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412B1 -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412B1
KR102096412B1 KR1020180133263A KR20180133263A KR102096412B1 KR 102096412 B1 KR102096412 B1 KR 102096412B1 KR 1020180133263 A KR1020180133263 A KR 1020180133263A KR 20180133263 A KR20180133263 A KR 20180133263A KR 102096412 B1 KR102096412 B1 KR 10209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rojection
binding
plate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목
유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Priority to KR102018013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자의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는 쿠션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유아가 착석한 상태의 외형을 그대로 본을 떠서 성형한 일체형 유아의자(A);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유아의자(A)가 삽입되는 턱홈(B1)이 상단에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바퀴(B2)를 구비하는 이동판(B);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B)의 상단 둘레 일측에 결합되어 유아의자(A)를 견인시킬 수 있는 견인손잡이(C); 및 그 유아의자(A)의 양측에 장치되는 결속돌기(D);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B)의 양측 상단에 장치되어 유아의자(A)의 결속돌기(D)를 결속하는 결속버클(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Carrier device for Baby chair}
본 발명은 유아의자의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4355508를 통해 쿠션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유아가 착석한 상태의 외형을 그대로 본을 떠서 만든 일체형 유아의자;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유아의자가 삽입되는 턱홈이 상단에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이동판;을 결합하여, 필요시 유아의자의 이동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캐리어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이하 '종래'라 함).
그러나 종래는 이동판이 결합되더라도 그 유아의자의 높이가 상당히 낮으므로, 이동시 보호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는 이동판의 상단 턱홈을 형성하여 끼움삽입하는 형태로 유아의자를 삽입하여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수단은 상호 간에 결속되지 않으므로, 사용중 이동판으로부터 유아의자가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유아의자"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5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개/등록공보: 1017790770000, 1017463650000, 1017703850000, 1018827660000, 2020170004249.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유아의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유아의자와 이동판 간에 결속이 이루어지는 캐리어장치를 제안하려는 데 그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이동판을 견인시킬 수 있는 견인손잡이를 장치하는 수단과 상기 유아의자에 결속돌기를 장치하고 이동판 간에 그 결속돌기를 결속할 수 있는 결속버클를 장치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견인손잡이를 이용하여 유아의자의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속돌기와 결속버클에 의해 유아의자와 이동판 간에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유아의자의 이동시 보호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아되 됨은 물론 사용중 의도하지 않는 유아의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시도(a) 및 그 단면도(b)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이동판으로부터 견인손잡이 부분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견인손잡이 부분을 일부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도 4를 측면에서 본 분해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작동 단면도
도 8은 도 1의 견인손잡이에 대한 사용 예시도
도 9는 도 1에서 유아의자 및 이동판으로부터 결속돌기와 결속버클을 분해한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반대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도 9를 평면에서 본 결합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결속구에 결합되는 벨트판(50)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사용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쿠션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유아가 착석한 상태의 외형을 그대로 본을 떠서 성형한 일체형 유아의자(A);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유아의자(A)가 삽입되는 상단의 턱홈(B1)이 상단에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바퀴(B2)를 구비하는 이동판(B);을 포함하는 종래의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를 기초로 한다.
이하, 도2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의 구성 중 이동판(B)의 상단 둘레 일측에 결합되어 유아의자(A)를 견인시킬 수 있는 견인손잡이(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견인손잡이(C)의 부가에 의해 종래와 같이 보호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유아의자(A)의 이동에 대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의 활용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이동판(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둘레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10); 그 삽입홈(10)의 내부 양측 면에 형성되는 힌지축공(11); 그 힌지축공(11)을 중심으로 삽입홈(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정홈(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견인손잡이(C)는 이동판(B)의 삽입홈(1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0); 그 삽입돌기(20)의 내부로부터 외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힌지축(21); 그 삽입돌기(20)의 양측 면에 힌지축(21)의 전방으로부터 여유를 갖도록 형성되는 작동안내공(22); 그 삽입돌기(20)의 내부 중간 선단로부터 힌지축(21)을 탄지하는 스프링(23); 그 삽입돌기(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각도조정돌기(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판(B)의 삽입홈(10)에 견인손잡이(C)의 삽입돌기(20)가 삽입되고, 그 삽입홈(10)의 힌지축공(11)에 삽입돌기(20)의 힌지축(21)이 삽입되며, 그 삽입홈(10)에 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정홈(12) 중 어느 하나의 각도조정홈(12)에 삽입돌기(20)의 각도조정돌기(24)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견인손잡이(C)는 이동판(B)으로부터 견인손잡이(C)의 당김에 따라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삽입돌기(20) 내의 스프링(23)이 수축되고, 그 스프링(23)의 수축에 의해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안내공(22)을 따라 삽입홈(10)으로부터 삽입돌기(20)가 후퇴되어 각도조정홈(12)으로부터 각도조정돌기(24)가 이탈되며, 그러한 상태에서 견인손잡이(C)를 희망하는 각도로 회동시킨 후, 당김을 풀면 각도조정돌기(24)가 또 다른 각도에 위치하는 각도조정홈(12)에 탄성결합되어 각도가 조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견인손잡이(C)는 이동판(B)으로부터 회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그 회동각도가 조정되는 구조로 결합되되, 견인손잡이(C)의 당김에 의해 각도가 조정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렇게 하면, 비사용시 견인손잡이(C)를 수직으로 세워 거치적거리지 않게 할 수 있고, 사용시 견인이 용이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으며, 특히 그 각도조정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견인손잡이(C)의 삽입돌기(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분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삽입돌기(20) 내에 힌지축(21)과 스프링(23)의 장착이 용이함은 물론 연결대(C2)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특히 삽입홈(10)으로부터 삽입돌기(20)의 결합시 일측 반분체를 삽입홈(10)에 삽입한 다음, 그 일측 반분체로부터 힌지축(21)을 삽입홈(10)의 힌지축공(11)에 삽입한 후, 그 힌지축공(11)에 스프링(23)을 탄설한 다음, 타측 반분체를 결합함으로써, 삽입홈(10)과 삽입돌기(20) 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반분체를 분리하지 않으면 결합이 분해되지 않으므로 의도하지 않는 분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반분체 및 삽입돌기(20)와 연결대(C2) 간에는 볼트체결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B)의 삽입홈(10) 내에 형성되는 각도조정홈(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손잡이(C)가 수직으로 위치되는 지점과, 후방으로 30도 각도로 경사지는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견인손잡이(C)는 이동판(B)에 결합되는 유아의자(A)의 방향에 따라 앞에서 당기거나, 뒤에서 미는 방식으로 유아의자(A)를 견인시킬 수 있는데, 30도로 경사진 각도는 뒤에서 밀때 힘의 전달력이 향상됨은 물론 미는 동작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특히 견인손잡이(C)를 앞에서 당길때에는 당기는 힘에 의해 견인손잡이(C)가 이동판(B)으로부터 이탈되어 회동각도가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당기는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견인손잡이(C)가 수평으로 위치되는 각도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정홈(12)과 각도조정돌기(24) 간에 걸려지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보호자가 앉은 상태에서 유아의자(A)를 앞으로 당겼다가 미는 요람동작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람으로 유아의 돌봄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견인손잡이(C)는 손잡이부(C1); 그 손잡이부(C1)와 연결되는 신축형 연결대(C2); 그 연결대(C2)의 끝단에 결합되는 삽입돌기(20); 그 손잡이부(C1)에 장치되는 조정버튼(C11); 그 조정버튼(C11)의 눌림에 따라 연결대(C2)가 신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여행용 캐리어의 견인손잡이(C)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주지관용한 구성이므로 생략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시 견인손잡이(C)의 길이를 늘릴 수 있으므로 견인이 더욱더 편리함은 물론 비사용시 견인손잡이(C)의 길이를 짧게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의 용이성이 더욱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8을 참조하면, 도8의 (a)는 견인손잡이(C)를 이용하여 유아의자(A)를 미는 동작으로 견인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당기는 동작으로 견인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c)는 요람을 행할 때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견인손잡이(C)의 사용상태 및 그 편의성을 파악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2 내지 도3 및 도9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의 구성 중 유아의자(A)의 양측에 장치되는 결속돌기(D); 상기 이동판(B)의 양측에 장치되어 유아의자(A)의 결속돌기(D)를 결속하는 결속버클(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유아의자(A)와 이동판(B) 간에 결속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중 의도하지 않는 유아의자(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결속돌기(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자(A)의 양측에 장착되는 장착판(31); 그 장착판(31)의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축봉(32); 그 축봉(32)의 끝단에 형성되는 타원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버클(E)은 이동판(B)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안내홈(41); 그 삽입안내홈(41)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는 회전판(40); 그 회전판(40)에 삽입안내홈(41)으로부터 이어지게 형성되는 삽입홈(42); 그 회전판(40)을 회전하게 할 수 있는 회전손잡이(43); 그 회전판(40)의 표면에 유아의자(A)의 결속돌기(D)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결속구(44);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돌기(D)의 타원판(30)은 결속버클(E)의 삽입안내홈(41)으로 삽입되어 회전판(40)의 삽입홈(42)에 삽입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회전판(40)의 회전에 따라 삽입홈(42)으로부터 삽입안내홈(41)으로 이어지는 통로를 폐쇄하여 결속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결속버클(E)에 의한 결속돌기(D)의 결속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그 결속이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착탈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속버클(E)은 이동판(B)의 양측 상단에 회전판(40)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홈(45); 그 회전홈(45) 내측 둘레를 따라 회전판(40)이 결합되게 하는 결합돌턱(46) 및 그 결합돌턱(46)와 결합되는 결합턱홈(47);을 회전판(40)에 형성하고, 그 삽입홈(42)으로부터 회전판(4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동판(B)의 양측 상단을 수평절단하여 상부 덮개(48)와 하부 장착면(49)으로 형성하고, 그 장착면(49)으로부터 덮개(48)를 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이동판(B)으로부터 회전판(40)의 결합 및 회전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장치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작동이 원활한 효과가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덮개(48)와 장착면(49)은 덮개(48)의 양측 상부로부터 장착면(49)으로 이어지도록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40)의 삽입홈(42) 중앙 입구에는 결속돌기(D)의 축봉(32)이 걸려지는 걸림돌기(421);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결속돌기(D)가 정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경기술에 설명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779077을 통해 유아의자(A)로부터 유아가 일어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벨트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결속장치는 결속버클(E)의 표면에 선등록특허의 결속돌기(D)와 동일한 결속구(44)를 채용함으로써 선등록특허의 벨트판(50)을 연이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결속구(44)는 결속버클(E)의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축봉(321)와, 그 축봉(321)의 선단에 형성되는 타원판(3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구(44)는 결속버클(E)의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축봉(441); 그 축봉(441)의 선단에 형성되는 타원판(4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구(44)에 관통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공(51); 그 결속공(51)의 일측에 벨트(53)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는 벨트홈(52);을 갖춘 벨트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유아의자(A)에 결합된 이동판(B)의 결속구(44)로부터 벨트판(50)을 결합하여 벨트(53)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자(A)에 앉은 유아의 의도하지 않는 이동을 단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벨트판(50)의 결속공(51)은 타원판(442)이 삽입되는 타원공(511); 그 타원공(511)의 외주연에 결속구(44)의 축봉(441)이 일측으로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게 하는 입구가 좁고 안쪽은 넓은 구조를 갖춘 결속홈(512); 그 결속홈(512)이 타원공(511)의 외주면으로부터 여러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벨트판(50)의 벨트홈(52)은 벨트판(50)의 중심으로부터 여러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결속구(44)로부터 벨트판(50)의 편리한 결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그 벨트판(50)의 착탈이 편리하고, 사용중 벨트판(50)의 의도하지 않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러방향으로 벨트(53)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쿠션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유아가 착석한 상태의 외형을 그대로 본을 떠서 성형한 일체형 유아의자(A);를 대상으로 하고, 상기 유아의자(A)가 삽입되는 턱홈(B1)이 상단에 형성되고, 저면에 다수의 바퀴(B2)를 구비하는 이동판(B); 그 유아의자(A)의 양측에 장치되는 결속돌기(D);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B)의 양측 상단에 장치되어 유아의자(A)의 결속돌기(D)를 결속하는 결속버클(E);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돌기(D)는 유아의자(A)의 양측에 장착되는 장착판(31); 그 장착판(31)의 표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축봉(32); 그 축봉(32)의 끝단에 형성되는 타원판(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버클(E)은 이동판(B)의 양측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안내홈(41); 그 삽입안내홈(41)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는 회전판(40); 그 회전판(40)에 삽입안내홈(41)으로부터 이어지게 형성되는 삽입홈(42); 그 회전판(40)을 회전하게 할 수 있는 회전손잡이(43); 그 회전판(40)의 표면에 유아의자(A)의 결속돌기(D)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결속구(44);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돌기(D)의 타원판(30)은 결속버클(E)의 삽입안내홈(41)으로 삽입되어 회전판(40)의 삽입홈(42)에 삽입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회전판(40)의 회전에 따라 삽입홈(42)으로부터 삽입안내홈(41)으로 이어지는 통로를 폐쇄하여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B)의 상단 둘레 일측에 결합되어 유아의자(A)를 견인시킬 수 있는 견인손잡이(C);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B)은 상단 둘레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10); 그 삽입홈(10)의 내부 양측 면에 형성되는 힌지축공(11); 그 힌지축공(11)을 중심으로 삽입홈(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정홈(12);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손잡이(C)는 이동판(B)의 삽입홈(1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0); 그 삽입돌기(20)의 내부로부터 외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힌지축(21); 그 삽입돌기(20)의 양측 면에 힌지축(21)의 전방으로부터 여유를 갖도록 형성되는 작동안내공(22); 그 삽입돌기(20)의 내부 중간 선단로부터 힌지축(21)을 탄지하는 스프링(23); 그 삽입돌기(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각도조정돌기(24);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B)의 삽입홈(10)에 견인손잡이(C)의 삽입돌기(20)가 삽입되며, 그 삽입홈(10)의 힌지축공(11)에 삽입돌기(20)의 힌지축(21)이 삽입되고, 그 삽입홈(10)에 형성되는 다수의 각도조정홈(12) 중 어느 하나의 각도조정홈(12)에 삽입돌기(20)의 각도조정돌기(24)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견인손잡이(C)는 이동판(B)으로부터 견인손잡이(C)의 당김에 따라 힌지축(21)을 중심으로 삽입돌기(20) 내의 스프링(23)이 수축되고, 그 스프링(23)의 수축에 의해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안내공(22)을 따라 삽입홈(10)으로부터 삽입돌기(20)가 후퇴되어 각도조정홈(12)으로부터 각도조정돌기(24)가 이탈되며, 그러한 상태에서 견인손잡이(C)를 희망하는 각도로 회동시킨 후, 당김을 풀면 각도조정돌기(24)가 또 다른 각도에 위치하는 각도조정홈(12)에 탄성결합되어 각도가 조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3263A 2018-11-02 2018-11-02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KR10209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63A KR102096412B1 (ko) 2018-11-02 2018-11-02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63A KR102096412B1 (ko) 2018-11-02 2018-11-02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253A Division KR102112054B1 (ko) 2020-02-11 2020-02-11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412B1 true KR102096412B1 (ko) 2020-04-03

Family

ID=7028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263A KR102096412B1 (ko) 2018-11-02 2018-11-02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912A (ko) * 2020-02-11 2020-05-12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142U (ko) * 2011-04-08 2012-10-17 서명득 아기의자 및 아기의자용 카트
KR20130006058U (ko) * 2012-04-10 2013-10-21 김국천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KR20140094356A (ko) *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용 이동기구
KR101503305B1 (ko) * 2014-07-21 2015-03-17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의자 및 그 이동판
KR101770385B1 (ko) * 2016-12-21 2017-08-22 주식회사 우현 유아용 의자
KR101779077B1 (ko) 2017-06-07 2017-09-18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142U (ko) * 2011-04-08 2012-10-17 서명득 아기의자 및 아기의자용 카트
KR20130006058U (ko) * 2012-04-10 2013-10-21 김국천 유아용 이동식 의자 고정장치
KR20140094356A (ko) * 2013-01-22 2014-07-30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용 이동기구
KR101503305B1 (ko) * 2014-07-21 2015-03-17 주식회사 퓨라인터내셔널 유아의자 및 그 이동판
KR101770385B1 (ko) * 2016-12-21 2017-08-22 주식회사 우현 유아용 의자
KR101779077B1 (ko) 2017-06-07 2017-09-18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912A (ko) * 2020-02-11 2020-05-12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KR102112054B1 (ko) 2020-02-11 2020-05-18 주식회사 스마트브레인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9478U (ko)
CN106572937B (zh) 具有另外的安装框架的行驶辅助装置
US20100230933A1 (en) Stroller Adapter for an Infant Car Seat
CA2141723A1 (en) Multimode travelling bag
KR102096412B1 (ko)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CN110712614B (zh) 织带高度调整装置
KR102112054B1 (ko) 유아의자용 캐리어장치
TWM577278U (zh) Children's chair
US20110113601A1 (en) Buckle
US7273224B2 (en) Tray device for stroller
JP3166588U (ja) キャリーバッグに取付可能な鞄
US20180214350A1 (en) Combined toy and pacifier assembly and pacifier attachment device for use therein
KR101989776B1 (ko)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
CN214759522U (zh) 磁性扣接组
JP3184906U (ja) スーツケース等のバッグ類における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JP3076897B2 (ja) サイズ調節具
CN210184810U (zh) 箱包连接结构及包括其的箱包
JP2022508826A (ja) 入れ物(コンテナ)接続システム
JP3087730U (ja) レールの前引張式ロック解除構造
CN113598080B (zh) 一种宠物牵引器
CN218750964U (zh) 一种角度可调的磁吸安全扣具
US10932530B2 (en) Container connection system
CN215684167U (zh) 一种宠物胸背带
CN210043404U (zh) 一种多用途背包
JPS6017125Y2 (ja) ランドセル等の蓋板係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