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058U -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058U
KR20130006058U KR2020120002929U KR20120002929U KR20130006058U KR 20130006058 U KR20130006058 U KR 20130006058U KR 2020120002929 U KR2020120002929 U KR 2020120002929U KR 20120002929 U KR20120002929 U KR 20120002929U KR 20130006058 U KR20130006058 U KR 20130006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chair
movable
infant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천
손복희
Original Assignee
김국천
손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천, 손복희 filed Critical 김국천
Priority to KR2020120002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058U/ko
Publication of KR20130006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와 이동판으로 구성된 유아용 이동식 의자에 결합하여 의자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용 의자와 바퀴가 달린 이동판으로 구성된 유아용 이동식 의자에 적용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측면부 일부에 'ㄴ'자 모양의 걸림홀이 형성되고 측면부 타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걸림편이 이동판에 결합되는 몸체;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하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BABY MOVABLE CHAIR FASTENING DEVICE}
본 고안은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와 이동판으로 구성된 유아용 이동식 의자에 결합하여 유아용 이동식 의자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허리에 힘이 없어 앉힐 경우 앞 또는 뒤로 넘어지기 쉬우므로 유아에게 음식을 섭취시킬 때 혹은 유아와 놀아줄 때 유아는 보호자로부터 절대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현재 보호자는 유아를 실내에서 이동가능한 보행기에 태워 음식을 섭취시거나 놀아 주게 되는데, 위 보행기는 유아와 보호자 간의 대면성이 낮아 유아의 정서를 해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차치하더라도 보행기는 유아의 신체 발달에 지장을 주거나 유아 스스로 타기를 꺼려하므로 보호자들이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유아용 의자(통칭 '범보의자')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12-1787호에 이러한 유아용 의자를 올려놓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된 판상의 이동판(또는 '구동대')이 출원되어 있다.
위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 착석부, 걸림부, 팔걸이부가 촉감이 좋은 재질(일정한 쿠션을 가지면서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된 유아용 의자(1)와, 유아용 의자(1)의 하부에 결합되며 바퀴가 구비되어 있어 이동이 가능한 이동판(2)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용 의자가 얹힌 이동판은 유아가 불쑥불쑥 갑작스런 움직임을 일으키거나 경사바닥에 놓인 경우에 있어서는 예상치 못한 움직임으로 인한 사고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자와 이동판으로 구성된 유아용 이동식 의자에 결합하여 유아용 이동식 의자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용 의자와 바퀴가 달린 이동판으로 구성된 유아용 이동식 의자에 적용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측면부 일부에 'ㄴ'자 모양의 걸림홀이 형성되고 측면부 타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걸림편이 이동판에 결합되는 몸체;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하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부재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상단에는 디스크 형상의 손잡이부가 연장형성되고, 측면에는 몸체의 'ㄴ'자 모양의 걸림홀에 인입되어 걸림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승강부재; 원기둥의 형상으로 하단에는 디스크 형상의 바닥부가 연장형성되고, 상부승강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부승강부재는 하단에 고무 재질로 된 원판상의 지지판이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걸림편이 이동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걸림편이 이동판의 바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의자와 이동판으로 구성된 유아용 이동식 의자에 고정장치가 부착됨으로써 유아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의자가 바닥에 고정되어 의자가 이동함에 따라 발생가능한 위험을 방지하고 보호자로 하여금 보다 자유롭게 일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가 유아용 이동식 의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가 이동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유아용 이동식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가 이동판의 바퀴에 일체로 형성된 유아용 이동식 의자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는 유아용 의자(1), 바퀴가 달린 이동판(2), 고정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여기서 고정장치(3)는 원통 형상으로 측면부 일부에 'ㄴ'자 모양의 걸림홀(11)이 형성되고 측면부 타부에 걸림편(15)이 형성되어 걸림편(15)이 이동판(2)에 결합되는 몸체(10),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하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재(30,40,50,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가 유아용 이동식 의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는 크게 유아용 의자(1), 바퀴가 달린 이동판(2),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3)로 구성된다.
유아용 의자(1)는 속칭 범보의자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가랑이 사이에 돌출부위가 있어 쉽게 유아가 이석할 수 없고 맨살로 앉혀도 편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된 것이다.
바퀴가 달린 이동판(2)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가 형성된 구동대로서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12-1787호에 출원된 것 등이 있다.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3)의 상세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몸체(10)는 원통 형상으로 측면부 일부에 'ㄴ'자 모양의 걸림홀(11)이 형성되고 측면부 타부에 걸림편(15)이 형성되어 이 걸림편(15)이 이동판(2)의 일측면에 고정결합된다(도 4 참조).
걸림편(15)은 몸체(10)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의 측면부에서 적절히 연장된 면(19)과 이동판의 측면부에 대응하는 면(18)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걸림편(15)은 이동판(2)의 측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ㄷ'자 형으로 형성되고 양단부(16, 17)는 이동판(2)의 측면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벤딩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0)의 내부에는 상하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재(30,40,50,55)가 삽입된다.
승강부재(30,40,50,55)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상단에는 디스크 형상의 손잡이부(31)가 연장형성되고 측면에는 몸체(10)의 'ㄴ'자 모양의 걸림홀(11)에 인입되어 걸림홀(1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걸림돌기(33)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승강부재(30)와, 원기둥의 형상으로 하단에는 디스크 형상의 바닥부(51)가 연장형성되고, 상부승강부재(3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승강부재(50)를 포함한다.
하부승강부재(50)는 나사(45) 등 공지의 체결요소로 상부승강부재(30)에 고정결합되며, 상부승강부재(30)의 하단부과 맞닿는 하부승강부재(50)의 상단부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을 둘 수도 있다(도 3, 4 참조).
바람직하게는 상부상승부재(30)는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32)과 걸림돌기(33) 사이에 코일스프링(40)이 삽입되어, 손잡이부(31)를 회전시켜 걸림돌기(33)가 'ㄴ'자홀의 'ㅣ'자부 하단으로 옮겨지면 저절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승강부재(50)에는 하단에 고무 재질로 된 원판상의 지지판(55)이 결합되어, 지지판(55)이 지면 등 바닥에 닿으면 마찰력에 의한 지지를 받게 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걸림편(15)이 이동판(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걸림편(15)이 이동판(2)의 바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의 사용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는 크게 몸체(10)와 승강부재(30,40,50,55)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1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15)의 하단부(17)를 이동판(2)의 측면부 하단에 걸고 위로 당기면서 걸림편(15)의 상단부(16)를 이동판(2)의 측면부 상단에 걸면 억지끼움이 형성되어 몸체(10)가 이동판(2)에 단단히 고정된다.
승강부재(30,40,50,55)의 손잡이부(31)를 아래로 누른 후 돌려 걸림돌기(33)가 'ㄴ'자홀의 하부 끝단으로 옮겨지면 승강부재(30,40,50,55)는 고정되고 하부승강부재(50)가 지면에 닿으며 고정장치(3) 쪽에 있는 이동판(2)의 바퀴는 약간 들리게 된다. 고정장치(3)가 지면에 지지되고 고정됨에 따라 이동판(2)과 이에 놓여진 의자(1)는 고정되고 움직여지지 않는다.
이번에는 반대로 고정장치를 풀 경우를 설명한다.
승강부재(30,40,50,55)의 손잡이부(31)를 잡고 돌리면 상부승강부재(30)에 형성된 걸림돌기(33)가 몸체(10)에 형성된 'ㄴ'자 모양의 걸림홀(11)을 따라 이동한다. 걸림돌기(33)가 'ㄴ'자홀의 'ㅣ'자부 하단으로 옮겨지면, 상부상승부재(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32)과 걸림돌기(33) 사이에 삽입된 코일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부재(30,40,50,55)가 상승된다. 승강부재(30,40,50,55)가 상승하여 지면에서 이탈하면 이동판(2)의 바퀴는 지면에 닿으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유아용 의자 2 구동판
3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10 결합부재
20 몸체 30 상부승강부재
40 코일스프링 50 하부승강부재

Claims (5)

  1. 유아용 의자와 바퀴가 달린 이동판으로 구성된 유아용 이동식 의자에 적용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측면부 일부에 'ㄴ'자 모양의 걸림홀이 형성되고 측면부 타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하 승강이 가능한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상단에는 디스크 형상의 손잡이부가 연장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몸체의 'ㄴ'자 모양의 걸림홀에 인입되어 상기 걸림홀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승강부재;
    원기둥의 형상으로 하단에는 디스크 형상의 바닥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상부승강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부재는 하단에 고무 재질로 된 원판상의 지지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4.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이동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5.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이동판의 바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KR2020120002929U 2012-04-10 2012-04-10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KR201300060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29U KR20130006058U (ko) 2012-04-10 2012-04-10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29U KR20130006058U (ko) 2012-04-10 2012-04-10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58U true KR20130006058U (ko) 2013-10-21

Family

ID=5243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929U KR20130006058U (ko) 2012-04-10 2012-04-10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05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05B1 (ko) * 2014-07-21 2015-03-17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의자 및 그 이동판
EP3412181A1 (en) 2017-06-07 2018-12-12 Smart Brain Co., Ltd. Baby chair
KR102096412B1 (ko) * 2018-11-02 2020-04-03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KR20200050912A (ko) * 2020-02-11 2020-05-12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05B1 (ko) * 2014-07-21 2015-03-17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의자 및 그 이동판
WO2016013813A3 (ko) * 2014-07-21 2016-03-17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의자 및 그 이동판
EP3412181A1 (en) 2017-06-07 2018-12-12 Smart Brain Co., Ltd. Baby chair
US10314409B2 (en) 2017-06-07 2019-06-11 Smart Brain Co., Ltd. Baby chair
KR102096412B1 (ko) * 2018-11-02 2020-04-03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KR20200050912A (ko) * 2020-02-11 2020-05-12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565B2 (en) Flexible mat anchor and tether system and method
JP2013165963A (ja) 乳児支持シート
KR20130006058U (ko)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US7356861B1 (en) Infant support seat cushion
KR20100106833A (ko) 안전의자
JP6684527B2 (ja) 乳幼児載置用の組立構造体およびそのトイバー
JP3215911U (ja) 椅子
US9370254B2 (en) Voluminous padded chair
EP3175740A1 (en) Glider rocker
KR101506004B1 (ko) 책상 겸용 유아침대
KR200318423Y1 (ko) 유아용 의자
KR101834290B1 (ko) 다용도 목욕 의자
CN211483748U (zh) 一种儿童卡通塑料凳
KR200346893Y1 (ko) 캐스터
JPH11180104A (ja) キャスター
KR200437288Y1 (ko) 유아용 착석 기구
JP2019198458A (ja) 座椅子
WO2014141407A1 (ja) 椅子
KR20130003999U (ko) 이동식 유아용 착석 기구
JP3199840U (ja) 簡易ベビーベッド
JP2008506438A (ja) 椅子
CN213154908U (zh) 一种多功能健康防护隔离户外休闲椅
JP3126821U (ja) 幼児用歩行器
KR101882984B1 (ko) 힙시트 캐리어 장치
KR200459552Y1 (ko) 유아용 완구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