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083B1 -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083B1
KR101534083B1 KR1020130144404A KR20130144404A KR101534083B1 KR 101534083 B1 KR101534083 B1 KR 101534083B1 KR 1020130144404 A KR1020130144404 A KR 1020130144404A KR 20130144404 A KR20130144404 A KR 20130144404A KR 101534083 B1 KR101534083 B1 KR 10153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ixed
frame
infa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225A (ko
Inventor
김휘욱
이종훈
Original Assignee
김휘욱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휘욱, 이종훈 filed Critical 김휘욱
Priority to KR102013014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47D9/04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with disconnectable roc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04Beds with sound emit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닥과 접촉하며 'H' 자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대(101)에 그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02)으로 구성되는 받침대(1)와; 지지대(101)의 중심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축(201)과, 고정축(20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원통형의 회동부 케이스(202)와, 회동부 케이스(202) 내면 원주둘레를 따라 양측에 부설되는 영구자석(203)과, 고정축(201) 하부에 고정설치하되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출부들을 갖는 전자석(204)과, 고정축(204) 상부에 고정설치하고 회동부 케이스(202)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중앙제어부에 송신하는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와, 전자석(204)과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 사이에 설치하는 절연체(206)와, 회동부 케이스(202)의 상,하측 개방부를 커버하며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커버(207)(208)와, 하부 커버 외주연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대에 고정되며 하부 커버 외주연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감속 밴드(209)로 구성되는 회동부(2)와; 'U' 자 형상으로 구성한 양측 프레임의 각 끝단을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침대프레임(301)과, 침대프레임(301)의 길이 방향의 양측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비스듬히 하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형성되되 양측 하단 중심부에 결합판(303)이 고정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설치되는 연결프레임(302)과, 연결프레임(302)의 양측 하단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회동부(2)의 상부 커버(207)의 상면에 밀착되어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결합판(303)과, 유아가 누울 수 있도록 침대프레임(301)에 씌워 부착하는 침대시트(304)로 구성되는 침대(3)와; 받침대(1)의 지지대(101) 일측단에 후측 하부가 끼워지고 회동부(2)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중앙제어부와 조작 패널이 설치된 본체 케이스(4); 로 구성함으로써 유아용 침대가 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하도록 하여 보호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좌우방향으로 흔들지 않고도 유아가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취함과 더불어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를 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시켜 주는 구성을 전자석에 의해 매우 간단하게 함으로써, 그 제조단가가 저렴해지는 바, 결국 소비자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하던 침대에 전원을 끊게 되면 감속 밴드에 의해 침대를 짧은 시간 내에 멈추게 할 수 있으며, 보관시 불필요하게 침대가 회전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유아가 보다 정서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멜로디(자장가, 클래식, 동요) 또는 직접 녹음된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고, 또 선택된 시간만큼 작동을 조작할 수 있으며, 그 흔들림의 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고사양의 제품을 제공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Swing apparatus for baby bed}
본 발명은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자석에 의해 침대가 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하도록 하되, 그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하여 제조단가를 낮춤으로써, 결국 소비자부담을 줄인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보다 전문적이면서도 활용이 쉬운 각종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컨대, 유아만을 위한 유아전용 목용용품, 침구용품, 식품 등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유아를 눕혀놓고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거나 회전시켜주면서 유아를 달래기도 하는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흔들 침대가 제공되어 있다.
즉, 유아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어렵고, 또한 스스로 문제해결 능력이 없기 때문에 조금만 불편하거나 못마땅하면 울음으로서 그 감정을 드러내게 된다.
이와 같이, 유아가 울게 되면 보호자는 유아를 안은 상태로 천천히 흔들어줌으로써, 유아가 정서적으로 편안해지도록 하여 달래게 되는데, 이는 유아들은 작은 흔들림이나 진동시 진정효과에 따른 안정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는 유아를 계속해서 보호자가 안은 상태로 흔들어주게 되면, 보호자가 쉽게 지치게 될 우려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유아용 흔들 침대 등이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흔들 침대 또한 유아를 달래기 위해서 보호자가 지속적으로 침대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어 줄 수는 없는 바, 최근에는 자동으로 침대를 흔들어 주는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 제공되는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는 기어식이거나 또는 전자석을 이용한 전자식이 있기는 하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아 결국 소비자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석에 의해 침대가 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하도록 하되, 그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하여 제조단가를 낮춤으로써, 결국 소비자부담을 줄인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작동이 리모콘트롤(remote control)에 의해 제어되도록 함과 동시에, 정서적으로 유아가 안정되도록 각종 멜로디나 녹음된 음성 등이 출력되도록 하고, 흔들리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높은 사양의 제품을 제공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과 접촉하며 'H' 자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대(101)에 그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02)으로 구성되는 받침대(1)와;
지지대(101)의 중심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축(201)과, 고정축(20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원통형의 회동부 케이스(202)와, 회동부 케이스(202) 내면 원주둘레를 따라 양측에 부설되는 영구자석(203)과, 고정축(201) 하부에 고정설치하되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출부들을 갖는 전자석(204)과, 고정축(204) 상부에 고정설치하고 회동부 케이스(202)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중앙제어부에 송신하는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와, 전자석(204)과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 사이에 설치하는 절연체(206)와, 회동부 케이스(202)의 상,하측 개방부를 커버하며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커버(207)(208)와, 하부 커버 외주연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대에 고정되며 하부 커버 외주연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감속 밴드(209)로 구성되는 회동부(2)와;
'U' 자 형상으로 구성한 양측 프레임의 각 끝단을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침대프레임(301)과, 침대프레임(301)의 길이 방향의 양측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비스듬히 하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형성되되 양측 하단 중심부에 결합판(303)이 고정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설치되는 연결프레임(302)과, 연결프레임(302)의 양측 하단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회동부(2)의 상부 커버(207)의 상면에 밀착되어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결합판(303)과, 유아가 누울 수 있도록 침대프레임(301)에 씌워 부착하는 침대시트(304)로 구성되는 침대(3)와;
받침대(1)의 지지대(101) 일측단에 후측 하부가 끼워지고 회동부(2)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중앙제어부와 조작 패널이 설치된 본체 케이스(4); 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아용 침대가 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좌우방향으로 흔들지 않고도 유아가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취함과 더불어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를 자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시켜 주는 구성을 전자석에 의해 매우 간단하게 함으로써, 그 제조단가가 저렴해지는 바, 결국 소비자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하던 침대에 전원을 끊게 되면 감속 밴드에 의해 침대를 짧은 시간 내에 멈추게 할 수 있으며, 보관시 불필요하게 침대가 회전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유아가 보다 정서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멜로디(자장가, 클래식, 동요) 또는 직접 녹음된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고, 또 선택된 시간만큼 작동을 조작할 수 있으며, 그 흔들림의 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고사양의 제품을 제공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회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동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방향 감지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석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에 구비되는 받침대(1)와, 받침대(1)의 중심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동부 케이스(202)가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회동부(2)와, 회동부 케이스(202)의 상부 커버(207)에 결합되어 회동부(2)와 연동하여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침대(3)와, 받침대(1)의 지지대(101) 일측단에 후측 하부가 끼워지고와 회동부(2)를 감싸도록 장착되고 중앙제어부와 조작 패널(미도시)이 설치된 본체 케이스(4); 로 구성되는데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대(1)는 바닥과 접촉하며 'H' 자 형상으로 지지대(101)를 구성하고 지지대(101)의 일측단에는 'U' 자 형상의 지지프레임(102)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대(101)의 타측단에는 본체 케이스(4)의 후측 하부가 결합된다.
회동부(2)는 지지대(101)의 중심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축(201)에 설치되는데 회동부(2)는 회동부 케이스(202), 영구자석(203), 전자석(204),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 절연체(206), 상,하부 커버(207)(208) 및 감속 밴드(209)로 구성되는바, 회동부(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축(201)은 지지대(101)의 중심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된다.
회동부 케이스(20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영구자석(203)이 케이스 내면 원주둘레를 따라 양측에 부설되며,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받은 중앙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정,역방향의 전류를 교대로 공급받아 고정축(20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회동부 케이스(202)가 왕복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회동부 케이스(202)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207)와 상부 커버(207)에 결합된 결합판(303)이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바, 결국 결합판(303)에 연결된 침대(3)가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전자석(204)은 회동부 케이스(202)의 중앙 부위 즉, 고정축(20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데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출부들을 갖는다.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는 전자석(204)의 상측으로 고정축(20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데 회동부 케이스(202)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중앙제어부에 송신하게 된다.
전자석(204)과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 사이에는 절연체(206)가 설치되고, 회동부 케이스(202)의 상,하측 개방부에는 상,하부 커버(207)(208)가 고정설치된다.
감속 밴드(209)는 하부 커버(208) 외주연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대(101)의 일측 상면에 고정되되 하부 커버(208) 외주연의 양측에 마주보게 각각 설치됨으로써 회동부 케이스(202)가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을 할 때 회전속도를 감속 제어하게 되어 침대 위에 탑승한 유아가 불안하지 않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속 밴드(209)는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하던 침대에 전원을 끊게 되면 감속 밴드(209)에 의해 침대(3)를 짧은 시간 내에 멈추게 할 수 있으며, 보관시 불필요하게 침대(3)가 회전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회동부(2)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동부 케이스(202)의 최초 회전을 위해 중앙제어부에서 전자석(204)에 정방향 전류를 공급하면 회동부 케이스(202)가 정방향으로 최초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에서는 기전력이 발생하며 발생된 기전력을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는 중앙제어부로 송신하게 되고 중앙제어부는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자석(204)에 역방향 전류를 다시 공급하게 되며 회동부 케이스(202)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회동부 케이스(20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에서는 다시 기전력이 발생하고 발생된 기전력을 중앙제어부로 송신하게 되며 중앙제어부는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전자석(204)에 다시 정방향 전류를 공급하게 되어 결국 회동부 케이스(202)는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회동부 케이스(202)의 왕복회전운동이 가능케 된다.
따라서, 회동부 케이스(202)가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회동부 케이스(202)와 연동하여 침대(3)가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침대(3)는 'U' 자 형상으로 구성한 양측 프레임의 각 끝단을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침대프레임(301)과, 침대프레임(301)의 길이 방향의 양측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비스듬히 하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형성되되 양측 하단 중심부에 결합판(303)이 고정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설치되는 연결프레임(302)과, 연결프레임(302)의 양측 하단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회동부(2)의 상부 커버(207)의 상면에 밀착되어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결합판(303)과, 유아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도록 침대프레임(301)에 씌워 부착하는 침대시트(304)로 구성된다.
이 경우, 침대프레임(301)은 유아가 탑승했을 때 편안함을 느끼도록 외측 프레임은 높고 내측으로 갈수록 낮게 비스듬히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케이스(4)는 받침대(1)의 지지대(101) 일측단에 후측 하부가 끼워지고 회동부(2)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중앙제어부와 조작 패널이 설치되어 모든 작동이 사용자의 리모콘트롤의 조작으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며 리모콘트롤의 조작에 의해 침대(3)가 왕복회전운동하는 시간(타이머), 온/오프 작동, 회전하는 속도의 세기조절, 각종 멜로디의 음량조절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받침대 101: 지지대
102: 지지프레임 2: 회동부
201: 고정축 202: 회동부 케이스
203: 영구자석 204: 전자석
205: 회전방향 감지 센서 206: 절연체
207: 상부 커버 208: 하부 커버
209: 감속 밴드 3: 침대
301: 침대프레임 302: 연결프레임
303: 결합판 304: 침대시트
4: 본체 케이스

Claims (1)

  1. 바닥과 접촉하며 'H' 자 형상으로 구성한 지지대(101)에 그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02)으로 구성되는 받침대(1)와;
    상기 지지대(101)의 중심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된 고정축(201)과, 상기 고정축(201)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원통형의 회동부 케이스(202)와, 상기 회동부 케이스(202) 내면 원주둘레를 따라 양측에 부설되는 영구자석(203)과, 상기 고정축(201) 하부에 고정설치하되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출부들을 갖는 전자석(204)과, 상기 고정축(204) 상부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회동부 케이스(202)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중앙제어부에 송신하는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와, 상기 전자석(204)과 회전방향 감지 센서(205) 사이에 설치하는 절연체(206)와, 상기 회동부 케이스(202)의 상,하측 개방부를 커버하며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커버(207)(208)와, 상기 하부 커버 외주연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대에 고정되며 하부 커버 외주연의 양측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감속 밴드(209)로 구성되는 회동부(2)와;
    'U' 자 형상으로 구성한 양측 프레임의 각 끝단을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침대프레임(301)과, 상기 침대프레임(301)의 길이 방향의 양측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비스듬히 하측으로 곡선을 그리며 형성되되 양측 하단 중심부에 결합판(303)이 고정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하여 나란히 설치되는 연결프레임(302)과, 상기 연결프레임(302)의 양측 하단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2)의 상부 커버(207)의 상면에 밀착되어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결합판(303)과, 유아가 누울 수 있도록 상기 침대프레임(301)에 씌워 부착하는 침대시트(304)로 구성되는 침대(3)와;
    상기 받침대(1)의 지지대(101) 일측단에 후측 하부가 끼워지고 상기 회동부(2)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중앙제어부와 조작 패널이 설치된 본체 케이스(4); 로 구성되는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KR1020130144404A 2013-11-26 2013-11-26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KR101534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04A KR101534083B1 (ko) 2013-11-26 2013-11-26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04A KR101534083B1 (ko) 2013-11-26 2013-11-26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25A KR20150060225A (ko) 2015-06-03
KR101534083B1 true KR101534083B1 (ko) 2015-07-09

Family

ID=5350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404A KR101534083B1 (ko) 2013-11-26 2013-11-26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730A (ko)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 센스데이 다용도 흔들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2050B (zh) * 2016-05-31 2018-12-11 宁波贝儿格婴儿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婴儿床支撑装置
CN115989943B (zh) * 2023-01-13 2024-03-19 惠州市万锦科技有限公司 一种婴儿摇床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988U (ko) * 1995-08-17 1997-03-27 김휘욱 유아용 침대 받침틀
KR200268655Y1 (ko) * 2001-12-08 2002-03-16 (주)햇님토이 유아용 자동흔들침대
KR20100006057U (ko) * 2008-12-05 2010-06-15 김휘욱 유아용 자동 흔들 그네
JP2011056111A (ja) * 2009-09-11 2011-03-24 Bijisaa:Kk 揺動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988U (ko) * 1995-08-17 1997-03-27 김휘욱 유아용 침대 받침틀
KR200268655Y1 (ko) * 2001-12-08 2002-03-16 (주)햇님토이 유아용 자동흔들침대
KR20100006057U (ko) * 2008-12-05 2010-06-15 김휘욱 유아용 자동 흔들 그네
JP2011056111A (ja) * 2009-09-11 2011-03-24 Bijisaa:Kk 揺動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730A (ko)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 센스데이 다용도 흔들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25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0450B2 (ja) 乳幼児用鎮静/睡眠支援装置
US10463168B2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EP3261495B1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US7722118B2 (en) Repositionable child support device
US20150289677A1 (en) Repositionable Infant Support Structures
KR101534083B1 (ko) 유아용 자동 흔들 침대
CN104840041A (zh) 幼儿载具
US20200069076A1 (en) Comfort system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icro vibration and its control method
KR102182140B1 (ko) 다용도 흔들침대
US9750350B2 (en) Bouncing and swiveling infant support structure
KR101747839B1 (ko) 유아용 요람
EP3175740A1 (en) Glider rocker
WO2011130808A1 (en) Device for moving a baby holder
US20070085286A1 (en) Infant stroller with vibration
CN112971454A (zh) 保持用具
KR200467544Y1 (ko) 유아용 그네 겸용 침대
KR20070016006A (ko) 유아용 자동 흔들 그네
KR200416917Y1 (ko) 음성인식에 따른 자동 구동의 기능을 갖는 전동 침대요람
US20170273475A1 (en) Vibration device for beds
KR200400332Y1 (ko) 유아용 자동 흔들 그네
CN218750428U (zh) 一种基于蓝牙控制的智能儿童座椅
US20150051440A1 (en) Method of calming an infant using an attachable vibratory device
KR20100006057U (ko) 유아용 자동 흔들 그네
CN209932160U (zh) 一种智能智护婴儿摇篮
KR20130003999U (ko)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