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774A -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774A
KR20220010774A KR1020200078668A KR20200078668A KR20220010774A KR 20220010774 A KR20220010774 A KR 20220010774A KR 1020200078668 A KR1020200078668 A KR 1020200078668A KR 20200078668 A KR20200078668 A KR 20200078668A KR 20220010774 A KR20220010774 A KR 20220010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foam
grooves
mattress
insert 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헌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알디
이병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알디, 이병헌 filed Critical (주)케이티알디
Priority to KR102020007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0774A/ko
Publication of KR2022001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reinforced with sheet-like or rigid elements, e.g. profiled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분위별 형성이나 하중에 따라 적절한 쿠션작용 및 하중 분산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여 숙면을 취함과 신체를 올바른 수평형태로 유지하도록 한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는 밀도 40 내지 50 kg/㎥와 경도 6으로 형성된 최상단폼과 밀도 30 내지 40 kg/㎥와 경도 7로 형성된 중단폼과 밀도 30 kg/㎥와 경도 13 내지 19로 형성된 인서트폼과 밀도 30 내지 40 kg/㎥와 경도 13으로 형성된 하단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multilayer memory foam mattress}
본 발명은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분위별 형성이나 하중에 따라 적절한 쿠션작용 및 하중 분산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여 숙면을 취함과 신체를 올바른 수평형태로 유지하도록 한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매트리스는 실내 바닥이나 침대에 깔고 사용하는 침구류의 하나로, 통상적으로 직물외피 내에 외부 하중을 완충 지지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 조립체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른 코일 스프링 조립체는 신체를 편안하게 받쳐주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 조립체를 사용시 소음이 발생하기 쉽고 점차적으로 쿠션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주기 위하여, 사용자의 외형에 맞추어 매트리스가 들어가고 복원될 수 있도록 구현된 메모리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폼형 매트리스의 경우, 고무 소재를 원료로 하는 라텍스와 화학소재를 원료로 하는 협의의 메모리폼으로 구분할 수 있다.
라텍스의 경우 자체 탄성으로 사용자의 몸을 받쳐주는데, 열과 빛에 약하고 통기성이 적은 단점이 있다.
메모리폼은 우레탄보다 고탄성의 폼 형태를 특수 가공한 것으로서 탄성에 점성을 추가한 것으로 점탄성을 갖는데, 눌린 이후 복원이 되나 천천히 복원되는 특징이 있다.
1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폼매트리스에 사용자가 누울 경우, 폼매트리스의 물성에 따라 너무 딱딱하거나 또는 과도하게 들어가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a,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에 적층되어지는 침대메트(100)에 얹혀지는 탄성메트리스(130)가 침대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의 체형에 따라 굴곡면이 형성되도록 체형맞춤굴곡부재(120)를 구성하되, 상기 체형맞춤굴곡부재(120)는 판상의 받침부재(10)에 체결요입부(11)와 볼트공(12)을 행과 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시켜 높낮이설정봉(20)이 장착되도록 한 받침부재(10)와, 상기한 체결요입부(11)에 끼워져 높이방향으로 세움되는 끼움봉(21)과 스프링(30)이 장착되는 스프링 체결홈(22)이 구성되되, 높이별로 구성되는 복수의 높낮이 설정봉(20)으로 구성됨과, 상기 높낮이설정봉(20)에 스프링(30)을 체결하고 이 체결된 스프링(30)에 테두리봉재(34)와 상판부재(35)를 적층시켜 구성되는 매트리스(100)의 요철에 따라 위치별로 고신축과 저신축되어 사용자 체형굴곡에 따른 신축성을 달리 발휘하여 체압분포에 적응된 신축으로 인체의 하중 전체를 균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 맞춤형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맞춤형 침대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체형굴곡에 따른 신축성을 달리하여 인체의 하중 전체를 균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 또한, 오래 사용시 소음이 발생하기 쉽고 점차적으로 쿠션감이 떨어져 사용자의 신체를 올바른 수평형태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2514274 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따라 반발력을 대응하는 인서트폼을 구성하여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신체를 올바른 수평형태로 유지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밀도 40 내지 50 kg/㎥와 경도 6으로 형성된 최상단폼과 밀도 30 내지 40 kg/㎥와 경도 7로 형성된 중단폼과 밀도 30 kg/㎥와 경도 13 내지 19로 형성된 인서트폼과 밀도 30 내지 40 kg/㎥와 경도 13으로 형성된 하단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중단폼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삽입홈부가 형성하고, 상기 하단폼의 상부면에는 상기 중단폼의 삽입홈부와 대응되는 삽입홈부가 형성하며, 상기 인서트폼은 상기 중단폼의 삽입홈부와 하단폼의 삽입홈부에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중단폼의 하부면과 하단폼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는 인체의 구조의 머리, 허리, 다리 부분으로 나누어지도록 셋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단폼의 하부면과 하단폼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는 인체의 구조의 머리, 허리, 다리 부분으로 나누어지되 상기 머리와 다리부분에 삽입홈부의 폭은 200㎜로 형성되고 상기 허리부분에 삽입홈부의 폭은 500㎜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폼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폼의 두께는 70㎜ 내지 9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깊이는 5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상부폭은 30㎜로 형성되며 하부폭은 15㎜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내측면에 경사면이 98.5°로 경사지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폼의 두께는 70㎜ 내지 9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깊이는 5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상부폭은 30㎜로 형성되며 하부폭은 15㎜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내측면에 경사면이 98.5°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하되 그 간격은 60㎜ 내지 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폼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홈부는 상측단,중단,하측단으로 나누어져 형성하되 상기 인서트폼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형성된 홈부는 60㎜ 간격으로 이격되어 5~6개로 형성되고 중단에 형성된 홈부는 140㎜ 간격으로 이격되어 4~5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최상단폼의 두께는 70㎜로 형성되고 중단폼의 두께는 80㎜로 형성되며, 인서트폼의 두께는 80 내지 90㎜로 형성되고 하단폼의 두께는 130㎜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는 서로 다른 밀도와 경도로 갖는 메모리폼을 층층이 쌓여져 이루어지며 중단폼과 하단폼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따라 반발력을 대응하는 인서트폼을 구성하여 신체를 올바른 수평형태로 유지시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폼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하여 사용자의 인체구조 머리, 허리, 다리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반발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락한 수평형태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경도 및 탄성을 갖는 인서트폼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중단폼과 하단폼에 삽입홈부를 형성함으로써 교체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취침 또는 활동시 인서트폼이 흔들림이 없어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대한 체형맞춤굴곡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4b는 도 4a에 대한 실시예.
도 5a,5b,5c는 본 발명의 인서트폼을 나타낸 실시예.
도 6a,6b는 도 5에 대한 실시예.
도 7은 도 5에 대한 인서트폼의 홈부를 나타낸 실시예.
도 8은 도 5에 대한 인서트폼의 홈부를 나타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1)는 밀도 40 내지 50 kg/㎥와 경도 6으로 형성된 최상단폼(10)과 밀도 30 내지 40 kg/㎥와 경도 7로 형성된 중단폼(20)과 밀도 30 kg/㎥와 경도 13 내지 19로 형성된 인서트폼(30)과 밀도 30 내지 40 kg/㎥와 경도 13으로 형성된 하단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1)는 층층이 서로 다른 밀도와 경도로 이루어지며 중단폼(20)과 하단폼(40) 사이에 인서트폼(30)으로 이루어져 종래의 탄성스프링과 매트리스가 결합된 매트리스보다는 소음이 절감되며, 상기 인서트폼(30)에 의해 신체를 올바른 수평형태를 유지하여 편안함을 제공함과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인서트폼(30)이 파손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함과 사용자의 인체굴곡에 따라 하중을 지지하도록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단폼(20)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삽입홈부(22)가 형성하고, 상기 하단폼(40)의 상부면에는 상기 중단폼(20)의 삽입홈부(22)와 대응되는 삽입홈부(42)가 형성하며, 상기 인서트폼(30)은 상기 중단폼(20)의 삽입홈부(22)와 하단폼(40)의 삽입홈부(42)에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단폼(20)의 하부면과 하단폼(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22,42)가 형성하여 적층 후 상기 중단폼(20)의 하부면과 하단폼(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22,42)에 상기 인서트폼(30)이 내설되는 구조로써 상기 인서트폼(30)이 파손 및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함과 사용자의 인체굴곡에 따라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여 신체를 올바른 수평형태를 유지하여 편안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중단폼(20)의 하부면과 하단폼(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22,42)에 상기 인서트폼(30)이 내설되어 이루어져 사용자 취침 또는 활동시 상기 인서트폼(30)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중단폼(20)의 하부면과 하단폼(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22,42)는 다수가 형성될 수 있으나 보다 사용자의 인체굴곡에 따라 하중을 지지하도록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단폼(20)의 하부면과 하단폼(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22,42)는 인체의 구조의 머리, 허리, 다리 부분으로 나누어지도록 셋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중단폼(20)의 하부면과 하단폼(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22,42)는 인체의 구조의 머리, 허리, 다리 부분으로 나누어지되 상기 머리와 다리부분에 삽입홈부(22,42)의 폭은 200㎜로 형성되고 상기 허리부분에 삽입홈부(22,42)의 폭은 500㎜로 형성되어 이루어져 사용자의 인체 구조 경추, 척추, 허리부분을 안정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단폼(20)과 하단폼(40) 사이 또는 중단폼(20)의 하부면과 하단폼(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22,42)에 삽입되는 인서트폼(30)에는 도 5a,5b,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폼(30)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홈부(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가압되는 힘에 의해 상기 인서트폼(30)의 홈부(32) 내측이 내부로 팽창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상기 인서트폼(30)에 가압력이 해체되며 상기 인서트폼(30)의 홈부(32)로 가압된 내측부분이 서로 반발하여 신속하게 복원될 수 있는 효과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서트폼(30)의 홈부(32)는 상기 인서트폼(30)의 반발력과 지지력을 갖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폼(30)의 두께는 70㎜ 내지 9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30)의 홈부(32) 깊이(P1)는 5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30)의 홈부(32) 상부폭(D1)은 30㎜로 형성되며 하부폭(D2)은 15㎜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폼(30)의 홈부(32) 내측면에 경사면이 98.5°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상기 인서트폼(30)에 가압시 안정적으로 신체를 지지함과 상기 인서트폼(30)의 반발력이 최대로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인서트폼의 두께는 70㎜ 내지 9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깊이는 5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상부폭은 30㎜로 형성되며 하부폭은 15㎜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내측면에 경사면이 98.5°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하되 그 간격은 60㎜ 내지 140㎜로 이루어져 반발력을 증대함과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인서트폼(30)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홈부(32)를 형성하는데 있어 보다 사용자의 인체구조 머리, 허리, 다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를 수평형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폼(30)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홈부(32)는 상측단, 중단, 하측단으로 나누어져 형성하되 상기 인서트폼(30)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형성된 홈부(32)는 60㎜ 간격으로 이격되어 5~6개로 형성되고 중단에 형성된 홈부(32)는 140㎜ 간격으로 이격되어 4~5개로 형성되어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서트폼(3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부(32)가 상측단, 중단, 하측단으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형성하되 상기 인서트폼(30)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형성된 홈부(32)는 60㎜ 간격(L1)으로 이격되어 5~6개로 형성되고 중단에 형성된 홈부(32)는 140㎜ 간격(L2)으로 이격되어 4~5개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취침 중에 움직임에도 안정으로 경추, 척추, 허리, 다리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1)에 사용자 취침 또는 활동시 쿠션감과 지지할 수 있도록 최상단폼의 두께는 70㎜로 형성되고 중단폼의 두께는 80㎜로 형성되며, 인서트폼의 두께는 80 내지 90㎜로 형성되고 하단폼의 두께는 130㎜로 형성시 가장 안정적으로 쿠션감 및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1)는 서로 다른 밀도와 경도로 갖는 메모리폼을 층층이 쌓여져 이루어지며 중단폼과 하단폼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따라 반발력을 대응하는 인서트폼을 구성하여 신체를 올바른 수평형태로 유지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인서트폼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하여 사용자의 인체구조 머리, 허리, 다리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반발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안락한 수평형태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각각 다른 경도 및 탄성을 갖는 인서트폼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중단폼과 하단폼에 삽입홈부를 형성하여 교체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취침 또는 활동시 인서트폼이 흔들림이 없어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10 : 최상단폼
20 : 중단폼 22 : 삽입홈부
30 : 인서트폼 32 : 홈부
40 : 하단폼 42 : 삽입홈부

Claims (9)

  1. 밀도 40 내지 50 kg/㎥와 경도 6으로 형성된 최상단폼과;
    밀도 30 내지 40 kg/㎥와 경도 7로 형성된 중단폼과;
    밀도 30 kg/㎥와 경도 13 내지 19로 형성된 인서트폼과;
    밀도 30 내지 40 kg/㎥와 경도 13으로 형성된 하단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폼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삽입홈부가 형성하고, 상기 하단폼의 상부면에는 상기 중단폼의 삽입홈부와 대응되는 삽입홈부가 형성하며, 상기 인서트폼은 상기 중단폼의 삽입홈부와 하단폼의 삽입홈부에 삽입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폼의 하부면과 하단폼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는 인체의 구조의 머리, 허리, 다리 부분으로 나누어지도록 셋 이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폼의 하부면과 하단폼의 상부면에 형성된 삽입홈부는 인체의 구조의 머리, 허리, 다리 부분으로 나누어지되 상기 머리와 다리부분에 삽입홈부의 폭은 200㎜로 형성되고 상기 허리부분에 삽입홈부의 폭은 500㎜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폼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폼의 두께는 70㎜ 내지 9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깊이는 5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상부폭은 30㎜로 형성되며 하부폭은 15㎜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내측면에 경사면이 98.5°로 경사지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폼의 두께는 70㎜ 내지 9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깊이는 50㎜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상부폭은 30㎜로 형성되며 하부폭은 15㎜로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폼의 홈부 내측면에 경사면이 98.5°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하되 그 간격은 60㎜ 내지 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폼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홈부는 상측단, 중단, 하측단으로 나누어져 형성하되 상기 인서트폼의 상측단과 하측단에 형성된 홈부는 60㎜ 간격으로 이격되어 5~6개로 형성되고 중단에 형성된 홈부는 140㎜ 간격으로 이격되어 4~5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9. 제 1항에 있어서,
    최상단폼의 두께는 70㎜로 형성되고 중단폼의 두께는 80㎜로 형성되며, 인서트폼의 두께는 80 내지 90㎜로 형성되고 하단폼의 두께는 130㎜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KR1020200078668A 2020-06-26 2020-06-26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KR20220010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668A KR20220010774A (ko) 2020-06-26 2020-06-26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668A KR20220010774A (ko) 2020-06-26 2020-06-26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774A true KR20220010774A (ko) 2022-01-27

Family

ID=8004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668A KR20220010774A (ko) 2020-06-26 2020-06-26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07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00B1 (ko) * 2023-10-20 2024-04-15 주식회사 네이처슬립 숙면을 유도하는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274B1 (ko) 2019-11-08 2023-03-2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밀폐형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274B1 (ko) 2019-11-08 2023-03-27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밀폐형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00B1 (ko) * 2023-10-20 2024-04-15 주식회사 네이처슬립 숙면을 유도하는 수면 솔루션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0450B2 (en) Functional pillow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20200375382A1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WO2010130003A1 (en) Pillow
US7941882B1 (en) Magnetic cushioning system
JP2020525257A (ja) 首の痛み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
KR20220010774A (ko)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KR200489297Y1 (ko) 마이크로포켓스프링이 구비된 매트리스
KR101930643B1 (ko) 베개
CN101422306B (zh) 用于床垫、枕头、床缛和靠垫的多层结构
KR102165906B1 (ko) 경추 지압 베개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KR200483469Y1 (ko) 베개
KR200480002Y1 (ko) 숙면베개
CN205457480U (zh) 一种保健睡眠床
KR101966203B1 (ko) 연속 발포 공정에 의한 다경도·다탄성 폼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KR102629541B1 (ko) 수면자세 맞춤기능 교정 베개
KR102644695B1 (ko) 편안한 숙면 베개
JP2005319059A (ja) 三層構造マットレス
JP2019110966A (ja)
KR20180050966A (ko) 침대용 매트리스
WO2018103068A1 (zh) 一种床垫
KR101223922B1 (ko) 사이즈 베개
KR102481483B1 (ko) 복합형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