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483B1 - 복합형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복합형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483B1
KR102481483B1 KR1020210110231A KR20210110231A KR102481483B1 KR 102481483 B1 KR102481483 B1 KR 102481483B1 KR 1020210110231 A KR1020210110231 A KR 1020210110231A KR 20210110231 A KR20210110231 A KR 20210110231A KR 102481483 B1 KR102481483 B1 KR 102481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sertion rod
insertion hole
ro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102021011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of different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형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고탄성폼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되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삽입봉으로 구성됨으로써, 고탄성폼의 우수한 반발력과 메모리폼의 부드러움과 지지력의 장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면에서 안락함을 제공하여 숙면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하는 매트리스에 있어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와 다른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짐에 따라 상기 본체와의 복합작용에 의해 숙면을 유도하도록 지지하는 삽입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형 매트리스{A combination mattress}
본 발명은 복합형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탄성폼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되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삽입봉으로 구성됨으로써, 고탄성폼의 우수한 반발력과 메모리폼의 부드러움과 지지력의 장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형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실내 바닥이나 침대에 깔고 사용하는 침구류의 하나로, 통상적으로 직물재 외피 내에 외부 하중을 완충 지지하기 위한 코일스프링 조립체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취침시 코일스프링 조립체가 신체를 편안하게 ㅂ받쳐주어 사용자는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코일스프링 매트리스는 오랜 기간 사용시 소음이 발생하기 쉽고 점차적으로 쿠션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주기 위하여, 사용자의 외형에 맞추어 매트리스가 들어가고 복원될 수 있도록 구현된 메모리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폼형 매트리스는 고무소재를 원료로 하는 라텍스와, 화학소재를 원료로 조성되는 메모리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라텍스는 자체 탄성으로 사용자의 몸을 받쳐주는데, 열과 빛에 약하고 통기성이 적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메모리폼은 우레탄보다 고탄성의 폼 형태를 특수 가공한 것으로서 탄성에 점성을 추가한 것으로서 점탄성을 갖는데, 눌린 이후 천천히 복원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하나의 폼 소재로 이루어진 단일의 매트리스는 폼의 종류에 따라 너무 딱딱하거나, 또는 과도하게 들어가는 등 단점이 부각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복합매트리스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복합매트리스는 점탄성의 메모리폼의 밀도, 경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수의 층 각각에 대한 밀도, 경도 및 두께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일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205824호의 다경도, 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은 인체의 각 부위별 체형에 대응하여 매트리스의 각 영역별 경도 및 탄성의 다르게 설정하도록 한 것이나,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으로 경도를 다르게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을 뿐 두께 방향으로 경도가 다른 메모리폼을 적층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다른 일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83119호의 5겹 폼매트리스는 두께 방향으로 경도가 상이한 5겹의 매트리스가 구성된 것이다. 특히, 가장 가운데의 제3층에 가장 경도가 높은 메모리폼을 배치한 매트리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느낌이 덜하여 장시간 사용시 불편함으로 느낄 수 있다. 또한, 메모리폼을 매트리스의 최상층에 배치하면 공기 투과도가 좋지않아 사용자가 덥고 답답함을 느끼기 쉬우며 사용자의 땀으로 인해 축축하고 진드기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691523호(2017.01.02.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989441호(2019.06.17.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탄성폼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되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삽입봉으로 구성됨으로써, 고탄성폼의 우수한 반발력과 메모리폼의 부드러움과 지지력의 장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형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락한 수면을 제공하여 숙면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하는 매트리스에 있어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되, 상기 본체와 다른 탄성 및 복원력을 가짐에 따라 상기 본체와의 복합작용에 의해 숙면을 유도하도록 지지하는 삽입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고탄성품이고; 상기 삽입봉은 메모리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공은, 상기 본체에서 관통되거나, 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은 상기 삽입공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공은 본체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일정깊이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삽입봉의 삽입에 의한 고정을 지지함과 함께, 본체의 양단 각각에 삽입봉의 간격이 상호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본체의 양단 각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단턱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은 단턱형의 삽입공과 동일한 형상의 단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의 일단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대구경 삽입공이 형성되고, 타단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대구경 삽입공에 간섭되지 않는 깊이와 간격으로 형성되는 소구경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은 상기 대구경 삽입공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대구경 삽입봉과 소구경 삽입공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소구경 삽입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봉은 100중량부의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무첨가 삽입봉이거나; 또는, 100중량부 메모리폼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황토가 첨가되는 원적외선 삽입봉; 또는, 100중량부 메모리폼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쿨링젤이 첨가되는 쿨링 삽입봉; 또는, 100중량부 메모리폼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아로마 오일이 첨가되는 아로마 삽입봉;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탄성폼으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되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삽입봉으로 구성됨으로써, 고탄성폼의 우수한 반발력과 메모리폼의 부드러움과 지지력의 장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매트리스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매트리스의 일부 분리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매트리스의 도면으로서,
4a는 다종의 삽입봉 도면이고, 4b는 다종의 삽입봉이 삽입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매트리스의 사용상태도로서,
5a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이고, 5b는 외력의 제거로 복원되는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매트리스의 일부 분리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매트리스의 일부 분리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매트리스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매트리스의 일부 분리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복합형 매트리스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복합형 매트리스(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및 삽입봉(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매트리스의 기본 베이스이다.
상기 본체(10)는 스펀지 등의 고탄성폼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는 메모리폼(memory foam)에 비하여 탄성이 좋아 외력 즉, 사용자의 신체접촉 후 범위를 벗어나면 신속한 복원으로 수면 중 뒤척임 등이 용이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봉(20)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10)은 본체(10)에 일정 크기와 간격으로 관통되도록 다수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본체(10)에 삽입봉(20)이 고정됨에 따라 복합작용에 의한 기능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삽입공(110)의 크기는 삽입봉(20)의 삽입을 지지함과 함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서, 예컨대, 억지끼워맞춤의 오차범위로 형성된다.
삽입봉(20)은 본체(10)의 삽입공(110)에 삽입되어, 탄성폼으로 이루어진 본체(10)에 대한 받침 및 지지력을 보강시키도록 함으로써, 안락함에 의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삽입봉(20)은 작용하는 외력에 따라 반응하는 부드러움과 지지력을 가지도록 하는 메모리폼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봉(20)은 메모리폼으로 형성되고, 본체(10)는 고탄성폼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봉(20)은 본체(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삽입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사용자가 누워울때 상기 본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상기 삽입봉(20)이 수직방향으로 받침하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받침함에 따라, 메모리폼의 삽입봉(20)에 의한 받침력으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뒤척임 등으로 외력이 제거되면 메모리폼의 저속(低速)한 복원에 대비하여 탄성폼으로 이루어진 본체(10)에서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뒤척임 등을 보조시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는 고탄성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20)은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를 치환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본체(10)는 메모리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20)은 고탄성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봉(20)은 금형을 제작하여 상기 금형으로 봉형상의 제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삽입봉(20)은 메모리폼을 봉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식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봉(20)은 본체(10)에 형성된 삽입공(110)의 깊이에 맞춰 봉의 길이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봉(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제조의 편리성과 사용자의 요구 등에 의해 다양한 형상 또는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봉(20)은 메모리폼의 밀도를 조절하여, 탄성작용의 민감도에 따라 소프트형, 미디움형 및 하드형 등으로 구분한다.
또한, 상기 삽입봉(20)에는 메모리폼의 주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첨가재를 추가함으로써, 원적외선 발산, 쿨링(cooling) 또는 아로마 작용 등의 기능성을 발휘하도록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의 삽입봉(20)은 무첨가에 의한 순수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진 무첨가 삽입봉(20a)이다.
또한, (b)의 삽입봉(20)은 100중량부의 메모리폼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황토를 첨가하여 원적외선이 조사되는 원적외선 삽입봉(20b)이다.
또한, (c)의 삽입봉(20)은 100중량부의 메모리폼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쿨링젤을 첨가하여 쿨링을 제공하는 쿨링 삽입봉(20c)이다.
또한, (d)의 삽입봉(20)은 100중량부의 메모리폼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아로마(aroma) 오일을 첨가하여 아로마테라피 효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아로마 삽입봉(20d)이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무첨가에서부터 기능성의 삽입봉(20)을 본체(10)의 삽입공(110)에 삽입시켜 복합형 매트리스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예컨대, 원적외선 삽입봉(20b)은 원적외선의 조사로 인해 몸이 찬사람의 사용에 적합하고, 쿨링 삽입봉(20c)은 쿨링젤의 쿨링함으로 몸이 더운사람의 사용에 적합하며, 아로마 삽입봉(20d)은 아로마테라피에 의한 피로감소 및 심신안정에 의한 숙면을 유도하게 된다.
이에, 하나의 매트리스에 무첨가제 또는 기능성을 가지는 삽입봉(20) 중 하나만을 구성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봉(2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매트리스 제조단계에서 무첨가 삽입봉(20a)에서부터 기능성 삽입봉(20b)(20c)(20d)를 조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매트리스의 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공(110)에 무첨가 삽입봉(20a)에서부터 기능성 삽입봉(20b)(20c)(20d)을 원하는 위치에 삽입시킴에 따라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삽입공(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10')에 삽입된 삽입봉(20)의 안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일정깊이의 삽입공(110')에 삽입봉(20)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즉, 제1실시 예의 삽입공(110)은 본체(10)에 관통되게 구성되는 것이고, 제2실시 예의 삽입공(110')은 일정깊이로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봉(20)은 일정깊이의 삽입공(110')의 깊이에 맞춰지는 길이로 형성된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삽입공(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깊이를 가지는 부분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양단 각각의 직경이 상호 다르게 형성되는 단턱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삽입봉(20'')은 단턱형의 삽입공(110'')과 대응되게 단턱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1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단턱형 삽입봉(20'')이 구성된 복합형 매트리스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양단 각각에 위치된 단턱형 삽입봉(20'')의 상호 다른 직경에 의해 본체(10)에 대하여 삽입봉(20'')의 분포간격이 자연스럽게 조절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선택에 의해 본체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제4실시 예>
제1 내지 제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 예의 삽입공(110)은 일정깊이를 가지되, 직경이 상호 다른 대구경 삽입공(112) 및 소구경 삽입공(11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110)은 본체(10)의 양단 각각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된다. 예컨대, 본체(10)의 일단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대구경 삽입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타단에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소구경 삽입공(114)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대구경 삽입공(112)과 소구경 삽입공(114)은 상호 다른 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삽입봉(20)은 대구경 삽입봉(112)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대구경 삽입봉(22) 및 소구경 삽입봉(114)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소구경 삽입봉(24)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삽입공(110) 중 대구경 삽입공(112)에는 대구경 삽입봉(22)이 삽입되고, 소구경 삽입공(114)에는 소구경 삽입봉(24)이 삽입된다.
그러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삽입봉(22)이 삽입된 본체(10)의 일단에서의 삽입봉(20) 간격에 비하여 소구경 삽입봉(24)이 삽입된 본체(10)의 타단에서의 삽입봉(20)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넓은 간격을 가지는 본체(10)의 일단은 일반 성인이 사용하고, 일반 성인보다 신체적 조건이 작은 유아 또는 어린이의 경우 좁은 간격을 가지는 본체(10)의 타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본체(10)에서 신체조건이 다른 사용자에 대한 겸용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복합형 매트리스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복합형 매트리스 10: 본체
110, 110', 110'': 삽입공 112: 대구경 삽입공
114: 소구경 삽입공 20, 20'': 삽입봉
22: 대구경 삽입봉 24: 소구경 삽입봉

Claims (6)

  1.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봉으로 구성되어, 안락한 수면을 제공하여 숙면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하는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고탄성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은 고탄성폼의 본체에 대비하여 저속한 복원력을 가짐에 따라 상기 본체와의 복합작용에 의해 숙면을 유도하도록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공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은 일정깊이에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삽입봉의 삽입에 의한 고정을 지지함과 함께, 본체의 양단 각각에 삽입봉의 간격이 상호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본체의 양단 각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단턱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은 본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받침력이 작용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단턱형의 삽입공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턱형;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대구경 삽입공이 형성되고, 타단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대구경 삽입공에 간섭되지 않는 깊이와 간격으로 형성되는 소구경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은 상기 대구경 삽입공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대구경 삽입봉과 소구경 삽입공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소구경 삽입봉;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매트리스.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은 100중량부의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무첨가 삽입봉이거나;
    또는, 100중량부 메모리폼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황토가 첨가되는 원적외선 삽입봉;
    또는, 100중량부 메모리폼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쿨링젤이 첨가되는 쿨링 삽입봉;
    또는, 100중량부 메모리폼에 대하여 1 ~ 20중량부의 아로마 오일이 첨가되는 아로마 삽입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매트리스.
KR1020210110231A 2021-08-20 2021-08-20 복합형 매트리스 KR102481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231A KR102481483B1 (ko) 2021-08-20 2021-08-20 복합형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231A KR102481483B1 (ko) 2021-08-20 2021-08-20 복합형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483B1 true KR102481483B1 (ko) 2022-12-26

Family

ID=8454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231A KR102481483B1 (ko) 2021-08-20 2021-08-20 복합형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48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4224U (ko) * 1978-06-19 1979-12-27
JPH0310732U (ko) * 1989-06-15 1991-01-31
KR19990084057A (ko) * 1999-09-09 1999-12-06 노규상 매트리스
KR200293298Y1 (ko) * 2002-07-22 2002-10-30 주식회사 라자 라텍스 매트리스
KR101691523B1 (ko) 2015-02-12 2017-01-02 주식회사 코덱트 메모리폼 매트리스
KR101782126B1 (ko) * 2016-05-10 2017-09-26 (주) 비엠비 멀티 레벨 폼매트리스
KR101818091B1 (ko) * 2015-08-12 2018-01-12 (주)대진 매트리스 구조체
KR101989441B1 (ko) 2018-10-17 2019-06-17 주식회사 슬라운드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4224U (ko) * 1978-06-19 1979-12-27
JPH0310732U (ko) * 1989-06-15 1991-01-31
KR19990084057A (ko) * 1999-09-09 1999-12-06 노규상 매트리스
KR200293298Y1 (ko) * 2002-07-22 2002-10-30 주식회사 라자 라텍스 매트리스
KR101691523B1 (ko) 2015-02-12 2017-01-02 주식회사 코덱트 메모리폼 매트리스
KR101818091B1 (ko) * 2015-08-12 2018-01-12 (주)대진 매트리스 구조체
KR101782126B1 (ko) * 2016-05-10 2017-09-26 (주) 비엠비 멀티 레벨 폼매트리스
KR101989441B1 (ko) 2018-10-17 2019-06-17 주식회사 슬라운드 다층 메모리폼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1292B2 (en) Cushioning device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US10660462B2 (en) Two-sided pillow
JP2012090982A (ja)
US20150128348A1 (en) Head Stabilizing Headrest
KR102481483B1 (ko) 복합형 매트리스
JP4879864B2 (ja) 敷布団、枕、ベッドマット及びクッション
JP2006346218A (ja) 局部高さ調節機能付き敷き布団
JP2000093262A (ja) 芯 材
US20100024127A1 (en) Body support mattress pad
JP3115580U (ja) 寝具類
JP3197586U (ja) 寝具等のクッション
EP3834669A1 (en) A lightweight and fireproof mattress
KR200415546Y1 (ko) 소파용 쿠션
JPH10146247A (ja) クッション材
JP3206930U (ja) マットレス
WO2017142700A1 (en) Leu&#39;s pillow
JP4404582B2 (ja)
KR200402467Y1 (ko) 숯 매트리스
JP2019110966A (ja)
KR20120055899A (ko) 팔베개
KR20020008277A (ko) 신체부위별로 경도가 다른 매트리스
CN201271051Y (zh) 零压感记忆枕芯
KR200376064Y1 (ko) 골반교정및 항문질환 예방용 방석
KR20180026062A (ko)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