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922B1 - 사이즈 베개 - Google Patents

사이즈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922B1
KR101223922B1 KR1020110083967A KR20110083967A KR101223922B1 KR 101223922 B1 KR101223922 B1 KR 101223922B1 KR 1020110083967 A KR1020110083967 A KR 1020110083967A KR 20110083967 A KR20110083967 A KR 20110083967A KR 101223922 B1 KR101223922 B1 KR 101223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plate member
height
plate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판규
Original Assignee
정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판규 filed Critical 정판규
Priority to KR102011008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부재, 상기 바닥판부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낮은베개판부재, 상기 낮은베개판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베개높이가 조정되는 높낮이조절판, 상기 낮은 베개판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모로 누웠을 때 인체의 머리 높이를 고려한 높은베개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이즈 베개{Size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로 누워 자다가 모로 누워자는 등 수면중에 자세가 달라지더라도 그때마다 간단하게 조작하여 머리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사이즈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을 자거나 누워서 쉴 때 머리를 괴는 물건으로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하우 24시간 중에서 잠자는 시간은 보통 6 ~ 9시간 정도이며, 하루 평균 8시간 동안은 수면을 통해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건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따라서 최적의 수면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람마다 자신의 신체적 특징에 맞는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몸에 맞는 베개를 통해 수면중에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인체 골격의 정렬상태와 내장기관의 위치 및 기능이 달라지며, 신경과 혈액 순환 상태가 달라진다.
따라서 몸에 맞지 않는 잘못된 베개를 사용하게 되면 목이나 허리에 이상을 가져오고, 목뼈가 틀어지면서 신경을 누르게 되어 목, 어깨, 팔, 팔목, 손가락이 저리거나 이상 증상을 느끼게 되며, 허리에도 영향을 미쳐서 무릎, 종아리, 발목, 발가락까지 이상증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인체내장기관의 위치와 상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혈액순환은 물론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자율신경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어 몸 전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베개의 크기나 형태가 다양해지고, 인체의 특성을 고려한 곡선형 베개, 메모리폼 베개 등 그 종류가 다양하게 개발되며, 베개 속에 들어가는 것도 곡물, 공기, 물 등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베개들은 사람들이 바로 누워 자는 것을 가정하여 개발된 것으로, 인간의 상당수는 바로 누워자다가 모로 누워자기도 하는데, 이러한 특성을 고려되지 않았다.
바로 누워 자다가 모로 누워 자면 베개와 상관 관계에서 가장 큰 변화는 머리의 위치(바닥과 머리와의 높이)가 달라지는 것이다. 즉 바로 누워자면 머리가 바닥에서 조금 들리지만, 모로 누워자면 상대적으로 많이 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바로 누워 자다가 모로 누워 자면 바닥과 머리의 높이 차이 때문에 지금까지 개발된 베개만으로는 높이 차이에 따른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어서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가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단 베개(10-2011-1940 : 출원번호) 출원하였다.
그런데 상기 베개는 바로 누워 잘때와 모로 누워잘 때의 머리 높이 차이는 고려하였지만, 제작과정이나 사용중에 개인차(머리의 크기나 어깨 높이 또는 신장의 차이)에 따른 낮은베개판부재의 높이를 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로 누워 자다가 모로 누워 자게 될 경우에도 손쉽게 베개를 조작하여 몸의 중심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머리의 위치를 바꿀 수 있고, 제작 과정이나 사용중에 개인차에 따른 베개의 높이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사이즈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판부재, 상기 바닥판부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낮은베개판부재, 상기 낮은베개판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베개높이가 조정되는 높낮이조절판, 상기 낮은 베개판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모로 누웠을 때 인체의 머리 높이를 고려한 높은베개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베개를 제공한다.
상기 낮은베개판부재의 양측단에는 스토퍼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홈에는 스토퍼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높낮이조절판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자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높낮이 조절판 위에는 베개높이를 정밀하게 조정가능한 쿠션패드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로 누워자거나 모로 누워자면서 머리의 높낮이가 변경되더라도 그때 마다 하나의 베개로 낮은베개판부재와 높은베개판부재로 옮겨가면서 손쉽게 바꿔벨 수 있고, 높은베개판을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낮은베개판에서 높은베개판으로 또는 그 반대로 옮겨 벨때 몸의 중심을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며, 높낮이가 다른 높이조절판을 별도로 구비하였다가 착탈식으로 교체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차에 따른 베개 높이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베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베개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판 및 쿠션패드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즈 베개의 다른 실시예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질이 목재인 바닥판부재(100)가 구비된다. 바닥판부재(100)는 폭이 100 ~ 200mm 이고, 길이가 400 ~ 500mm 인 직사각형의 평판이며, 두께는 3 ~ 5mm 이다. 이러한 바닥판부재(100)는 플라스틱이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판, 철판이나 알루미늄판과 같은 금속판, 비금속판 등 인체에 무해하고 구조적 강도만 유지할 수 있으면 어떤 재료를 사용해도 상관 없고, 폭이나 길이 및 두께도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당연히 가감할 수 있다.
바닥판부재(100)에는 폭이 10 ~ 15mm이고, 높이가 2 ~ 4mm 인 한쌍의 가이드로드(110)가 상호 30 ~ 50mm 정도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고, 상호 대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20)이 형성된다. 가이드로드간의 이격거리는 바닥판부재의 폭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너무 좁거나 넓으면 후술하는 낮은베개판부재의 조립이 불편해지고 구조적으로도 취약해진다.
바닥판부재(100)에는 낮은베개판부재(200)가 조립된다. 낮은베개판부재(200)는 바닥판부재(100)와 비슷한 크기와 형태로서, 직사각형태의 평판이다. 낮은베개판부재도 바닥판부재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무해하고 구조적 강도만 유지할 수 있으면 어떤 재료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낮은베개판부재(200)의 중심에는 아래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결합편(210)이 형성된다. 결합편(210)의 양측단은 바닥판부재의 결합홈(120)에 대응되는 걸림날개(220)가 형성되어 조립시 결합홈(120)에 걸림날개(220)가 끼워져 고정된다. 결합편(210)은 조립시 가이드로드(110) 사이에 위치되므로 가이드로드(110) 사이의 이격거리 보다는 폭이 좁아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낮은베개판 부재의 길이방향 양측끝에는 스토퍼홈(230)이 각각 형성되고, 스토퍼홈(230)에는 착탈가능하면서 낮은베개판부재(200)보다 높이가 5 ~ 7mm 높은 두께를 갖는 스토퍼(240)가 형성된다. 스토퍼(240)의 길이는 후술하는 높이유지편의 이격거리 보다 길게하여 슬라이딩시 낮은베개판부재(200)에 높은베개판부재의 슬라이딩편의 끝이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낮은베개판부재(200)에는 제작과정이나 사용중에 낮은베개판부재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높낮이조절판(410)이 결합된다. 즉 높낮이조절판(410)은 높이가 다르게 여러개 제작하였다가 필요할 때 착탈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낮은베개판부재(200)에는 외주를 따라 상향 돌출되는 수개의 돌출핀(202)을 형성하고, 높낮이조절판(410)의 하부에는 이와 대응되는 핀홈(412)을 수개 형성한다.
높낮이조절판(410)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양측으로 반구형의 자리홈(414)이 형성된다. 자리홈(414)은 베개를 벨때 인체의 뒷머리의 크기와 형태를 고려한 것으로, 볼록한 뒷머리 부분이 일부 들어가면서 안착되도록 한 것이다.
높낮이조절판(410)은 두께가 1 ~ 2cm 정도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여러개 제작하여 선택적으로 낮은베개판부재(2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1cm 두께의 높낮이조절판을 결합 할수도 있고, 1.5cm 두께의 높낮이조절판을 결합할 수 있으며, 2cm 두께의 높낮이조절판을 결합할 수도 있다.
높낮이조절판(410) 위에는 쿠션패드(420)를 올려 놓아 베개를 벨때 머리가 딱딱한 높낮이조절판(41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쿠션패드(420)의 두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높낮이조절판으로 조절된 베개의 높이를 좀더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높낮이조절판(410)은 그대로 두고 쿠션패드(420)의 두께 차이만으로 개인차에 따른 베개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쿠션패드(420)는 고무나 스폰지와 같은 신축성 있는 합성수지재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가공과정에서 재료선택에 따른 탄력성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베개의 높이를 조정하는데 매우 유리한 재료이다.
높낮이조절판(410)과 쿠션패드(420) 사이에는 쿠션패드(420)가 높낮이조절판(410)에 안착되었을 때 미끌리지 않도록 부직포와 같은 자리부재(430)가 형성되고, 자리부재(430(에는 자리홈(414)에 대응되는 부분에 절개선을 다수 형성하여 자리홈에 안착될 그 부분이 들뜨지 않도록 한다.
낮은베개판부재(200)에는 양측에 높이유지편(310)이 형성된 높은베개판부재(300)가 조립된다. 높은베개판부재(300) 역시 평판으로서 양측에는 50 ~ 150mm 정도의 높이를 갖는 높이유지편(310)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높이유지편(310)의 끝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높은베개판부재(300)와 평행을 이루면서 20 ~ 30mm 정도의 폭을 갖는 슬라이딩편(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높이유지편(310)의 높이에 따라 베개의 높이가 달라지므로 개인차에 따른 높이유지편(310)이 다른 높은베개판부재(300)를 여러개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높은베개판부재(300)만 교체함으로써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유지편(310) 사이의 이격거리는 스토퍼(240)의 길이보다는 짧게 하여 높은베개판부재(300)가 낮은베개판부재(200)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때 스토퍼(24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높은베개판부재(300)가 사용중에 낮은베개판부재(200)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높은베개판부재(300)는 머리나 목을 직접 받치는 부분이므로 쿠션재(c)를 덧대어 일반적인 베개와 같이 도톰하게 한다. 쿠션재(c)는 낮은베개판부재(200) 및 높은베개판부재(300)에 접착할 수도 있고, 낮은베개판부재(200)와 높은베개파부재(300)에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내어 쿠션재(c)를 잡아 묶을 수도 있다. 또한 쿠션재 대신에 높낮이조절판위에 형성된 것과 같이 쿠션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닥판부재(100)를 방바닥(침실바닥)에 놓고, 낮은베개판부재(200)를 조립한다. 조립과정은, 먼저 낮은베개판부재(200)의 결합편(210)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날개(220)의 선단이 결합홈(120)에 맞대어지도록 한 후 낮은베개판부재(200)를 밀어넣으면 걸림날개(220)가 결합홈(120)에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결합홈(120)은 연속되고 막힘이 없는 공간이므로 걸림날개(220)가 조립된 후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다시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걸림날개(220)의 일단에 미세한 두께 편차나 경사를 두어 결합홈(12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에는 끝부분은 억지끼움되도록 하여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잘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낮은베개판부재(200)가 바닥판부재(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높은베개판부재(300)를 낮은베개판부재(200)에 조립하고, 그 위에 높낮이조절판(410)을 조립한 후 자리부재(430) 및 쿠션패드(420)를 안착시킨다.
높은베개판부재(300)를 낮은베개판부재(200)의 일단에 맞대고 밀어넣으면 슬라이딩편(320)이 낮은베개판부재(200)의 양측단 밑으로 삽입되면서 조립되어 슬라이딩편(320)은 낮은베개판부재(200)의 양측단을 따라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높은베개판부재(3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낮는베개판부재(200)의 스토퍼홈(230)에 스토퍼(240)를 끼워 넣으면 그 부분이 낮은베개판부재(200)의 두께보다 높아 높은베개판부재(300)가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낮은베개판부재(200)의 끝에서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걸린다. 즉 높은베개판부재(300)가 낮은베개판부재(200)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낮은베개판부재(200)를 베고 바로 누워 자다가 몸을 돌려 모로 누워 자면 어깨 때문에 머리가 바닥에서 높아지므로 이때는 높은베개판부재(300)를 잡아당겨 높은베개판부재(300)로 머리의 위치를 바꿔 베고 자면 된다. 반대로 모로 누워자다가 바로 누워 잘때는 높은베개판부재(300)를 한쪽으로 밀치고 낮은베개판부재(200)로 머리의 위치를 바꾸면 된다. 이와 같이 높은베개판부재(300)를 당기거나 밀면서 바로 누워 자거나 모로 누워 자면서 머리의 위치를 간단히 바꿀 수 있다. 또한, 높은베개판부재(300)가 슬라이딩 되므로 머리의 위치를 낮은데서 높은대로 또는 높은데서 낮은데로 바꿀 때 몸의 중심은 그대로 두고 머리만 들었다 내리는 동작으로 간단하게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높은베개판부재가 두개이다.
바닥판부재(100)에 낮은베개판부재(200)를 조립한 상태에서, 낮은베개판부재(200)의 양측으로 높은베개판부재(300)를 각각 조립한 것이다. 이와 같이 높은베개판부재(300)가 양측에 있으면 바로 누워 자다가 모로 누워 자고자 할 때 고개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돌려 선택할 수 있으므로 더 용이하게 높은베개판부재(300)로 머리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100 : 바닥판부재 110 : 가이드로드
120 : 슬라이딩홈 200 : 낮은베개판부재
210 : 결합편 220 : 걸림날개
230 : 스토퍼홈 240 : 스토퍼
300 : 높은베개판부재 310 : 높이유지편
320 : 슬라이딩편
410 : 높낮이조절판 412 : 핀홈
414 : 자리홈 420 : 쿠션패드
430 : 자리부재

Claims (4)

  1. 바닥판부재(100);
    상기 바닥판부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낮은베개판부재(200);
    상기 낮은베개판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베개높이가 조정되는 높낮이조절판(410);
    상기 낮은 베개판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모로 누웠을 때 인체의 머리 높이를 고려한 높은베개판부재(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베개판부재의 양측단에는 스토퍼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홈에는 스토퍼(240)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판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자리홈(4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판 위에는 베개높이를 정밀하게 조정가능한 쿠션패드(420)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베개.






KR1020110083967A 2011-08-23 2011-08-23 사이즈 베개 KR10122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967A KR101223922B1 (ko) 2011-08-23 2011-08-23 사이즈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967A KR101223922B1 (ko) 2011-08-23 2011-08-23 사이즈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922B1 true KR101223922B1 (ko) 2013-01-21

Family

ID=4784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967A KR101223922B1 (ko) 2011-08-23 2011-08-23 사이즈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9408A (ja) * 2017-05-10 2020-07-02 モテックス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底部装着型ハンドル付き高さ調節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3509A (en) 1972-11-17 1973-10-09 T Mittendorf Adjustable pillow apparatus
KR20120080458A (ko) * 2011-01-07 2012-07-17 정판규 2단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3509A (en) 1972-11-17 1973-10-09 T Mittendorf Adjustable pillow apparatus
KR20120080458A (ko) * 2011-01-07 2012-07-17 정판규 2단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9408A (ja) * 2017-05-10 2020-07-02 モテックス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底部装着型ハンドル付き高さ調節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0450B2 (en) Functional pillow
US20080092297A1 (en) Leg Pillow
JP7248672B2 (ja) 首の痛み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
US7784129B2 (en) Recumbent therapeutic mattress support
US10448764B2 (en) Pillow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40346834A1 (en) Lounge chair with headrest
US20130226238A1 (en) Vertebrae Support Device and Method
KR101223922B1 (ko) 사이즈 베개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US9241579B2 (en) Support element for bed rests, in particular with slats, and bed res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elements
KR200483469Y1 (ko) 베개
GB2518038A (en) Improved head support
US20090229055A1 (en) Ergonomic pillow for neck and upper shoulder muscle release
KR200474317Y1 (ko) 수면공간대
KR101149574B1 (ko) 경추 및 척추 지지 베개
KR20047514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120080458A (ko) 2단 베개
KR101667512B1 (ko) 어깨, 팔 저림 방지 및 수면자세에 따른 수면맞춤 인체공학 베개
KR200440193Y1 (ko) 통풍 구멍을 구비한 쿠션
JP2006015129A (ja) 看護用マット
KR101992923B1 (ko) 골반 교정 겸용 다기능 지압 베개
KR20220010774A (ko)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JP2022533142A (ja) 着座又は横臥のための家具
KR101835653B1 (ko) 발베개
KR20180022067A (ko) 7존 시스템 라텍스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