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462Y1 - 유아용 다기능 의자 - Google Patents

유아용 다기능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462Y1
KR200265462Y1 KR2020010034301U KR20010034301U KR200265462Y1 KR 200265462 Y1 KR200265462 Y1 KR 200265462Y1 KR 2020010034301 U KR2020010034301 U KR 2020010034301U KR 20010034301 U KR20010034301 U KR 20010034301U KR 200265462 Y1 KR200265462 Y1 KR 200265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hook
wheel
fram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제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4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4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462Y1/ko

Link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하나의 의자에 식탁용 의자 기능, 놀이용 자동차 기능, 흔들의자 기능을 동시에 갖게 하되, 착탈식 바퀴, 착탈식 지지대, 의자고정구조 등을 제공하여 사용상 안전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유아용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아용 의자를 프레임과 의자로 분할하여 의자를 프레임에 끼우는 위치에 따라 식탁용 의자 기능, 놀이용 자동차 기능, 흔들의자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하되, 각 기능별로 의자를 지지해주는 걸이봉의 위치가 달라지게 하여 프레임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의자가 프레임에 편심되지 않고 항상 안정적으로 위치되게 하며, 의자의 앞다리 하부일측에는 전면방향으로 반원형의 걸이봉 삽입홈을 형성하고 의자의 뒷다리 하단부 후면방향에는 걸이봉에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면서 일측 걸림턱에는 걸이봉에 둘러 체결하는 걸고리를 형성하여 의자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여 안전성을 도모하며, 바퀴가 용이하게 착탈되게 하여 수리 교체의 용이성을 추구하고, 바퀴의 테두리에는 고무와 같이 점착성이 있는 띠를 끼워 바퀴로서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다기능 의자{Chair having many function for child}
본 고안은 유아용 다기능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의자에 식탁용 의자 기능, 놀이용 자동차 기능, 흔들의자 기능을 동시에 갖게 하되, 착탈식 바퀴, 착탈식 지지대, 의자고정구조 등을 제공하여 사용상 안전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유아들은 주의가 산만하고 평형감각이 떨어지며 공간지각능력이 작아 바닥에 앉을 때에는 상관없으나 식탁을 사용하기 위해 의자에 앉힐 때에는굉장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유아들 전용으로 유아용 의자가 등장하였는데, 다른 의자보다 다리가 길고, 유아가 안전하게 앉을 수 있도록 4방이 막혀 있으며, 양다리가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다리가 빠져나오는 부위 중간에 가로대가 형성되어 유아를 의자에 앉히더라도 의자 자체의 형상에 따라 유아의 행동반경을 제한하여 별다른 주의없이도 식사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지만, 이는 단순히 식탁용으로만 활용될 뿐 별다른 기능이 없어 가격에 비해 기능성이 떨어진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29644 호에서 의자와 프레임을 별도로 구성하여 의자를 프레임에 끼우는 위치에 따라 식탁용 의자 기능, 놀이용 자동차 기능, 흔들의자 기능을 동시에 갖게 하여 사용의 다양화를 꾀한 유아용 다기능 의자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29644 호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의자는 식탁용 의자 기능, 놀이용 자동차 기능, 흔들의자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프레임을 이루는 좌우 칼럼의 사이에 다수의 지지대가 고정되어 있어 프레임의 전장이 최소한 의자의 전후 다리 사이의 길이 2배 이상은 되어야 하며, 놀이용 자동차 또는 흔들의자로 사용할 경우 의자부분과 프레임의 결합위치가 편심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고, 바퀴 역시 고정되어 있어 교체수리가 어려우며, 의자가 각 지지대의 상부에 끼워지는 식으로 고정되므로 끼워짐 높이 이상으로 의자가 들렸을 경우에는 의자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아용 의자를 프레임과 의자로 분할하여 의자를 프레임에 끼우는 위치에 따라 식탁용 의자 기능, 놀이용 자동차 기능, 흔들의자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하되, 각 기능별로 의자를 지지해주는 걸이봉의 위치가 달라지게 하여 프레임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의자가 프레임에 편심되지 않고 항상 안정적으로 위치되게 하며, 의자의 앞다리 하부일측에는 전면방향으로 반원형의 걸이봉 삽입홈을 형성하고 의자의 뒷다리 하단부 후면방향에는 걸이봉에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면서 일측 걸림턱에는 걸이봉을 둘러 체결하는 걸고리를 형성하여 의자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여 안전성을 도모하며, 바퀴가 용이하게 착탈되게 하여 수리 교체의 용이성을 추구하고, 바퀴의 테두리에는 고무와 같이 점착성이 있는 띠를 끼워 바퀴로서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유아용 다기능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의자의 각 부재 상세도로서,
(a)는 의자의 다리부 상세도.
(b)는 잠금장치 단면도.
(c)는 바퀴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의자를 식탁용으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의자를 놀이용 자동차로 활용할 때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단면도.
(b)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의자를 흔들의자로 활용할 때의 사용상태도로서,
(a)는 단면도.
(b)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의자 101 : 앞다리 102 : 뒷다리
103 : 걸이봉 삽입홈 104 : 걸림턱 105 : 걸고리 홈
106 : 걸고리 107 : 토션스프링 200 : 프레임
201 : 만곡진 변 202 : 직선형 변 203 : 하부변
204,204' : 칼럼 205 : 지지대 206∼211 : 체결홈
212 : 압축코일스프링 213 : 걸이봉 214 : 면취부
215 : 휘일축 216 : 띠 217 : 바퀴
218 : 관통공 219 : 탄성키 220 : 핀부
221 : 헤드부 222 : 축받이홈 223 : 가이드홈
224 : 보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의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100)와 프레임(200)으로 분할 구성되어 프레임(200)은 만곡진 변(201)과 직선형 변(202)과 이 직선형 변(202)에 직각을 이루는 하부변(203)을 갖는 3각 형상의 칼럼(204)(204')을 좌우에 각각 구비하여 그 사이를 3개의 지지대(205)로 연결 고정하여서 되고, 의자(100)는 프레임(200)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그 끼워짐 위치에 따라 식탁용 의자, 놀이용 자동차, 흔들의자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하는데, 여기서 프레임(200)의 각 칼럼(204)(204')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되게 만곡진 변(201)의 상부와 하부, 직선형 변(202)의 상부와 하부, 만곡진 변(201)과 직선형 변(202)이 수평을 이루는 부위에 쌍이 되는 제 1,2체결홈(206,207), 제3,4체결홈(208,209), 제 5,6체결홈(210,211)을 각각 형성하되, 각 체결홈(206,207)(208,209)(210,211)사이 간격이 의자(100)의 전후 다리(101)(102)사이 간격과 동일해지는 위치에 체결홈(206,207)(208,209)(210,211)을 각각 형성하고, 일측 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212)을 구비한 걸이봉(213)을 2개 구비하여 쌍이 되는 체결홈(206,207)(208,209)(210,211)에 각각 선택적으로 끼움되게 하며, 의자(100)의 앞다리(101) 하부 전면에는 반원형의 걸이봉 삽입홈(103)을 각각 형성하고, 의자(100)의 뒷다리(102) 하단부 후면에는 걸이봉(213)에 걸리는 걸림턱(104)을 형성하며, 일측 걸림턱(104)의 상부에는 홈(105)을 형성하고 여기에 걸고리(106)를 토션스프링(107)을 개재한 상태로 힌지 결합하여 의자(100)를 2개의 걸이봉(213)에 건 후 걸고리(106)로 걸이봉(213)을 둘러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단부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면취부(214)가 형성된 4개의 휘일축(215)을 그 면취부(214) 반대측을 머리로 직선형 변(202) 외부에서 지지대(205)측으로 각각 고정하고, 각 휘일축(215)에는 그 테두리에 고무와 같이 점착성이 있는 띠(216)가 장착된 바퀴(217)를 끼워 회전 가능하게 취부하되, 바퀴(217)의 중앙부에는 휘일축(215)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218)을 형성하고, 관통공(218)에는 휘일축(215)의 면취부(214)를 탄성키(219)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잠금장치는 외측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사이 간격이 관통공(218)의 직경보다 좁아지게 대칭으로 형성되고 양단부는 안쪽으로 각각 90°이상 절곡된 탄성키(219)와, 핀부(220)와 헤드부(221)로 되어 핀부(220)는 바퀴(217)의 관통공(218)에 끼워져 고정되고 핀부(220) 중앙부로부터 헤드부(221) 내측까지 휘일축(215)이 끼워지는 축받이홈(222)이 형성되며, 헤드부(221)에는 탄성키(219)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축받이홈(222)과 통하는 가이드홈(223)이 형성되어 휘일축(215)의 면취부(214)에 탄성키(219)의 중앙부를 끼워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보스(2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다기능 의자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식탁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을 세운 상태에서 2개의 걸이봉(213)을 프레임(200)을 이루는 각 칼럼(214)(214')의 제 5,6체결홈(210,211)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끼워 연결하고, 의자(100)를 프레임(200)의 걸이봉(213) 상부측에 얹게 되는바, 의자(100)의 앞다리(101)측 걸이봉 삽입홈(103)이 앞쪽의 걸이봉(213)에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그대로 의자(100)를 회전시켜 뒷다리(102)측의 걸림턱(104)이 뒤쪽의 걸이봉(213)에 걸리게 하고, 걸고리(106)를 젖혀 뒷다리(102)측의 걸림턱(104)이 뒤쪽의 걸이봉(213)에 완전히 걸리게 한 상태에서 걸고리(106)를 놓아주면 토션스프링(107)에 의해 자동으로 걸고리(106)가 걸이봉(213)을 둘러주면서 체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의자(100)가전, 후, 좌, 우, 아래 방향으로는 모두 막혀 있어 수직방향으로밖에 들어올리지 못하나 걸고리(106)에 의해 수직방향으로도 의자(100)의 위치가 고정되어 걸고리(106)를 인위적으로 풀지 않는 한 의자(100)가 걸이봉(2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의자(100) 이탈로 인한 유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며, 프레임(200)을 세운 상태이므로 의자(100)의 높이가 가장 높게 되어 식탁용으로 적당해진다.
이때, 걸이봉(213)의 일단부에는 압축코일스프링(212)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착탈이 가능함은 물론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놀이용 자동차로 활용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을 직선형 변(202)이 밑으로 가게 한 후 제 5,6체결홈(210,211)에 체결되어 있던 걸이봉(213)을 탈거하여 프레임(200)을 이루는 각 칼럼(214)(214')의 제 3,4체결홈(208,209)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끼워 연결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의자(100)를 각 걸이봉(213)에 체결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면 의자(100)가 제 3,4체결홈(208,209)의 위치에 따라 직선형 변(202)의 중앙부측에 위치하여 하중이 편심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직선형 변(202)에 구비된 4개의 바퀴(217)가 바닥에 위치되어 놀이용 자동차로 활용하기에 적당해지게 된다.
이때, 바퀴(217)의 축을 이루는 4개의 휘일축(215)은 각각 칼럼(204)(204')과 지지대(205)에 견고히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단부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면취부(214)가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바퀴(217)가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 바퀴(217)를 휘일축(215)에 끼울 때에는 잠금장치의 탄성키(219)를 밀어 보스(224)의 가이드홈(223) 형상에 따라 탄성키(219)를 벌린 상태에서 바퀴(217)를 잠금장치 반대측으로 하여 휘일축(215)이 축받이홈(222)에 끼이도록 하고, 휘일축(215)을 축받이홈(222)에 완전히 끼운 상태에서 탄성키(219)를 놓아주면 탄성키(219)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탄성키(219)의 중앙부 사이 간격이 좁은 부위가 휘일축(215)의 면취부(214)에 끼이게 되어 바퀴(217)가 빠지지 않으면서도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퀴(217)의 테두리면에는 점착성을 가진 띠(216)가 장착되어 있어 슬라이딩되지 않아 놀이용 자동차로서의 원활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바퀴(217)를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것이어서 바퀴(217)의 수리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음은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흔들의자로 활용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을 만곡진 변(201)이 밑으로 가게 한 후 제 3,4체결홈(208,209)에 체결되어 있던 걸이봉(213)을 탈거하여 프레임(200)을 이루는 각 칼럼(204)(204')의 제 1,2체결홈(206,207)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끼워 연결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의자(100)를 각 걸이봉(213)에 체결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면 의자(100)가 제 1,2체결홈(206,207)의 위치에 따라 만곡진 변(201)의 중앙부측에 위치하여 하중이 편심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만곡진 변(201)을 통해 흔들의자로 활용하기에 적당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의자와 프레임을 별도로 구성하여 의자의 끼움위치에 따라 유아용 의자, 놀이용 자동차, 흔들 의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효과 이외에 의자를 받쳐주기 위한 2개의 걸이봉을 각 기능별로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어 프레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의자를 각 기능에 따라 가장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의자를 일단 걸이봉에 걸게 되면 어떠한 방향으로도 빠지지 않게 되어 의자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바퀴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수리 교체가 용이해지며, 바퀴의 테두리에 점착성이 있는 띠가 장착되어 있어 슬라이딩되지 않고 바퀴로서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유아용 의자를 의자(100)와 프레임(200)으로 분할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200)은 만곡진 변(201)과 직선형 변(202)과 이 직선형 변(202)에 직각을 이루는 하부변(203)을 갖는 3각 형상의 칼럼(204)(204')을 좌우에 각각 구비하여 그 사이를 다수의 지지대(205)로 연결 고정하여서 되고, 상기 의자(100)는 상기 프레임(200)에 선택적으로 끼워 그 끼워짐 위치에 따라 식탁용 의자, 놀이용 자동차, 흔들의자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유아용 다기능 의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의 각 칼럼(204)(204')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칭되게 상기 만곡진 변(201)의 상부와 하부, 상기 직선형 변(202)의 상부와 하부, 상기 만곡진 변(201)과 상기 직선형 변(202)이 수평을 이루는 부위에 각각 쌍이 되는 체결홈(206,207)(208,209)(210,211)을 형성하되, 상기 쌍이 되는 각 체결홈(206,207)(208,209)(210,211) 사이 간격이 상기 의자(100)의 전후다리(101)(102)사이 간격과 동일해지는 위치에 상기 체결홈(206,207)(208,209)(210,211)을 각각 형성하고, 일측 단부에 압축코일스프링(212)을 구비한 걸이봉(213)을 2개 구비하여 상기 쌍이 되는 체결홈(206,207)(208,209)(210,211)에 각각 선택적으로 끼움되게 하며;
    상기 의자(100)의 앞다리(201) 하부 전면에는 반원형의 걸이봉 삽입홈(103)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의자(100)의 뒷다리(102) 하단부 후면에는 상기 걸이봉(213)에 걸리는 걸림턱(104)을 형성하며, 상기 일측 걸림턱(104)의 상부에는홈(105)을 형성하고 여기에 걸고리(106)를 토션스프링(107)을 개재한 상태로 힌지 결합하여 상기 의자(100)를 2개의 걸이봉(213)에 걸고 상기 걸고리(106)로 상기 걸이봉(106)을 둘러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기능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부 일측에 원주방향으로 면취부(212)가 형성된 4개의 휘일축(215)을 그 면취부(214) 반대측을 머리로 상기 직선형 변(202) 외부에서 상기 지지대(205)측으로 각각 고정하고, 상기 각 휘일축(215)에는 그 테두리에 점착성이 있는 띠(216)가 장착된 바퀴(217)를 끼워 회전가능하게 취부하되, 상기 바퀴(217)의 중앙부에는 상기 휘일축(215)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218)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218)에는 상기 휘일축(215)의 면취부(214)를 탄성키(219)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기능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외측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사이 간격이 상기 관통공(218)의 직경보다 좁아지게 대칭으로 형성되고 양단부는 안쪽으로 각각 90°이상 절곡된 탄성키(219)와, 핀부(220)와 헤드부(221)로 되어 상기 핀부(220)는 상기 바퀴(217)의 관통공(218)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핀부(220) 중앙부로부터 헤드부(221) 내측까지 상기 휘일축(215)이 끼워지는 축받이홈(222)이 형성되며, 상기헤드부(221)에는 상기 탄성키(219)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축받이홈(222)과 통하는 가이드홈(223)이 형성되어 상기 휘일축(215)의 면취부(214)에 상기 탄성키(219)의 중앙부를 끼워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보스(2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다기능 의자.
KR2020010034301U 2001-11-08 2001-11-08 유아용 다기능 의자 KR200265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01U KR200265462Y1 (ko) 2001-11-08 2001-11-08 유아용 다기능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301U KR200265462Y1 (ko) 2001-11-08 2001-11-08 유아용 다기능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462Y1 true KR200265462Y1 (ko) 2002-02-21

Family

ID=7311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01U KR200265462Y1 (ko) 2001-11-08 2001-11-08 유아용 다기능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4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786U (ko) * 2017-09-20 2019-03-28 양정모 다기능 유아용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786U (ko) * 2017-09-20 2019-03-28 양정모 다기능 유아용 의자
KR200489212Y1 (ko) 2017-09-20 2019-05-16 양정모 다기능 유아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8253A (en) Convertible baby walker and gym
US5887945A (en) Infant seat
US10206518B2 (en) Compact jumper
US9756962B2 (en) Access-optimized mobile infant support
US9185994B2 (en) Compact jumper
CA2909239A1 (en) Swing seat
CA2596291A1 (en) Swing assembly
KR200265462Y1 (ko) 유아용 다기능 의자
TW201713247A (zh) 嬰幼兒承載用之組裝構造體及玩具架
CN2891849Y (zh) 跳椅
KR100835693B1 (ko) 유아용 그네 안전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아용 그네
WO2012094510A2 (en) Frame assembly & connector apparatus
KR101506004B1 (ko) 책상 겸용 유아침대
KR101679377B1 (ko)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US20180186396A1 (en) Miniaturized baby walker
US5572752A (en) Bed with axial glider movement
CN218074276U (zh) 一种悬挂式婴童摇篮椅
KR200346893Y1 (ko) 캐스터
KR100845611B1 (ko) 의자형 그네
KR200495263Y1 (ko) 절첩식 카트
US2077113A (en) Baby chair balance
EP2584939B1 (en) Infant chair and chair assembly comprising a base chair and an infant chair
CN215348013U (zh) 一种多功能婴儿床
CN216059972U (zh) 折叠秋千
KR101882984B1 (ko) 힙시트 캐리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