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893Y1 - 캐스터 - Google Patents

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893Y1
KR200346893Y1 KR20-2003-0035822U KR20030035822U KR200346893Y1 KR 200346893 Y1 KR200346893 Y1 KR 200346893Y1 KR 20030035822 U KR20030035822 U KR 20030035822U KR 200346893 Y1 KR200346893 Y1 KR 200346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hair
caster
support shaf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이경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상 filed Critical 이경상
Priority to KR20-2003-0035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1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ire t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60B2200/22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스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는 의자 등의 가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휠 케이스와; 상기 휠 케이스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휠과; 상기 휠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휠 케이스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휠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의자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휠을 수직상승시켜 상기 휠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휠 케이스에는 상기 의자에 가해진 하중에 의한 상기 휠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축에 교차되도록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작동하는 수평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의자 등의 가구에 외부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설치된 휠이 수직 상승하고, 이에 따른 휠의 회전이 방지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캐스터를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캐스터{Caster}
본 고안은 캐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 등의 가구에 외부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설치된 휠이 수직 상승하고, 이에 따라 휠의 회전이 방지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스터라 하면, 의자 등의 가구 하부에 설치되어 이들을 이동하고자 할 경우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된 휠의 회전에 의해 손쉬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캐스터는 다양한 가구에 사용되나 주로 의자에 설치되어 책상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근거리로 이동할 경우 또는 의자를 이동하고자 할 때 이동의 편리함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캐스터는 단순히 이동의 편리함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의자 등에 의도하지 않은 외부적인 힘이 가해지게 되면 본래의 위치에서 이탈하여 다른 곳으로 무분별하게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유아 또는 어린이와 같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발이 지면에 닿지 않을 경우 자칫 잘못하여 의자가 이동함에 따라 의자에서 내려올 수 없는 곳으로 이동하게 되면, 유아등이 자력으로 의자에서 내려오기 위한 시도를 하다가 발을 헛디뎌 다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성인의 경우에 있어서도 의자 위에 올라가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움직이는 휠 때문에 균형감각을 상실하여 의도하고자 하는 작업의 수행이 곤란할 뿐만아니라, 작업자가 의자에서 추락하여 다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 등의 가구에 외부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설치된 휠이 수직 상승하고, 이에 따른 휠의 회전이 방지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캐스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가 장착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4는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휠 케이스 12 ; 휠
13 ; 홈 14 ; 지지축
20 ; 수직스토퍼 22 ; 설치 돌출부
22a ; 수직장공 24 ; 스프링
26 ; 제 1 톱니 28 ; 제 2 톱니
30 ; 수평 스토퍼 31 ; 힌지
32 ; 푸싱판 38 ; 상측바
40 ; 하측바 48 ; 수평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는, 의자 등의 가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휠 케이스와; 상기 휠 케이스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휠과; 상기 휠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휠 케이스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휠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의자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휠을 수직상승시켜 상기 휠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직스토퍼는 상기 휠 케이스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위치하여 상승하도록 수직장공이 형성된 설치돌출부와, 상기 수직장공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휠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 1 톱니와,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상기 휠의 회전면에 형성되어 하중에 의한 상기 휠의 상승으로 상기 제 1 톱니와 맞물리는 제 2 톱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휠 케이스에는 상기 의자에 가해진 하중에 의한 상기 휠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축에 교차되도록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작동하는 수평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평스토퍼는 중간부분이 상기 휠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푸싱판과, 상기 푸싱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푸싱판의 상부 및 하부를 푸싱 할 경우 상기 지지축에 교차되도록 수평 작동하는 수평바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휠 케이스에는 상기 의자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 상기 휠이 상승할 경우 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된 지면접촉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의자 등의 가구에 외부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설치된 휠이 수직 상승하고, 이에 따른 휠의 회전이 방지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캐스터를 얻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100)는, 테이블, 식탁 등과 같은 모든 가구에 적용이 가능하나 설명의 편의상 의자를 그 하나의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100)의 구성은 의자(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휠 케이스(10)가 있고, 휠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게 되는 한 쌍의 휠(12)이 구비되는데, 이 한 쌍의 휠(12)이 회전하는 것을 지지하기 위해 휠 케이스(10)에는 지지축(14)이 구비된다.
자세하게 말하면, 한 쌍의 휠(12)은 지지축(14)의 양단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휠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휠 케이스(10)에는 의자(200)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즉 사람이 앉을 경우 휠(12)을 수직 상승시켜, 휠(1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스토퍼(20)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의자(200)의 자중 이외에 사람이 앉거나 다른 물체가 얹혀질 경우 수직스토퍼(20)에 의해 의자(200)는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스토퍼(20)의 구성을 보면, 휠(12)이 위치하도록 반구 형태로 형성된 휠 케이스(1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설치 돌출부(22)가 있는데, 이 설치돌출부(22)에는 지지축(14)이 위치하여 상승하도록 수직장공(22a)이 형성되 있다.
이 설치돌출부(22)에 형성된 수직장공(22a)에는 위치한 지지축(14)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4)이 구비된다. 또한, 휠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하중으로 상승하는 휠(12)에 접촉되도록 제 1 톱니(26)가 돌출 형성되며,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휠(12)에는 제 1 톱니(26)와 맞물리도록 제 2 톱니(28)가 형성된다.
제 1 톱니(26)와 맞물리는 제 2 톱니(28)는 지면에 접촉되는 휠(12)의 회전면(12a)에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처럼 휠(12)의 회전면(12a)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 다시 말해, 회전면(12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홈(13)을 형성한 뒤 이 홈(13)에 제 2 톱니(28)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휠(12)의 회전면(12a) 보다 더 노출되도록 돌출되는 형태로도 형성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이렇듯, 수직스토퍼(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의자(200)에 하중이 작용할 경우 휠(12)을 상승시켜 휠 케이스(10)에 형성된 제 1 톱니(26)와 휠(12)에 형성된제 2 톱니(28)가 서로 맞물리게 하여 의자(200)가 고정된 상태가 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되어 종래에 대두된 문제점 중의 하나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의자(200)에 앉을 경우 다리가 지면에 닿지 않는 유아등이 의자(200)에 앉더라도 휠(12)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부주의에 의해 의자(20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등이 의자(200)에 안정적으로 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휠 케이스(10)에는 의자(200)에 가해진 하중에 의한 휠(12) 및 휠(12)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14)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지지축(14)에 교차되도록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작동하는 수평스토퍼(30)가 구비된다.
수평스토퍼(30)의 구성은, 중간부분이 휠 케이스(10)에 힌지(31) 결합되는 푸싱판(32)이 있으며, 푸싱판(32)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일단이 제 1 링크(34) 및 제 2 링크(36) 결합되도록 각각 한 쌍씩 구비되는 상측바(38) 및 하측바(40)가 있고, 상측바(38)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가로바(미도시)와 하측바(40) 및 가로바를 동시에 제 3 링크(42)로 연결하기 위해 세로로 설치되는 세로바(44)가 있다.
그리고, 가로바에는 일단이 제 4 링크(46)로 연결되며 타단이 지지축(14)에 교차되도록 접촉되는 수평바(48)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의 수평스토퍼(30)의 작동을 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사용자에 의해 푸싱판(32)의 하부가 눌려지게 되면 힌지(31)를 중심으로 푸싱판(32)의 상부는 푸싱판(32)의 하부보다 바깥쪽으로 더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수평바(48)는 전진하여 지지축(14)의 위쪽에 교차되도록 접촉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와 같이 지지축(14)의 위쪽에 수평바(46)가 위치하게 되면 의자(200)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휠(12)을 포함한 지지축(14)은 상승되지 않게 되어 의자(200)가 이동하도록 휠(12)은 자유로운 이동의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는, 성인들이 의자에 앉아 자유로운 이동의 상태에서 업무를 볼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6과 같이 푸싱판(32)의 상부가 눌려지게 되면 힌지(31)를 중심으로 푸싱판(32)의 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 때, 지지축(14)의 위쪽에 교차된 상태로 밀착 되어 있던 수평바(48)는 지지축(14)과의 교차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수평바(48)가 지지축(14)과의 교차된 상태가 해제될 경우 의자(200)에 하중이 가해지면 휠(12)은 상승하여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수평스토퍼(30)는 의자(2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경우 다리가 지면에 닿지 않는 유아 또는 성인에 따른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휠(12)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의 상태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의 상태가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휠 케이스(10)에는 의자(200)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 휠(12)이 상승할 경우 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된 지면접촉돌출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면접촉돌출부(50)는 수직스토퍼(20)가 작동하여 휠(12)이 고정된 상태일 경우 지면에 접촉되어 의자(200)가 안정적인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100)는 주의력이 부족한 유아등이 의자(200)를 사용할 경우 휠(12)을 상승시켜 고정시킴에 따라 의자(200)의 이동을제한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의 의자가 되게 한다.
또한, 수평스토퍼(30)를 구비하고 있어 성인 등이 의자(200)를 사용할 경우 자유로운 휠(1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휠(12)의 상승을 방지하여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의자(200)가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는 의자뿐만 아니라 가구 등에도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분야에 사용된 본 고안의 필수구성요소들을 구비하여 사용 및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의자 등의 가구에 외부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설치된 휠이 수직 상승하고, 이에 따른 휠의 회전이 방지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캐스터를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의자 등의 가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휠 케이스와;
    상기 휠 케이스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휠과;
    상기 휠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휠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휠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의자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휠을 수직상승시켜 상기 휠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스토퍼가 포함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수직스토퍼는 상기 휠 케이스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위치하여 상승하도록 수직장공이 형성된 설치돌출부와, 상기 수직장공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축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휠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 1 톱니와,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상기 휠의 회전면에 형성되어 하중에 의한 상기 휠의 상승으로 상기 제 1 톱니와 맞물리는 제 2 톱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케이스에는 상기 의자에 가해진 하중에 의한 상기 휠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축에 교차되도록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작동하는 수평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스토퍼는 중간부분이 상기 휠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푸싱판과, 상기 푸싱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푸싱판의 상부 및 하부를 푸싱 할 경우 상기 지지축에 교차되도록 수평 작동하는 수평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5.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 케이스에는 상기 의자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 상기 휠이 상승할 경우 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된 지면접촉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KR20-2003-0035822U 2003-11-17 2003-11-17 캐스터 KR200346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22U KR200346893Y1 (ko) 2003-11-17 2003-11-17 캐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822U KR200346893Y1 (ko) 2003-11-17 2003-11-17 캐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893Y1 true KR200346893Y1 (ko) 2004-04-03

Family

ID=4942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822U KR200346893Y1 (ko) 2003-11-17 2003-11-17 캐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89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32B1 (ko) 2008-07-04 2008-10-28 엄옥순 캐스터
KR200447576Y1 (ko) * 2007-08-13 2010-02-10 김야현 사다리의 유동방지장치
KR101103352B1 (ko) * 2009-09-11 2012-01-06 엄옥순 의자의 바퀴 제어장치
KR102178475B1 (ko) * 2020-04-17 2020-11-13 유연순 하중에 의한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의자용 캐스터
KR102178480B1 (ko) * 2020-04-17 2020-11-13 유연순 자동 록킹 및 해제구조를 갖는 의자용 캐스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76Y1 (ko) * 2007-08-13 2010-02-10 김야현 사다리의 유동방지장치
KR100865732B1 (ko) 2008-07-04 2008-10-28 엄옥순 캐스터
KR101103352B1 (ko) * 2009-09-11 2012-01-06 엄옥순 의자의 바퀴 제어장치
KR102178475B1 (ko) * 2020-04-17 2020-11-13 유연순 하중에 의한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의자용 캐스터
KR102178480B1 (ko) * 2020-04-17 2020-11-13 유연순 자동 록킹 및 해제구조를 갖는 의자용 캐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975B1 (ko) 탁자의 의자 회전장치
KR100619495B1 (ko) 싱크대용 키 높이 조절장치
KR200346893Y1 (ko) 캐스터
TWM572693U (zh) 遊戲座
KR20130006058U (ko)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KR100330661B1 (ko)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WO2006008473A1 (en) Chair
KR200336943Y1 (ko) 학생용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CN209898872U (zh) 儿童椅
US20230371713A1 (en) Convertible platform for supporting a user
JP4659198B2 (ja) ベビー用チェア
KR100469772B1 (ko) 다리가 없는 의자
CN216675244U (zh) 一种适用于适老化座椅的重力感应功能性脚轮
KR200265462Y1 (ko) 유아용 다기능 의자
KR200295622Y1 (ko) 유모차의 발판각도 조절구조
WO2023224849A1 (en) Convertible platform for supporting a user
KR200260626Y1 (ko) 의자용 발받침장치
KR20240065556A (ko) 육아보조기구
CN216984201U (zh) 一种支脚加强型的高度可调节吧椅
JPH026850Y2 (ko)
KR101137519B1 (ko) 다용도 의자
KR101062216B1 (ko) 의자
KR200374194Y1 (ko) 캐스터 고정장치
KR200186113Y1 (ko) 의자용 바퀴
KR20019986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