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536U - 마스크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536U
KR20210002536U KR2020200001581U KR20200001581U KR20210002536U KR 20210002536 U KR20210002536 U KR 20210002536U KR 2020200001581 U KR2020200001581 U KR 2020200001581U KR 20200001581 U KR20200001581 U KR 20200001581U KR 20210002536 U KR20210002536 U KR 202100025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housing
module
fixed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혜영
백복현
민경환
김지현
송준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200001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536U/ko
Publication of KR20210002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5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마스크를 관리하는 마스크 관리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스크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고정부는 상기 마스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될 때 상기 마스크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관리 장치{Device for management of mask}
본 고안은 마스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 마스크 및 일회용 마스크를 효율적으로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는 마스크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종 코로나, 메르스 등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및 각종 질병의 증가로 현대인들은 마스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있다. 마스크는 보건위생상 먼지 등 외부 오염물질 및 병균을 막기 위하여 입과 코를 가리는 물건으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각종 질환 및 질병을 예방해준다.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과정에서 오염이 발생되었을 때, 세탁에 의해 재사용할 수 있도록 면포를 소재로 제작한 천 마스크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나, 미세먼지의 발생빈도가 잦아지는 근래에는 사용 후 폐기할 수 있도록 친환경 소재의 부직포로 제작한 일회용 마스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마스크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 시 내측면에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과정에서 냄새와 함께 각종 병원성 세균이 번식할 수 있고, 외측면에서도 미세먼지 및 기타 세균으로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을 마친 마스크의 표면에는 미세먼지 및 각종 병원성 세균이 많이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마스크를 잠시 벗었다가 다시 착용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마스크로 인해, 마스크의 본 기능인 호흡기 관련 질환 및 질병을 예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마스크 위생 관리 및 살균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기술은 위생 관리 및 살균 장치 내에 마스크를 고정하기 위한 공간이 좁아서, 마스크를 고정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종래기술은 마스크가 위생 관리 및 살균 장치 내에 고정 시 마스크가 장치 내부 표면에 닿게 되어, 마스크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오염된 미세먼지 및 각종 병원성 세균이 장치 내부 표면에 남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기술은 마스크를 살균 처리하는 과정에서, 마스크가 고정된 채 살균하게 되므로, 마스크의 살균 효율이 감소할 수 있으며, 마스크에 부착된 오염 물질이 제거되지 않고, 마스크 표면에 남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크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부가 탈착 가능하여, 마스크 관리 장치의 외부에서 마스크를 마스크 고정부에 고정한 후 마스크 관리 장치의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고정함에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크가 마스크 관리 장치의 하우징에 수용될 때, 마스크가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하여, 하우징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 관리 장치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크 관리 장치가 마스크 관리 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과정에서, 마스크가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마스크의 살균 및 이물질 제거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마스크를 관리하는 마스크 관리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스크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고정부는 상기 마스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될 때 상기 마스크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가 고정되는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서 연장되어 말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스크의 귀 걸이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마스크 걸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상기 거치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마스크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마스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의 하면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마스크 걸이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절곡되는 형성을 가져서, 상기 마스크가 상기 거치부재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의 상면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하면으로부터 상방에 구비된 걸이부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마스크 걸이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가져서, 상기 마스크가 상기 거치부재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 관리 모듈은, 상기 마스크를 살균하기 위한 UV 발생 모듈이나 발열 모듈, 상기 마스크에 잔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송풍 모듈이나 진동 모듈 및 상기 마스크를 세척하기 위한 유체 분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송풍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공간으로 배출하기 뒤한 통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 모듈은, 상기 마스크에서 제거되는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체 분사 모듈은, 스팀 또는 마스크 살균제를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스크 관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스크 관리 모듈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는, 마스크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부가 탈착 가능하여, 마스크 관리 장치의 외부에서 마스크를 마스크 고정부에 고정한 후 마스크 관리 장치의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를 고정함에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는, 고정된 마스크가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되게 하여, 하우징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마스크 관리 장치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는, 마스크 관리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마스크가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여, 마스크의 살균 및 이물질 제거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동과 관련된 마스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와, 마스크 고정부의 배치를 달리하는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10)는, 하우징(110), 마스크 관리 모듈(120), 마스크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마스크 관리 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도 1에는 하우징(110)이 원통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육면체 형상이거나, 하부가 굴곡진 컵 형상일 수도 있다.
하우징(11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하우징(110)의 재질을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마스크 관리 장치(10)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등 가벼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10)에는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계폐문이, 하우징(110)의 상부면 또는 측면 등에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마스크(M)를 고정한 마스크 고정부(130)는 개폐문을 통해 개방된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하우징(110)을 폐쇄하여 마스크(M)를 관리할 수 있다.
마스크 관리 모듈(120)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마스크(M)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M)를 살균 및 세척 등을 구현하여, 마스크(M)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모듈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크 관리 모듈(120)은 마스크를 살균하기 위한 모듈, 마스크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모듈, 마스크를 세척하기 위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마스크 관리 모듈(120)이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우징(110) 외부에 형성되고, 하우징(110)에 형성된 홈을 통해 마스크(M)를 관리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관리 모듈(120)은 마스크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된 마스크(M)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관리 모듈(120)과의 접촉에 의한 마스크(M)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 고정부(130)는 마스크(M)를 하우징(110) 내에 고정되게 하며, 하우징(110) 내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마스크 고정부(130)는 마스크(M)를 마스크 관리 장치(10)의 외부에서 고정한 후, 마스크 관리 장치(10)의 하우징(1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 고정부(130)가 하우징에 수용될 때, 마스크(M)가 하우징(110)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마스크(M)는 하우징(110) 내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하우징(110)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마스크(M)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 고정부(130)는 거치부재(1301) 및 복수개의 마스크 걸이부재(1303)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재(1301)는 하우징(110) 내에 위치가 고정되게 하며, 복수개의 마스크 걸이부재(1303)는 거치부재(1301)에서 연장되어, 말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거치부재(1301)의 형상은 속이 빈 원형고리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각고리 또는 직선 형상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마스크 걸이부재(1303)를 연결하며, 하우징(110) 내에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마스크 걸이부재(1303)는 마스크(M)의 귀 걸이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에는 복수개의 마스크 걸이부재(1303)의 거치부재(1301)에서 연장된 말단이, 거치부재(1301)의 내측으로 절곡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거치부재(1301)의 외측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 걸이부재(1303)는 2개이며, 1개의 마스크(M)가 고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스크 걸이부재(1303)는 4개로 구비되어, 2개의 마스크(M)를 고정할 수 있으며, 더 많은 갯수의 마스크 걸이부재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마스크(M)를 동시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복수개의 마스크 걸이부재(1303)에 의해 복수개의 마스크(M)가 동시에 고정되는 경우, 마스크 걸이부재(1303)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거치부재(1301)의 상부에서 마스크(M)가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는 하우징(110) 내의 하면에 안착 고정되며, 마스크 걸이부재(1303)는 거치부재(130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스크(M)는 거치부재(1301)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채 고정될 수 있다. 마스크(M)는 거치부재(1301)와 이격된 채 고정되므로, 거치부재(1301)와의 접촉에 의한 마스크(M)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된 거치부재(130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모듈(140)에 의해 거치부재(1301)를 포함하는 마스크 고정부(130)가 회전됨으로써, 마스크 고정부(130)에 고정된 마스크(M)가 회전할 수 있다. 즉, 마스크(M)는 회전하면서, 마스크 관리 장치(10) 내에서 살균 또는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회전모듈(140)은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 또는 엔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모듈(140)의 회전 방향은 제1 방향인 시계 방향 또는 제2 방향인 반 시계 방향일 수 있으며,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또는 제2 방향에서 제1 방향으로 전환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회전모듈(140)의 회전 방향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모듈(140)은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 하부에 구비될 수 있고, 회전모듈(140)과 거치부재(1301) 사이에 안착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모듈(140) 상면에 구비된 안착부(150)는 턴 테이블일 수 있다. 회전모듈은 안착부(150)를 회전시켜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회전모듈(140)이 안착부를 직접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간접적으로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가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모듈(140)은 거치부재(1301)에 접촉하게 구비되어, 거치부재(1301)를 직접 회전시킬 수도 있다.
마스크 관리 모듈(120)은 마스크(M)를 살균하기 위한 UV 발생 모듈(1201)이나 발열 모듈(1203), 마스크에 잔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송풍 모듈(1205)이나 진동 모듈(1207) 및 마스크를 세척하기 위한 유체 분사 모듈(12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UV 발생 모듈(1201)은 마스크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된 마스크(M)와 인접하여 구비되고, 마스크(M)를 멸균, 살균할 수 있는 UV 램프를 포함하는 UV를 조사할 수 있는 모듈을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UV 발생 모듈(1201)은 마스크 고정부(130)의 걸이부재(1303)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UV 발생 모듈(1201)은 하우징(110)의 내측면 또는 하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발열 모듈(1203)은 마스크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된 마스크(M)에 열을 발산하여 마스크(M)를 살균할 수 있다. 도 1은, 발열 모듈(1203)이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열을 발산하는 패드 또는 램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발열 모듈(1203)의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발열 모듈(1203)은 마스크(M)가 열에 의해 살균되게 할 수 있는 위치에 제한없이 구비될 수 있다.
송풍 모듈(1205)은 하우징(110) 내부에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마스크(M)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송풍 모듈(1205)은 공기가 유동되게 하는 슬릿 형상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진동 모듈(1207)은 마스크(M)를 진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마스크(M)의 진동에 의해 마스크(M)에 묻어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진동모듈(1207)은 압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탄성파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진동모듈(1207)은 전기적 신호를 물리적 진동에 의한 탄성파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진동모듈(1207)은 안착부(150)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진동모듈(1207)은 안착부(150)를 진동시키고, 안착부(150) 상면에 구비되는 마스크 고정부(130)가 진동함으로써, 마스크(M)를 진동하게 할 수 있다.
유체 분사 모듈(1209)은 마스크(M)를 세척하기 위하여, 스팀 또는 마스크 살균제를 분사할 수 있다. 유체 분사 모듈(1209)은 마스크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되는 마스크(M)가, 일회용 마스크인 경우에는 분사되지 않을 수 있고, 천 마스크인 경우에만 분사될 수도 있다.
유체 분사 모듈(1209)에 의해 스팀이 분사될 때, 송풍 모듈(1205)에 구비될 수 있는 개구부는 닫혀있을 수 있다. 분사되는 스팀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순환하며 마스크(M)를 세척할 수 있다.
유체 분사 모듈(1209)에 의해 분사되는 마스크 살균제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구성된다. 마스크 살균제가 분사된 이후, 가열 및 송풍에 의해 마스크(M)에 잔존할 수 있는 마스크 살균제를 제거할 수 있다. 가열은 발열 모듈(1203)에 의해 구현되고, 송풍은 송풍 모듈(120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분사 모듈(1209)은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우징(110)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의 상면에 걸이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가 걸이부에(160) 의해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거치부재(1301)의 상면에는 걸림고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걸이부(160)의 하면에는 걸림고리가 결합할 수 있는 홈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재(1301)의 상면에 구비되는 걸림고리는 걸이부(160)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마스크 고정부(130)의 마스크 걸이부재(1303)는 거치부재(130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말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스크(M)는 거치부재(1301)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채 고정될 수 있다.
회전모듈(140)은 하우징(110) 내의 상면에 구비되며, 걸이부(160) 하에 구비될 수 있다. 회전모듈(140)은 걸이부(160)를 회전시켜, 걸이부(160) 하면에 구비되는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가 회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발생 모듈(1201)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마스크 고정부(130)의 걸이부재(1303)의 외측면과 하우징(110)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열 모듈(1203)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우징(110)의 하면 등 마스크(M)가 열에 의해 살균되게 할 수 있는 위치에 제한 없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모듈(1205)은 송풍팬(1205a) 및 통풍구(1205b)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205a)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할 수 있고, 통풍구(1205b)는 하우징(110)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110) 외부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205a) 및 통풍구(1205b)는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름을 형성하여, 마스크(M)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송풍 모듈(1205)은 공기 흐름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1205c)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205c)는 송풍팬(1205a) 및 통풍구(1205b)에 인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걸이부(160)는 진동 모듈(1207)을 구비한 채 형성될 수 있다. 즉, 걸이부(160)는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를 걸림 고정함과 동시에, 마스크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된 마스크(M)를 진동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를 고정하기 위하여 걸이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걸이부(160)는 하우징(110)의 하우징(110) 내부에서 하면으로부터 상방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가 걸이부에(160) 의해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거치부재(1301)은 위로 볼록한 판 형상일 수 있으며, 걸이부(160)는 봉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위로 볼록한 판 형상의 거치부재(1301)가 봉 형상의 걸이부(160)의 상면을 에워싸며 걸리게 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모듈(140)은 걸이부(160)의 양 단부에 인접하는 양 측면에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모듈(140)과 걸이부(160) 사이의 공간에는 UV 발생 모듈(1201)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모듈(140)은 걸이부(160)를 회전시켜, 걸이부(160)에 장착된 마스크 공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하는 거치부재(1301)는 마스크 걸이부재(1303)에 걸린 마스크(M)를 회전시킬 수 있다.
UV 발생 모듈(1201)은 회전 모듈(140)에 의해 걸이부(16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M)는 UV 발생 모듈(1201)의 주위를 회전하며 살균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작동과 관련된 마스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크 관리 장치(10)는 마스크 관리 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70)은 회전 모듈(14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 모듈(170)은 마스크 관리 모듈(120)을 온오프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마스크 종류에 따라 모드를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천마스크의 경우 유체 분사 모듈(1209)에 의해 스팀만 분사되나, 일회용마스크를 투입하는 경우, 제어 모듈(170)에 의해 스팀은 분사되지 않고, UV 발생 모듈(1201) 및 발열 모듈(1203)에 의한 살균, 송풍 모듈(1205)에 의한 송풍만 작동하도록,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관리 장치(10)는 마스크 관리 모듈(12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80)는 하우징(11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180)는 제어 모듈(170)로 제어되는, UV 발생 모듈(1201), 발열 모듈(1203), 송풍 모듈(1205), 진동 모듈(1207) 또는 유체 분사 모듈(1209)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회전 모듈(140)의 동작 여부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80)는 천마스크 또는 일회용 마스크 중 어느 마스크를 관리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 모드의 종류 및 관리에 필요한 소요시간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 관리장치(10)의 하우징(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송풍팬(1205a), 통풍구(1205b) 및 필터(1205c)가 구비될 수 있고, 필터(1205c)의 하면에는 UV 발생 모듈(1201)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모듈(140)은 송풍팬(1205a)의 상부에 구비되며,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 모듈(140)과 송풍팬(1205a)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형성된 홈은 회전 모듈(140)과 송풍팬(1205a)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끼워짐으로써, 마스크 고정부(130)의 마스크(M)가 하우징(1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마스크(M)는 하우징(1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며, 거치부재(1301) 및 마스크 관리모듈(1201, 1205a, 1205b 및 1205c)과도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송풍팬(1205a) 및 회전 모듈(140) 사이에 끼워진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는, 회전 모듈(14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여, 고정된 마스크(M)는 회전할 수 있다. 반면, UV 발생 모듈(1201)은 회전 모듈(14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M)는 UV 발생 모듈(1201)의 주변을 회전하며 살균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마스크 관리 장치(10)는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를 진동시키는 진동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해 마스크(M)에서 탈락된 이물질은 송풍팬(1205a) 및 통풍구(1205b)에 의해 하부로 모이게 되고, 필터(1205c)는 모인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와, 마스크 고정부의 배치를 달리하는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관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마스크 고정부의 배치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는 UV 발생 모듈과 나란히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걸이부재(1303)는 UV 발생 모듈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되는 마스크(M)는 UV 발생 모듈(1201)과 나란히 이격되어 구비되고, 하우징(110) 내면 및 거치부재(1301)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크 고정부(130)의 거치부재(1301)는 거치부재(1301)의 어느 일단의 단부가 필터(1205c)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205c) 하부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거치부재(1301)의 어느 일단의 단부에는 걸림 고리가 형성되어, 양자가 체결됨에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마스크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스크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부가 탈착 가능하여, 사용자가 마스크를 고정함에 있어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정된 마스크가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되어 관리됨으로써, 마스크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 관리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마스크가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여, 마스크의 살균 및 이물질 제거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외에도,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와 공지기술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실시예들을 모두 포괄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마스크 관리 장치 110: 하우징
120: 마스크 관리 모듈 1201: UV 발생 모듈
1203: 발열 모듈 1205: 송풍 모듈
1205a: 송풍팬 1205b: 통풍구
1205c: 필터 1207: 진동 모듈
1209: 유체 분사 모듈 130: 마스크 고정부
1301: 거치부재 1303: 걸이부재
140: 회전 모듈 150: 안착부
160: 걸이부 170: 제어 모듈
180: 모니터링부

Claims (11)

  1.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마스크를 관리하는 마스크 관리 모듈;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마스크를 고정하는 마스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 고정부는 상기 마스크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될 때 상기 마스크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가 고정되는 거치부재; 및
    상기 거치부재에서 연장되어 말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스크의 귀 걸이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마스크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상기 거치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마스크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마스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의 하면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마스크 걸이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가져서, 상기 마스크가 상기 거치부재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채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의 상면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하면으로부터 상방에 구비된 걸이부에 걸림 고정되며,
    상기 마스크 걸이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말단이 절곡되는 형상을 가져서, 상기 마스크가 상기 거치부재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채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관리 모듈은,
    상기 마스크를 살균하기 위한 UV 발생 모듈이나 발열 모듈, 상기 마스크에 잔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송풍 모듈이나 진동 모듈 및 상기 마스크를 세척하기 위한 유체 분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송풍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공간으로 배출하기 뒤한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모듈은,
    상기 마스크에서 제거되는 상기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 모듈은,
    스팀 또는 마스크 살균제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관리장치는,
    상기 마스크 관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관리장치는,
    상기 마스크 관리 모듈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관리 장치.
KR2020200001581U 2020-05-11 2020-05-11 마스크 관리 장치 KR202100025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81U KR20210002536U (ko) 2020-05-11 2020-05-11 마스크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581U KR20210002536U (ko) 2020-05-11 2020-05-11 마스크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536U true KR20210002536U (ko) 2021-11-18

Family

ID=7871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581U KR20210002536U (ko) 2020-05-11 2020-05-11 마스크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53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545B1 (ko) * 2021-12-06 2022-07-29 (주)이엔지케이 마스크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545B1 (ko) * 2021-12-06 2022-07-29 (주)이엔지케이 마스크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360B1 (ko) 마스크 관리 디바이스
KR100661619B1 (ko) 침구용 살균장치
KR101010907B1 (ko) 건조 장치
KR101978807B1 (ko) 착용 및 휴대물품 살균장치
KR102008104B1 (ko) 신발 내부 세척장치
KR102090377B1 (ko)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장난감 살균 소독장치
US1135128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protective facial masks and medical garments using microwave energy
KR20210002536U (ko) 마스크 관리 장치
KR101507922B1 (ko) 이중 살균기능을 갖는 핸디형 진공 청소기
CN111906078A (zh) 一种儿科护理清洗消毒装置
CN207963111U (zh) 一种空调室内机清洗杀菌装置
CN211637565U (zh) 一种肝胆外科用手术器械清洗装置
JP4310874B2 (ja) 空気清浄機
JP3753602B2 (ja) 循環式エアーシヤワー装置
KR102204144B1 (ko) 양손과 휴대폰을 동시에 자동으로 소독·건조하는 장치
CN111420092B (zh) 一种用于口罩的全自动杀菌灭毒箱及其杀菌灭毒方法
KR101399089B1 (ko) 에어 셔터를 가지는 에어 샤워 및 몸 소독기
KR20180002308A (ko) 클린 장치
CN213553165U (zh) 一种新型重症患者护理用清洗装置
KR20210120274A (ko)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KR200448177Y1 (ko) 멸균 및 소독 기능을 갖는 공기배출장치
JP2007143526A (ja) 動物ケージ
CN210249688U (zh) 一种传染病医院用清扫吸尘器具
JP4302813B2 (ja) 散髪補助用具
KR101365748B1 (ko) 핸드 드라이어 및 통합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