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377B1 -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 Google Patents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377B1
KR101679377B1 KR1020160056099A KR20160056099A KR101679377B1 KR 101679377 B1 KR101679377 B1 KR 101679377B1 KR 1020160056099 A KR1020160056099 A KR 1020160056099A KR 20160056099 A KR20160056099 A KR 20160056099A KR 101679377 B1 KR101679377 B1 KR 101679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s
pillars
wheel
infant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박현덕
Original Assignee
박영식
박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박현덕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160056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 A63G13/08Rocking-horses mounted on links o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being convertible or adaptable to a preambulator, e.g. a baby-carriage or a push-c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좌우 기둥(30); 좌우 기둥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바퀴프레임(60); 바퀴프레임이 지지하는 앞바퀴와 뒷바퀴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65); 바퀴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70); 좌우 기둥 상부와 유아탑승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줄(40)과 줄길이조절장치(45); 좌우 기둥 또는 줄 또는 스프링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대(10); 유아탑승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50); 탄성력조절장치(55); 좌우 기둥 또는 유아탑승대에 탈부착 되는 어깨벨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로
기존의 유아기구는 단일기능 또는 한둘의 기능밖에 없어 기능별로 여러 개의 유아 돌봄 기구를 구입 관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용기구를 바꿀 때 마다 유아를 옮겨야 하는 불편이 있고, 기존의 유아식탁의자나 스프링말은 휴대가 어려워 타 장소에서의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기구로 (1)유아벨트, (2)휴대용 유모차 (3)휴대용 카시트 (4)휴대용 유아식탁의자 (5)휴대용 안는기구 (6)휴대용 스프링말로 이용 할 수 있어 양육에 매우 유용하고, 편리하며, 다수의 기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MULTIFUNCTIONAL PORTABLE BABY CARRIER}
본 발명은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벨트, 휴대용 간이유모차, 휴대용 카시트, 휴대용 유아식탁의자, 휴대용 안는기구, 휴대용 스프링말로 이용할 수 있는 기구이다.
기존 기구로 유아벨트, 간이유모차, 카시트, 유아식탁의자, 스프링말과 같은 개별 기능의 기구가 있었으나
기존의 기구는 집에서 차량으로 외출할 때 유아벨트와 간이유모차와 카시트를 모두 운반해야 하는 불편과, 이용기구를 바꿀 때 마다 유아를 옮겨야 하는 불편이 있고
기존의 유아식탁의자나 스프링말은 휴대가 어려워 타 장소에서 사용이 힘들고
또한 상기의 유아기구들은 단일기능 또는 한둘의 기능밖에 없어 기능별로 여러 개의 유아 돌봄 기구를 구입 관리해
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유아는 안아주는 것을 좋아하고 정서상 매우 필요하나, 안아주는 것이 육체적으로 힘들고 유아벨트를 이용하여도 곧 힘이 드는 문제가 있으나,
힘들이지 않고 안아주는 휴대용 기구는 지금까지 없었으며
특히 유아기구 하나로 6가지 기능을 겸하면서 동시에 콤팩트하게 접히고 가벼워 어깨에 메고 어느 장소에 가서든지 6가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유아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9019호(공개일 2007.04.1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1033호(공개일 2011.12.06.)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0472855(공고일 2014.05.27.)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0274936(공고일 2002.06.13.)
하나의 유아기구로 (1)유아벨트, (2)휴대용 유모차 (3)휴대용 카시트 (4)휴대용 유아식탁의자 (5)휴대용 안는기구 (6)휴대용 스프링말 기능을 모두 갖게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며 세부과제로는
유아가 탑승한 상태로 접거나 펼 수 있게 하는 것
유아가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 높이를 상하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
탄성장치의 탄성력을 폭넓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
실내사용과 휴대할 때 바퀴의 이물질이 실내나 몸에 닿지 않게 하는 것
접을 때 편하고 컴팩트하게 접히게 하는 것
브레이크 기능이 있게 하는 것이다
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좌우 기둥(30); 좌우 기둥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바퀴프레임(60); 바퀴프레임이 지지하는 앞바퀴와 뒷바퀴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65); 바퀴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70); 좌우 기둥 상부와 유아탑승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줄(40)과 줄길이조절장치(45); 좌우 기둥 또는 줄 또는 스프링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대(10); 유아탑승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50); 탄성력조절장치(55); 좌우 기둥 또는 유아탑승대에 탈부착 되는 어깨벨트(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가 문제의 해결 수단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유아기구로 (1)유아벨트, (2)휴대용 유모차 (3)휴대용 카시트 (4)휴대용 유아식탁의자 (5)휴대용 안는기구 (6)휴대용 스프링말로 이용할 수 있어 양육에 매우 유용하고, 편리하며, 다수의 기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1은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전체 정면도이다
도 3은 주요구성별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유아탑승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기둥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어깨벨트와 허리벨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 (a)는 줄과 줄길이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b)는 기어와 라체트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8 (a)는 스프링 및 탄성력조절장치의 단면도이고,
(b)는 결합부분의 단면 확대도이며, (c)는 탄성력조절장치의 단면 확대도이고, (d)는 탄성력조절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며, (e)는 탄성력조절장치의 작동해제시 평면도이고, (f)는 탄성력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바퀴프레임과 간격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바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용사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구성은, 도 2에서 유아탑승대(10) 기둥(20) 어깨벨트(30) 허리벨트(35) 줄(40) 줄길이조절장치(45) 스프링(50) 탄성력조절장치(55) 바퀴프레임(60) 간격조절장치(65) 바퀴(70)로 구성된다.
다음 구성부분별로 상세구조를 설명하면,
유아탑승대(10)는 도 3에서 탑승본체(100), 쿠션(120), 안전벨트(140), 점프발걸이(160) 발걸이(180)로 구성되며
탑승본체(100)는 등판(101)과 좌우 옆판(102)과 바닥판(104)이 일체화 되어 있고 측면에는 다수의 링(103)이 고정되어 있으며, 바닥판 중앙부근에는 다리가 관통되는 다리홀(106)이 형성되어 있고 다리홀 좌우 내부에는 발걸이대(108)가 슬라이딩되는 사각파이프(105)가 매립된다
쿠션(120)은 쿠션등판(121) 쿠션옆판912) 쿠션밑판(123)이 일체화 되어 있고 쿠션 밑판에는 다리홀(106) 보다 직경이 크게 절단된 다리홀덮개(124)가 있어 점프를 할 때는 다리홀덮개를 열어 사용하고 점프를 하지 않을 때는 다리홀덮개를 덮어 일반 유아좌석처럼 사용한다
안전벨트(140)는 5점벨트 타입으로 상벨트는 탑승본체 등판에, 중벨트는 등판 중간부위에 하벨트는 밑판에 고정된다
점프발걸이(160)는 벨트(162)와 벨트 길이를 조절하는 벨트 길이조절구(161)가 조립되어 W자 형상으로 탑승본체 바닥판 하부에 고정된다
발걸이(180)는 한쌍의 발걸이대(182)와 발판(184)이 일체화 되어 있고 발걸이대에는 발걸이를 고정하는 돌기(181)가 레바(183) 끝에 고정되어 있어 레바를 누르면 돌기가 내려와 고정이 해제되고 레바를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돌기가 위로 올라가 사각파이프(105) 홈에 걸려 고정된다
기둥(20)은 도 5에서 좌우 대칭이며 상부기둥(200) 하부기둥(220) 손잡이(250)로 구성된다.
상부기둥(200)은 파이프(201)와 파이프 상단에 고정핀(205)이 고정되고 파이프 하단에는 연결용 링(202)이 고정되고 하단 측면에는 하부기둥 고정장치가 있는데 고정장치는 손잡이가 달린 라체트(2034) 스프링(2033) 축(2032) 축지지대(2031)로 구성 조립되어 있어 손잡이를 당기면 라체트의 걸림이 풀리고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복원되면서 라체트에 돌기(223)가 걸려 고정되고, 파이프 하단 내부에는 가이드(204)가 세트볼트로 고정된다.
하부기둥(220)은 홈이 형성된 홈파이프(222)에 고정용 돌기(223)가 다수 형성되어있고, 파이프 상단 외부에는 가이드(221)가 세트볼트로 고정된다.
손잡이(250)는 ㄷ자 형상의 손잡이파이프(251)가 있고 손잡이파이프 말단 측면에는 벨트 연결용 링(252)이 고정되어 있고 다른 말단에는 스프링이 달린 고정용 돌기(253)가 있으며 손잡이파이프가 삽입되는 고정파이프(255)는 중간부위가 상부기둥에 용접되고 고정파이프 양단 하부에는 스프링 고정용 링(254)이 용접되어 있고 측면에는 고정용돌기(253)가 걸리는 홀이 있고 홀 상부에는 돌기를 누르는 버튼(256)이 조립되어 있어 손잡이파이프를 신축하고자 할 때는 버튼(256)을 누른채로 당기거나 밀면 돌기가 홀에서 나와 손잡이파이프가 이동하고 이동하다 돌기가 홀을 만나면 스프링에 의해 돌기가 홀에 고정되며, 고정파이프 말단에는 캡(258)이 결합된다
어깨벨트(30)는 도 6에서 좌우벨트(320) 연결벨트(300)로 구성된다.
좌우벨트(320)는 좌우 한 쌍으로 메인벨트(323)를 중심으로 상단에는 연결링(321)이 있고 상부에는 좁은 폭의 위치벨트(322)가 있는데 양끝이 메인벨트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폭이 좁은 벨트(324)가 붙어 있고 말단에 길이조절연결링(325)이 조립된다.
연결벨트(300)는 벨트(302)를 중심으로 양단에 위치벨트에 조립되는 위치고정구(301,305)가 있으며 중간에 길이조절연결구(303)와 연결구(304)가 있다.
허리벨트(35)는 도 6에서 허리메인벨트(352)가 있고 우측 말단에는 길이조절연결링(351)이 있으며 좌측 말단에는 연결링(353)이 조립된다.
줄(40)은 전후좌우로 4개가 있는데 모두 동일하여 그 중 1개를 도 7에 도시하였다,
줄은 부드럽게 휘며 인장력이 강하며 직경이 작은 원형줄(401)로 일단이 보빈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일단에는 입구가 열리는 연결링(402)이 고정되어 있다
줄길이조절장치(45)는 전후좌우로 4개가 있는데 모두 동일하여 그 중 1개를 도 7에 도시하였다,
줄길이조절장치는 축(452)이 축지지대(453)를 관통하고 축에는 줄이 감기는 보빈(451) 기어(4541) 및 회전손잡이(455)가 차례로 조립 고정되고 기어에는 라체트(4542)가 연결되어 있는데 라체트에는 스프링(4543)과 라체트를 기어에서 이탈하게 하는 버튼(4544)이 조립된다
스프링(50)은 전후좌우로 4개가 있는데 모두 동일하여 그 중 1개를 도 8에 도시하였다,
스프링은 외부스프링(503)과 내부스프링(502)이 한 세트로 구성되는데 스프링은 모두 일단에만 연결링(501,504)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스프링의 연결링은 기둥의 고리(254)에 연결되고 외부스프링의 연결링(504)는 유아탑승대의 링(103)에 연결되며 연결링이 없는 쪽의 스프링은 외부스프링안에 내부스프링이 삽입되며 외부스프링과 내부스프링이 겹처지는 지점에 탄성력조절장치가 조립되어 외부스프링과 내부스프링을 내부에서 연결시켜 하나의 연결된 스프링으로 작동한다
탄성력조절장치(55)는 전후좌우로 4개가 있는데 모두 동일하여 그 중 1개를 도 8에 도시하였는데 도 8의 (b)는 스프링과 결합한 상태의 단면확대도이며 (c)는 탄성력조절장치의 단면확대도이고 (d)는 탄성력조절장치의 확대평면도이며 (e)는 탄성력조절장치를 스프링에서 분리하였을 때의 평면도이고, (f)는 탄성력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탄성력조절장치를 분리사시도에서 보면 좌측에 반달형의 좌프레임(551)이 있고 좌프레임 중앙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스프링 좌고정판(553)이 고정되며 좌프레임의 상단에는 관절홈(552)이 형성된다
우측에는 우프레임(556)이 있고 우프레임 중앙에는 평면이 부채꼴이며 단면이 ㄷ자 형상의 스프링 우고정판(554)이 고정되며 우프레임 상부에는 관절홈(552)에 결합되는 관절축(55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핀이 조립되는 홀(557)이 형성되며 이 홀에 상하 링크(559)가 핀(558)으로 결합되고 원통(580)에는 홀(561)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손잡이(562)가 용접되어 있고 원통의 홀(561)과 상하 링크(559)의 홀에는 핀이 조립된다
바퀴프레임(60)은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인데 도 9는 우측을 도시하였다.
바퀴프레임은 기어케이스(600) 뒷바퀴프레임(620) 앞바퀴프레임(640)로 구성되며
기어케이스(600)는 타원형상의 2개의 평판에 축볼트(602)가 관통하는 2개의 홀이 형성되고 평판 외측에는 너트(604)가 고정되어 있어 축볼트가 기어를 관통하여너트에 조립되고 중앙 하단에는 기둥연결바(601)가 용접되며 좌측에 회전 제한볼트(606)가 조립되어 있으며 기어케이스 하단에는 자립판(605)이 고정되어 있다
뒷바퀴프레임(620)은 뒷바퀴파이프(622) 상단에 기어(621)가 고정되고 중간부근 안쪽에는 뒷바퀴파이프끼리 연결하는 연결바(627)가 고정되며 하단 내측에는 간격조절장치의 사각링(651)을 고정하는 고리(623)가 고정되고 말단에는 축파이프(625)와 축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브라켓(626)이 용접되어 있으며 축파이프 바로 위에는 브레이크레바(624)가 힌지상태로 연결어 있는데 브레이크 레바를 아래로 내리면 레바의 중간에 붙은 돌기가 림에 형성된 브레이크홈(753)에 들어가 바퀴가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앞바퀴프레임(640)은 앞바퀴파이프(642) 상단에 기어(641)가 고정되고 하단에는 고정돌기(644)가 있는 앞바퀴연결바(645)가 고정되며 바로 위에 간격조절장치의 사각링(653)이 관통하는 홀(643)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는 앞바퀴 기어와 뒷바퀴 기어가 맞물려 있어 접거나 펼 때 앞뒤 바퀴를 각각 움직일 필요없이 앞바퀴만 회전시키면 뒷바퀴는 자동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앞바퀴 기어(641)가 뒷바퀴 기어(621)보다 직경이 약간 크고 치차 개수도 많아 좌측기어가 90도 회전할 때 우측기어는 100도 가까이 회전하게 한다
간격조절장치(65)는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인데 도 9는 우측을 도시하였다.
간격조절장치는 벨트(652)가 있고 벨트 양단에 사각링(651,653)이 연결되어 있는데 좌측의 사각링(653)은 홀(643)에 고정되어 있고 우측의 사각링(651)은 자유상태로 고리(623)에 걸면 바퀴프레임이 더 이상 벌어지지 못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바퀴(70)는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인데 도 10은 좌측을 도시하였으며 앞바퀴(700)와 뒷바퀴(750)로 구성된다
앞바퀴는 포크베이스(703)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고정볼트(701)가 조립된 베어링(702)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축(708)이 용접되어 있으며 축 좌우에 한쌍의 포크바(705)가 조립되고 포크베이스와 연결판(707) 사이에는 스프링(704)이 조립되고 포크바 하단에는 베어링(710)이 결합된 전륜림(709)이 축볼트(706)로 조립되며 전륜림에는 타이어(711)가 조립된다
외부에서 바퀴를 사용한 후 실내에서 바퀴를 사용하고자 할 때와 휴대하여 이동 할 때에 바퀴에 묻은 오물로부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퀴에 바퀴카바(713,755)를 조립하는데 앞바퀴카바(713)는 경사진 절개면이 있고 절개면 상하로 벨크로(712)가 부착되어 있어 절개면을 벌려 바퀴카바를 타이어에 끼우고 벨크로를 누르면 절개면이 벨크로에 의해 연결된다
뒷바퀴는 베어링(752)이 결합된 후륜림(751)에 브레이크홈(753)이 형성되어 있고 후륜림에는 타이어(754)가 조립되며 뒷바퀴용 바퀴카바(755)는 절개면이 없으며 탄성이 좋은 재료로 구성되어 탄성을 이용하여 카바를 벌린 후 타이어에 끼운다
다음 상기 구성요소들의 결합과 작동을 설명하는데
전체적인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보면 도 1과 3에서
바퀴프레임(60)은 기둥(20) 하단에 용접 연결되고, 간격조절장치(65)의 일단은 앞바퀴프레임의 홀(643)에 사각링(653)으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자유상태로 뒷바퀴프레임의 고리(623)에 걸거나 고리에서 분리 할 수 있다
앞바퀴(700)는 바퀴프레임의 앞바퀴연결바(644)에 고정볼트로 고정되며 뒷바퀴(750)는 바퀴프레임의 축파이프(625)에 축볼트로 고정된다
줄(40)은 줄길이조절장치에 고정연결되고 줄길이조절장치(45)는 가이드파이프 상단에 볼트로 고정된다
탄성력조절장치(55)는 스프링(50) 중간에 탈부착되고, 스프링은 기둥의 링(254)에 탈부착된다
유아탑승대(10)는 유아탑승대 좌우에 있는 다수의 링을 이용하여 기둥 또는 줄 또는 스프링 말단에 탈부착된다
어께벨트(30)와 허리벨트(35)는 말단에 있는 연결링으로 유아탑승장치에 연결하거나 또는 기둥의 링(254,202)에 탈부착 하면 구성요소들의 결합이 완료된다.
작동을 설명하면 도 1과 2에서
기둥(20)의 높이조절 작동은, 평시에는 기둥의 상부파이프에 있는 라체트(203)가 하부파이프 돌기(223)에 걸려 있어 기둥의 높이를 낮출 때는 라체트에 붙은 손잡이(2034)를 당겨 라체트가 돌기로부터 이탈되고 상부파이프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어 높이를 낮출수 있으며 손잡이를 놓으면 스프링(2033)에 의해 라체트가 원위치로 복귀하며 돌기에 걸려 고정되고
높이를 높일 때는 상부파이프를 위로 들어 올리면 돌기는 라체트에 걸리지 않고 이동하고 이동 완료 후에는 라체트가 자동으로 걸려 고정된다.
높이가 크게 변경된다는 것은 볼트를 회전 시켜 약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을 배제하는 것으로 기둥의 높이가 전체 기둥의 절반 가까이 되도록 높낮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뜻함
바퀴프레임(60)을 접는 작동은, 간격조절장치의 사각링(651)을 뒷바퀴프레임에 있는 고리(623)에서 뺀 후에 앞바퀴프레임을 회전시켜 위로 올리면 뒷바퀴프레임이 앞바퀴프레임과 기어로 연결되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위로 올라가게 되므로 접거나 펼 때 두 바퀴를 각각 움직일 필요 없이 한쪽 바퀴만 이동시키면 되며, 기어는 좌측 기어가 우측기어보다 직경이 약간 크고 치차 개수도 많아 좌측기어가 90도 회전할 때 우측기어는 대략 100도 가까이 회전하여 앞뒤바퀴가 수직에 가깝게 되게 한다 앞바퀴프레임이 거의 수직이 되도록 위로 올라가면 앞바퀴프레임에 있는 고정돌기판(644)이 기둥에 있는 고정핀(205)에 자동으로 걸리면서 정지를 하게 되고 접는 작동이 종료된다
바퀴프레임을 펼 때는 기둥에 있는 고정핀(205)을 약간 들어 올리고 앞바퀴프레임을 앞으로 당기면 고정이 풀리면서 회전하여 밑으로 내려오며 동시에 기어로 연결된 뒷바퀴프레임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밑으로 내려온다 계속해서 회전을 시키면 앞바퀴프레임이 제한볼트(606)에 닿아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때 간격조절장치의 사각링(651)을 뒷바퀴프레임에 있는 고리(623)에 걸고 전후 바퀴가 지면에 닿게 하면 간격조절장치의 벨트(652)가 팽팽해지면서 고정된다
브레이크의 작동은, 브레이크레바(624)를 밑으로 내리면 브레이크바의 중간에 있는 돌기가 후륜림(751)에 조성된 브레이크홈(753)에 걸려 뒷바퀴가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탄성력조절장치(55)의 작동은 도 8에서 (e)와 같이 벌린 후 외부스프링(503)과 내부스프링(502)이 겹처진 중앙 부근에 끼운 후 반달형의 좌우 프레임을 손으로 눌러 접근시킨 후 편심원통(560)에 붙은 손잡이(562)를 돌리면 압축이 되면서 좌우 고정판(553,554)이 외부스프링(503)을 상하로 조금씩 벌리고 들어가고 계속해서 내부스프링(502)을 조금씩 벌리고 들어가 평면은 도 (d)와 같은 형상이 되며 단면은 도 (b)와 같이 되어 스프링이 고정판에 고정되어, 고정판과 연결링 사이의 스프링만 유효스프링으로 작동되고 고정판 이후의 스프링은 차단되는 효과가 있어 결과적으로 고정판 아래의 외부스프링과 고정판 위의 내부스프링이 직열연결된 스프링으로 작동하게 된다
내외부 스프링은 각각 탄성계수 값(k)이 있는데 스프링 길이가 달라지면 k 값이 달라지게 되고 F = k * x 에 따라 탄성력 F가 변하게 되는데 스프링의 유효길이를 거의 5-95% 로 조절할 수 있어 k값을 크게 변동시켜 사용 할 수 있고
또한 2종의 스프링이 직열로 연결되면 1/k= 1/k1 + 1/k2 이 되므로
길이변동과 직열연결을 조합화여 이용하면 매우 폭넓게 k값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이동식 점핑 기구들은 1종의 스프링만 사용하고 탄성력조절기능이 전혀 없어 작동길이가 10Cm 내외에서만 일정하게 작동하며 더 이상의 작동길이를 늘릴 수 없고 또한 유아의 체중 증가에 따라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변화가 없어 흥미를 잃게 되나
본 장치는 탄성계수가 다른 2개의 스프링을 탄성력조절장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동길이도 0 - 60Cm로 폭넓게 조절할 수 있어 유아의 수준에 맞추어 처음에는 작동거리가 작게 시작하여 점차 익숙해지면 작동스프링의 길이와 강도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하므로 실증이 잘나지 않으며, 탄성계수의 값을 폭넓게 변경할 수 있어 유아의 체중이 크게 변해도 성능에 차질을 주지 않는다
줄길이조절장치(45)의 줄을 감는 작동은 회전손잡이(455)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축으로 연결된 보빈이 회전하며 줄(40)을 감으며 회전을 멈추면 정지되고 기어에 연결된 라체트(4542)에 의해 역방향으로는 회전이 되지 않는다
줄을 풀 때는 버튼(4544)을 눌러 라체트가 기어에서 이탈되게 한 후 줄을 당기면 보빈이 회전하면서 줄이 풀리게 되고 버튼을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라체트가 원위치로 이동하여 기어에 걸리게 되며 줄이 풀리는 것이 멈추게 되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기둥상부에서 유아탑승대 까지의 줄(작동 되는 줄)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줄길이 조절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진동폭을 제한할 수 있는데
가. 작동되는 줄의 길이를 스프링의 길이보다 짧게 하면 스프링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나. 줄의 길이를 조금 늘려 유아가 착석한 후 늘어난 스프링의 길이보다 짧게 하고 이동할 때 덜컹거리며 장애물을 넘어가면 스프링이 줄 길이 아래로는 신장되지 못하고 위로는 수축작용을 하면서 충격흡수 역할을 하지만 줄에 의해 에너지가 곧 소멸되고 계속적인 자유진동은 하지 않는다.
다. 줄을 더 늘려 착석으로 늘어난 상태의 스프링 길이보다 길게 하면 늘어난 스프링 길이와 줄 길이차이의 2배 범위에서 상하로 자유진동을 하게 되므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줄 길이를 조절하여 진동폭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후 줄길이를 조절하므로서 유아탑승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유아탑승대 전후의 줄길이를 같게 하면 유아가 수직에 가깝게 앉거나 서서 점프할 수 있으며 앞의 줄길이를 점차 짧게 하면 유아탑승대는 점차 뒤로 기울게 되어 수평이 되게 하고 더 기울이면 뒤로 기울어 지면서 거꾸리 같은 효과를 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방법과 구성요소의 조합에 의한 대표적인 이용사례를 보면 도 11에서
(a)아기벨트: 유아탑승대의 상하 연결링에 어깨벨트와 허리벨트를 연결하면 일반적인 아기벨트가 되며
또 다른 방법으로 모든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에서 기둥을 최대한 수축하고 바퀴프레임을 접은 상태로 어깨벨트와 허리벨트를 착용하면 아기벨트로 이용이 가능하다
(b)휴대용 카시트: 모든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에서 기둥을 최대한 수축하고 바퀴프레임을 접은 상태에서 차량용 안전벨트로 고정하면 카시트로 이용이 가능하다
(c)휴대용 유아식탁의자: 모든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에서 기둥 높이를 식탁높이에 맞게 조절한 상태로서 식탁에서 식사할 때 유용
(d)휴대용 유모차: (c)와 동일한 상태로 손으로 밀고 다녀도 되고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싶으면 허리벨트를 허리에 착용하여 허리로 밀고 다녀도 된다
(e)휴대용 스프링말 및 안는기구: (d)와 동일한 상태에서 기둥을 최대한 신장한 상태로 진동폭이 매우 큰 스프링말과 안는기구가 된다,
유아가 점프발걸이를 딛고 일어났다가 급격히 앉으면 그네에서 구르는 것처럼 구르게 되는데 이렇게 구르면 유아탑승대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이 인장 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면서 상하진동을 하게 되며 주기에 맞추어 계속 구르게 되면 상하진폭이 점차 커지며 이 때 보호자가 밀고가면 스프링말이 된다
안는기구로 이용할 때에는 어깨벨트를 착용하여 유아와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상하로 조금씩 굴러 주면서 어깨벨트를 늘어뜨려 어깨에 걸린 하중을 차츰 스프링으로 옮기면 스프링에 걸리는 하중은 기둥에 작용하여 보호자는 전혀 힘이 들지 않게되어 오래도록 안아줄 수 있다
10; 유아탑승대 20: 기둥
30; 어깨벨트 35: 허리벨트
40; 줄 45: 줄길이조절장치
50: 스프링 55; 탄성력조절장치
60; 바퀴프레임 65: 간격조절장치
70: 바퀴 100: 탑승본체
120; 쿠션 140; 안전벨트
160; 점프발걸이 180 발걸이
200; 상부기둥 220; 하부기둥
250; 손잡이 300: 연결벨트
320: 좌우벨트 600: 기어케이스
620: 뒷바퀴프레임 640: 앞바퀴프레임
700: 앞바퀴 750: 뒷바퀴

Claims (6)

  1.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스라이딩 되며 움직여 기둥 전체 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좌우 기둥(20);
    상기 좌우 기둥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바퀴를 지지하며, 접을 때는 지지하는 바퀴가 좌우 기둥 옆에 위치하도록 상향 회전하여 접혀지는 구조의 바퀴프레임(60);
    상기 바퀴프레임이 지지하는 앞바퀴와 뒷바퀴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65);
    상기 바퀴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중 두개 이상의 바퀴가 방향전환이 되는 구조의 바퀴(70);
    상기 좌우 기둥에 탈부착 되며 기둥의 높이변경에 연계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유아탑승대(10) 및
    상기 좌우 기둥 또는 유아탑승대에 탈부착 되는 어깨벨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2.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스라이딩 되며 움직여 기둥 전체 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좌우 기둥(20);
    상기 좌우 기둥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바퀴를 지지하며, 접을 때는 지지하는 바퀴가 좌우 기둥 옆에 위치하도록 상향 회전하여 접혀지는 구조이며, 앞뒤 바퀴를 동시에 접히게 하는 기어가 있는 바퀴프레임(60);
    상기 바퀴프레임이 지지하는 앞바퀴와 뒷바퀴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65);
    상기 바퀴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중 두개 이상의 바퀴가 방향전환이 되는 구조의 바퀴(70);
    상기 좌우 기둥에 탈부착 되며 기둥의 높이변경에 연계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유아탑승대(10) 및
    상기 좌우 기둥 또는 유아탑승대에 탈부착 되는 어깨벨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3.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스라이딩 되며 움직여 기둥 전체 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좌우 기둥(20);
    상기 좌우 기둥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바퀴를 지지하며, 접을 때는 지지하는 바퀴가 좌우 기둥 옆에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접혀지는 구조의 바퀴프레임(60);
    상기 바퀴프레임이 지지하는 앞바퀴와 뒷바퀴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65);
    상기 바퀴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중 두개 이상의 바퀴가 방향전환이 되는 구조의 바퀴(70);
    상기 좌우 기둥 상부와 유아탑승대를 연결하는 다수의 줄(40);
    상기 다수의 줄이 작동하는 길이를 조절하는 줄길이조절장치(45);
    상기 다수의 줄에 탈부착 되어 줄의 길이와 기둥의 높이변경에 연계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유아탑승대(10) 및
    상기 좌우 기둥에 탈부착 되는 어깨벨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4.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스라이딩 되며 움직여 기둥 전체 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좌우 기둥(20);
    상기 좌우 기둥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바퀴를 지지하며, 접을 때는 지지하는 바퀴가 좌우 기둥 옆에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접혀지는 구조의 바퀴프레임(60);
    상기 바퀴프레임이 지지하는 앞바퀴와 뒷바퀴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장치(65);
    상기 바퀴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중 두개 이상의 바퀴가 방향전환이 되는 구조의 바퀴(70);
    상기 좌우 기둥에 연결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유아탑승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60);
    상기 스프링에 탈부착되며 스프링의 유효 작동 길이를 조절하는 탄성력조절장치(65)
    상기 스프링 말단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대(10) 및
    상기 다수의 줄에 탈부착 되어 줄의 길이와 기둥의 높이변경에 연계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유아탑승대(10) 및
    상기 좌우 기둥에 탈부착 되는 어깨벨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아탑승대는
    다리가 관통되는 밑판이 있는 탑승본체(100);
    상기 탑승본체 하부에 구비된 점프발걸이(160);
    유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벨트(140) 및
    다수의 연결용 링(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6. 삭제
KR1020160056099A 2016-05-09 2016-05-09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KR101679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099A KR101679377B1 (ko) 2016-05-09 2016-05-09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099A KR101679377B1 (ko) 2016-05-09 2016-05-09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377B1 true KR101679377B1 (ko) 2016-11-24

Family

ID=5770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099A KR101679377B1 (ko) 2016-05-09 2016-05-09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6171A (zh) * 2018-06-25 2018-12-04 杨秀龙 一种可按婴儿体型生长调整的伸展式婴儿家庭椅
KR20200131456A (ko) 2019-05-14 2020-11-2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소아 환자용 링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6171A (zh) * 2018-06-25 2018-12-04 杨秀龙 一种可按婴儿体型生长调整的伸展式婴儿家庭椅
CN108926171B (zh) * 2018-06-25 2021-10-26 汇森家具(龙南)有限公司 一种可按婴儿体型生长调整的伸展式婴儿家庭椅
KR20200131456A (ko) 2019-05-14 2020-11-2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소아 환자용 링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5005B2 (en) Convertible child seat
US10442451B2 (en) Mobile child support device
US9888786B2 (en) Child sleeping apparatus
US8162333B1 (en) Combination child walker and high chair
US4253658A (en) Folding juvenile chair attachable to a table top
CN102512028B (zh) 幼儿摇具和蹦具装置及其操作方法
US8439765B2 (en) Child swing and jumper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TWM508254U (zh) 改良型嬰兒床的支撐裝置
US20160227939A1 (en) Gliding child support device
CN108146488B (zh) 用于儿童推车且在躺卧状态和至少一个坐立状态之间进行转换的可转换支撑件及相应的推车
US20050110320A1 (en) Multi-functional child high chair
US9756962B2 (en) Access-optimized mobile infant support
TW201408278A (zh) 拐杖椅
JP2012505101A (ja) 装置及び方法
KR101679377B1 (ko)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US2992441A (en) Folding play-yard
JP2012533397A (ja) 育児補助器具
ES2879397T3 (es) Moisés convertible de colecho y mesa cambiadora
KR100937440B1 (ko) 의자를 앞뒤로 젖혀 타는 그네
TWM424868U (en) Baby walker
KR100835693B1 (ko) 유아용 그네 안전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아용 그네
US628700A (en) Reclining-chair.
EP0865246A1 (fr) Table de soins securisee pour nouveaux-nes et enfants en bas age ou table a langer de surete
US11445834B2 (en) Baby tram
RU189203U1 (ru) Садовые каче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