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730A - 다용도 흔들침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흔들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730A
KR20200028730A KR1020180107222A KR20180107222A KR20200028730A KR 20200028730 A KR20200028730 A KR 20200028730A KR 1020180107222 A KR1020180107222 A KR 1020180107222A KR 20180107222 A KR20180107222 A KR 20180107222A KR 20200028730 A KR20200028730 A KR 20200028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ed body
bed
suppor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140B1 (ko
Inventor
김용철
안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스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스데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스데이
Priority to KR102018010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1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47D11/005Convertible children's be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06Beds with 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쌍의 지지판 양측 저면에 각각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이 안착되는 한쌍의 받침부 양측에 각각 단극전기자석을 설치하여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단극전기자석에 자력이 발생되게 하여 침대 본체를 좌/우로 흔들어 아기를 편안하게 재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한쌍의 지지판 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이나 그림 등이 나타나도록 하여 아기의 두뇌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흔들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흔들침대{A Multi Swing bed }
본 발명은 흔들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부에 설치된 단극전기자석을 이용하여 침대 본체를 좌,우로 흔들리게 하여 아기가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침대 본체에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각종 영상이 투사되게 하여 아기의 두뇌 발달을 촉진함은 물론 실내 천정 조명이 직접 아기에게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아기가 성장하게 되면 상기 침대 본체를 뒤집어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흔들침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침대는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 형태의 침대틀의 내부에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며, 상기 매트리스에 사용자가 누워서 잠을 자게 되는 구성이다.
근래에는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한 접이식 침대와 유아용 흔들침대 등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바, 상기 유아용 흔들침대는 유아를 눕혀놓고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거나 회동시켜 주면서 유아를 달래는 동시에 안락하게 잠을 재울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유아용 흔들침대의 일예로서 특허등록 제10-1534083호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의 구성은,
바닥과 접촉하며 'H' 자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대(101)에 그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02)으로 구성되는 받침대(1)와; 상기 지지대(101)의 중심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축(201)과, 상기 고정축(20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원통형의 회동부 케이스(202)와, 상기 회동부 케이스(202) 내면 원주둘레를 따라 양측에 부설되는 영구자석(203)과, 상기 고정축(201) 하부에 고정설치하되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출부들을 갖는 전자석(204)과, 상기 고정축(204) 상부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회동부 케이스(202)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중앙제어부에 송신하는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와, 상기 전자석(204)과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 사이에 설치하는 절연체(206)와, 상기 회동부 케이스(202)의 상,하측 개방부를 커버하며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커버(207)(208)와, 상기 하부 커버 외주연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대에 고정되며 하부 커버 외주연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감속 밴드(209)로 구성되는 회동부(2)와; 'U' 자 형상으로 구성한 양측 프레임의 각 끝단을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침대프레임(301)과, 상기 침대프레임(301)의 길이 방향의 양측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비스듬히 하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형성되되 양측 하단중심부에 결합판(303)이 고정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설치되는 연결프레임(302)과, 상기 연결프레임(302)의 양측 하단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2)의 상부 커버(207)의 상면에 밀착되어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결합판(303)과, 유아가 누울 수 있도록 상기 침대프레임(301)에 씌워 부착하는 침대시트(304)로 구성되는 침대(3)와; 상기 받침대(1)의 지지대(101) 일측단에 후측 하부가 끼워지고 상기 회동부(2)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중앙제어부와 조작 패널이 설치된 본체 케이스(4); 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또한, 종래 흔들침대의 다른 예로 특허등록 제10-1730121호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침대'의 구성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진자 운동하는 흔들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케이스부(10); 상기 케이스부(10) 상측에 구비되는 베드(100); 상기 케이스부(10)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100)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부(300); 및 상기 케이스부(10)에 구비되어 상기 베드(100)와 체결되는 동력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베드(100)의 저면에 캠부(2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동력부(400)의 회전 운동을 진자 운동으로 가변시켜 상기 베드(100)로 전달하고, 상기 캠부(200)는 일면에 캠홀(201)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부(400)는 회전 축의 일단에 굴곡진 연결부재(410)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부(40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연결부재(410)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롤러(411)가 상기 캠홀(201)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역 캠 방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캠홀(201)은 좌우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드(100)가 진자 운동의 좌우측 이동거리가 동일하고, 상기 캠홀(201)은 상측 넓이가 하측 넓이보다 더 넓게 구비되어 역계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종래 흔들침대의 또 다른 예로 실용신안등록 제20-0196155호 '자동 아기 흔들침대'의 구성은,
대체적으로 U자형태로 구성되면서 그 바닥면은 수평지지바(162)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진 수직지지바와(160); 상기 수직지지바(160)의 각 모서리부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결합되어진 상.하부스프링(130,140)을 매개로 유동될수 있도록 결합되어진 아기침대(120)에 있어서, 상기 아기침대(120)는 그 저면의 중심에 베어링하우징(240)이 부착되고, 이 베어링하우징(240)의 결합공(250)내에는 베어링(280)을 매개로 상기 수평지지바(162)에 장착되어진 서보모타(200)의 크랭크축(22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흔들침대들은 아기에게 안정감을 주어 달래는 동시에 잠을 재울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인기는 하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기능이 단순하여 아기가 걷기 시작할 정도로 성장하게 되면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사용기간이 매우 짧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특허등록공보 제10-1534083호 특허등록공보 제10-1730121호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96155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흔들침대들이 갖는 문제점과 단순한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쌍의 지지판 양측 저면에 각각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판이 안착되는 한쌍의 받침부 양측에 각각 단극전기자석을 설치하여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단극전기자석에 자력이 발생되게 하여 침대 본체를 좌/우로 흔들어 아기를 편안하게 재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한쌍의 지지판 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플레이부를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영상이나 그림 등이 나타나도록 하여 아기의 두뇌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흔들침대를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 또는 배면 양측에 소정 깊이로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 중앙에는 각각 반구 형태로 중심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면과 저면 양측을 돌출시켜 각각 걸림턱을 형성하되, 상기 저면 양측의 걸림턱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극전기자석이 각각 매립되게 장착되는 한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쌍의 지지판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에 각각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판이 서로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내측에는 안착턱이 일체로 내향,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에는 다수의 결합돌기가 상향 돌출된 직사각형 형태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안착턱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의 한쌍의 지지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이나 그림을 아기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침대 본체의 한쌍의 지지판 저면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 중앙에는 반구 형태의 중심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 양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극전기자석과 센서가 각각 매립되게 장착되는 한쌍의 받침부와; 상기 침대 본체의 지지판에 형성된 중심공과 상기 받침부의 가이드홈에 형성된 중심공에 결합되어 상기 침대 본체가 안정적으로 좌,우로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구 형상의 중심볼;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침대 본체의 지지판에 거치대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송출하는 프로젝터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스크린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송출되는 동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받침부 전면 양측에는 각각 수평으로 관통되게 핀공을 형성하고, 상기 핀공에 고정핀을 삽입시켜 상기 침대 본체의 지지판 저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고정핀에 걸려 흔들리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침대 본체를 뒤집어 지지판의 상면이 하부로 위치되게 하여 상기 지지판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고정핀에 걸려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침대 본체를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침대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침대 본체를 연속 반복적으로 흔들리게 하여 아기에게 안정감과 편안함을 주어 잠을 잘 들수 있도록 하고, 종래 산모나 도우미가 아기를 안고 흔들 경우 발생하는 뇌손상이나 세균 감염의 우려를 해소하여 위생적으로 아기를 양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출되는 동영상 등에 의해 아기의 두뇌 발달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실내 천정등의 빛을 차단하여 아기의 시력을 보호하고, 아기가 성장하게 되면 상기 침대 본체를 뒤집어 의자로 사용할 수 있어 고가의 흔들 침대의 사용 기간 및 용도를 확대시켜 경제성까지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 침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 침대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 침대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 침대의 지지판을 도시해 보인 배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 침대의 고정틀을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 침대의 바닥판을 도시해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 침대는 침대 본체(100)와 디스플레이부(200), 한쌍의 받침부(300) 및 중심볼(4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침대 본체(100)는 한쌍의 지지판(110)과 고정틀(120) 및 바닥판(130)으로 구성되며, 피부질환을 비롯하여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 등의 번식을 차단할 수 있는 편백나무 원목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젖병이나 유아용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합성수지의 사용도 고려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부품들은 서로 짜맞춤식으로 조립,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지지판(110)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일정 두께 및 소정 형태로 가공하여 한쌍으로 구비하되, 상면과 저면은 좌,우 흔들림이 용이하도록 라운드되게 형성하고, 전면 또는 배면 양측에는 각각 소정 깊이로 끼움홈(112)이 형성되며, 상면과 저면 중앙에는 각각 반구 형태로 중심공(114)을 각각 형성하고, 상면과 저면 양측을 돌출시켜 각각 걸림턱(116)을 형성하되, 상기 저면 양측의 걸림턱(116)에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극전기자석(118)을 각각 매립되게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틀(120)은 소정 길이를 갖는 판재 또는 각목을 직사각형 형태로 조립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측에는 상기 바닥판(1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122)이 일체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122)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24)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직사각형 형태로 조립되어 구비되는 고정틀(120)의 내측 4면에는 상기 바닥판(130)이 올려질 수 있도록 안착턱(122)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턱(122)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바닥판(13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돌기(124)를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틀(120)의 단부를 상기 지지판(110)에 형성된 각각의 끼움홈(112)에 긴밀하게 삽입, 결합시켜 상기 한쌍의 지지판(110)이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130)은 통풍이 원활하도록 격자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저면의 4면 중앙에는 각각 결합홈(132)을 소정 깊이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틀(120)의 안착턱(122)에 안착되면서 상기 결합돌기(124)가 상기 결합홈(132)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침대 본체(100)가 흔들려도 상기 바닥판(130)이 고정틀(12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판(130) 상에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습도감지센서(134)를 설치하여 아이가 바닥판(130) 상부에 소변 또는 배변을 보게 되면 상기 습도감지센서(13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 별도로 설치되는 램프(도시하지 않음)가 점등되거나 또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에서 멜로디가 발생하여 보호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아기에게 동영상이나 그림 등을 보여줘서 두뇌 발달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실내 천장의 빛을 차단하여 시력 보호 및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침대 본체(100)의 지지판(110)에 거치대(210)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210)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송출하는 프로젝터(220)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210)의 상부에 스크린(230)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상기 프로젝터(220)에서 송출되는 동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230)은 아기를 침대 본체(100)의 바닥판(130) 상에 눕히거나 들어올릴 때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대(210)에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받침부(300)는 상기 침대 본체(1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좌,우로 흔드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쌍의 지지판(110) 저면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10) 중앙에는 반구 형태의 중심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310) 양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극전기자석(330)과 센서(340)를 각각 매립되게 장착시키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310)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10)의 라운드 된 하부가 삽입,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310)을 따라 안정적으로 좌,우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한쌍의 받침부(300) 전면 양측에는 각각 수평으로 관통되게 핀공(350)을 형성하고, 상기 핀공(350)에 별도로 구비되는 고정핀(360)을 삽입시켜 상기 침대 본체(100)의 지지판(110) 저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16)이 상기 고정핀(360)에 걸려 흔들리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침대 본체(100)를 뒤집어 지지판(110)의 상면이 하부로 위치되게 하여 상기 지지판(11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16)이 상기 고정핀(360)에 걸려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침대 본체(100)를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볼(400)은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을 구 형상으로 가공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침대 본체(100)의 지지판(110)에 형성된 중심공(114)과 상기 받침부(300)의 가이드홈(310)에 형성된 중심공(320)에 삽입, 결합시켜 상기 침대 본체(100)가 상기 중심볼(400)을 중심으로 안정되게 좌,우로 흔들릴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침대의 조립 및 설치는 먼저, 한쌍의 지지판(110)에 형성된 끼움홈(112)에 상기 고정틀(120)의 단부를 각각 긴밀하게 끼워 조립한 다음 상기 고정틀(120)의 안착턱(122)에 바닥판(130)을 안착시키되, 상기 안착턱(122)에 형성된 결합돌기(124)가 상기 바닥판(13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132)에 각각 삽입되게 하여 침대 본체(10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침대 본체(100)의 한쌍의 지지판(11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판(110)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장착한다.
계속해서, 상기 한쌍의 받침부(300)의 가이드홈(310) 중앙에 형성된 중심공에 각각 중심볼(400)을 삽입시키고, 양측에 형성된 핀공(350)에 고정핀(360)을 각각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침대 본체(100)의 지지판(110)을 들어올려 지지판(110)의 저면에 형성된 중심공(320)에 상기 중심볼(400)의 상부가 삽입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판(110)의 저면이 가이드홈(310)에 안착되게 하면, 상기 고정핀(360)에 상기 지지판(110)의 걸림턱(116)이 걸리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침대의 작용은 먼저, 상기 침대 본체(100)의 바닥판(130)에 아기를 눕힌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300)의 핀공(350)에 삽입된 고정핀(360)을 제거한 다음 상기 침대 본체(100)를 손으로 잡고 어느 일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지지판(110)이 상기 중심볼(400)을 중심으로 가이드홈(310)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받침부(300)의 일측에 장착된 센서(340)에 상기 지지판(110)이 근접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지지판(110)의 일측에 매립되게 장착된 단극전기자석(118)과 상기 받침부(300)의 가이드홈(310) 일측에 매립되게 설치된 단극전기자석(330)으로 DC전류가 인가되어 동일한 극이 발생하도록 하여 그 반발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10)이 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110)이 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받침부(300)의 타측에 장착된 센서(34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지지판(110)의 타측에 매립되게 장착된 단극전기자석(118)과 상기 받침부(300)의 가이드홈(310) 타측에 매립되게 설치된 단극전기자석(330)으로 DC전류가 인가되어 동일한 극이 발생하도록 하여 그 반발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10)을 다시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이후 상기 센서(340)의 감지에 의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DC전류가 상기 단극전기자석(118)(330)에 인가되어 상기 지지판(110)이 중심볼(400)을 중심으로 연속 반복되게 좌,우 회동함에 따라 상기 침대 본체(100)가 일정하게 흔들려 아기가 편안하게 잠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침대 본체(100)가 좌,우로 흔들리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프로젝트(220)에서는 모빌이나 기타 동영상이 송출되어 스크린(230)에 투사되도록 하여 아기의 두뇌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아기가 성장하여 흔들침대가 불필요하게 되면, 상기 받침부(300)의 핀공(350)에 다시 고정핀(360)을 삽입하고, 상기 침대 본체(100)의 고정틀(120)에 안착된 바닥판(130)을 분리한 다음 상기 침대 본체(100)를 뒤집어 지지판(110)의 상면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10)의 상면을 받침부(300)의 가이드홈(310)에 안착시켜 상기 지지판(110) 상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16)이 상기 고정핀(360)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바닥판(130)을 다시 상기 고정틀(120)의 안착턱(122)에 안착시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흔들침대는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침대 본체를 연속 반복적으로 흔들리게 하여 아기에게 안정감과 편안함을 주어 잠을 잘 들수 있도록 하고, 종래 산모나 도우미가 아기를 안고 흔들 경우 발생하는 뇌손상이나 세균 감염의 우려를 해소하여 위생적으로 아기를 양육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출되는 동영상 등에 의해 아기의 두뇌 발달에 도움을 주고, 실내 천정등의 빛을 차단하여 아기의 시력을 보호하는 동시에 위에서 떨어지는 낙하물로부터 아기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고, 아기가 성장하게 되면 상기 침대 본체를 뒤집어 의자로 사용할 수 있어 고가의 흔들침대의 사용 기간 및 용도를 확대시켜 경제성까지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100 : 침대 본체 110 : 지지판
112 : 끼움홈 114 : 중심공
116 : 걸림턱 118 : 단극전기자석
120 : 고정틀 122 : 안착턱
124 : 결합돌기 130 : 바닥판
132 : 결합홈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거치대 220 : 프로젝터
230 : 스크린 300 : 받침부
310 : 가이드홈 320 : 중심공
330 : 단극전기자석 340 : 센서
350 : 핀공 360 : 고정핀
400 : 중심볼

Claims (3)

  1. 전면 또는 배면 양측에 소정 깊이로 각각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 중앙에는 각각 반구 형태로 중심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면과 저면 양측을 돌출시켜 각각 걸림턱을 형성하되, 상기 저면 양측의 걸림턱에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극전기자석이 각각 매립되게 장착되는 한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쌍의 지지판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에 각각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판이 서로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내측에는 안착턱이 일체로 내향,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에는 다수의 결합돌기가 상향 돌출된 직사각형 형태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안착턱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된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침대 본체와;
    상기 침대 본체의 한쌍의 지지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이나 그림을 아기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침대 본체의 한쌍의 지지판 저면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 중앙에는 반구 형태의 중심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 양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극전기자석과 센서가 각각 매립되게 장착되는 한쌍의 받침부와;
    상기 침대 본체의 지지판에 형성된 중심공과 상기 받침부의 가이드홈에 형성된 중심공에 결합되어 상기 침대 본체가 안정적으로 좌,우로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구 형상의 중심볼;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흔들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침대 본체의 지지판에 거치대를 설치하고,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을 송출하는 프로젝터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상부에 스크린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상기 프로젝터에서 송출되는 동영상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흔들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받침부 전면 양측에는 각각 수평으로 관통되게 핀공을 형성하고, 상기 핀공에 고정핀을 삽입시켜 상기 침대 본체의 지지판 저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고정핀에 걸려 흔들리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침대 본체를 뒤집어 지지판의 상면이 하부로 위치되게 하여 상기 지지판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고정핀에 걸려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침대 본체를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흔들침대.
KR1020180107222A 2018-09-07 2018-09-07 다용도 흔들침대 KR10218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22A KR102182140B1 (ko) 2018-09-07 2018-09-07 다용도 흔들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22A KR102182140B1 (ko) 2018-09-07 2018-09-07 다용도 흔들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730A true KR20200028730A (ko) 2020-03-17
KR102182140B1 KR102182140B1 (ko) 2020-11-30

Family

ID=7000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222A KR102182140B1 (ko) 2018-09-07 2018-09-07 다용도 흔들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1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80A (ko) * 2020-06-30 2022-01-06 천영호 수면 효과 향상을 위한 침대
KR102537461B1 (ko) * 2022-09-27 2023-05-26 지대환 반려동물용 스윙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9527A1 (en) * 2019-12-11 2021-06-17 Duncan Iii Richard Johnson Dynamic furniture featuring pendulum-like motion
KR20230029369A (ko) 2021-08-24 2023-03-03 지대환 이동식 스윙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6860A1 (en) * 1987-04-06 1991-11-21 Terry Keene Holdredge Convertible visual display device
KR200196155Y1 (ko) 2000-03-13 2000-09-15 이인근 자동 아기 흔들침대
KR20100007914U (ko) * 2009-01-30 2010-08-09 원욱성 조립식 유아용 흔들침대
KR101534083B1 (ko) 2013-11-26 2015-07-09 김휘욱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KR101730121B1 (ko) 2015-02-17 2017-04-27 정태현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6860A1 (en) * 1987-04-06 1991-11-21 Terry Keene Holdredge Convertible visual display device
KR200196155Y1 (ko) 2000-03-13 2000-09-15 이인근 자동 아기 흔들침대
KR20100007914U (ko) * 2009-01-30 2010-08-09 원욱성 조립식 유아용 흔들침대
KR101534083B1 (ko) 2013-11-26 2015-07-09 김휘욱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KR101730121B1 (ko) 2015-02-17 2017-04-27 정태현 캠 운동을 이용한 흔들 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80A (ko) * 2020-06-30 2022-01-06 천영호 수면 효과 향상을 위한 침대
WO2022005072A1 (ko) * 2020-06-30 2022-01-06 천영호 수면 효과 향상을 위한 침대
KR102537461B1 (ko) * 2022-09-27 2023-05-26 지대환 반려동물용 스윙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140B1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8730A (ko) 다용도 흔들침대
US5464381A (en) Infant soothing seat
US8561227B2 (en) Crib rocker assembly
US5802634A (en) Bed with height adjusting means, convertible from infant use to adult use
US6178978B1 (en) Children's activity and entertainment enclosure
US20110265264A1 (en) Infant Head Cradle With Controlled Head Movement
US20060052172A1 (en) Juvenile furniture electronic amusement device
US9549621B2 (en) Crib mountable noise suppressor
US20160192785A1 (en) Family bed
KR101534083B1 (ko)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US20130295817A1 (en) Infant's Entertainment Apparatus and Interactive Device
KR101747839B1 (ko) 유아용 요람
US8821303B1 (en) Double occupancy infant swing
US20220354268A1 (en) Holder including a vertical holding part
KR20190045000A (ko) 유아 및 애완동물용 돌침대
KR200467544Y1 (ko) 유아용 그네 겸용 침대
CN106143233B (zh) 一种用于交通工具的婴儿专用乘坐装置
KR20100006057U (ko) 유아용 자동 흔들 그네
KR101801928B1 (ko) 요람용 터닝장치
US11696653B2 (en) Crib
WO2017165767A2 (en) Vibration device for beds
CN207574902U (zh) 父母儿童共用床垫
CN218494696U (zh) 一种壁装型婴儿监护器
CN219109093U (zh) 一种智能看护多功能婴儿成长床
KR20110001680A (ko) 전후상하 운동이 가능한 유아용 흔들요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