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357B1 - 각도 조절 및 백래쉬 방지가 가능한 흔들 침대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 및 백래쉬 방지가 가능한 흔들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357B1
KR102265357B1 KR1020190121458A KR20190121458A KR102265357B1 KR 102265357 B1 KR102265357 B1 KR 102265357B1 KR 1020190121458 A KR1020190121458 A KR 1020190121458A KR 20190121458 A KR20190121458 A KR 20190121458A KR 102265357 B1 KR102265357 B1 KR 10226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gle
frame
crankshaf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920A (ko
Inventor
정태현
김찬식
Original Assignee
몽가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몽가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몽가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37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또는 상하 왕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숙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흔들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부, 고정 프레임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소정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동 프레임부, 및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축 및 로드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크랭크축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여 회전 운동시 발생하는 백래쉬(Back lash)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 프레임부의 상면에 접하는 중심 프레임부 및 중심 프레임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힌지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절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 및 백래쉬 방지가 가능한 흔들 침대{ANGLE ADJUSTABLE AND FREE- BACK LASH ROCKING BED}
본 발명은 흔들 침대에 관한 것으로, 좌우 또는 상하 왕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숙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흔들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용자에게 휴식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수면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공간이다. 22세 내지 38세의 건강한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고정 침대와 흔들 침대에서 수면을 취하게 한 후 다윈검사를 실시한 연구 결과 발표(스위스 제네바대학, 소피 스워츠 교수)에 따르면, 고정 침대보다 흔들 침대에서 잠을 자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된다.
선행문헌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2380호)는 침대 프레임의 하부가 곡면형으로 마련되어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 곡면을 따라 회전이동되기 때문에 침대가 뒤집어 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없고, 위치 고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2(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6977호)는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된 프레임이 회전이동 되기 때문에 침대가 뒤집어져 사용자가 이탈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크랭크 운동에 의한 좌우 또는 상하 수평방향의 왕복 운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해먹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흔들 침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백래쉬(Back lash)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흔들 침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더불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흔들 침대를 제안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2380호(2011.02.16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6977호(1999.06.21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숙면을 할 수 있는 안전한 흔들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에게 해먹 효과를 통해 깊은 숙면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백래쉬(Back lash)를 방지하는 흔들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백래쉬를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소음과 흔들림이 없는 안락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매트리스를 적용할 수 있는 흔들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 수평 왕복 운동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흔들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각도 조절과 동시에 해먹 효과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수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흔들 침대 또는 기존의 침대 프레임 위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절 프레임부를 별도로 추가 결합할 수 있는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왕복 운동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되, 두께가 얇은 침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부, 고정 프레임부의 상면에 위치하여 소정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동 프레임부, 및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축 및 로드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크랭크축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여 회전 운동시 발생하는 백래쉬(Back lash)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 프레임부의 상면에 접하는 중심 프레임부 및 중심 프레임부의 일단 또는 타단에 힌지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절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흔들 침대의 왕복 운동을 통해 해먹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소음과 흔들림이 없는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프레임부는 지면에 고정되고, 이동 프레임부의 정해진 범위 내에서의 왕복 운동만을 통해 해먹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안정적인 흔들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매트리스를 적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중인 매트리스를 바로 흔들 침대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부가 고정 프레임부의 롤러홈에 삽입됨으로써 보다 얇은 두께의 흔들 침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어, 종래의 다양한 두께의 매트리스를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장력으로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는 벨트부가 장력 조절부의 이동판에 의해 장력이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프레임부를 한 쌍으로 구비하여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 수평 왕복 운동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 프레임부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침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프레임부의 상면에 조절 프레임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어, 종래의 흔들 침대 사용자도 추가 구매 없이 조절 프레임부만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상체 및 하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상체를 일으키거나, 다리의 혈액순환을 위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감소시키고,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프레임부의 좌우 왕복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장력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장력 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의 장력 조절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장력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에 따른 조절 프레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조절 프레임부의 타측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또한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화살표 방향 즉, 고정 프레임부(100) 및 이동 프레임부(200)의 너비 방향을 횡방향, 길이 방향을 종방향으로 정의한다. 즉, 횡방향은 직사각형상의 고정 프레임부(100) 및 이동 프레임부(200)를 기준으로 짧은 변의 방향을 말하며, 횡방향의 양측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설명한다. 종방향은 횡방향과 동일 평면상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직사각형상의 고정 프레임부(100) 및 이동 프레임부(200)를 기준으로 긴 변의 방향을 말하며, 종방향의 양측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고정 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이동 프레임부(200)가 위치한 방향을 상측 방향, 이동 프레임부(200)를 기준으로 고정 프레임부(100)가 위치한 방향을 하측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며, 고정 프레임부(100) 및 이동 프레임부(200) 각각의 상측 방향 면을 상면, 하측 방향 면을 하면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수평 방향은 중력 방향에 수직인 지면에 평행한 평면상의 방향을 말하며, 고정 프레임부(100) 및 이동 프레임부(200)는 각각 지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연결"은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말할 수도 있으나, 유동적으로 관절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말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가장 대표적인 실시예인 제 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에 추가된 실시예 또는 변형된 실시예들을 이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는 지면에 접하도록 위치되어 흔들 침대를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부(100),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위치되는 이동 프레임부(200), 이동 프레임부(200)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부(300), 이동 프레임부를 왕복 운동 시키는 구동부(400) 및 장력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부(100)는 흔들 침대가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침대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고정 프레임부(100)는 침대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침대의 매트리스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의 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프레임부(100)의 하면에는 지면과 고정 프레임부(100) 사이를 지지하는 다리 또는 바퀴 등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중요한 구성이 아님으로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 프레임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견고한 지지를 위해 직사각형의 테 형상의 내측 빈 공간에 복수의 고정 내부프레임(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내부프레임(110)은 고정 프레임부(100)의 내부를 종방향으로 종단하거나 횡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프레임부(100)와 고정 내부프레임(110) 및 서로 다른 고정 내부프레임(110) 사이를 종단하거나 횡단하도록 고정 내부프레임(1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롤러부(300), 구동부(400) 및 장력 조절부(500)는 고정 내부프레임(110)에 구비됨으로써, 각 구성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소음이 억제되어 사용자의 숙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들이 고정 내부프레임(110)에 구비되어 고정 프레임부(100)의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음으로써 본 발명의 흔들 침대의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고정 프레임(100)이 사각 테 형상의 프레임 및 고정 내부프레임(11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 프레임부(200)는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소정의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소정의 제1 방향은 횡방향 또는 종방향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제 1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제1 방향을 횡방향으로 설명한다. 상세하게, 이동 프레임부(200)는 상술한 고정 프레임부(100)와 같이 침대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직사각형의 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이동 프레임부(200)는 직사각형의 테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 내부프레임(2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동 프레임부(200)는 매트리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부(100)와 동일한 크기 또는 보다 큰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내부프레임(210)이 구비됨으로써, 이동 프레임부(200) 상면에 위치되는 매트리스 및 사용자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안정적인 흔들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프레임부(200)는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부(300) 및 고정 프레임부(100)와 이동 프레임부(200)에 연결 체결된 구동부(40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좌우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왕복 운동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프레임부의 좌우 왕복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이동 프레임부(200)가 왕복 운동 범위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이동 프레임부(200)가 왕복 운동 범위의 우측 끝에 위치한 상태, 도 2c는 이동 프레임부(200)가 왕복 운동 범위의 좌측 끝에 위치한 상태를 횡단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부(100)는 지면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위치한 이동 프레임부(200)는 롤러부(30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평 방향 왕복 운동은 소정의 제1 방향인 좌우 왕복운동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롤러부(300)는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롤러홈(320)에 삽입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고정 프레임부(100)의 고정 내부 프레임(110) 상면에 형성된 롤러홈(320)에 롤러부(300)가 삽입되어 구비되되, 롤러부(300)의 소정 영역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롤러부(300)의 소정 영역이 이동 프레임부(20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도록 롤러부(300)의 소정 영역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롤러부(300)는 전체가 돌출되도록 고정 프레임부(100) 상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고정 프레임부(100)에 롤러홈(320)에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의 프레임 두께를 비교적 얇게 형성하여 다양한 두께의 종래 매트리스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홈(320)은 고정 프레임부(100) 또는 고정 내부 프레임(110)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부(300)는 롤러홈(320)에 대응되도록 각 롤러홈(320)에 하나씩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롤러부(300)는 롤러축(310)이 롤러홈(320) 및 롤러부(300)의 중점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롤러부(300)는 롤러축(31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함으로써 이동 프레임부(200)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장력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400)는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이동 프레임부(200)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며, 크랭크축(411), 제1 연결판(412), 로드(413), 동력부(420) 및 제2 연결판(430)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구동부(400)는 고정 프레임부(100) 및 이동 프레임부(200)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 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이동 프레임부(200)가 소정의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크랭크축(411) 및 로드(413)는 크랭크 운동을 통해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a는 이동 프레임부(200)가 왕복 운동 범위의 중앙에 위치한 도 2a에 대응되는 구동부(4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이동 프레임부(200)가 왕복 운동 범위의 우측 끝에 위치한 도 2b에 대응되는 구동부(400), 도 5c는 이동 프레임부(200)가 왕복 운동 범위의 좌측 끝에 위치한 도 2c에 각각 대응되는 구동부(40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크랭크축(411)은 제2 연결판(430)에 의해 고정 프레임부(100)에 연결 구비될 수 있으며, 로드(413)는 제1 연결판(412)에 의해 이동 프레임부(200)에 연결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2 연결판(430)은 고정 내부 프레임(110), 제1 연결판(412)는 이동 내부 프레임(210)에 고정되도록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연결판(412)는 "ㄴ"형상으로 일면이 이동 내부 프레임(210)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랭크축(411)은 고정 내부 프레임(110)의 측면에 일면이 접하도록 고정 구비된 제2 연결판(430)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동력부(4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동력부(420)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동력축(421)에 중심이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크랭크축(411)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하면 중심이 동력축(421)과 고정되도록 연결 구비되어 동력부(420)에서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동력축(421)이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크랭크축(411)이 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부(420)는 일반적으로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동력축(421)은 모터의 회전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방향 회전 운동하는 크랭크축(411)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 가장자리에 로드(413)가 연결되어, 크랭크(411)의 회전 운동을 로드(413)가 왕복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세하게, 로드(413)의 일단은 크랭크(411)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로드 연결축(414)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은 로드 회전축(415)에 의해 제1 연결판(412)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413)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막대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드(413)는 일단이 크랭크축(411)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면의 일 가장자리에 로드 연결축(414)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 프레임부(200)에 고정 구비된 제1 연결판(412)과 로드 회전축(415)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랭크(411)의 회전 운동에 의해 로드(413)가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로드(413)가 왕복 운동함에 따라 로드(413)와 연결된 이동 프레임부(200)가 로드(413)의 왕복 운동에 연동하여 고정 프레임부(100)의 일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좌우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5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장력 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의 장력 조절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장력 조절부(500) 및 벨트부(600)는 크랭크축(411)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여 회전 운동시 발생하는 백래쉬(Back lash)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백래쉬 현상은 기어가 부드럽게 무리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가 서로 맞물렸을 때 사이의 틈새가 형성되게 되는데, 회전 방향이 바뀌는 경우 기어 사이의 틈새 공간만큼 오차가 발생하여 매끄러운 회전이 되지 않고 소음이 발생되며, 기어 간의 맞물림이 어긋나 기어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흔들 침대에서는 동력부(420) 내의 기어에 의해 백래쉬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백래쉬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침대의 수평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시 기어의 맞물림 현상으로 인한 매끄럽지 못한 운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소음이 발생하고, 흔들 침대의 왕복 운동방향이 아닌 타 방향으로의 흔들림, 진동 등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백래쉬 현상으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부(420)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크랭크축(411)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여 회전 운동시 발생하는 백래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다 효과적으로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외력이 크랭크축(411)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소정의 외력은 장력, 마찰력, 압력 등 크랭크축(411)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또는 크랭크축(411)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힘은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소정의 외력은 크랭크축(411)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제공되되, 둘 이상의 힘이 대칭되도록 제공되어 크랭크축(411)의 중심축에서 힘의 크기가 0이 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장력 조절부(500) 및 벨트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장력 조절부(500)는 고정 프레임부(100)에 고정 구비되고, 크랭크축(411)과 벨트부(600)로 연결되어 크랭크축(411)의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장력 조절부(500)는 고정 프레임부(100)에 하나 이상 고정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400)를 중심으로 양 측에 대칭되도록 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부(600)는 크랭크축(411) 및 장력 조절부(500)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으며, 장력 조절부(500)가 둘 구비되는 경우, 벨트부(600)도 둘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소정의 외력은 벨트부(600)로부터 제공되는 장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하나 이상의 벨트부(600)가 크랭크축(411) 및 장력 조절부(500)에 동시 체결되어, 크랭크축(411)을 장력 조절부(500)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크랭크축(411)에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장력 조절부(500) 및 벨트부(600)가 각각 대칭되도록 둘 구비되어, 크랭크축(411)을 벨트부(600)가 각각 체결된 장력 조절부(500)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크랭크축(411)에 외력을 제공하여, 백래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장력 조절부(5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500)는 벨트부(600)를 크랭크축(411) 방향 또는 크랭크축(4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벨트부(600)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장력 조절부(500)는 고정 내부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고정판(510), 고정판(5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좌우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판(520), 이동판(520)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벨트부(600)를 가이드하는 벨트 가이드링(531), 이동판(520)의 수평 이동을 조절하는 제1 조절볼트(541) 및 제2 조절볼트(542)를 포함한다.
도 7a는 이동판(520)이 고정판(51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b 및 도7c는 각각 이동판(520)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수평 이동된 것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와 같이, 이동판(520)이 좌우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이동판(520)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벨트 가이드링(531)이 함께 좌우로 이동하면서 벨트부(6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판(510)은 "
Figure 112019100378665-pat00001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 프레임부(100)에 고정 지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판(510)은 고정 내부프레임(110)에 제2 연결판(430)과 종 방향으로 나란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판(520)은 고정판(510)의 내측에 고정판(510)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되, 고정판(510)의 좌우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구비되어 고정판(510) 내측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이동판(520)은 중심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판 형상을 더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고정판(510)의 내측에서 고정판(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이동판(520)의 중심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판에는 높이조절 볼트(532)가 관통될 수 있다. 높이조절 볼트(532)는 이동판(520)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고, 높이조절 너트(533)의 조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높이조절 볼트(532)의 상측 끝단에는 벨트 가이드링(531)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 볼트(532) 및 높이조절 너트(533)의 나사 운동에 의해 벨트 가이드링(531)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동판(520)은 고정판(510)의 일측판 및 타측판에 각각 관통 구비되는 제1 조절볼트(541) 및 제2 조절볼트(542)의 나사운동에 의해 좌우 수평 이동되며, 이동판(520)이 좌우 수평이동됨에 따라 벨트부(60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조절볼트(541) 및 제2 조절볼트(542)는 고정판(510)의 일측판 및 타측판에 형성된 나사골을 구비하는 홈에 나사 운동을 통해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이동판(520)이 좌우 수평 이동하여 벨트 가이드링(531)이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크랭크축(411)의 둘레면 및 벨트 가이드링(531)의 둘레면을 따라 체결된 벨트부(600)가 크랭크축(411)과 벨트 가이드링(531)의 거리가 조절됨에 의해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벨트부(600)가 둘 구비되는 경우, 벨트부(600)가 서로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크랭크축(411)의 상측 둘레면 및 하측 둘레면에 각각 서로 다른 벨트부(6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랭크축(411)의 외주면 상측 및 하측 각각에 구비된 서로 다른 벨트부(600)는 서로 다른 장력 조절부(500)의 벨트 가이드링(531)에 각각 지면과 평행하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랭크축(411)에 체결된 벨트부(600)가 지면과 평행하도록 벨트 가이드링(531)이 높이조절 볼트(532)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제 1 실시예를 기준으로 추가 또는 변형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후술되는 실시예들은 제 1 실시예를 기준으로 추가 또는 변형되는 실시예들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술하도록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이동 프레임부(200)가 구비되어 소정의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흔들 침대를 설명하였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이동 프레임부(200)는 한 쌍으로 서로 포개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실시예에서 이동 프레임부(200)는 제1 이동 프레임부(200`) 및 제2 이동 프레임부(200``)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이동 프레임부(200`)는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소정의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되, 제2 이동 프레임부(200``)는 제1 이동 프레임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소정의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동일 평면 상의 방향으로, 지면에 평행한 수평 방향이되, 제1 방향은 좌우 왕복 운동하는 횡방향, 제2 방향은 상하 왕복 운동하는 종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부(100) 상측에 제1 이동 프레임부(200`)가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좌우 왕복 운동하며, 제1 이동 프레임부(200`)의 상측에 제2 이동 프레임부(200``)가 더 구비되어 제1 이동 프레임부(200`)와 동일한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왕복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롤러부(300) 및 구동부(400)는 각각 고정 프레임부(100)와 제1 이동 프레임부(200`)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롤러부(300`) 및 제1 구동부(400`), 제1 이동 프레임부(200`)와 제2 이동 프레임부(200``)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롤러부(300``) 및 제2 구동부(400``)로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횡방향 및 종방향의 왕복 운동이 각각 또는 동시에 가능한 흔들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및 장력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 3 실시예는 장력 조절부(500) 및 구동부(60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서와 같이 벨트부(600)는 단면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벨트 가이드링(531) 또한 벨트부(6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상으로 음각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벨트부(600)는 내측이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내주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체결되는 벨트 가이드링(531) 및 크랭크축(411)의 벨트부(600)가 면접하는 외주면이 삼각 형상으로 음각되도록 외주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예와 같이 벨트부(600), 벨트 가이드링(531) 및 크랭크축(411)이 형성되면, 벨트부(600)의 내주면과 벨트 가이드링(531) 및 크랭크축(411)의 외주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부(600)가 작은 충격에도 벨트 가이드링(531) 또는 크랭크축(411)으로부터 체결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벨트 가이드링(531)은 크랭크축(411)과 유사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이 되지 않도록 높이조절 볼트(532)에 고정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 가이드링(531)이 비교적 크게 구비됨에 따라 벨트부(600)와의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벨트 가이드링(531)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일방향 회전하는 벨트부(60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부(60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마찰력이 증가함에 따라 장력 또한 증가되어 백래쉬 현상을 감소시키는데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 4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장력 조절부(500) 및 벨트부(600)가 없으며, 장력 대신 마찰력 및 압력을 통해 크랭크축(411)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서와 같이 제1 가압부(710) 및 제1 스프링부(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부(710)는 크랭크축(411)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제1 가압부(710)는 크랭크축(411)의 외주면에 접하여 크랭크축(411)의 중심축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크랭크축(411)에 마찰력 및 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가압부(710)는 둘 이상 구비되되, 크랭크축(411)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제1 가압부(710)는 크랭크축(411)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크랭크축(411)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1 가압부(710)의 내측 곡면에 요철부(7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오목 및 볼록 형상이 교차되는 요철부(711)가 더 구비됨으로써, 제1 가압부(710)의 내측 곡면 전체가 크랭크축(411)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한 마찰력에 의해 크랭크축(411)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 가압부(710)의 외측면에는 제1 스프링부(7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프링부(720)는 도 11에서와 같이 제1 가압부(710)의 외측면 중심에 하나 구비될 수도 있으나, 대칭되도록 둘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도 12a와 같이 제1 스프링부(720)가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제1 가압부(710)는 크랭크축(41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2b와 같이 제1 스프링부(720)가 크랭크축(411) 방향으로 수축되면, 스프링부(720)의 복원력에 의해 제1 가압부(710)가 크랭크축(411)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크랭크축(411)의 외주면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프링부(720)의 수축 정도에 따라 제1 가압부(710)가 크랭크축(411) 외주면에 밀착되는 가압력이 증가하여 마찰력 또한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제1 가압부(710)는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스프링부(720)의 복원력에 의해 제1 가압부(710)가 크랭크축(411)의 외주면에 밀착됨에 따라, 마찰력이 조절되고 이로 인해, 크랭크축(411)의 백래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5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 제2 가압부(810) 및 제2 스프링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가압부(810) 및 제2 스프링부(820)의 역할은 제 4 실시예의 제1 가압부(710) 및 제1 스프링부(720)와 동일하다. 제 5 실시예의 제2 가압부(810)는 구 형상의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둘 이상 대칭되게 구비되어 크랭크축(41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크랭크축(411)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마찰력 및 가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백래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가압부(810)가 복수개 구비될수록 백래쉬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술한 제 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는 크랭크축(411)의 외주면에 접하여 크랭크축(411)의 중심축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외력을 크랭크축(411)에 가하여 백래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6 실시예는 롤러부(300)의 추가적인 구성에 관한 실시예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은 생략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 6 실시예의 롤러부(300)는 외주면에 삼각 형상의 가이드홈이 음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롤러부(300)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V형상의 가이드홈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6 실시예는 롤러부(300)에 의해 가이드되는 이동 프레임부(200)의 롤러부(300)와 접하는 이동 내부프레임(210)의 하면에 레일부(2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이동 내부프레임(210)의 하면에는 롤러부(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V형상의 홈에 대응되도록 레일부(2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레일부(211)는 V형상 또는 삼각형상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면접촉될 수 있도록 V형상 또는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부(211)는 V형상 또는 삼각 형상으로 돌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접촉면적을 줄여 부드러운 레일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일부(211)는 이동 프레임부(200)의 왕복 운동 방향으로 왕복 운동 영역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홈 및 이에 대응되는 레일부(211)가 구비됨으로써, 이동 프레임부(200)는 왕복 운동 시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및 도면에서는 삼각 형상의 가이드홈 및 사다리꼴 형상의 레일부(211)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실시예 중 하나일 뿐이며, 각각 삼각형상, 사다리꼴형상 뿐만 아니라 사각형상, 원형상, 다각형상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음각 및 돌출됨으로써 면 접촉을 통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느 형상이든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7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이동 프레임부(200) 상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절 프레임부(900)가 더 구비되는 실시예이다. 도 16a 및 도 16b에서와 같이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프레임부(200)의 상면에 접하도록 별도의 조절 프레임부(9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절 프레임부(900)는 제 1 실시예의 흔들 침대 상면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종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흔들 침대만 사용하던 사용자에게 별도의 조절 프레임부(900)만 구매하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용절감 및 사용중인 종래의 침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조절 프레임부(900)는 이동 프레임부(200)의 상면 중심에 횡방향으로 접하는 중심 프레임부(902) 및 중심 프레임부(902)의 일단 또는 타단에 힌지 연결되어 각도 조절되는 각도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각도 프레임부는 제1 각도 프레임부(901), 제2 각도 프레임부(903) 및 제3 각도 프레임부(90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중심 프레임부(902)의 일단에 제1 각도 프레임부(901)가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에 제2 각도 프레임부(903)가 힌지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체 및 하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각도 프레임부(903)의 타단에 제3 각도 프레임부(904)가 추가적으로 힌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 하체의 무릎을 기준으로 허벅지 부분과 종아리 부분이 각각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각도 프레임부(901) 및 제2 각도 프레임부(902)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 각도 조절부(910) 및 제2 각도 조절부(920), 제3 각도 프레임부(904)의 각도를 조절하는 링크부(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각도 조절부(910)는 제1 각도 프레임부(901) 및 중심 프레임부(902)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제1 각도 프레임부(901)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각도 조절부(910)의 일단은 제1 각도 프레임부(901)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중심 프레임부(902)의 하면에 연결되어 피스톤 운동을 통해 제1 각도 프레임부(90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각도 조절부(910)는 제1 각도 프레임부(901)의 하면에 고정 구비되는 제1 고정부(911), 중심 프레임부(902)의 일측 하면에 고정 구비되는 제2 고정부(914), 제2 고정부(914)와 타단이 축으로 연결되어 힌지 운동하는 실린더부(913) 및 제1 고정부(911)와 일단이 축으로 연결되어 힌지 운동함과 동시에 실린더부(913)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실린더부(913) 내측의 길이 방향으로 피스톤 운동을 하는 피스톤부(91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 프레임부(902)의 일단과 힌지 연결되어 회전 운동함으로써 각도가 조절되는 제1 각도 프레임부(901)는 제1 각도 조절부(910)에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의 유지가 될 수 있다. 각각의 피스톤부(912) 및 실린더부(913)가 제1 고정부(911) 및 제2 고정부(914)와 연결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피스톤 운동을 통해 피스톤부(912)가 실린더부(913)로부터 길이가 길어지도록 이동됨에 따라, 제1 각도 프레임부(901)의 각도가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 운동을 하는 피스톤부(912) 및 실린더부(913)를 포함하여 유압 실린더로 명칭 하도록 한다.
제2 각도 조절부(920)는 제2 각도 프레임부(903) 및 중심 프레임부(902)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제2 각도 프레임부(903)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제1 각도 조절부(91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2 각도 프레임부(903)의 하면 및 중심 프레임부(902)의 타측 하면에 각각의 고정부가 고정 구비되어 실린더부와 피스톤부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제2 각도 프레임부(903)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각도 조절부(910) 및 제2 각도 조절부(920)는 종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될 수도 있으나, 종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둘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중심 프레임부(902)의 일단 또는 타단에 힌지 연결된 각각의 각도 프레임부는 유압 실린더를 통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는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부(930)는 제2 각도 프레임부(903)의 기울기가 조절됨에 따라, 제3 각도 프레임부(904)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링크부(930)의 상세한 설명은 이하 제 8 실시예를 먼저 설명한 후,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8 실시예는 제 7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 제 7 실시예는 흔들 침대 프레임과 각도 조절 프레임을 별도로 구매를 하여 결합하기에 용이한 실시예이며, 한번에 흔들 침대 및 각도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구매함에 있어서는 제 7 실시예보다 얇은 두께의 제 8 실시예가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제 8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이동 프레임부(200) 대신에 조절 프레임부(900)가 구비되는 실시예이다. 상세하게, 제 1 실시예의 이동 프레임부(200)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절 프레임부(900)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이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소정의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조절 프레임부(900)가 바로 위치할 수 있으며, 구동부(400)는 고정 프레임부(100) 및 조절 프레임부(9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조절 프레임부(900)가 구동부(400)에 의해 바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부(100) 상측에 구동부(400)에 의해 연동되고, 롤러부(300)에 의해 가이드되는 조절 프레임부(900)는 제1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조절 프레임부(900)의 구성 및 각도 조절 원리는 상술한 제 7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조절 프레임부(9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에 따른 조절 프레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조절 프레임부의 타측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 7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 프레임부(900)는 고정 프레임부(100)와 평행하게 위치된 중심 프레임부(902), 중심 프레임부(902)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1 각도 프레임부(901), 타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2 각도 프레임부(903) 및 제2 각도 프레임부(903)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3 각도 프레임부(904)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중심 프레임부(902)의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부(90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프레임부(905)가 연장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각도 프레임부들의 각도가 조절되는 경우, 중심 프레임부(902)와 함께 조절 프레임부(900)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여 각도 조절 가능한 흔들 침대의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상세하게, 도 17a 및 도 19a와 같이, 제3 각도 프레임부(904)와 지지 프레임부(905)가 서로 평행하게 접하는 경우, 제3 각도 프레임부와 지지 프레임부(905)의 두께의 합은 중심 프레임부(902)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3 각도 프레임부(904)의 하면 및 지지 프레임부(905)의 상면이 서로 접하도록 위치되는 경우, 제3 각도 프레임부(904)의 상면은 중심 프레임부(902)의 상면의 높이와 수평하며, 지지 프레임부(905)의 하면은 중심 프레임부(902)의 하면의 높이와 수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각도 프레임부의 각도가 모두 0도가 되었을 때, 조절 프레임부(900)의 상면이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구비되어 매트리스가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여, 제 7 실시예 및 제 8 실시예에 따른 조절 프레임부(900)의 링크부(93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링크부(930)는 상술한 제1 각도 조절부(910) 및 제2 각도 조절부(920)와 유사하게 피스톤 운동을 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제3 각도 프레임부(904)의 각도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링크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링크부(930)는 중심 프레임부(902)의 타단 측면, 제2 각도 프레임부(903) 및 제3 각도 프레임부(904) 각각의 측면에 유기적으로 막대 형상의 판들이 유기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링크 운동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링크부(930)는 제1 링크(931), 제2 링크(932), 제3 링크(933), 제4 링크(934)가 각각 유기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링크 운동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931)는 제3 각도 프레임부(904)의 측면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제3 링크(933)와 타단이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링크(933)는 일단이 중심 프레임부(902)의 타단 측면에 힌지 연결되어 제1 링크(931)와 제3 링크(933)가 서로 힌지 연결된 관절을 기준으로 링크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932)는 일단이 제2 각도 프레임부(903)의 측면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제4 링크(934)와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제4 링크(934)는 일단이 제1 링크(931)에 힌지 연결되어 링크 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각도 조절부(920)에 의해 제2 각도 프레임부(903)가 상승하여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이와 연결된 링크부(930)에 의해 제3 각도 프레임부(904)도 함께 상승하되,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8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은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고정 프레임부 110: 고정 내부프레임
200: 이동 프레임부 210: 이동 내부프레임
300: 롤러부 310: 롤러축
320: 롤러홈
400: 구동부 411: 크랭크축
412: 제1 연결판 413: 로드
420: 동력부 430: 제2 연결판
500: 장력 조절부 510: 고정판
520: 이동판 531: 벨트 가이드링
532: 높이조절 볼트 533: 높이조절 너트
541: 제1 조절볼트 542: 제2 조절볼트
600: 벨트부
710: 제1 가압부 720: 제1 스프링부
810: 제2 가압부 820: 제2 스프링부
900: 조절 프레임부 901: 제1 각도 프레임부
902: 중심 프레임부 903: 제2 각도 프레임부
904: 제3 각도 프레임부 905: 지지 프레임부
910: 제1 각도 조절부 920: 제2 각도 조절부
930: 링크부

Claims (13)

  1. 지면에 접하여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부(100);
    상기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위치하고, 서로 포개어지도록 한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동 프레임부(200); 및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축(411) 및 로드(413)를 포함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크랭크축(411)에 소정의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 운동시 발생하는 백래쉬(Back lash)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외력은 상기 크랭크축(411)의 외주면에서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부(100)에 고정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력 조절부(500); 및
    상기 크랭크축(411) 및 상기 장력 조절부(500)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트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외력은 상기 벨트부(600)로부터 제공되는 장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500)는,
    상기 고정 프레임부(100)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판(510);
    상기 고정판(5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판(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판(520); 및
    상기 이동판(520)의 상측 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벨트부(600)가 체결되는 벨트 가이드링(531)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5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벨트부(600)의 상기 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600)는 한 쌍으로 체결되어, 상기 소정의 외력이 상기 크랭크축(411)의 외주면에서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한 쌍으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411) 외주면에 접하도록 대칭 구비되는 둘 이상의 제1 가압부(710);
    상기 제1 가압부(710)를 상기 크랭크축(411) 방향으로 밀착시키도록 상기 제1 가압부(7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부(7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부(100)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삼각 형상의 가이드홈이 음각 형성되는 롤러부(300); 및
    상기 이동 프레임부(200)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되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레일부(2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300)는,
    상기 고정 프레임부(10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롤러홈(320)에 삽입되되, 소정 영역이 돌출되어 상기 레일부(211)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부(200)는,
    상기 고정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1 이동 프레임부(200`); 및
    상기 제1 이동 프레임부(2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제2 이동 프레임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부(200)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조절 프레임부(9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프레임부(900)는,
    상기 이동 프레임부(200)의 상면에 접하는 중심 프레임부(902); 및
    상기 중심 프레임부(902)의 일단 또는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유압 실린더를 통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부(20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절 프레임부(900)로 구비되고,
    상기 조절 프레임부(900)는,
    상기 이동 프레임부(200)와 평행하게 접하는 중심 프레임부(902); 및
    상기 중심 프레임부(902)의 일단 또는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유압 실린더를 통해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프레임부는,
    상기 중심 프레임부(902)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2 각도 프레임부(90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각도 프레임부(903)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고, 제2 각도 프레임부(903)의 각도 조절 시 링크부(930)에 의해 수평 상태가 유지되도록 각도가 조절되는 제3 각도 프레임부(9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프레임부(902)의 타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되, 상기 제3 각도 프레임부(904)와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부(90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각도 프레임부(904) 및 지지 프레임부(905)의 두께의 합은 상기 중심 프레임부(902)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 침대.
KR1020190121458A 2019-05-29 2019-10-01 각도 조절 및 백래쉬 방지가 가능한 흔들 침대 KR102265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65 2019-05-29
KR20190063265 2019-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920A KR20200137920A (ko) 2020-12-09
KR102265357B1 true KR102265357B1 (ko) 2021-06-15

Family

ID=7355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458A KR102265357B1 (ko) 2019-05-29 2019-10-01 각도 조절 및 백래쉬 방지가 가능한 흔들 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5357B1 (ko)
WO (1) WO2020241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623B1 (ko) * 2021-11-26 2022-08-0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미러 조립체 및 이의 미러 정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045A (ja) * 2005-06-14 2006-12-28 Paramount Bed Co Ltd 電動ベッド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977Y1 (ko) 1997-03-26 1999-09-15 박연석 유아용 조립식 흔들침대
CN2353247Y (zh) * 1998-10-19 1999-12-15 崔洪星 电动摇摆床
KR200452380Y1 (ko) 2008-10-17 2011-02-22 김종민 곡면형 간이침대
KR101159258B1 (ko) * 2008-12-24 2012-06-26 주식회사 신라정밀 밸트 장력 조절장치
KR101361273B1 (ko) * 2011-02-07 2014-02-1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1856176B1 (ko) * 2015-12-18 2018-05-10 윤창한 크랭크 방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KR20180041015A (ko) * 2016-10-13 2018-04-23 정태현 흔들 침대
KR101814093B1 (ko) * 2017-04-17 2018-01-30 (주)주일하드웨어 분할 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KR102090633B1 (ko) * 2017-12-19 2020-03-18 이경환 수면유도용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6045A (ja) * 2005-06-14 2006-12-28 Paramount Bed Co Ltd 電動ベ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1978A1 (ko) 2020-12-03
KR20200137920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830B1 (ko) 흔들 침대
RU2640276C2 (ru)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ая кровать с гибкой опорой для матраса
KR102265357B1 (ko) 각도 조절 및 백래쉬 방지가 가능한 흔들 침대
CN105916408A (zh) 可调节的床
DE2212454A1 (de) In einen Stuhl od.dgl. eingebaute bewegliche Massagevorrichtung
CA2883552A1 (en) Self-reclining chair
KR20180041015A (ko) 흔들 침대
JP6851584B2 (ja) ベッドフレーム及びベッド
TW201909962A (zh) 人體保健裝置
KR20100109521A (ko) 높이조절 베개장치
TWM525206U (zh) 電動倒吊臀部搖擺機
US8863325B1 (en) Undulating bed
JP6511622B2 (ja) 揺動式ベビーベッド
KR20170135603A (ko)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흔들 침대
KR200364717Y1 (ko) 베게 높이 조절장치
JP5542170B2 (ja) 腰部運動機
TWM546155U (zh) 水平律動沙發
JP5055450B2 (ja) 連結式ベッド
TWM558065U (zh) 律動裝置
CN102670015B (zh) 头枕
CN208808977U (zh) 动疗按摩床
JP2021531940A (ja) スラットベース
KR200420575Y1 (ko) 꼼짝않는 겨드랑이 밀착판을 머리에 이고 달리는 목발
JP4270226B2 (ja) 運動器具
JP2005230399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