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771A - 흔들 침대 - Google Patents

흔들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771A
KR20210002771A KR1020210000131A KR20210000131A KR20210002771A KR 20210002771 A KR20210002771 A KR 20210002771A KR 1020210000131 A KR1020210000131 A KR 1020210000131A KR 20210000131 A KR20210000131 A KR 20210000131A KR 20210002771 A KR20210002771 A KR 20210002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ent
crank
moving frame
reciprocating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830B1 (ko
Inventor
정태현
이경환
Original Assignee
몽가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몽가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몽가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0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771A/ko
Priority to KR102022000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흔들 침대는 고정프레임부 및 이동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이동프레임부는 구동부에 의해 좌우 왕복운동 하며, 왕복운동 가이드부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안정적으로 좌우 왕복운동함으로써, 사용자의 숙면에 도움을 주는 흔들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프레임부와 구동부는 구형 베어링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작동 소음을 억제함으로써, 사용자의 숙면에 방해되지 않는 흔들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프레임부에 의해 흔들 침대가 지면에 고정된 채, 이동프레임부만 좌우 왕복운동 하므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왕복운동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프레임부의 이탈이 방지되어 일부 부품이 파손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흔들 침대{ROCKING BED}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 왕복운동을 통해 수면자에게 해먹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흔들 침대에 관한 것이다.
연구 결과 발표(스위스 제네바대학, 소피 스워츠 교수)에 따르면, 고정된 침대에서보다 흔들 침대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 해먹 효과에 의해 더 빠르게 숙면 상태에 이르며, 눈동자의 움직임도 보다 안정적으로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 발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구 결과 발표를 기초로 착안되었다.
종래의 흔들 침대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크랭크축에 의하여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한다. 선행문헌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3377호)는 저면이 곡면처리되어 있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흔들 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1의 경우, 흔들 침대 전체가 흔들리기 때문에 왕복운동에 제약이 없고 과도한 왕복운동이 가해질 수 있어 사용자의 부상 우려가 있다.
반면, 선행문헌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3278호)는 베이스가 고정된 유아용 흔들 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2의 경우 커넥터가 파손될 경우 침대의 왕복운동에 제약이 없어지고, 침대가 설계범위 이상으로 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상 당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2의 경우 흔들 침대의 작동 소음에 대한 대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숙면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3377호 (등록: 2015. 12. 31) 선행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93278호 (등록: 2003. 07. 1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면자에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면자에게 해먹 효과를 통해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면자에게 해먹 효과를 부여해 숙면을 취하도록 도모하되, 안전한 흔들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해먹 효과를 발생시키되, 소음이 억제된 흔들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프레임부, 고정프레임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이동프레임부, 이동프레임부가 고정프레임부의 상면에서 좌우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지지 및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왕복운동 가이드부 및 이동프레임부가 좌우 왕복운동 되도록 회전운동을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한 개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흔들 침대의 좌우 왕복운동에 의해 사용자의 숙면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프레임부에 의해 흔들 침대가 지면에 고정된 채, 이동프레임부만 좌우 왕복운동 하므로 안정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왕복운동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프레임부의 왕복운동이 가이드 됨으로써, 안정적인 좌우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왕복운동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프레임부의 이탈이 방지되어, 일부 부품이 파손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흔들 침대의 소음이 억제되어 사용자의 숙면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제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부의 좌우 왕복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운동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의 좌우 왕복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크랭크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크랭크부에 기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장력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크랭크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상측 방향은 이동프레임부(200)가 위치되는 상측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 방향은 고정프레임부(100)가 위치되는 하측 방향을 의미한다. 정면 방향 및 후면 방향은 흔들 침대(10)의 헤드 보드가 위치되는 방향 및 풋 보드가 위치되는 방향으로서, 헤드 보드 및 풋 보드는 직사각형의 고정프레임부(100) 및 이동프레임부(200)의 짧은 변이 위치되는 방향을 일컫고, 이를 종 방향이라 정의한다. 또한, 종 방향과 평면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을 횡 방향이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제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10)는 고정프레임부(100), 고정프레임부(100)의 상면에 위치되어 왕복운동되는 이동프레임부(200), 고정프레임부(100)에 구비되어 이동프레임부(200)를 지지하며 이동프레임부(200)의 좌우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왕복운동 가이드부(300)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200)를 좌우 왕복운동시키는 한 개 이상의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부(100)는 흔들 침대(10)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프레임부(200), 왕복운동 가이드부(300) 및 구동부(400)가 구비된다. 고정프레임부(100)는 침대의 규격(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침대의 직사각형의 테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고정프레임부(100)는 지면에 침대 다리 등을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부(100)가 지면에 고정됨으로써, 좌우 왕복운동되는 이동프레임부(200)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 침대(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부(100)는 고정 내부프레임(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내부프레임(110)은 고정프레임부(100)의 내부를 종단하거나 횡단하도록 구비된다. 고정 내부프레임(110)으로 인해 고정프레임부(100)가 보다 견고해진다. 또한, 후술하는 구동부(400)는 고정 내부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구동부(400)는 고정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구동부(400)가 먼지나 충격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구동부(400)의 소음이 억제되어 사용자의 숙면에 효과가 있으며, 구동부(400)가 드러나지 않음으로써 흔들 침대(10)의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부(200)는 고정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좌우 왕복운동되는 구성이다. 이동프레임부(200)는 고정프레임부(100)에 상면에 구비되고, 후술하는 왕복운동 가이드부(300) 및 구동부(400)에 의해 좌우 왕복운동한다. 이동프레임부(200)의 상면에는 수면자가 위치될 수 있도록 매트리스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부(200)는 고정프레임부(100)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직사각형의 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테 형상의 이동프레임부(200)는 고정프레임부(100)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프레임부(200)는 이동 내부프레임(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내부프레임(210)은 이동프레임부(200)의 내부를 종단하거나 횡단하도록 구비된다. 이동프레임부(200)의 내부에 이동 내부프레임(210)이 종단 또는 횡단함으로써 이동프레임부(200)가 보다 견고해진다. 또한, 후술하는 왕복운동 가이드부(300) 및 구동부(400)는 이동 내부프레임(2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왕복운동 가이드부(300)는 이동프레임부(20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흔들 침대(10)가 보다 견고해진다. 또한, 구동부(400)는 이동 내부프레임(210)을 통해 이동프레임부(200)에 힘을 효율적으로 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동프레임부(200)의 왕복운동이 보다 안정적이게 된다.
왕복운동 가이드부(300)는 고정프레임부(100)와 이동프레임부(200)에 구비되어 이동프레임부(200)의 좌우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왕복운동 가이드부(300)는 이동프레임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고정프레임부(100)의 정면 및 후면에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왕복운동 가이드부(300)는 이동프레임부(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프레임부(200)의 정면 및 후면으로의 이탈을 방지하여 좌우 왕복운동을 가이드한다. 왕복운동 가이드부(300)는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구동부(400)는 고정프레임부(100)에 구비되어 이동프레임부(200)를 좌우 왕복운동 시키는 구성이다. 구동부(400)는 회전운동을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이동프레임부(200)를 좌우 왕복운동 시킨다. 구동부(400)는 일 방향의 회전 운동을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부(410)일 수 있다. 구동부(400) 또는 크랭크부(410)는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함께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벨트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크랭크부(410)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0 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부(200)의 좌우 왕복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a>은 이동프레임부(200)가 좌우 왕복운동 범위(s)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b> 및 도 2 <c>는 이동프레임부(200)가 좌우 왕복운동 범위(s)의 양 끝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왕복운동 가이드부(300)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운동 가이드부(3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320)의 좌우 왕복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왕복운동 가이드부(300)는 이동프레임부(200)를 지지하고, 이동프레임부(200)의 좌우 왕복운동을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왕복운동 가이드부(300)는 고정프레임부(10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310) 및 이동프레임부(200)에 고정되어 가이드부(310)를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되는 롤러부(320)를 포함한다. 왕복운동 가이드부(300)가 구비됨으로써, 이동프레임부(200)의 좌우 왕복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고, 왕복운동 가이드부(300)의 형상에 따라 직선 형태뿐 아니라 다른 형태의 왕복운동도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며, 이동프레임부(200)의 이탈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310)는 롤러부(320)를 지지하고, 이동프레임부(200)의 좌우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가이드부(310)는 고정프레임부(100)에 고정되어 롤러부(320)를 지지하고, 롤러부(32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이동프레임부(200)의 좌우 왕복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310)는 고정프레임부(100)에 고정되고 롤러부(320)가 가이드 이동되는 롤러 지지부(311), 롤러부(320)가 롤러 지지부(311)로부터 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좌우 이탈 방지부(312) 및 롤러부(320)의 좌우 왕복운동을 가이드 하고 롤러부(320)가 종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부(313)를 포함한다.
롤러 지지부(311)는 롤러부(320)를 지지함과 동시에, 롤러부(320)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롤러 지지부(311)는 판 형상 또는 "ㄴ"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어 고정프레임부(100)에 고정되고, 상면에 롤러부(320)가 위치되어 이동된다. 롤러 지지부(311)는 롤러부(320)가 위치되는 상면이 평면이고 횡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형태의 롤러 지지부(31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롤러 지지부(311)는 좌우 왕복운동 범위(s)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롤러 지지부(311)는 이탈 방지 날개부(31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날개부(3111)는 롤러 지지부(311)의 가장자리에 벽 형태 또는 단턱 형태로 구비되어, 롤러부(3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 방지 날개부(3111)로 인해 후술하는 레일부(313)가 파손된 경우에도 롤러부(320)의 종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롤러 지지부(311)는 종단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비되어 가이드 이동되는 롤러부(310)가 소정의 곡률을 따라 좌우 왕복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우 이탈 방지부(312)는 구동부(400)의 파손 등 유사시에 롤러부(320)가 롤러 지지부(311)의 횡 방향 길이를 초과 이동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좌우 이탈 방지부(312)는 롤러 지지부(311)의 상면 양 끝단 방향에 수직된 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좌우 이탈 방지부(312)는 후술하는 레일부(313)를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도 하므로, 후술하는 바퀴부(321)의 크기보다 높은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좌우 이탈 방지부(312)가 구비됨으로써, 구동부(400)가 파손되더라도 롤러부(320)의 초과 이동이 차단되고, 이동프레임부(200)의 이탈이 방지되어, 이에 의한 사고 위험이 줄어든다.
레일부(313)는 롤러부(320)의 종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레일부(313)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 및 타단이 좌우 이탈 방지부(312)의 각 상면과 연결되고, 레일부(313)는 롤러부(320)의 내부를 관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부(313)가 후술할 다리부(322)의 내측을 관통함으로써, 롤러부(320)는 레일부(313)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롤러부(320)가 종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부(320)는 이동프레임부(200)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부(200)의 좌우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롤러부(320)는 이동 내부프레임(210)에 고정되어 롤러 지지부(311)의 상면을 따라 좌우 왕복운동함으로써 이동 프레임부(200)를 가이드한다. 롤러부(320)는 이동프레임부에 고정되는 다리부(322) 및 다리부(322)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되는 바퀴부(321)를 포함한다. 다리부(322)는 단면이 "∩"형상으로 구비되고 양 끝단에 바퀴부(321)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다리부(322)의 양 끝단에 바퀴부(321)의 회전축 양 끝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리부(322)의 내측으로 레일부(313)가 관통될 수 있다. 레일부(313)가 다리부(322) 내측으로 관통됨으로써 롤러부(320)가 종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퀴부(321)는 회전축 양 끝단이 다리부(322)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됨으로써 롤러 지지부(311)의 상면에서 왕복 이동한다. 한편, 바퀴부(321)는 소정의 반지름 및 두께를 갖는 통상의 바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퀴부(321)의 표면 재질은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표면에 탄성을 갖는 바퀴부(321)를 구비함으로써, 이동프레임부(200)의 부드러운 좌우 왕복운동이 가능하고, 소음이 줄어들어 사용자의 숙면에 도움이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크랭크부(4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부(410)를 나타낸 도면이다. 크랭크부(410)는 회전운동을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크랭크부(410)는 크랭크(411) 및 로드부(412)를 포함한다.
크랭크(411)는 고정프레임부(100)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 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한다. 상세하게, 크랭크부(410)는 고정 내부프레임(110)에 구비되는 구동부 고정부재(4101) 및 상기 구동부 고정부재(4101)에 구비되는 회전축 고정부재(4102)를 더 포함하고, 크랭크(411)는 하면에 원기둥 형상의 크랭크 회전축(4111)을 구비하며, 크랭크 회전축(4111)이 회전축 고정부재(4102)에 고정되어 회전운동 함으로써, 크랭크(411)는 크랭크 회전축(4111)을 축으로 회전운동 한다.
로드부(41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로드부(412)의 일단은 크랭크(411)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 내부프레임(210)에 연결되어, 크랭크(411)의 회전운동을 이동프레임부(200)의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크랭크(411)를 회전운동 시키기 위해서, 구동부 고정부재(4101)에 고정되는 모터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모터부(500)는 크랭크 회전축(4111)의 하면과 연결되어 크랭크 회전축(4111)을 회전운동 시킨다.
또한, 이동 내부프레임(210)에는 로드부(412)와의 결합을 위해 경첩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경첩부(220)에 대해서는 도 9 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부(41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회전축 고정부재(4102)는 원기둥 형태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개구부를 통해 크랭크 회전축(4111)이 모터부(500)와 연결된다. 회전축 고정부재(4102)가 구비됨으로써, 크랭크(411)의 회전운동 축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로드부(412)는 일단에 구비된 로드 회전축(4121)을 통해 크랭크(411) 일단의 상면에 연결된다. 로드 회전축(4121)은 크랭크 회전축(4111)과 평행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랭크(411)와 로드부(412)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로드부(412)의 하면이 크랭크(411)의 상면에서 소정의 높이 이상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부(412)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로드부(412)는 로드 연결부(4122), 로드암(4123) 및 로드 핀(4124)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연결부(4122)는 로드 회전축(4121)의 상면에 구비되고, 일단에 로드암(4123)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한다. 로드암(4123)의 일단은 로드 핀(4124)을 통해 로드 연결부(4122)와 연결된다. 단, 로드 핀(4124)은 로드 회전축(4121)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로드암(4123)의 타단은 도 9 에서 후술할 경첩부(220)의 구형 베어링(222)과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부(41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로드암(4123)은 로드 핀(4124)을 축으로 각도 운동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프레임부(200)가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왕복운동의 오차로 인한 충격이 흡수됨으로써 부품의 손상 및 작동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점선은 로드암(4123)의 각도 운동에 따른 다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부(220)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경첩부(220)는 이동 내부프레임(210)과 로드부(41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경첩부(220)는 이동 내부프레임(210)에 구비되고, 판 형상의 경첩판(221), 구형 베어링(222) 및 경첩핀(223)을 포함한다. 경첩판(221)은 이동 내부프레임(210)의 상면 및 하면에 하나씩 구비되고, 일단에 형성된 결합공(2211)을 포함한다. 구형 베어링(222)은 내부 링 및 외부 링을 포함한다. 내부 링은 외면이 구 형상으로 구비되고, 외부 링은 내면이 구 형상으로 음각되어, 내부 링 및 외부 링의 축이 어긋나더라도 대응가능한 베어링이다. 경첩핀(223)이 결합공(2211)을 관통하여 구형 베어링(222)의 내부 링과 연결되고, 로드부(412)가 구형 베어링(222)의 외부 링과 연결된다. 구형 베어링(222)을 통해 로드부(412)와 이동프레임부(200)가 연결됨으로써, 로드부(412)에 뒤틀림이 생기더라도 크랭크부(410)가 제 기능을 할 수 있고, 뒤틀림에 의한 부품의 손상 및 작동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부(4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설명에서는 크랭크(411)의 회전운동이 반시계 방향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0 <a>은 이동 내부프레임(210)이 좌우 왕복운동의 중간지점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 <b>은 이동 내부프레임(210)이 도면상의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b>의 상태에서 이동 내부프레임(210)은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중앙지점을 지나는 도 10 <c>의 상태를 거쳐, 이동 내부프레임(210)이 도면상의 우측으로 최대한 이동한 도 10 <d>의 상태가 된다. 이동프레임부(200)는 왕복운동 가이드부(300)에 의해 좌우 왕복운동만이 가능하므로, 크랭크부(410)에 의해 도 10 <a> 내지 도 10 <d>의 상태를 반복하며 좌우 왕복운동 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10)의 크랭크부(410)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동프레임부(200)의 안정적인 좌우 왕복운동을 위해 복수의 크랭크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프레임부(200)는 복수의 크랭크부(410)와 연결되기 위해 복수의 경첩부(220)를 구비한다. 한편, 복수의 크랭크부(410)를 구비할 경우, 각 크랭크부(410)의 좌우 왕복운동이 동기화 되지 않으면 좌우 왕복운동의 주기가 서로 엇갈려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크랭크부(410)의 좌우 왕복운동을 동기화시키기 위해서, 각 크랭크 회전축(4111)은 서로 평행되도록 구비되고, 각 크랭크부(410)는 기어부(413)를 더 포함한다. 기어부(413)는 크랭크 회전축(4111)에 구비되고, 크랭크(411)와 동일한 회전축으로 크랭크(411)와 함께 회전운동 한다. 모터부(500)는 복수의 기어부(413) 중 어느 하나를 회전운동 시키며, 복수의 기어부(413)는 벨트(60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모터부(500)의 동력을 동기화하여 전달한다. 벨트(600)는 합성 수지의 탄성 소재일 수 있으며, 내면은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어부(413)의 표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구비된다. 기어부(413) 및 벨트(600)가 구비됨으로써, 복수의 동기화된 모터부(500)를 구비할 필요 없이 복수의 크랭크부(410)를 동기화하여 회전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벨트(6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부(700)가 더 포함된다. 장력 조절부(700)는 도 1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10)의 크랭크부(410)에 기어부(4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기어부(413)는 벨트(600)의 크랭크(411) 및 로드부(41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랭크(411)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모터부(5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크랭크부(410)는 회전축 고정부재(4102)를 복수로 구비하여 크랭크 회전축(4111)이 안정적으로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10)의 장력 조절부(7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장력 조절부(700)는, 장력 조절판(710) 및 장력 조절 기어(720)를 포함한다. 장력 조절판(710)은 고정 내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벨트(600)와 수직하는 장력 조절 홈부(711)를 포함한다. 장력 조절판(710)의 상면 또는 하면은 벨트(600)와 간섭하지 않도록 벨트(600)의 하면 또는 상면에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장력 조절 기어(720)는 장력 조절 홈부(711)에 구비되고, 벨트(600)를 통해 복수의 기어부(413)와 연결되어 복수의 기어부(413)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으로 회전운동 한다. 장력 조절 기어(720)가 장력 조절 홈부(711)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벨트(600)의 장력을 조절하고, 나사 결합 등으로 장력 조절판(710)에 고정될 수 있다. 장력 조절부(700)가 구비됨으로써, 벨트(600)의 길이 및 장력 특성이 변하더라도 복수의 기어부(413)의 회전운동을 안정적으로 동기화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10)의 크랭크부(410)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600)는 기어부(413)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흔들 침대(1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관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흔들 침대(10)는 복수의 각 크랭크(411)의 회전축이 모두 일치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선상에 구비되어 복수의 크랭크(411)를 회전운동 시키는 축부(800) 및 축부(800)를 회전운동 시키는 모터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 축부(800)는 모터부(500') 및 회전축 고정부재(4102)에 의해 고정 내부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일 축으로 회전하고, 복수의 각 크랭크(411)는 축부(800)에 결합되어 축부(800)와 동일한 축으로 회전운동한다. 복수의 각 크랭크(411)가 축부(800)를 통해 동일한 축으로 회전운동 함으로써, 복수의 각 크랭크(411)는 별도의 동기화 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축부(800)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413), 벨트(600), 체인(600') 및 장력조절부(700)를 대체하고, 이로 인해 구성이 간단해지므로 흔들 침대(10)가 보다 견고해지고, 작동이 보다 안정적이게 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흔들 침대
100: 고정프레임부 110: 고정 내부프레임
200: 이동프레임부 210: 이동 내부프레임
220: 경첩부 221: 경첩판
2211: 결합공 222: 구형 베어링
223: 경첩핀 300: 왕복운동 가이드부
310: 가이드부 311: 롤러 지지부
3111: 이탈 방지 날개부 312: 좌우 이탈 방지부
313: 레일부 320: 롤러부
321: 바퀴부 322: 다리부
400: 구동부 410: 크랭크부
4101: 구동부 고정부재 4102: 회전축 고정부재
411: 크랭크 4111: 크랭크 회전축
412: 로드부 4121: 로드 회전축
4122: 로드암 연결부 4123: 로드암
4124: 로드 핀 413: 기어부
500: 모터부 600: 벨트
700: 장력 조절부 710: 장력 조절판
711: 장력 조절 홈부 720: 장력 조절 기어
800: 축부

Claims (1)

  1. 흔들 침대.
KR1020210000131A 2018-03-16 2021-01-04 흔들 침대 KR102350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175A KR102464048B1 (ko) 2018-03-16 2022-01-10 흔들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29 2018-03-16
KR20180030929 2018-03-16
KR1020180045753A KR102200009B1 (ko) 2018-03-16 2018-04-19 흔들 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753A Division KR102200009B1 (ko) 2018-03-16 2018-04-19 흔들 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175A Division KR102464048B1 (ko) 2018-03-16 2022-01-10 흔들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71A true KR20210002771A (ko) 2021-01-08
KR102350830B1 KR102350830B1 (ko) 2022-01-14

Family

ID=6806857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753A KR102200009B1 (ko) 2018-03-16 2018-04-19 흔들 침대
KR1020210000131A KR102350830B1 (ko) 2018-03-16 2021-01-04 흔들 침대
KR1020220003175A KR102464048B1 (ko) 2018-03-16 2022-01-10 흔들 침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753A KR102200009B1 (ko) 2018-03-16 2018-04-19 흔들 침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175A KR102464048B1 (ko) 2018-03-16 2022-01-10 흔들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00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750B1 (ko) 2019-10-22 2022-05-11 주식회사 누잔 AI 및 IoT 기반의 다기능 수면유도장치
KR102493610B1 (ko) * 2020-11-23 2023-01-31 몽가타 주식회사 흔들 침대
CN112914945A (zh) * 2021-04-08 2021-06-08 温州智荣健康科技有限公司 按摩组件及按摩机构及按摩椅
KR102607601B1 (ko) 2022-05-24 2023-1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과구속 링크를 포함하는 프레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 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278B1 (ko) 2000-11-17 2003-08-06 최진태 유아용 흔들침대
KR101583377B1 (ko) 2014-06-12 2016-01-07 최영미 전동식 스윙침대
US20170258241A1 (en) * 2016-03-12 2017-09-14 Mark Russell Rocking bed with brak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443Y1 (ko) * 2002-12-13 2003-03-26 권순욱 침대 요동 장치
KR102090633B1 (ko) * 2017-12-19 2020-03-18 이경환 수면유도용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278B1 (ko) 2000-11-17 2003-08-06 최진태 유아용 흔들침대
KR101583377B1 (ko) 2014-06-12 2016-01-07 최영미 전동식 스윙침대
US20170258241A1 (en) * 2016-03-12 2017-09-14 Mark Russell Rocking bed with bra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830B1 (ko) 2022-01-14
KR102200009B1 (ko) 2021-01-08
KR102464048B1 (ko) 2022-11-07
KR20220011199A (ko) 2022-01-27
KR20190109179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2771A (ko) 흔들 침대
US7845728B2 (en) Infant rocking chair and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same
US9788660B2 (en) Massage motor support apparatus for an adjustable bed
US8419132B2 (en) Swing chair
US20140336549A1 (en) Massage Apparatus
KR101730121B1 (ko)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FI81953C (fi) Med pendlande ram foersedd saeng.
KR20100109521A (ko) 높이조절 베개장치
JP6511622B2 (ja) 揺動式ベビーベッド
KR20170135603A (ko)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흔들 침대
KR102265357B1 (ko) 각도 조절 및 백래쉬 방지가 가능한 흔들 침대
KR101384509B1 (ko) 전동식 꺼꾸리용 구동장치 및 전동식 꺼꾸리
KR101400218B1 (ko) 다용도 요람
JP2022533142A (ja) 着座又は横臥のための家具
JP5055450B2 (ja) 連結式ベッド
KR200420575Y1 (ko) 꼼짝않는 겨드랑이 밀착판을 머리에 이고 달리는 목발
KR101785581B1 (ko) 전동 스트레칭 장치
KR101473615B1 (ko) 비대칭 캔틸레버를 겸비한 중앙축형 마사지 헤드 세트
KR200416202Y1 (ko) 전동 요람
RU205551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ачивания ребенка
KR200252887Y1 (ko) 건강침대
KR101158663B1 (ko) 마사지 유니트 및 그를 채용한 마사지 용품
KR100420975B1 (ko) 건강침대
CN104644405A (zh) 带有可各方向运动按摩球的按摩模块
JP3205435U (ja) チェアヘッドレス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