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545B1 - 마스크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545B1
KR102426545B1 KR1020210173219A KR20210173219A KR102426545B1 KR 102426545 B1 KR102426545 B1 KR 102426545B1 KR 1020210173219 A KR1020210173219 A KR 1020210173219A KR 20210173219 A KR20210173219 A KR 20210173219A KR 102426545 B1 KR102426545 B1 KR 10242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mask
masks
sterilization space
hoo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진
조영은
Original Assignee
(주)이엔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엔지케이 filed Critical (주)이엔지케이
Priority to KR102021017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사용된 마스크 다수 개가 램프유닛에 의해 살균 및 건조 처리될 수 있어 위생적인 마스크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구매비용이 절약될 수 있음은 물론 폐기되는 마스크를 줄여 환경오염 저감효과가 있으며, 회전되는 두 개의 제 1 램프와 중앙의 제 2 램프에 의해 다수 개의 마스크가 동시에 전방위적으로 살균 및 건조 처리될 수 있어 마스크 재사용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마스크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살균장치는 내부에는 밀폐된 살균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공간이 개폐되게 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는 마스크가 걸려지는 후크부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살균공간 하부에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살균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공간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되고 점멸 가능하게 구비되어 점등시 상기 후크부재에 걸린 마스크가 전방위 살균 처리되게 하는 살균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살균장치{STERILIZATION DEVICE FOR MASK}
개시된 내용은 부직포 재질로 제조된 마스크가 사용 후 살균 및 건조 처리되게 하는 마스크 살균장치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러스는 단백질에 둘러싸인 구조를 갖고 있는데 그 유전체로 DNA 또는 RNA를 갖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할 수 없어 숙주의 세포 내에서 복제된다. 숙주로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나 식물 등 모든 생명체가 될 수 있으며 숙주의 세포간 감염을 통해 증식하게 된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데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에 의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독감,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염,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출혈열, 메르스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이 있다.
인간이 숙주인 경우 감염은 주로 인체에서 배출되는 침이나 콧물과 같은 비말(飛沫)에 의해 전파된다. 감염자가 재채기나 기침을 할 때 공기중으로 비산되는 수천에서 수만개의 침방울은 시속 100km에서 150km의 속도로 공기중에 뿌려지는데 이 비말에 포함된 바이러스는 감염자 근처에 있는 다른 사람의 눈 결막, 비강, 구강 점막을 직, 간접적으로 감염시키게 된다.
직접감염의 경우 비말이 눈 결막, 비강, 구강 점막에 직접 닿아 감염되는 것이고, 간접감염은 주변의 물건이나 손잡이에 떨어진 비말을 타인이 손으로 접촉한 후 그 손으로 눈 결막, 비강, 구강 점막을 만져 감염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비말을 통한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방역용구의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도 중증 감염자를 빈번하게 접촉할 수밖에 없는 의료진의 경우에는 방호복, 글러브, 고글, 마스크, 페이스 쉴드 등의 방역용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해 의료진 스스로는 물론 2차감염을 방지하게 된다.
이 중에서도 마스크는 바이러스 보균자가 타인을 감염시키는 것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바이러스 보균자로부터 바이러스의 감염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장 손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마스크는 코와 입 부위가 가려지도록 얼굴 부위에 위치되며 양측에 귀걸이 밴드가 구비되어 귀에 걸어 착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한편,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세계적 유행으로 외출시 마스크 착용이 필수적이며, 많은 양의 마스크가 사용후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착용되는 마스크는 부직포 재질로 제조된 마스크이다. 이러한 마스크는 일회용으로 착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단시간 착용한 경우 재사용을 위해 보관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한 가정에서 다수의 가족이 각각 마스크를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비용의 지출이 적지않고 환경오염이 유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마스크는 한번 착용하게 되면 외부의 오염물질이나 착용자의 침에 의해 마스크가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어 재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살균과 건조가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마스크를 햇빛에 말려 재사용하거나 살균스프레이를 분사해 재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감염위험이 높은 우려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112544호(2021.09.15)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131806호(2021.11.03)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124951호(2021.10.15)
사용된 마스크가 살균 및 건조 처리될 수 있고, 다수 개의 마스크가 동시에 처리될 수 있으며, 전방위 살균이 가능한 마스크 살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는 밀폐된 살균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공간이 개폐되게 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는 마스크가 걸려지는 후크부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살균공간 하부에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살균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공간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전되고 점멸 가능하게 구비되어 점등시 상기 후크부재에 걸린 마스크가 전방위 살균 처리되게 하는 살균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살균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살균공간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양측에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상기 후크부재에 걸린 마스크 일면이 살균 및 건조 처리되게 하는 제 1 램프와, 상기 회전부재 중앙에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재에 걸린 마스크의 타면이 살균 및 건조 처리되게 하는 제 2 램프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마스크 살균장치에 의하면, 사용된 마스크 다수 개가 램프유닛에 의해 살균 및 건조 처리될 수 있어 위생적인 마스크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구매비용이 절약될 수 있음은 물론 폐기되는 마스크를 줄여 환경오염 저감효과가 있으며, 회전되는 두 개의 제 1 램프와 중앙의 제 2 램프에 의해 다수 개의 마스크가 동시에 전방위적으로 살균 및 건조 처리될 수 있어 마스크 재사용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살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살균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살균장치의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단면도이고, 도 4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살균장치(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며 본체(10)가 구비된다. 이 본체(10)는 마스크 살균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체(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갖는데, 그 내부에는 밀폐된 살균공간(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회동 여부에 따라 살균공간(11)이 개폐되게 하는 커버(12)가 구비되며 커버(12)의 하부면에는 마스크가 걸려지는 후크부재(16)가 구비된다.
전술한 커버(12)는 원터치 방식으로 본체(10) 상에서 회동 방식으로 개폐되는데 이를 위해 커버(12)의 일측은 본체(10)의 상단 일측과 힌지로 연결된다. 그리고 커버(12)의 일측에는 살균공간(11)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순환될 수 있도록 환기구(121)가 설치된다.
커버(12)의 하부면에는 후크부재(16)가 구비되는데, 이 후크부재(16)는 마스크의 걸려져 거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 개가 커버(12)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 하부면에 네 개의 후크부재(16)가 구비되어 네 개의 마스크가 동시에 거치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이보다 적은 개수의 후크부재(16)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사용중 후크부재(16)가 파손될 시에도 새로운 후크부재(16)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배터리(13)가 설치되고, 본체(10)의 외부에는 제어부(14) 및 충전소켓(15)이 더 설치된다. 전술한 배터리(13)는 추후에 설명될 구동모터(20) 및 살균유닛(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충전배터리와 같이 외부전원과 접속시 반복적으로 충전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외부 일측에는 전원의 온/오프, 추후에 설명될 살균유닛(30)의 작동시간과 회전여부 및 전술한 배터리(13)의 충전이 제어됨과 동시에 해당 정보가 표시되는 제어부(14)와, 전술한 배터리(13)의 충전을 위해 외부전원이 접속되게 하는 충전소켓(15)이 구비된다. 전술한 제어부(14)는 마스크 살균장치(1)의 전체적인 상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액정(141)과, 이 액정(141)에 표시된 정보가 제어될 수 있게 하는 다수 개의 컨트롤버튼(142)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가 컨트롤되는 전원버튼이 구비되고 액정(141)에는 온/오프 상태가 문자로 표시되거나 붉은색/초록색 램프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10)의 내부에는 제어부(14), 배터리(13) 및 추후에 설명될 살균유닛(30) 간에 전원공급과 전기적 신호가 송수신되는 PCB기판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살균공간(11)의 하부에는 구동모터(20)가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구동모터(20)는 구동여부에 따라 추후에 설명될 살균유닛(30)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이 제공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동모터(20)는 전술한 배터리(13)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14)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구동모터(20)의 구동축(21)은 추후에 설명될 살균유닛(30)과 치합될 수 있도록 살균공간(11)의 바닥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위치되고, 이 구동축(21) 상에는 구동기어(22)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살균공간(11) 내에는 살균유닛(30)이 회전 및 점멸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살균유닛(30)은 전술한 후크부재(16)에 걸린 다수 개의 마스크가 동시에 전방위적으로 살균 및 건조 처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살균유닛(30)은 살균공간(11)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저면에 구동기어(22)와 치합되는 내접링기어(311)가 형성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31)와, 회전부재(31) 양측에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부재(31)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후크부재(16)에 걸린 마스크 일면이 살균 및 건조 처리되게 하는 제 1 램프(32)와, 회전부재(31) 중앙에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크부재(16)에 걸린 마스크가 제 1 램프(32)와 함께 살균 처리되게 하는 제 2 램프(33)가 포함된다.
전술한 회전부재(3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살균공간(11)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부재(3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별도의 롤러나 베어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램프(3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한 개씩 총 두개가 설치되되 그 횡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부재(31)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후크부재(16)에 걸린 마스크 일면이 살균 및 건조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 2 램프(3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제 1 램프(32)에 의해 살균 및 건조 처리되지 못한 마스크의 타면이 살균 및 건조 처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1 램프(32) 및 제 2 램프(33)는 전술한 배터리(13)로부터 그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14)에 의해 그 점멸이 제어된다. 그리고 점멸시간과 점멸 패턴또한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램프(32) 및 제 2 램프(33)는 살균 및 건조에 효과가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UV살균램프인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마스크 살균장치에 의하면, 사용된 마스크 다수 개가 램프유닛에 의해 살균 및 건조 처리될 수 있어 위생적인 마스크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구매비용이 절약될 수 있음은 물론 폐기되는 마스크를 줄여 환경오염 저감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되는 두 개의 제 1 램프와 중앙의 제 2 램프에 의해 다수 개의 마스크가 동시에 전방위적으로 살균 및 건조 처리될 수 있어 마스크 재사용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마스크 살균장치
10 : 본체
11 : 살균공간
12 : 커버
121 : 환기구
13 : 배터리
14 : 제어부
141 : 액정
142 : 컨트롤버튼
15 : 충전소켓
16 : 후크부재
20 : 구동모터
21 : 구동축
22 : 구동기어
30 : 살균유닛
31 : 회전부재
311 : 내접링기어
32 : 제 1 램프
33 : 제 2 램프

Claims (5)

  1. 내부에는 밀폐된 살균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공간이 개폐되게 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는 마스크가 걸려지는 후크부재가 구비된 본체;
    상기 살균공간 하부에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살균공간 내에 위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공간 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후크부재에 걸린 마스크를 전방위로 살균 처리하는 살균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살균공간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순환될 수 있도록 환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상기 살균공간의 바닥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위치되고, 상기 구동축 상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살균공간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저면에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내접링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 양측에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 회전시 함께 회전되며 상기 후크부재에 걸린 마스크 일면이 살균 및 건조 처리되게 하는 제 1 램프; 및
    상기 회전부재 중앙에 점멸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재에 걸린 마스크의 타면이 살균 및 건조 처리되게 하는 제 2 램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 및 살균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게 하며 외부전원과 접속시 반복적으로 충전되는 배터리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는 전원의 온/오프, 상기 살균유닛의 작동시간과 회전여부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제어됨과 동시에 해당 정보가 표시되는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외부전원이 접속되게 하는 충전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살균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73219A 2021-12-06 2021-12-06 마스크 살균장치 KR10242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219A KR102426545B1 (ko) 2021-12-06 2021-12-06 마스크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219A KR102426545B1 (ko) 2021-12-06 2021-12-06 마스크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545B1 true KR102426545B1 (ko) 2022-07-29

Family

ID=8260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219A KR102426545B1 (ko) 2021-12-06 2021-12-06 마스크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5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72B1 (ko) * 2017-12-26 2018-02-26 김형주 마스크 살균 및 건조장치
KR20210112544A (ko) 2020-03-05 2021-09-15 이경화 마스크 휴대용 살균장치
KR20210124951A (ko) 2018-10-30 2021-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20210131806A (ko) 2020-04-24 2021-11-03 엄재철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KR20210002536U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472B1 (ko) * 2017-12-26 2018-02-26 김형주 마스크 살균 및 건조장치
KR20210124951A (ko) 2018-10-30 2021-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20210112544A (ko) 2020-03-05 2021-09-15 이경화 마스크 휴대용 살균장치
KR20210131806A (ko) 2020-04-24 2021-11-03 엄재철 건조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KR20210002536U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크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395A (en) Ultra-violet germicidal mask system
JP2016518532A (ja) システム内に導入された空気を浄化するための紫外線発光体を含む医療用/外科用の個人防護システム
JPH07500271A (ja) 生体調整殺菌ドライヤー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WO2023204532A1 (ko) 비밀폐형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차단장치
TWI788902B (zh) 可迴圈再用的智慧醫護防護面罩
KR102356617B1 (ko) 마스크 휴대용 살균장치
KR102373018B1 (ko) led 빛과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된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
KR102426545B1 (ko) 마스크 살균장치
WO2017183856A1 (ko) 신발 탈취기
WO2021175179A1 (zh) 杀菌口罩
US20210345707A1 (en) Disinfecting face mask
CN109770511A (zh) 智能空气净化消毒文具盒
CN211935248U (zh) 一种电子式防护头罩
JP3231851U (ja) 空気浄化マスク
US20230067491A1 (en) Wireless rechargeable and portable anti-microbial respirator
CN211747168U (zh) 杀菌口罩
CN213156068U (zh) 一种咽拭子采集防护装置
JP6903211B1 (ja) 衣服
KR102322731B1 (ko) 마이크헤드 살균형 마이크
KR102188594B1 (ko) 머리장착용 탄성밴드가 구비된 전자 마스크
CN212697767U (zh) 具有杀毒、杀菌和除雾霾功能的电动口罩
JP3246180U (ja) リユース可能なスマート医療防護マスク
CN216019283U (zh) 一种带有光源的面部防护罩
CN214594343U (zh) 一种紫外线杀菌口罩
CN212699463U (zh) 一种多功能口腔生物气溶胶防护隔离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