventor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이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화 filed Critical 이병화
Priority to KR1020190078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5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by rubbing contact, e.g. with brushes or p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06B23/021Compressive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4Decorating textiles by metall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 원단이 인장 롤러에 의해 텐션이 높은 상태로 접착제 도포 롤러와 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되 상기 접착제 도포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입체 원단의 패턴 두께로 유지되면서 가압되어 원단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 위에만 접착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패턴에만 메탈릭 및 포일이 가공되어 패턴부분만 반사율과 반사각이 서로 다른 2가지 종류의 금속성 반사효과를 갖는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입체 원단이 인장 롤러에 의해 텐션이 높은 상태로 접착제 도포부 롤러와 압착부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 롤러와 압착부 롤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입체 원단의 패턴 두께로 유지되면서 가압되어 원단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 위에만 접착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패턴의 문양에만 메탈릭과 포일이 부착되도록 하여 시각적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APPARATUS AND METHOD FOR FOIL AND METALIC FABRIC }
본 발명은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 원단이 인장 롤러에 의해 텐션이 높은 상태로 접착제 도포 롤러와 압착 롤러 사이를 통과하되 상기 접착제 도포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입체 원단의 패턴 두께로 유지되면서 가압되어 원단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 위에만 접착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패턴에만 메탈릭 및 포일이 가공되어 패턴부분만 반사율과 반사각이 서로 다른 2가지 종류의 금속성 반사효과를 갖는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단은 모든 의류의 원료가 되는 천을 뜻하는 것으로 직물 또는 직포라고 한다.
상기 원단은 그 용도 및 재단 방법에 따라 "폭"이 결정되고, 또 그 가공, 취급된다.
상기 원단은 인간의 의생활을 꾸며주는 옷감의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직물의 개발 및 용도 개발에 따라 장식용, 의료용, 운송용 및 산업 자재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원단으로 제조될 의류 등의 물품의 다양한 표현을 위해 원단을 가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원단 표면에 입체적인 무늬가 나타나도록 가공한 입체 원단이 있다.
아울러 원단은 그 심미적인 표현을 위해 수차례의 가공이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위의 입체 원단 가공을 비롯하여 염색가공, 부착물 가공, 프린트 가공 등 다양한 가공이 이루어진다.
이때 입체원단의 무늬 패턴에 메탈릭 분말을 부착하는 공개특허 제10-2017-0056194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로는 하나의 입체 무늬 패턴에 메탈릭 분말 부착 가공과 포일 부착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단에서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접착액이 도포되도록 하고 패턴이 미형성된 부분에는 접착액이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메탈릭 분말과 포일이 패턴 위에 같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패턴부분만 반사율과 반사각이 서로 다른 2가지 종류의 금속성 반사효과를 갖는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장치와 그 제조 방법은 원단의 일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입체 원단을 전방으로 연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입체 원단 공급 유닛(10)과 상기 입체 원단 공급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입체 원단의 통로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패턴의 상부면에 접착액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 유닛(20)과 상기 접착제 도포 유닛의 상기 통로로부터 나오는 상기 입체 원단에 텐션을 부여하여 전방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장 유닛(30)과 상기 인장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의 상부면에 메탈릭 분말을 분사하기 위한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과 상기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을 건조하는 접착층 건조 유닛(50)과 상기 접착층 건조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에 분사된 메탈릭 분말 중 상기 패턴이 미생성된 부분의 메탈릭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 유닛(60)과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의 상부면에 포일을 부착하기 위한 포일 유닛(70) 및 상기 포일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일 유닛을 통과한 상기 입체 원단을 권취하기 위한 원단 수거 유닛(8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 유닛은 상기 패턴의 상부면에 상기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부 상기 접착액을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공급해주기 위한 접착제 공급부와 상기 패턴의 반대면에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대항하여 배치되며, 상기 접착제 도포부 방향으로 상기 입체 원단을 가압하기 위한 압착부 및 상기 입체 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통로 간격에 대응하도록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압착부의 사이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압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입체 원단의 두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입체 원단의 두께는 압착 제어부로 전송되어 상기 압착 제어부가 상기 두께에 대응하여 압착 제어부가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압착부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은 상기 입체 원단의 상부면에 메탈릭 분말을 분사할 때 한 분말 입자와 다른 분말 입자 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분말 입자 크기에 대응하면서 간격이 형성된 다수의 구멍이 있는 다공판 형태의 분말 산개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 유닛은 상기 접착액의 점성이나 도포량에 따라 적정한 회전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체 원단이 인장 롤러에 의해 텐션이 높은 상태로 접착제 도포부 롤러와 압착부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 롤러와 압착부 롤러 사이의 간격이 상기 입체 원단의 패턴 두께로 유지되면서 가압되어 원단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 위에만 접착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패턴의 문양에만 메탈릭과 포일이 부착되도록 하여 시각적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접착제 도포부와 압착부의 간격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지만 센서부에 의해 입체 원단의 두께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압착 제어부에 의해 간격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메탈릭이 산개되어 접착층에 부착되면서 메탈릭이 부착되지 않은 접착층의 영역에는 포일이 부착되어 메탈릭과 포일이 패턴에 같이 부착되어 반사율과 반사각이 다른 메탈릭과 포일에 의해 더 화려하게 반짝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장치를 공정 순서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2는 도1의 접착제 도포 유닛(20)의 구성 중 압착 제어부(24)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장치를 공정 순서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며, 도2는 압착 제어부(24)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1과 같이 입체 원단 공급 유닛(10), 접착체 도포 유닛(20), 인장 유닛(30),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 접착층 건조 유닛(50), 브러시 유닛(60), 포일 유닛(70), 원단 수거 유닛(80)을 포함한다.
상기 입체 원단 공급 유닛(10)과 상기 접착제 도포 유닛(20)과 상기 인장 유닛(30)과 상기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과 상기 접착층 건조 유닛(50)과 상기 브러시 유닛(60)과 상기 포일 유닛(70) 및 상기 원단 수거 유닛(80)은 입체 원단(1,2,3,4,5)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연속적으로 각각의 공정이 실시되도록 하나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잇다.
입체 원단 공급 유닛(10)은 입체 원단(1)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원단(F)의 일면에 패턴(P)이 형성된 입체 원단(1)을 전방으로 연속하여 공급한다. 이때, 원단(F) 일면에 형성된 패턴(P)은 예컨대 스티치, 주름, 레이스, 파일을 번아웃하여 만든 무늬 등이 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가이드 롤러(G1,G2,G3,G4)는 입체 원단(1)을 접착제 도포 유닛(20)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내지 제4 가이드 롤러를 이용하여 입체 원단이 접착제 도포 유닛(20)으로 안내될 때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설계하였다. 이 경우 후술될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과 접착층 건조 유닛(50) 및 브러시 유닛(60)이 입체 원단(1,2,3,4,5)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잇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입체 원단(1)이 접착제 도포 유닛(20)으로 안내될 때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착제 도포 유닛(20)은 입체 원단 공급 유닛(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입체 원단 공급 유닛(10)을 통해 전방으로 공급되는 입체 원단(1)의 일면이 접촉되어 원단(F)의 일면에 배치된 패턴(P)의 상부면에 접착액(PL)을 도포하여 접착층(L)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제 도포부(21), 접착제 공급부(22), 압착부(23) 및 압착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접착제 도포부(21)는 입체 원단(1)에 접착액(PL)을 도포하여 접착층(L)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제 공급부(22)는 접착제 도포부 하측에 배치되며, 접착액(PL)을 수용할 수 있는 수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부(21)가 접착액(PL)과 맞닿아 회전하게 되면 접착액은 접착제 도포부(21)의 외주면에 도포된다.
이때, 접착제 도포부는 바람직하게 외주면에 동판이 구비되어 접착제 공급부(22)의 접착액이 용이하게 묻도록 한 후 입체 원단(1)의 패턴(P)에 대한 도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압착부(23)는 접착제 도포부(21)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접착제 도포부 방향으로 입체 원단(1)을 가압하여 접착제 도포부의 외주면에 묻은 접착액(PL)이 입체 원단(1)의 패턴(P)의 상부면에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간격은 입체 원단(1)이 통과하는 통로 간격이다.
상기 입체 원단 공급 유닛(10)으로부터 공급된 입체 원단(1)은 이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 접착제 도포부(21)와 압착부(23) 사이의 통로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빠져나온 입체 원단(2)은 접착액(PL)이 도포되어 접착층(L)이 형성된다.
상기 압착 제어부(24)는 압착부(23)의 사이 간격 즉, 통로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입체 원단(1)에 배치된 패턴(P)의 두께(예컨대, 0.5~1.0mm)에 따라 접착제 도포부(21)와 압착부(23)의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압착 제어부(24)는 예컨대, 입체 원단(1)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 압착부(23)를 위쪽으로 제어하여 상기 접착제 도포부(21)와의 간격을 넓히고, 반대로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 압착부(23)를 아래쪽으로 제어하여 상기 접착제 도포부(21)와의 간격을 좁힌다.
이때, 상기 압착 제어부(24)는 전자식을 일례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동식으로 나사를 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압착 제어부(24)를 전자식으로 하면서 상기 접착제 도포 유닛(20)에 입체 원단(1)의 두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시켜서 입체 원단(1)이 상기 접착제 도포 유닛(20)의 접착제 도포부(21)와 압착부(23) 사이에 진입하기 전에 두께를 측정하고 측정된 두께를 압착 제어부(24)에 송신하여 압착 제어부(24)가 자동으로 두께에 대응하여 압착부(23)를 승하강하여 간격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장 유닛(30)은 접착제 도포 유닛(20)으로부터 전달되는 입체 원단(2)을 이후 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 유닛(20)으로부터 전달되는 입체 원단(2)의 경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접착제 도포부(21)와 압착부(23) 사이의 통로를 통해 나온다. 따라서, 인장 유닛(30)은 입체 원단(2)이 텐션을 가질 수 있도록 잡아 당겨서 전방의 후설될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는 도 1 의 접착제 도포 유닛(20)의 구성 중 압착 제어부(24)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인장 유닛(30)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압착 제어부(24)는 축 지지 부재(242); 이동 축 부재(243); 및 제어 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축 지지 부재(242)는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고정 부재(241)에서 압착부(23) 보다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축 지지 부재(242)는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나사 결합공(미도시)을 가지며, 나사 결합공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축 부재(243)는 외부 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 결합공에 상기 나사산이 맞물려 연동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관통 연결되며, 상기 나사 결합공을 통해 나사산 부재(243a)가 형성된다. 이동 축 부재(243)의 단부(243b)에는 압착부(23)가 연결된다.
제어 부재(244)는 상기 축 지지 부재(242)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나사산 부재(243a)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어 부재(244)는 전자식이나 기계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어 부재(244)를 기계식으로 설계하는 경우 핸들이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나사산 부재(243a)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접착제 도포부(21)와 압착부(23)의 사이 간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눈금 표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제 도포부(21)와 인장 유닛(30)은 원형의 롤러로 구성될 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 구동 장치에 의하여 회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상기 인장 유닛(30)은 접착제 도포 유닛(20)의 상측 및 후방 측에 압착부(23)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접착제 도포부(21)와 압착부(23) 사이를 통과하며 패턴(P) 위에 접착층(L)이 도포된 입체 원단(2)이 압착부(23)를 축으로 후방으로 꺽여 인장 유닛(30) 쪽으로 공급되고, 이 입체 원단(2)은 다시 인장 유닛(30)을 축으로 전방으로 꺽여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 쪽으로 공급된다.
이때, 인장 유닛(30)은 입체 원단(2)의 이동 방향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변경하면서 접착제 도포 유닛(20)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입체 원단(2)을 팽팽하게 잡아 당기게 되고, 접착제 도포 유닛(20)으로 공급되는 입체 원단(1)이 접착제 도포부(21)와 압착부(23) 사이를 통과할 때 높은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원단 제조 장치는 접착제 도포 유닛(20)과 인장 유닛(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입체 원단(1)은 인장 유닛(30)의 잡아당기는 작용에 의해 텐션이 높은 상태로 접착제 도포 유닛(20)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압착부(23)의 승하강에 의해 패턴(P)의 두께에 따라 접착액(PL)을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입체 원단(1)이 접착제 도포 유닛(20)을 통과할 때 가압되면서 접착제 도포부(21)에 의하여 접착액(PL)이 원단(F)의 패턴(P)이 형성된 부분에만 고르게 도포되며, 원단(F)의 패턴(P)이 미형성된 부분에는 접착액(PL)이 묻지 않음으로써 입체 원단(1)에서 패턴(P) 위에만 고른 두께로 접착층(L)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5 가이드 롤러(G5)는 입체 원단(2)을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은 인장 유닛(30) 전방에서 입체 원단(2)의 접착층(L)과 마주보게 상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은 입체 원단(2)의 상부면에 메탈릭 분말(S)을 분사하여 입체 원단(2)의 접착층(L)에 메탈릭 분말(S)이 접착되도록 한다. 한편 메탈릭 분말(S)의 분말 입자가 뭉쳐서 접착층(L)에 도포되게 되면 하기에서 부착할 포일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메탈릭 분말(S)의 분사량을 적게 하거나 각 분말 입자가 서로 간격을 두고 접착층(L)에 부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은 분말 산개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분말 산개부(41)는 상기 입체 원단의 상부면에 메탈릭 분말을 분사할 때 한 분말 입자와 다른 분말 입자 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분말 입자 크기에 대응하면서 간격이 형성된 다수의 구멍이 있는 다공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원단 제조 장치는 입체 원단(2)에 패턴(P)에만 접착액(PL)을 도포하기 때문에,
메탈릭 분말(S)은 입체 원단(2)의 패턴(P)에만 접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6 가이드 롤러(G6)는 메탈릭 분말(S)이 접착된 입체 원단(3)을 접착층 건조 유닛(50)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착층 건조 유닛(50)은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 전방에 배치되며, 입체 원단(3)의 접착층(L)을 90도 내지 110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반건조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7 가이드 롤러(G7)는 접착층 건조 유닛(50)을 통과한 입체 원단(4)을 브러쉬 유닛(60)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러쉬 유닛(60)은 접착층 건조 유닛(50) 전방에 배치되며, 입체 원단(4)의 패턴(P)이 미형성된 부분에 분사된 메탈릭 분말(S)을 제거한다. 브러시 유닛(60)은 메탈릭 분말(S)를 터는 것이 가능한 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에어 블로잉 장치와 같은 공기 분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입체 원단(4)은 패턴(P)이 형성된 부분과 패턴(P)이 미형성된 부분으로 나뉠 수 있는데,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에서 분사된 메탈릭 분말(S)는 입체 원단(4) 전반에 걸쳐 분사된다. 이때, 브러시 유닛(60)에 의하여 메탈릭 분말을 제거하게 되면, 패턴(P)이 형성된 부분의 메탈릭 분말은 접착액(PL)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되지 않으며, 패턴(P)이 미형성된 부분의 메탈릭 분말만 제거된다.
한편, 제8 가이드 롤러(G8)는 브러시 유닛(60)을 통과한 입체 원단을 포일 유닛(70)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포일 유닛(70)은 브러시 유닛을 토과한 입체 원단에 포일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포일 공급부(71), 제1가압롤러(72), 제2가압롤러(73)를 포함한다.
포일 공급부(71)는 입체 원단에 포일을 공급하고, 제1가압롤러(72)와 제2가압롤러(73)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입체 원단과 포일이 통과되면서 가압하여 포일 공급부(71)에서 공급된 포일(T)이 입체 원단에 부착되도록 한다.
포일 유닛(70)은 입체 원단의 접착층(L) 상에 포일(T)을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접착층(L)에 메탈릭 분말(S)이 부착된 부분은 메탈릭 분말(S)이 접착층(L)을 덮고 있으므로 포일(T)이 부착되지 않고 메탈릭 분말(S)이 부착되지 않은 접착층(L)에만 포일이 부착되게 된다. 한편 포일의 원할한 부착을 위해서는 메탈릭 분말(S)이 산개되는 것이 중요한 데,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에서 메탈릭 분말을 산개하여 분사하므로 메탈릭 분말이 뭉쳐서 포일 부착 형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9가이드 롤러(G9)는 포일 유닛(70)을 통과한 입체 원단(5)을 원단 수거 유닛(80)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원단 수거 유닛(80)은 포일 유닛(70)을 통과한 입체 원단(5)을 권취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원단 수거 유닛(80)에 권취된 입체 원단(5)은 패턴(P)에 메탈릭 분말(S)과 포일(T)이 접착된 완성된 형태의 제품이 된다.
한편, 이하 설명될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방법은 전술한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단계는 접착액을 수조형태의 접착제 공급부에 담아 롤러 형태의 접착제 도포부의 일부가 수조에 들어가도록 하면서 회전시켜 접착제 도포부의 외주면에 접착액이 도포되게 하고, 상기 압착부와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의 간격이 상기 입체 원단의 패턴 두께만큼 되도록 승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상측에 설치된 롤러인 압착부 사이로 일면에 패턴이 형성된 입체 원단을 통과시켜 상기 입체 원단의 패턴에만 상기 접착액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는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압착부 사이를 통과한 입체 원단을 잡아 당겨 상기 입체 원단의 텐션을 높이는 단게이다.
제3단계는 상기 입체 원단의 접착층에 메탈릭 분말을 분말입자 사이에 간격이 있도록 산개하여 분사하는 단계로, 하기 제5단계의 포일의 접착면이 유지되도록 메탈릭 분말을 산개하여 분사하는 것이다.
제4단계는 상기 입체 원단의 접착층을 가열하여 반건조 상태로 만드는 단계이다.
제5단계는 상기 입체 원단의 일면에 포일을 합지하여 상기 접착층 중 상기 메탈릭 분말이 분사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포일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인장 유닛(30)은 필요시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인장 유닛(30)의 회전 수는 접착제 도포부(21)의 외주 면에 도포되는 접착액(PL)의 점성 및 도포량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입체 원단(1)의 텐션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 입체 원단 공급 유닛
20 : 접착제 도포 유닛
21 : 접착제 도포부
22 : 접착제 공급부
23 : 압착부
24 : 압착 제어부
25 : 센서부
30 : 인장 유닛
40 :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
41 : 분말 산개부
50 : 접착층 건조 유닛
60 : 브러시 유닛
70 : 포일 유닛
71 : 포일 공급부
72 : 제1가압롤러
73 : 제2가압롤러
80 : 원단 수거 유닛

Claims (6)

  1. 원단의 일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입체 원단을 전방으로 연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입체 원단 공급 유닛(10);
    상기 입체 원단 공급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입체 원단의 통로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패턴의 상부면에 접착액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 유닛(20);
    상기 접착제 도포 유닛의 상기 통로로부터 나오는 상기 입체 원단에 텐션을 부여하여 전방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장 유닛(30);
    상기 인장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의 상부면에 메탈릭 분말을 분사하기 위한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40);
    상기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을 건조하는 접착층 건조 유닛(50);
    상기 접착층 건조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에 분사된 메탈릭 분말 중 상기 패턴이 미생성된 부분의 메탈릭 분말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 유닛(60);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원단의 상부면에 포일을 부착하기 위한 포일 유닛(70); 및
    상기 포일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일 유닛을 통과한 상기 입체 원단을 권취하기 위한 원단 수거 유닛(80)을 포함하는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 유닛은,
    상기 패턴의 상부면에 상기 접착액을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부;
    상기 접착액을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공급해주기 위한 접착제 공급부;
    상기 패턴의 반대면에 상기 접착제 도포부에 대항하여 배치되며, 상기 접착제 도포부 방향으로 상기 입체 원단을 가압하기 위한 압착부; 및
    상기 입체 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통로 간격에 대응하도록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압착부의 사이 간격을 제어하기 위한 압착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 유닛은
    상기 입체 원단의 두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입체 원단의 두께는 압착 제어부로 전송되어 상기 압착 제어부가 상기 두께에 대응하여 압착 제어부가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압착부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릭 분말 분사 유닛은
    상기 입체 원단의 상부면에 메탈릭 분말을 분사할 때 한 분말 입자와 다른 분말 입자 사이에 간격이 생기도록 분말 입자 크기에 대응하면서 간격이 형성된 다수의 구멍이 있는 다공판 형태의 분말 산개부(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유닛은 상기 접착액의 점성 또는 도포량에 따라 회전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장치.
  6. 접착액을 수조형태의 접착제 공급부에 담아 롤러 형태의 접착제 도포부의 일부가 수조에 들어가도록 하면서 회전시켜 접착제 도포부의 외주면에 접착액이 도포되게 하고, 상기 압착부와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의 간격이 상기 입체 원단의 패턴 두께만큼 되도록 승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상측에 설치된 롤러인 압착부 사이로 일면에 패턴이 형성된 입체 원단을 통과시켜 상기 입체 원단의 패턴에만 상기 접착액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압착부 사이를 통과한 입체 원단을 잡아 당겨 상기 입체 원단의 텐션을 높이는 제2단계;
    상기 입체 원단의 접착층에 메탈릭 분말을 분말입자 사이에 간격이 있도록 산개하여 분사하는 제3단계;
    상기 입체 원단의 접착층을 가열하여 반건조 상태로 만드는 제4단계; 및
    상기 입체 원단의 일면에 포일을 합지하여 상기 접착층 중 상기 메탈릭 분말이 분사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포일을 부착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 방법.
KR1020190078503A 2019-07-01 2019-07-01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92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03A KR102292581B1 (ko) 2019-07-01 2019-07-01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03A KR102292581B1 (ko) 2019-07-01 2019-07-01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92A true KR20210002792A (ko) 2021-01-11
KR102292581B1 KR102292581B1 (ko) 2021-08-24

Family

ID=7412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503A KR102292581B1 (ko) 2019-07-01 2019-07-01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051A (ko) * 2021-09-13 2023-03-21 (주)미테솔인터내셔날 기능성 파우더의 성능 유지를 위한 미용원단 제조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36B1 (ko) * 2005-08-02 2006-08-29 박찬수 직물용 다용도 장식무늬 성형장치
KR20170056194A (ko) * 2015-11-13 2017-05-23 김남용 입체 원단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36B1 (ko) * 2005-08-02 2006-08-29 박찬수 직물용 다용도 장식무늬 성형장치
KR20170056194A (ko) * 2015-11-13 2017-05-23 김남용 입체 원단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051A (ko) * 2021-09-13 2023-03-21 (주)미테솔인터내셔날 기능성 파우더의 성능 유지를 위한 미용원단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581B1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510152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realiser une enduction partielle sur un support textile
KR20210002792A (ko) 메탈릭 및 포일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51066Y1 (ko) 포장 및 장식재 제조장치
KR102269786B1 (ko) 백그라운드 메탈릭 가공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966B1 (ko) 롤페이퍼 도색 기재를 이용한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KR20170056194A (ko) 입체 원단 제조 장치
CN103192579A (zh) 压膜装置及用于平板构件或弯板构件的方法
KR200415612Y1 (ko) 반짝이 원단 제조장치
TWI322717B (en) Coating device
KR20140005068A (ko) 작업효율이 향상된 피혁 엠보싱장치
KR101573630B1 (ko)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0803702B1 (ko) 구두 밑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두 밑창
KR101745885B1 (ko) 장식 밴드 제조 장치
KR20120055776A (ko) 장식용 띠의 엠보싱 무늬 형성장치
KR20160072504A (ko) 포일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027B1 (ko) 시트 혹은 필름용 광폭 점착장치
KR100395233B1 (ko) 실리콘 인쇄코팅방법 및 그 장치
KR100812294B1 (ko) 시트상 재료의 천공 또는 엠보싱 장치
DE10206256B4 (de) Flächenkalandar und Flächenkalandrierverfahren
KR950007406B1 (ko) 홀로 플레이크(holo flake) 또는 메타릭(metallic)과 스탬핑 포일(stamping foil)이 함께 인쇄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710464B1 (ko) 엠보가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0317110B1 (ko) 건축용 외장재의 제조장치
KR101495861B1 (ko)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KR960001076Y1 (ko) 다중 천막지 호스 제조 장치
EP159017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orating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