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121B1 -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 Google Patents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121B1
KR101730121B1 KR1020150023822A KR20150023822A KR101730121B1 KR 101730121 B1 KR101730121 B1 KR 101730121B1 KR 1020150023822 A KR1020150023822 A KR 1020150023822A KR 20150023822 A KR20150023822 A KR 20150023822A KR 101730121 B1 KR101730121 B1 KR 10173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am
guide
power
ca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377A (ko
Inventor
정태현
남준영
Original Assignee
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현 filed Critical 정태현
Priority to KR102015002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1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 수면을 취할 때 해먹에서 수면을 취하는 효과를 주기 위해 침대의 베드가 진자 운동하고, 베드의 진자 운동을 위해 베드의 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됨과 동시에 동력부에 의해 베드가 진자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ROCKING BED WITH CAM MO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 수면을 취할 때 해먹에서 수면을 취하는 효과를 주기 위해 침대의 베드가 진자 운동하고, 베드의 진자 운동을 위해 베드의 저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됨과 동시에 동력부에 의해 베드가 진자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용자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고정침대보다 흔들거리는 그물 침대에서 낮잠을 자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 발표(스위스 제네바대학, 소피 스워츠 교수)에서 22 내지 38세의 건강한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고정침대와 흔들 침대에서 수면을 취하게 한 후 수면다윈검사 결과, 흔들 침대에서 잠을 잔 사람이 더 빨리 숙면 상태에 도달했으며, 눈동자의 움직임도 더 안정적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종래의 침대는 고정된 침대를 제공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좌우로 회전이동(운동)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만드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2,380호에 개시되어 있는 곡면형 간이침대는 하부가 곡면형 형태로 마련되어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회전이동되기 때문에 침대가 뒤집어 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없고, 위치 고정이 힘들어 침대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56,977호에 개시되어 있는 유아용 조립식 흔들 침대는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회전이동 되기 때문에 침대가 뒤집어져 사용자가 이탈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52,38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56,9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먹과 같은 진자운동을 침대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왕복(해먹) 운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수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계적인 운동에도 소음 및 진동을 제거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운동 중에도 사용자가 떨어지지 않는 구성을 가지는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상측에 구비되어 저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베드, 상기 케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의 저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케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와 체결되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드의 저면에 캠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의 회전운동을 진자 운동으로 가변시켜 상기 베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역 캠 운동을 하는 동력부로 인해 동력부와 연결된 베드가 좌측 및 우측으로 왕복 운동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면이 타원형으로 구비되는 베드 및 베드 저면을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 인해 좌측 및 우측으로 왕복 운동하는 베드가 진자 운동으로 변환되어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수면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부는 동력부가 접하는 면에 완충부 및 댐퍼가 구비되기 때문에 동력부로 인한 진동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수면을 취할 때 동력부의 진동으로 방해받지 않는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차음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케이스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동력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의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의 완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의 동력부 및 캠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의 진자 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스위스 제네바 대학의 스위스 제네바대학 소피 스워츠 교수팀은 22 내지 38세의 건강한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고정침대와 흔들 침대에서 수면을 취하게 한 후 수면의 질을 검사하는 수면다윈검사 결과, 일정간격 동일한 진자운동을 하는 흔들 침대에서 잠을 잔 사람이 고정침대에서 수면을 취한 사람 보다 더 빨리 깊은 수면 상태에 도달했으며, 눈동자의 움직임도 더 안정적으로 나타났다는 결과가 Current Biology(의학 학술지)에 발표와 이미 선행 실험에 의해 검증된 영유아의 수면이 고정된 침대 보다 흔들리는 침대에서 보다 효과적인 수면을 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착안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는 케이스부(10), 베드(100), 가이드부(300) 및 동력부(40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부(10) 및 베드(100)는 일반적인 침대 형상으로 베드(100)의 상면에 매트리스(40)가 구비되는 일반적인 가정의 침대 형상을 가진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케이스부(10)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로 박스 형상을 갖고, 케이스부(10)의 개구된 저면에 가이드부(300), 완충부(500) 및 동력부(400)가 구비되며, 개구된 상면에는 베드(100)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동력부(400)로 인해 베드(100)가 진자운동 하는 구성으로서 동력부(400)의 진동이 매트리스(40) 또는 케이스부(1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완충부(500) 및 댐퍼(31,550)를 구비하지만, 그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 케이스부(10)의 재질을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부(10)는 내측에 구비되는 동력부(400)의 소음을 차단하기위해 상면에 구비되는 베드(100)를 제외한 면이 밀폐되도록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케이스부(10)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크기의 매트리스(40)가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매트리스(40)와 같은 크기 또는 매트리스(40)보다 큰 크기로 구비될 수 있지만, 매트리스(40)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고, 그 외측에 하나 이상의 케이스부(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매트리스(40)와 같은 크기의 케이스부(10)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고, 이때, 케이스부(10) 중 사용자가 매트리스(40)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 방향에 위치하는 케이스부(10)의 일벽면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일반적인 침대 형상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베드(100)는 케이스부(10)의 상면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구성으로서, 케이스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동력부(400)의 소음을 최소화 하기 위해 케이스부(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같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때 베드(100)는 진자운동을 하는 주체로서 베드(100)가 진자운동을 할 때 케이스부(10)와 접하여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드(100)는 상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곡면 형상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베드(100)는 상면에 보드(30) 및 매트리스(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을 가지고, 하측은 가이드부(30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가이드될 수 있도록 타원형의 곡면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베드(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타원형의 곡면은 사용자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지름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연령 및 신체의 크기에 맞추어 각기 다른 곡면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가이드레일(150)은 베드(100)의 저면에 형성된 타원의 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가이드부(300)의 타단에 구비되는 롤러부(320)와 접하여 베드(100)의 진자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진자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타원형으로 구비되는 베드(100)의 저면에 곡면을 따라 가이드홈(15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가이드레일(150)이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이때, 타원형의 곡면이 형성된 베드(100)의 저면에 가이드홈(151)이 형성될 때를 제외하고는, 가이드레일(150)이 별도로 구비되어 베드(100)의 저면에 구비될 때는, 베드(100)의 저면은 반드시 곡면형상의 타원형일 필요는 없고, 가이드 레일만이 타원형의 곡면을 가지면 족하다. 가이드레일(150)은 타원형으로 곡면을 이루는 베드(100)의 저면에 곡면을 따라 형성되고, 롤러부(320)의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가이드부(300)는 가이드홈(151)에 롤러부(320)의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가이드홈(151)이 구비될 필요는 없고, 가이드레일(150)에서 롤러부(320)가 이탈하지 않는 구성이면 족하다. 또한, 가이드레일(150)은 알류미늄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알류미늄 재질일 필요는 없고, 가이드레일(150) 및 롤러부(320)가 가이드 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50)은 베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 개 이상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베드(100)는 가이드레일(150)을 가이드부(300)의 롤러가 지지함으로서 케이스부(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데, 베드(100)가 진자운동할 때 이탈하지 않도록 최소 길이방향을 따라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50)이 베드(100)의 저면에 형성될 때에는 가이드레일(150)이 타원형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베드(100)의 저면이 곡면형상의 타원형으로 구비될 필요는 없으나, 가이드레일(150)이 아닌 베드(100)의 저며네 가이드홈(151)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베드(100)의 저면은 곡면 형상의 타원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가이드부(300)는 베드(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가이드부(300)가 가이드레일(15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51)에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또한, 가이드부(300)는 가이드부(300)에 접하여 베드(100)를 지지하는 구성이기도 하다. 가이드부(300)는 베드(1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봉(310) 및 가이드봉(310)의 타단에 체결되어 횡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롤러부(320)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부(300)는 베드(100)를 지지함과 동시에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개의 가이드레일(150)에 좌우측 대칭되도록 두 개의 가이드부(300)가 구비된다. 이때, 한 개의 가이드레일(15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300)는 베드(100)가 이탈하지 않고 올바르게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측 대칭되도록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최소한의 개수가 두 개이면 족하고, 한 개의 가이드레일(150)에 두 개 이상의 가이드부(300)가 구비되어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동력부의 진동 또는 가이드부(300) 및 롤러부(320)가 접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 하기 위해 롤러부(320)는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와 같이 탄성있는 재질로 구비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다만, 반드시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재질로 구비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진동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150)에서 롤러부(320)가 미끄러져 이탈하지 않도록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드(100)를 진자 운동으로 가이드 하기위해, 케이스부(1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300) 및 베드(100)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50) 구성을 일례로 설명했지만, 케이스부(10)에 가이드레일(150)이 타원형의 곡면 가이드레일(150)이 구비되고, 베드(100)의 저면에 가이드부(30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동력부(400)는 베드(10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비된다. 동력부(400)의 회전축은 끝단에 굴곡진 연결부재(410)가 구비되어 캠부(200)와 체결된다. 상세하게는, 동력부(400)의 회전축의 끝단은 “ㄱ”형상으로 굴곡진 연결부재(41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ㄱ”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부재(410)의 일단은 동력부(40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캠부(200)에 형성되는 캠홀(201)에 체결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ㄱ”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부재(410)의 캠홀(201)에 체결되는 타단은 캠홀(201)의 내면을 따라 회전할 때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홀에 연결부재(410)의 타단이 체결되고, 캠홀(201)의 내면을 따라 연결부재(410)의 타단이 이동되는데, 연결부재(410)의 타단이 캠홀(201)의 내면을 따라 이동될 때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결부재(410)의 타단에 연결롤러(411)가 구비되어 회전한다. 즉, “ㄱ”형상으로 구비되는 연결부재(410)는 일단이 동력부(400)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고, 연결부재(410)의 타단은 캠홀(201)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데, 캠홀(201)의 내면을 따라 이동 될 때 연결부재(410)의 타단에 연결롤러(411)가 구비되어 회전하게 되어 캠홀(201) 및 연결부재(410)간에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아 연결부재(410)의 마모를 막을 수 있고, 이는 제품의 파손, 소음 및 진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연결롤러(411)는 롤러부(320)의 재질과 같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력을 가진 재료로 구비되어 마찰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캠부(200)는 베드(100)의 저면에 구비되어 동력부(400)와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역 캠의 원리를 갖고, 동력부(400)의 회전운동에 따라 베드(100)가 좌우측으로 진자운동하게 하는 구성이다. 캠부(200)는 직육면체 판형상으로 베드(1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수직하게 하측 방향으로 신장되는 형상이다. 캠부(200)는 캠홀(201)이 형성되어 있는데 캠홀(201)은 동력부(400)의 연결부재(410)의 타단이 체결되어 캠 운동을 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캠홀(201)은 원형, 타원, 계란형 및 역계란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타원형의 캠홀(201)에서 상측의 넓이가 하측의 넓이보다 더 넓게 구비되는 역계란형 형상의 캠홀(201)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또한, 캠홀(201)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이 대칭되도록 구비되는데, 좌우측이 대칭되는 캠홀(201)에 연결부재(410)의 연결롤러(411)가 체결되어 회전 시 베드(100)의 좌우측 진자운동 거리가 동일하게 이동되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캠홀(201)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측이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중심축은 동력부(400)의 회전축이 위치하는 위치히고, “ㄱ”형상 연결부재(4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롤러(411)가 캠홀(201)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며, 이때, 캠홀(201)의 좌우측이 대칭되는 형상으로 베드(100)가 진자운동을 할 때 좌우측의 이동거리가 동일하게 이동되는 특징이 있다.
즉, 동력부(400)의 회전축에 “ㄱ”형상의 연결부재(410)가 구비되어 동력부(400)의 회전 운동을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고, “ㄱ”형상의 연결부재(410)의 타단은 연결롤러(411)가 구비되며, 연결롤러(411)는 캠부(200)에 형성되는 캠홀(201)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캠홀(201)은 좌우측이 되칭되도록 구비되는 역계란 형상으로 구비되고, 이로 인해 동력부(400)가 회전 운동을 함에 따라 캠홀(201)이 형성된 캠부(200)가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되는 진자 운동으로 가변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동력부(400)에 체결되는 “ㄱ”형상의 연결부재(410) 및 캠홀(201)이 형성된 캠부(200)에 의해 동력부(400)의 회전 운동이 진자 운동으로 가변되고, 이로 인하여 일정한 각속도(일정 시간 동안에 회전한 각도)를 가지는 동력부(400)에 의해 베드(100)가 일정한 속도로 진자 운동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이 없어도 동일한 속도로 안정된 진자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일정한 각속도를 가지는 동력부(400)만을 구동하면 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어 전기세를 절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ㄱ”형상의 연결부재(410)에 끝단에 구비되어 회전 운동하는 연결롤러(411)는 동력부(4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 운동을 하게되고, 원 운동을 하는 연결롤러(411)에 캠홀(201)의 내면이 접하여 캠 운동을 하게되는데, 연결롤러(411)의 회전 운동의 반지름인 연결부재(410)의 반지름과 같고, 이 반지름은 베드(100)가 진자 운동하게 되는 거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410)의 반지름은 50 내지 100mm의 길이로 구비되는데, 연결부재(410)의 반지름을 동양인의 체격에 맞춘 70mm로 구비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이는 동양인이 숙면을 취할 때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깊은수면에 도달할 수 있는 진자 운동 거리이기도하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완충부(500)는 동력부와 케이스부(10)의 사이에 구비되어 동력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케이스부(10)로 전달시키지 않고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형상의 모자 모양으로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완충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500)는 모자 형상으로서 하측방향의 두 개의 바닥부재(501), 상측 방향에 하나의 지붕부재(503) 및 바닥부재(501)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붕부재(503)와 연결되는 기둥부재(502)로 이루어진다. 또한, 완충부(500)는 두 개 이상 구비되어 층을 이루며 구비될 수 있고, 두 개 이상 층을 이룰 시에는 층을 이루는 두 개의 완충부(500) 중 하측 방향의 완충부(500)는 상측 방향의 완충부(500) 보다 넓게 구비된다. 두 개의 완충부(500)가 두 개의 층을 이루는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자면, 케이스부(10)에 체결되는 완충부(500)가 동력부(400)에 체결된 완충부(500) 보다 큰 완충부(500)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완충부(500)의 지붕부재(503)는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완충부(500)의 바닥부재(501)의 넓이 보다 넓게 구비되어,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완충부(500)의 바닥부재(501)의 넓이를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완층부의 지붕부재(503)가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또한, 완충부(500)는 케이스부(10), 동력부(400) 또는 완충부(500) 간에 접하는 면에 동력댐퍼(55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부(10)의 저면과 완충부(500)의 바닥부재(501) 사이에 동력댐퍼(550)가 구비되고, 동력부(400)의 저면과 완충부(500)의 지붕부재(503)의 사이에 동력댐퍼(5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층을 이루는 완충부(500)는 완충부(500)가 서로 접하는 면에 동력댐퍼(550)가 구비될 수 있다. 동력댐퍼(550)는 보드댐퍼(3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동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동력부(4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완충부(500) 및 케이스부(10)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동력댐퍼(550)는 유압식 댐퍼로 구비되어 진동을 차단하거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진동을 차단하는 등의 다양한 댐퍼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무 재질의 댐퍼로 구비되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보드(30)는 베드(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육면체 판 형상을 가지고, 보드(30) 상면에 매트리스(40)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보드(30)는 직육면체 형상의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동력부(4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베드(100)로 이동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격자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보드(30)는 동력부(400)에서 발생한 진동이 베드(100)를 타고 매트리스(40)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보드(30)와 베드(100)의 사이에 보드댐퍼(31)가 구비된다. 보드댐퍼(31)는 전동댐퍼와 같은 구성으로 구비되는데, 보드댐퍼(3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동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보드댐퍼(31)는 유압식 댐퍼로 구비되어 진동을 차단하거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진동을 차단하는 등의 다양한 댐퍼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고무 재질의 댐퍼로 구비되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그 위에 가이드레일(150)이 구비되며, 가이드레일(150)을 가이드부(300)가 지지함과 동시에 가이드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이로 인하여 베드(100)가 단순 좌우 왕복운동이 아닌 진자 운동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해먹에서 자는 듯 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네바 대학 실험결과와 같이 일정 주기로 고정 반복되는 진자 운동에서 수면을 취할 때에는 고정 침대에서 자는 것 보다 더 빠르게 깊은 수면(숙면)에 들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오늘날과 같이 숙면에 취하기 힘든 사용자 또는 수면 시간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동력부(400) 및 캠부(200)도 이와 함께 진자 운동을 구현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진자 운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동력부(400)를 전기적인 신호로 제어한다면, 사용자의 취향 또는 상태에 따라 진자 운동의 주기 및 속도와 같이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완충부(500), 댐퍼(31, 550), 재질 및 차음제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력부(400)의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어 동력부(400)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진동 또는 소음에 의해 수면을 방해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케이스부 30 : 보드
31 : 보드댐퍼 40 : 매트리스
100 : 베드 150 : 가이드레일
151 : 가이드홈 200 : 캠부
201 : 캠홀 300 : 가이드부
310 : 가이드봉 320 : 롤러부
400 : 동력부 410 : 연결부재
411 : 연결롤러 500 : 완충부
501 : 바닥부재 502 : 기둥부재
503 : 지붕부재 550 : 동력댐퍼

Claims (6)

  1. 삭제
  2.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진자 운동하는 흔들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케이스부(10);
    상기 케이스부(10) 상측에 구비되는 베드(100);
    상기 케이스부(10)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100)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부(300); 및
    상기 케이스부(10)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100)와 체결되는 동력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베드(100)의 저면에 캠부(2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400)의 회전 운동을 진자 운동으로 가변시켜 상기 베드(100)로 전달하고,
    상기 캠부(200)는 일면에 캠홀(201)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부(400)는 회전 축의 일단에 굴곡진 연결부재(410)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40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연결부재(410)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롤러(411)가 상기 캠홀(201)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역 캠 방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캠홀(201)은 좌우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드(100)가 진자 운동의 좌우측 이동거리가 동일하고,
    상기 캠홀(201)은 상측 넓이가 하측 넓이보다 더 넓게 구비되어 역계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100)는 저면이 타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300)에 의해 지지되어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KR1020150023822A 2015-02-17 2015-02-17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KR10173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822A KR101730121B1 (ko) 2015-02-17 2015-02-17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822A KR101730121B1 (ko) 2015-02-17 2015-02-17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377A KR20160101377A (ko) 2016-08-25
KR101730121B1 true KR101730121B1 (ko) 2017-04-27

Family

ID=5688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822A KR101730121B1 (ko) 2015-02-17 2015-02-17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1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040A (ko) 2017-12-19 2019-06-27 이경환 수면유도용 침대
KR20190127158A (ko) 2018-05-03 2019-11-13 이경환 수면 유도용 침대
KR20200028730A (ko)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 센스데이 다용도 흔들침대
KR20210048023A (ko) 2019-10-22 2021-05-03 주식회사 누잔 AI 및 IoT 기반의 다기능 수면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7054A (zh) * 2016-10-11 2017-02-22 广西大学 一种凸轮摇杆机构摇摆测试实验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50970Y (zh) * 2000-12-04 2001-10-03 王春生 摆幅可调的全自动声控电动摇篮
KR200308443Y1 (ko) * 2002-12-13 2003-03-26 권순욱 침대 요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50970Y (zh) * 2000-12-04 2001-10-03 王春生 摆幅可调的全自动声控电动摇篮
KR200308443Y1 (ko) * 2002-12-13 2003-03-26 권순욱 침대 요동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040A (ko) 2017-12-19 2019-06-27 이경환 수면유도용 침대
KR20190127158A (ko) 2018-05-03 2019-11-13 이경환 수면 유도용 침대
KR20200028730A (ko)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 센스데이 다용도 흔들침대
KR20210048023A (ko) 2019-10-22 2021-05-03 주식회사 누잔 AI 및 IoT 기반의 다기능 수면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377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121B1 (ko)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JP5954631B2 (ja) 雌結合部が柔軟に弾性作動するチェーンブロック玩具
KR102464048B1 (ko) 흔들 침대
JP3200162U (ja) マッサージ装置
EP3603458B1 (en) Vertically reciprocating cradle
KR20160101376A (ko) 저면이 타원형으로 구비되는 흔들 침대
KR200476343Y1 (ko) 휴대식 동요 건강기구
CN201791051U (zh) 一种按摩器及装有该按摩器的按摩床
KR20100006625U (ko) 유산소 자동 허리운동 기구
JP5864782B2 (ja) マッサージ機の可変指圧ボール
KR20170135603A (ko)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흔들 침대
CN203724439U (zh) 一种揉捏振动腰带机芯
JP6157525B2 (ja) 枕型マッサージ装置
CN202605260U (zh) 一种眼部按摩仪
CN204655451U (zh) 一种按摩枕头
CN202604268U (zh) 一种幼儿摇篮
CN206462734U (zh) 一种菱形弹性结构护颈保健枕头
JP5055450B2 (ja) 連結式ベッド
JP3130158U (ja) 運動健康器具
KR20140077469A (ko) 등허리 피로회복 강화용 3d 지압 안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기
CN109017155A (zh) 一种智能脚轮
US9457221B2 (en) Hip swing device
KR20120080458A (ko) 2단 베개
KR101223922B1 (ko) 사이즈 베개
KR200428012Y1 (ko) 로데오형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