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999U -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 Google Patents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999U
KR20130003999U KR2020110011479U KR20110011479U KR20130003999U KR 20130003999 U KR20130003999 U KR 20130003999U KR 2020110011479 U KR2020110011479 U KR 2020110011479U KR 20110011479 U KR20110011479 U KR 20110011479U KR 20130003999 U KR20130003999 U KR 201300039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infant
seating
coupled
instrum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천
손복희
Original Assignee
김국천
손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천, 손복희 filed Critical 김국천
Priority to KR2020110011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999U/ko
Publication of KR20130003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9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47D1/0081Children's chairs with tray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아용 착석 기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후방에 등받이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착석부가 형성되고, 전방부 중앙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팔걸이부가 형성되어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는 기구본체;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판과 버팀대로 구성된 받침대;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바퀴가 형성된 구동대;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의 하부를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시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유아를 앉혀둘 수 있으며 구동대에 의해 장소 이동이 용이하고, 아울러 구름동작에 의해 유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결합구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용이하게 탈착 및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MOVING INFANT SEAT}
본 고안은 유아용 착석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앉혀둘 수 있는 기구본체와 각종 완구 및 음식물 등을 얹어 놓을 수 있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착석 기구에 있어서, 받침대와 기구본체의 탈착 및 장착이 용이하도록 장착구조를 개선하고, 기구본체의 하부에 구동대를 장착시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유아용 착석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유기의 유아들은 허리에 힘이 없어 앉힐 경우 앞 또는 뒤로 넘어지기 쉬우므로 유아에게 이유식 섭취시킬 때 혹은 유아와 놀아줄 때 유아는 보호자로부터 절대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현재에는 보호자는 유아를 실내에서 이동가능한 보행기에 태워 이유식을 섭취시거나 또는 놀아 주게 되는데, 위 보행기는 유아와 보호자 간의 근접성이 극히 낮아 유아의 정서를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차치하더라도 보행기는 유아의 신체 발달에 지장을 주므로 보호자들이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37288호의 "유아용 착석 기구"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11), 착석부(12), 걸림부(13), 팔걸이부(14)를 촉감이 좋은 재질(일정한 쿠션을 가지면서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는 유아 착석용 기구에 있어서, 기구본체(1) 전방부 중앙에 형성되는 걸림부(13) 상단에 판 형태의 받침대(2)를 구비한 후 받침대(2) 양측 저면이 기구본체(1)의 양측 팔걸이부(14)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기구본체(1)에 받침대(2)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실내에서 장소를 옮길때 유아를 기구본체로부터 내리도록 한 후 유아용 착석 기구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유아를 앉혀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받침대를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기구본체에 자착시켰으나 이는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고, 자력에 의해 전자기기의 손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아를 앉혀둘 수 있는 기구본체와 각종 완구 및 음식물 등을 얹어 놓을 수 있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착석 기구에 있어서, 기구본체의 하부에 구동대를 장착시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 기구본체에 끼움체결식의 결합구를 구비하여 받침대를 용이하게 탈착 및 장착시킬 수 있고, 기구적인 결합구조를 취함으로써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한 유아용 착석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후방에 등받이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착석부가 형성되고, 전방부 중앙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팔걸이부가 형성되어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으며, 촉감이 좋은 재질(일정한 쿠션을 가지면서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된 기구본체;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판과 버팀대로 구성된 받침대;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바퀴가 형성된 구동대;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의 하부를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시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석 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의 하부 내면에는 상기 결합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구는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홈과 양측벽을 갖는 "U"자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벽에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받침대의 끼움결합이 용이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부와 구동대의 삽입부의 내주면 사이에 받침대의 하부가 끼워질 수 있는 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아를 앉혀둘 수 있으며 구동대에 의해 장소 이동이 용이하고, 아울러 구름동작에 의해 유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으며, 결합구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용이하게 탈착 및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의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착석 기구(A)는, 유아를 앉힐 수 있도록 한 기구본체(1)와, 기구본체(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책상 용도로 활용되는 받침대(2)와, 상기 기구본체(1)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바퀴(34)가 형성되어 구동가능한 구동대(3)와, 상기 받침대(2)의 결합력을 발휘하는 결합구(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구본체(1)는 촉감이 좋고, 쿠션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이며, 인체에 무해한 재료를 성형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후방에 등받이부(11)가 형성되며 내측에 착석부(12)가 형성되고, 전방부 중앙에 걸림부(13)가 형성되며, 양측에 팔걸이부(14)가 형성되어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다.
받침대(2)는 여러가지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21)과, 이 상판(21)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구본체(1)의 전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버팀대(22)로 구성된다.
상판(21)의 하부에는 기구본체(1)의 걸림부(13)의 상부가 끼워지도록 결합홈(25)이 형성된다.
버팀대(22)는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기구본체(1)의 곡률과 부합되도록 부채형상이면서 호형으로 형성되어 기구본체(1)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게 형성되며, 특히 버팀대(22)의 하부 내면에는 상기 결합구(4)의 돌출부(44)가 끼워지는 끼움홈(27)이 형성된다.
구동대(3)는 기구본체(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구본체(1) 및 받침대(2)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부(32)가 상부에 요입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바퀴(34)가 장착된다.
다수의 바퀴(34)는 어느 방향으로든지 방향전환이 가능한 통상의 캐스터가 적용되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널리 알려진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결합구(4)는 기구본체(1)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2)의 하부를 상기 삽입부(3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시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결합구(4)는 기구본체(1)의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홈(40)과 양측벽을 갖는 "U"자형으로 형성되며, 특히 외측벽(42)에 상기 끼움홈(27)에 끼워지는 돌출부(44)가 형성된다.
돌출부(44)는 상부에 경사면(441)이 형성되어 받침대(2)를 가압하여 끼움 결합시킬때 좀더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구본체(1)의 하단부와 구동대(3)의 삽입부(32)의 내주면 사이에 받침대(2)의 하부가 끼워질 수 있는 틈(t)이 형성된다.
즉, 상기 틈(t)에 결합구(4)의 외측벽(42)과 받침대(2)의 하부가 억지끼움으로 밀착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받침대(2)가 빠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욀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구본체(1)의 전방 하단부에 결합구(4)를 끼워 결합시키되, 결합구(4)의 돌출부(44)가 외부를 향하도록 결합시킨다.
이후 기구본체(1)를 구동대(3)의 삽입부(32)에 올려 안착시킨다.
이후 받침대(2)의 버팀대(22)를 기구본체(1)의 전면에 밀착시켜 하방으로 밀어넣으면 버팀대(22)의 끼움홈(27)에 결합구(4)의 돌출부(44)가 삽입된다. 아울러 상판(2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25)에 기구본체(1)의 걸림부(13)가 끼워지면서 결합이 완료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기구본체 2 : 받침대
3 : 구동대 4 : 결합구
22 : 버팀대 27 : 끼움홈
32 : 삽입부 44 : 돌출부

Claims (4)

  1. 후방에 등받이부가 형성되며 내측에 착석부가 형성되고, 전방부 중앙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팔걸이부가 형성되어 유아를 착석시킬 수 있는 기구본체;
    상기 걸림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판과 버팀대로 구성된 받침대;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부와 상기 받침대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바퀴가 형성된 구동대;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의 하부를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시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결합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석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하부 내면에는 상기 결합구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석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기구본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도록 홈과 양측벽을 갖는 "U"자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벽에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석 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받침대의 끼움 결합을 안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착석 기구.


KR2020110011479U 2011-12-23 2011-12-23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KR201300039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79U KR20130003999U (ko) 2011-12-23 2011-12-23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79U KR20130003999U (ko) 2011-12-23 2011-12-23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99U true KR20130003999U (ko) 2013-07-03

Family

ID=5242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79U KR20130003999U (ko) 2011-12-23 2011-12-23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9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97A (ko) * 2015-02-09 2016-08-18 오철근 영아용 슬라이딩 놀이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597A (ko) * 2015-02-09 2016-08-18 오철근 영아용 슬라이딩 놀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4297B2 (ja) 子供用の幼児椅子のためのトレイシステム
US9756960B2 (en) Child-support device with soothing device
US7356861B1 (en) Infant support seat cushion
US201100412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otion of a bassinet
US7963896B2 (en) Child exercise seat
US10575657B2 (en) Convertible auto-rocking rocker
KR101503305B1 (ko) 유아의자 및 그 이동판
TW201713247A (zh) 嬰幼兒承載用之組裝構造體及玩具架
KR20130003999U (ko)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KR200474275Y1 (ko) 영유아용 다용도시트
KR20130006058U (ko)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KR101396857B1 (ko) 미끄럼 놀이 기능을 갖는 유아용 식탁의자
JP3204387U (ja) 介護用歩行器の背当て
US2020039714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furniture
WO2014193363A1 (en) Vibration device for comforting an infant
CN112971454A (zh) 保持用具
MX2014002874A (es) Soporte infantil.
KR200437288Y1 (ko) 유아용 착석 기구
JP3199840U (ja) 簡易ベビーベッド
KR200434413Y1 (ko) 유아용 쇼파
CN211483748U (zh) 一种儿童卡通塑料凳
KR20180001279A (ko) 다용도 목욕 의자
CN215304496U (zh) 多功能婴儿床
KR20130004029U (ko) 유아용 이유식 테이블
JP3760333B2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