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761U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761U
KR20210002761U KR2020200001918U KR20200001918U KR20210002761U KR 20210002761 U KR20210002761 U KR 20210002761U KR 2020200001918 U KR2020200001918 U KR 2020200001918U KR 20200001918 U KR20200001918 U KR 20200001918U KR 20210002761 U KR20210002761 U KR 202100027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x
outer plate
along
in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희
Original Assignee
원 앤 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앤 원(주) filed Critical 원 앤 원(주)
Priority to KR2020200001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761U/ko
Publication of KR20210002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7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박스는, 다각형의 둘레를 가지고, 상기 둘레의 일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가지는,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바닥부; 상기 함몰부가 고정공이 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었다가 하방으로 접혀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영역을 둘러싸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 {BOX FOR PACKAGING}
본 고안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포장 등을 위해서 사용되는 종이 박스는, 일반적으로 형태가 유지되도록 두꺼운 판형의 종이가 톰슨 가공등을 통해 전개도의 형태로 가공된 후, 접는선을 따라서 접혀 입체적인 박스의 형태를 가지게 됨으로써 형성된다. 판형의 종이가 박스의 형태로 접힌 뒤, 테이프, 접착제 또는 스테이플러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됨으로써 박스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고정수단이 사용될 경우, 종이를 접는 단계뿐만 아니라 접은 뒤 고정수단을 적용해 박스의 형태를 고정시키는 단계가 박스 제작 공정에 더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단계를 더 실시하기 위한 추가 시간이 필요하고, 기계를 이용하여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별도 작업수단이 더 요구된다.
이러한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박스를 구성하는 종이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해 지지됨으로써 박스 구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형태의 박스가 고안되었다. 특히,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벌어져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의 끝을 바닥면에 넓게 접촉하도록 접을 수 있게 형성된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닥면에 측면부의 끝이 마찰에 의해 고정되는 효과를 기대한 것이므로, 마찰이 충분하지 않거나 충분히 접촉하지 못하도록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의 끝을 잘못 접을 경우,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박스 형태를 만드는 것이 용이하고 구조가 용이하게 유지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는, 다각형의 둘레를 가지고, 상기 둘레의 일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가지는,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바닥부; 상기 함몰부가 고정공이 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었다가 하방으로 접혀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영역을 둘러싸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접는 것 만으로도 박스 형태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박스 구조가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상태의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를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어 완성된 상태로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박스(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1)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상태의 박스(1)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1)는, 바닥부(10)와 측면부(20)를 포함한다.
바닥부(10)
바닥부(10)는 박스(1)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다각형의 둘레를 가지는 다각판형으로 형성되되, 상하방향(D3)에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10)는 다양한 다각형의 둘레를 가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0)가 직사각형의 둘레(11, 12)를 가지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직사각형인 바닥부(10)의 둘레(11, 12)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 변(11)을 가지고, 제1 변(11)에 직교하고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2 변(12)을 가진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하방향(D3)에 바닥면이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하는 것이며, 실제로는 박스(1)가 배치되는 상태에 따라서 상하방향(D3)이 아닌 다른 방향에 직교하게 바닥부(1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10)는 둘레(11, 12)의 일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가진다. 함몰부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둘레(11, 12)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를 측면부(20)가 덮음으로써, 고정공(30)이 형성된다. 고정공(30)은 둘레(11, 12)를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함몰부가 둘레(11, 12)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복수의 고정공(30)이 바닥부(10)의 둘레(11, 12)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변(11)에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제1 고정공(31)이, 제2 변(12)에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제2 고정공(32)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변마다 2개의 고정공(3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총 8개의 고정공(3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배치 및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제1 방향(D1)이라 함은 상하방향(D3)에 직교하는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D2)이라 함은 제1 방향(D1)과 상하방향(D3)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측면부(20)
측면부(20)는 박스(1)의 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측면부(20)는 판부와 돌기부(214, 224)를 포함한다. 판부는 함몰부가 고정공(30)이 되도록 바닥부(10)의 둘레(11, 12)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었다가 하방으로 접혀 바닥부(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영역을 둘러싼다.
돌기부(214, 224)는 판부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공(3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돌기부(214, 224)는 하방으로 갈수록 바닥부(10)의 둘레(11, 12)를 따라 가지는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기부(214, 224)는 고정공(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공(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부(20)는 제1 변(11)에 연결되는 제1 측면부(21) 및 제2 변(12)에 연결되는 제2 측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21)와 제2 측면부(22)가 각각 판부와 돌기부(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측면부(21)는 제1 판부와 제1 돌기부(214)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측면부(22)는 제2 판부와 제2 돌기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부는 제1 외측판(211) 및 제1 내측판(212)을 포함하고, 제1 연결판(213)과 날개판(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판(211)은 제1 변(11)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제1 외측판(211)은 상방으로 갈수록 제1 방향(D1)을 따라 가지는 폭이 줄어드는 형상의 외측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판(212)은 제1 외측판(2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내측이라 함은 측면부(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제1 내측판(212)의 상단이 제1 외측판(211)과 연결되고, 하단이 바닥부(10)의 둘레(11, 12) 중 제1 변(11)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내측판(212)의 하단에 제1 돌기부(214)가 연결된다. 즉 제1 내측판(212)의 하단으로부터 제1 돌기부(214)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측판(212)이 제1 방향(D1)을 따라 가지는 폭은, 제1 외측판(211)이 제1 방향(D1)을 따라 가지는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연결판(213)은 제1 외측판(211)과 제1 내측판(212)을 연결한다. 제1 연결판(213)이 제2 방향(D2)을 따라서 가지는 두께는, 제1 외측판(211)과 제1 내측판(212)이 상하방향(D3)을 따라 가지는 높이보다 작다.
제1 외측판(211)과 제1 내측판(212)이 바닥부(10)에 대해 직교하게 세워지고, 제2 방향(D2)에 직교하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판(213)은 상하방향(D3)에 직교하게 배치되어, 제1 외측판(211)의 상단과 제1 내측판(212)의 상단을 연결한다. 판부는 전개도의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부(10)와 나란한 평면에 배치되나, 접힘으로서 상술한 형태를 가진다.
제2 판부는 제2 외측판(221) 및 제2 내측판(222)을 포함하고, 제2 연결판(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측판(221)은 제2 변(12)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제2 내측판(222)은 제2 외측판(221)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제2 내측판(222)의 상단이 제2 외측판(221)과 연결되고, 하단이 바닥부(10)의 둘레(11, 12)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내측판(222)의 하단에 제2 돌기부(224)가 연결된다. 즉 제2 내측판(222)의 하단으로부터 제2 돌기부(224)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내측판(222)이 제2 방향(D2)을 따라 가지는 폭은, 제2 외측판(221)이 제2 방향(D2)을 따라 가지는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연결판(223)은 제2 외측판(221)과 제2 내측판(222)을 연결한다. 제2 연결판(223)이 제1 방향(D1)을 따라서 가지는 두께는, 제2 외측판(221)과 제2 내측판(222)이 상하방향(D3)을 따라 가지는 높이보다 작다. 제2 연결판(223)이 제2 방향(D2)을 따라 가지는 폭은, 제2 외측판(221)으로부터 제2 내측판(222)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제2 외측판(221)과 제2 내측판(222)이 바닥부(10)에 대해 직교하게 세워지고, 제1 방향(D1)에 직교하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제2 연결판(223)은 상하방향(D3)에 직교하게 배치되어, 제2 외측판(221)의 상단과 제2 내측판(222)의 상단을 연결한다.
제1 측면부(21)는,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한 제1 외측판(211)의 양단에서, 제1 외측판(211)에 직교하는 제2 방향(D2)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날개판(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판(215)은 제1 외측판(21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측면부(22)가 접혀 형성되는 틈에 삽입됨에 따라 박스(1)의 형태를 잘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날개판(215)은 날개 연결부(2151)와 날개 테이퍼부(2152)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 연결부(2151)는 제1 외측판(211)에 연결되는 부분이고, 날개 테이퍼부(2152)는 날개 연결부(2151)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으로, 제1 외측판(2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하방향(D3)을 기준으로 가지는 높이가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날개판(215)이 상하방향(D3)을 기준으로 가지는 높이는, 제1 외측판(211)이 상하방향(D3)을 기준으로 가지는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날개판(215)이 제2 방향(D2)을 따라 가지는 폭은, 제2 외측판(221)과 제2 내측판(222)이 제2 방향(D2)을 따라 가지는 폭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내측판(212)에는 제1 방향(D1)으로 슬릿(216)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216)은 제1 변(1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슬릿(216)에는 슬릿(216)의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얇은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스(1)의 내부공간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이 수용될 때, 플라스틱 사출물의 테두리에는 얇은 버(burr)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버가 슬릿(216)에 삽입되어 박스(1)에 플라스틱 사출물을 고정할 수 있다. 덧붙여, 박스(1)에 플라스틱 사출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음식을 덮기 위해 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가 박스(1)를 덮음과 동시에 박스(1)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하며 박스(1)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 때 박스(1)의 측면부(20)가 내측으로 가압 및 변형되며 플라스틱 사출물과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1)를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어 완성된 상태로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판부는 전개도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부(10)와 나란한 평면에 배치되나, 접힘으로서 상술한 형태를 가진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1)를 펼쳐진 상태로부터 접어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제1 외측판(211)을 제1 변(11)을 따라서 접어, 제1 외측판(211)의 상단이 상방을 바라보고, 제2 방향(D2)에 직교하도록 한다. 이후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1 내측판(212)을 내측으로 접어, 제1 연결판(213)은 상방을 바라보고, 제1 내측판(212)의 말단은 하방을 바라보고, 제1 내측판(212)이 제1 외측판(21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만든다. 제1 돌기부(214)는 제1 고정공(31)에 삽입되어 제1 측면부(21)의 형상이 도 6에서와 같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후 도 7에서와 같이 날개판(215)을 접어 말단이 제2 방향(D2)을 향하고, 제1 방향(D1)에 직교하도록 한다. 날개판(215)이 정렬되면, 제2 외측판(221)을 제2 변(12)을 따라서 접어, 제2 외측판(221)의 상단이 상방을 바라보고, 제1 방향(D1)에 직교하도록 한다. 이후 도 8에서와 같이 제2 내측판(222)을 내측으로 접어, 제2 연결판(223)은 상방을 바라보고, 제2 내측판(222)의 말단은 하방을 바라보고, 제2 내측판(222)이 제2 외측판(22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만든다. 제2 돌기부(224)는 제2 고정공(32)에 삽입되어 제2 측면부(22)의 형상이 도 8에서와 같이 유지되도록 해서, 박스(1)를 완성한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구 없이도 박스를 접는 것 만으로도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박스
10 : 바닥부
11 : 제1 변
12 : 제2 변
20 : 측면부
21 : 제1 측면부
22 : 제2 측면부
30 : 고정공
31 : 제1 고정공
32 : 제2 고정공
211 : 제1 외측판
212 : 제1 내측판
213 : 제1 연결판
214 : 제1 돌기부
215 : 날개판
216 : 슬릿
221 : 제2 외측판
222 : 제2 내측판
223 : 제2 연결판
224 : 제2 돌기부
2151 : 날개 연결부
2152 : 날개 테이퍼부
D1 : 제1 방향
D2 : 제2 방향
D3 : 상하방향

Claims (13)

  1. 다각형의 둘레를 가지고, 상기 둘레의 일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가지는,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바닥부;
    상기 함몰부가 고정공이 되도록,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었다가 하방으로 접혀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영역을 둘러싸는 판부와, 상기 판부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를 가지는,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가지는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는,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둘레는,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 변 및 상기 제1 변에 직교하고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2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제1 변에 연결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변에 연결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는,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판부 중 하나인 제1 판부와, 상기 돌기부 중 하나인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부는,
    상기 제1 변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 외측판; 및
    상단이 상기 제1 외측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외측판의 내측에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바닥부의 둘레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단에 상기 제1 돌기부가 연결되는 제1 내측판을 포함하는, 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외측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외측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측면부가 접혀 형성되는 틈에 삽입되는 날개판을 더 포함하는,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은, 상기 제1 외측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가지는 높이가 줄어드는 날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박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이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가지는 높이는, 상기 제1 외측판이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가지는 높이보다 작은, 박스.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판에는, 상기 제1 변과 나란하되 상기 제1 변보다 짧게 슬릿이 형성되는, 박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판이 상기 제1 변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은, 상기 제1 외측판이 상기 제1 변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보다 작은, 박스.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외측판과 상기 제1 내측판을 연결하는 제1 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박스.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판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 변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이 줄어드는 형상의 외측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박스.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판부 중 하나인 제2 판부와, 상기 돌기부 중 하나인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부는,
    상기 제2 변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2 외측판;
    상단이 상기 제2 외측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외측판의 내측에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바닥부의 둘레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단에 상기 제2 돌기부가 연결되는 제2 내측판; 및
    상기 제2 외측판과 상기 제2 내측판을 연결하되, 상기 제2 외측판으로부터 상기 제2 내측판으로 갈수록 상기 제2 변을 따라 가지는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연결판을 포함하는, 박스.

KR2020200001918U 2020-06-03 2020-06-03 포장용 박스 KR202100027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918U KR20210002761U (ko) 2020-06-03 2020-06-03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918U KR20210002761U (ko) 2020-06-03 2020-06-03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61U true KR20210002761U (ko) 2021-12-10

Family

ID=7917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918U KR20210002761U (ko) 2020-06-03 2020-06-03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76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6927B1 (en) Assembly-type packaging box
KR20210002761U (ko) 포장용 박스
JP4253223B2 (ja) 包装用箱
KR101692832B1 (ko) 절첩이 용이한 포장박스
KR102152413B1 (ko) 조립이 간편한 포장용 박스
JP2010143634A (ja) 包装箱
JP6554127B2 (ja) トレイ及びトレイのブランク
EP3347111B1 (en) Modular unit for forming constructions for toy use
KR102259858B1 (ko) 하중강화형 조립식 포장상자 및 그 조립방법
TWI538858B (zh) 包裝盒結構與包裝盒摺疊方法
JP6907074B2 (ja) 包装箱
JP7188699B2 (ja) 梱包体
KR101662757B1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CN107672227B (zh) 纸盒粘合结构
CN216375412U (zh) 一种产品包装盒
JP7246350B2 (ja) 上蓋及び下蓋を有する箱
JP7298472B2 (ja) 簡易組箱
JP7444015B2 (ja) トレイ
JP7241591B2 (ja) 梱包材、梱包構造および梱包材の製造方法
KR102193413B1 (ko) 합성수지 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박스
KR200483615Y1 (ko) 수납상자
JP2019001504A (ja) 包装箱
JP6988685B2 (ja) トレイ
IT201600097223A1 (it) Scatola abbattibile
KR200402878Y1 (ko) 접철식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