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14U - 상자 접이 장치 - Google Patents

상자 접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14U
KR20210002114U KR2020200000901U KR20200000901U KR20210002114U KR 20210002114 U KR20210002114 U KR 20210002114U KR 2020200000901 U KR2020200000901 U KR 2020200000901U KR 20200000901 U KR20200000901 U KR 20200000901U KR 20210002114 U KR20210002114 U KR 202100021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orking
bottom plate
box
wor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846Y1 (ko
Inventor
손영호
Original Assignee
손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호 filed Critical 손영호
Priority to KR2020200000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4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4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having several cooperating plungers and dies fitted on a rotating table or on movin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5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involving a particular layout of the machinery or relative arrangement of its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 접이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평면 상태의 상자를 접을 수 있도록 작업면이 형성된 작업판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판은,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측면에 각각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대하여 수직인 접이면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와 함께 작업면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는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가 날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날개 위치가 제한되어 조절되는 상자 접이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상자 접이 장치{Box folding device}
본 고안은 상자 접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자를 접는 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상자 접이 장치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담아 이동하기 위해 상자가 사용된다. 상자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택배의 배송에 사용되거나 대형마트 등에서 사용되는 상자는 종이로 된 상자로서 상자 형태로 재단된 판지를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와 같은 종이 상자에서 상자에 담겨지는 물품이 무거운 경우 이러한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상자는 두터운 종이로 이루어지고 이를 접어서 조립함에 있어서도 힘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자를 접기 위하여 두 사람이 협업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른 번거로움과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한 사람의 작업자만으로도 상자를 접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그 중 하나의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51585호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장치에 구비된 작업면에 상자 형태로 재단된 판지를 밀어넣음으로써 측판을 접기 용이하고, 접힌 상태가 유지되어 다음의 접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장치는 안전성, 작업성 및 이동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개선의 여지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1585호 (2004.05.17.)
본 고안은 날개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날개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날개의 위치를 제한하여 상자를 접는 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안전성, 작업성 및 이동성의 측면에서 개선된 상자 접이 장치를 제시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평면 상태의 상자를 접을 수 있도록 작업면이 형성된 작업판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판은,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측면에 각각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대하여 수직인 접이면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와 함께 작업면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는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가 날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날개 위치가 제한되어 조절되는 상자 접이 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작업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작업판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바닥판과 접촉하여 상기 작업판을 지지하는 보강판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작업판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자 접이 장치는, 상기 작업판의 하면에 구비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재가 걸려 상기 작업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자 접이 장치는, 상기 작업판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판과 상기 바닥판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 접이 장치는, 상기 바닥판이 설치되는 경사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은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날개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가이드가 날개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슬라이딩가이드에 부딪혀 다치거나 작업이 방해되지 않아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작업판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보강판을 구비함으로써 상자를 조립하는 과정 중 상부에서 조립돌기를 조립홀에 눌러 끼우는 작업시 작업판을 지지해 주어 작업성이 높아진다.
한편 돌출부재와 스토퍼를 구비하고 돌출부재가 스토퍼에 걸려 위치가 결정되게 함으로써 반대쪽의 작업을 하기 위해 작업판을 돌릴 때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작업판과 바닥판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양 관통홀을 통과하여 끼워지는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작업판과 바닥판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고 이동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바닥판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할 수 있는 경사판를 구비하여 작업판을 기울인 상태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가 앉아서 작업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접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자 접이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자 접이 장치에 채용된 보강판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자 접이 장치에 채용된 돌출부재와 스토퍼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자 접이 장치에 채용된 경사판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도.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 접이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접이 장치(100)는 바닥판(1) 및 바닥판(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자 형태로 재단된 판지를 접을 수 있도록 작업면이 형성된 작업판(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작업판(2)은, 몸체(21)와 날개(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21)는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 보는 양 측면에 각각 슬라이딩가이드(211)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가이드(211)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212)이 형성된다.
한편 날개(22)는 몸체(21)에 대하여 수직인 접이면(222)을 구비하여 몸체(21)와 함께 작업면을 형성하는 한편 슬라이딩부재(221)를 구비하고 이 슬라이딩부재(221)가 슬라이딩가이드(211)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날개(22)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슬라이딩가이드(211)가 날개(2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날개의 위치는 제한되어 조절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슬라이딩가이드(211)와 부딪혀 다치거나 슬라이딩가이드(211)에 의해 작업이 방해되지 않게 되어 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접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자 접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바닥판(1)은 설치 위치에 놓여지고 작업판(2)을 지지한다. 이때 바닥판(1)과 작업판(2)은 회전부재(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바닥판(1)을 양 끝단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다리(11)를 이루며 절곡된 아래면에 받침부재(12)가 결합된다.
한편 바닥판(1)의 상면에는 스토퍼(23)가 구비된다. 스토퍼(23)는 작업판(2)의 하면에 구비되는 돌출부재(214)가 걸려 작업판(2)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스토퍼(23)는 돌출부재(214)와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판(1)의 상면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23)는 톱니 형상의 멈춤부재(233)를 구비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토퍼(23)는 2개의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231)의 각 공간에 탄성부재(232)가 삽입되고 탄성부재(232) 위에 톱니 형상의 멈춤부재(233)가 놓여진 후 커버(234)가 하우징(231)에 결합되어 마감된다. 이에 따라 멈춤부재(233)는 출몰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하우징(231)의 탄성부재(232)가 삽입되는 공간 부분은 바닥판(1)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배치되고 하우징(231)과 커버(234)의 테두리는 이 홀보다 큰 크기를 가지므로 바닥판(1)의 상면에 놓여져 바닥판(1)과 결합된다.
작업자는 일측 방향의 접는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판(2)을 회전시켜 반대편의 접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정확한 위치에 작업판(2)이 위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이 스토퍼(23)를 채용함으로써 돌출부재(214)가 양 멈춤부재(233) 사이에 멈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판(2)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자 접이 장치에 채용된 돌출부재와 스토퍼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돌출부재(214)는 일정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으로서 톱니 형상의 멈춤부재(233)와 맞닿는 부분의 모서리가 둥글게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톱니 형상의 경사면을 타고 다음번 멈춤부재(233)에서 멈추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재(214)는 작업판(2) 하부에 작업판(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슬롯(215)에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돌출부재(214)는 탄성을 가진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214)가 손상되었을 때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재(214)는 손상되었을 경우 교체가 바람직하나 위치 이동이 가능하면 여분의 돌출부재(214)가 없을 경우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끼움슬롯(215)을 이용하여 돌출부재(214)를 결합시키면 끼움슬롯(215)을 따라 돌출부재(215)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끼움슬롯(215)를 작업판(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멈춤부재(233)와의 접촉에 의해 돌출부재(215)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23)는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자(10)의 조립시에 일측 방향의 접는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판(2)을 회전시켜 반대편의 접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작업판(2)을 회전시키는 방향은 작업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멈춤부재(233)의 톱니 방향이 회전 방향과 맞지 않으면 돌출부재(214)가 멈춤부재(233)를 지나가지 못하고 걸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23)는 볼트와 나비 너트에 의해 장착 및 탈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스토퍼(23)의 톱니의 방향을 바꾸어 장착이 가능하며 더욱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다.
작업판(2)은 상자(10)를 접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몸체(21)와 날개(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21)는 대략 수평면(223)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측면에 각각 슬라이딩가이드(211)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가이드(211)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21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21)의 전 후로 절곡된 면이 구비되고 이 절곡된 면이 그대로 슬라이딩가이드(211)로 기능한다.
한편 몸체(21)에서 날개(22)와 결합하는 양 측면은 일부 영역이 내측으로 제거되어 'ㄷ'자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날개(22)의 이동시 마찰이 감소하고 몸체(21)의 중량이 낮아져 작업판(2)을 회전시키기 용이해진다.
또한 몸체(2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바라보는 면에도 대략 사각 형상의 홀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홀의 일측에는 몸체(21)에서 절곡되어 바닥판(1)을 향하는 보강판(213)이 구비된다. 보강판(213)은 바닥판(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작업판(2)이 기울어짐에 따라 바닥판(1)과 접촉하여 작업판(2)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홀을 형성하고 몸체(21) 일부를 절곡하여 보강판(213)으로 구성함으로써 몸체(21)의 중량을 더 낮춤과 동시에 간단한 방법으로 보강판(21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자 접이 장치에 채용된 보강판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자(10)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면 좌우의 측벽을 접은 다음 앞뒤의 측벽을 접을 때 조립돌기(3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좌우의 측벽에 형성된 조립홀(20)에 끼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작업자는 상자(10)의 테두리를 하방으로 강하게 가압하게 되고 이 힘은 작업판(2)에 전달되어 작업판(2)이 아래로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판(213)이 구비된 경우 작업판(2)이 아래로 흔들리더라도 작업판(2)을 지지할 수 있어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보강판(213)이 바닥판(1)과 접촉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보강판(213)의 단부에는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커버가 씌워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213)은 작업판(2)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네모 형상의 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게 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보강판(213)은 작업판(2)에 구비되지 않고 바닥판(1)에 작업판(2)을 향하도록 또는 작업판(2)에 바닥판(1)을 향하도록 별도의 구조물로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날개(22)는 몸체(21)에 대하여 수직인 접이면(222)을 구비하여 몸체(21)와 함께 작업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작업면에 작업자는 상자 형태로 재단된 판지를 가압하여 넣는다. 이에 따라 판지의 양 측면이 접이면(222)을 따라 접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22)는 접이면(222), 수평면(223), 슬라이딩면(224), 제한면(225)을 포함한다. 수평면(223)은 접이면(22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 몸체(21)와 평행한 면을 이룬다. 슬라이딩면(224)은 수평면(223)의 양 끝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슬라이딩가이드(211)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221)의 역할을 수행한다.
슬라이딩면(224)이 몸체(21)의 슬라이딩가이드(211)를 따라 이동하면서 날개(22)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딩면(224)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가이드(211)의 삽입홈(212)과 맞춘 후 결속부재(24)를 체결함으로써 날개(22)의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자(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접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작업면이 아닌 측면에서 결속부재(24)가 결합됨에 따라 상자(10)에 결속부재(24)에 의한 흔적이 남지 않고 상자(10)가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결속부재(24)는 노브 형태의 볼트(241)와 슬라이딩가이드(211)의 안쪽 홈에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너트(242)로 구성될 수 있다. 노브 형태의 볼트(241)는 손으로 잡고 체결하기 용이하고 사각너트(242)는 볼트의 체결시 홈에서 회전이 제한되므로 사각너트(242)를 손으로 잡지 않고 볼트(241)를 체결하는 것 만으로도 용이하게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한면(225)은 슬라이딩면에서 날개(22)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접이면(222)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면(224)이 슬라이딩가이드(211)로 진행함에 따라 양 날개(22)의 거리는 줄어들고 최대로 진행하면 제한면(225)이 슬라이딩가이드(211)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가이드(211)가 날개(22)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날개(22) 위치가 제한되어 조절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 및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닥판(1)과 작업판(2)은 회전부재(4)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부재(4)는 상판과 하판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되도록 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사각회전판 이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4)를 상판은 작업판에 하판은 바닥판에 각각 결합시킨다. 회전부재(4)는 리벳을 이용하여 작업판(1)과 바닥판(2)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회전부재(4)를 이용하면 회전축을 구비하는 구성에서 회전축의 머리 부분의 돌출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판(1)의 중심에 형성하는 함몰면이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편평한 작업면을 확보하면서 바닥판과 작업판을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접이 장치(100)는 작업판(2)과 바닥판(1)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자 접이 장치(100)는 고정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동하면서 설치하여 작업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중 작업판(2)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자 접이 장치(100)를 운반하는 작업자가 다칠 수 있다. 고정부재(5)는 이를 방지하고 이동 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작업판(2)에는 제1관통홀(216)이 형성되고, 바닥판(1)에도 제1관통홀(2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13)이 형성되며 고정부재(5)가 제1관통홀(216)과 제2관통홀(13)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판(2)과 상기 바닥판(1)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고정부재(5)는 나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비 형상의 너트가 체결되어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접이 장치(100)는 작업자가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판(2)을 기울일 수 있는 경사판(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자 접이 장치에 채용된 경사판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경사판(3)는 수평부재(31), 경사부재(32), 지지부재(33) 및 쿠션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재(31)는 설치 위치에 놓여져 위치를 결정하고 내부에 함몰된 공간을 가진다. 경사부재(32)는 수평부재(31)의 함몰된 공간에 삽입이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함몰된 공간을 가진다. 경사부재(32)의 함몰된 공간에는 바닥판(1)의 다리(11)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경사판(3)의 함몰된 공간의 일측에는 쿠션부재(34)가 설치된다.
지지부재(33)는 수평부재(31)와 경사부재(32)에 각각 끝단이 결합되고 경사부재(32)가 경사지도록 펴졌을 때 경사부재(32)가 경사진 위치를 지지해 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경사판(3)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앉아서 작업을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경사부재(32)를 수평부재(31)에서 이탈시켜 기울어지게 한 뒤 경사부재(32)에 바닥판(1)을 안착시켜 더 편안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소형의 상자를 한 사람이 접는 경우 앉은 자세로 편안하게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상자 접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작업자는 날개(22)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작업판(2)을 위치시키고 상자(10)의 크기에 따라 양 날개(22)의 거리를 조절한 후 고정한다.
그 다음 양 날개(22) 위에 상자 형태로 재단된 판지를 올려 놓은 후 가압한다. 판지에는 바닥과 좌우측벽 사이에 접이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이선 부분이 접히면서 상자(10)가 1차적으로 접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자(10)의 바닥은 몸체(21)에 접하게 되고 상자(10)의 좌우측벽은 날개(22)에 접하게 된다.
좌우측벽은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측벽을 한번 더 접어 이중측벽이 되도록 한다. 이중으로 된 좌우측벽의 상측에는 조립홀(2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어서 좌우측벽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벽을 접어 대강의 상자(10) 모양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앞측벽을 접어 마감한다. 이때 앞측벽에 구비된 조립돌기(30)는 좌우측벽의 상측의 조립홀(20)에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일시적으로 큰 힘을 가하게 된다. 이때 보강판(213)의 작용으로 작업판(2)의 흔들림 없이 조립이 가능하다.
앞측벽을 접은 후에는 작업판(2)을 회전시켜서 뒤측벽의 조립을 수행한다. 작업자가 작업판(2)을 회전시키면 작업판(2)이 회전되다가 돌출부재(214)가 스토퍼(23)의 멈춤부재(233)를 지나가면서 멈추게 되어 위치가 정해진다. 이때 첫번째 멈춤부재(233)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들어갔다가 나오면서 양 멈춤부재(233) 사이에 돌출부재(214)가 위치하게 되고 작업판(2)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후 뒤측벽에 대해서도 앞측벽과 마찬가지로 조립하여 상자(1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등 장치를 기울인 상태에서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경사판(3)를 먼저 설치한 후 경사부재(32)를 세우고 경사판(3) 위에 장치를 설치하여 기울인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장치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고정부재(5)를 통해 작업판(2)과 바닥판(1)을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안전하게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자 접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바닥판 11 : 다리 12 : 받침부재 13 : 제2관통홀
2 : 작업판
21 : 몸체 211 : 슬라이딩가이드 212 : 삽입홈 213 : 보강판
214 : 돌출부재 215 : 끼움슬롯 216 : 제1관통홀
22 : 날개 221 : 슬라이딩부재 222 : 접이면 223 : 수평면
224 : 슬라이딩면 225 : 제한면
23 : 스토퍼 231 : 하우징 232 : 탄성부재 233 : 멈춤부재
234 : 커버
24 : 결속부재 241 : 볼트 242 : 사각너트
3 : 경사판 31 : 수평부재 32 : 경사부재 33 : 지지부재 34 : 쿠션부재
4 : 회전부재
5 : 고정부재
10 : 상자 20 : 조립홀 30 : 조립돌기
100 : 상자 접이 장치

Claims (5)

  1.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평면 상태의 상자를 접을 수 있도록 작업면이 형성된 작업판
    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판은,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측면에 각각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대하여 수직인 접이면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와 함께 작업면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하는 한 쌍의 날개
    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가 날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날개 위치가 제한되어 조절되는 상자 접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작업판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바닥판과 접촉하여 상기 작업판을 지지하는 보강판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작업판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상자 접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의 하면에 구비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재가 걸려 상기 작업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상자 접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에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판과 상기 바닥판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상자 접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이 설치되는 경사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은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상자 접이 장치.
KR2020200000901U 2020-03-16 2020-03-16 상자 접이 장치 KR200494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01U KR200494846Y1 (ko) 2020-03-16 2020-03-16 상자 접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01U KR200494846Y1 (ko) 2020-03-16 2020-03-16 상자 접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14U true KR20210002114U (ko) 2021-09-27
KR200494846Y1 KR200494846Y1 (ko) 2022-01-07

Family

ID=7791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01U KR200494846Y1 (ko) 2020-03-16 2020-03-16 상자 접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599B1 (ko) * 2021-09-16 2023-09-27 김지혜 상자 테이핑용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341A (en) * 1975-07-03 1977-01-18 Croix Francis A Grooming stand for pets
KR200351585Y1 (ko) 2004-02-20 2004-05-24 최원락 박스접이장치
KR20140005484U (ko) * 2013-04-15 2014-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틸팅 턴테이블 장치
CN209079320U (zh) * 2018-09-10 2019-07-09 广东东方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清废纸机气囊锁紧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341A (en) * 1975-07-03 1977-01-18 Croix Francis A Grooming stand for pets
KR200351585Y1 (ko) 2004-02-20 2004-05-24 최원락 박스접이장치
KR20140005484U (ko) * 2013-04-15 2014-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틸팅 턴테이블 장치
CN209079320U (zh) * 2018-09-10 2019-07-09 广东东方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清废纸机气囊锁紧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46Y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0797B1 (en) Power tool and portable support assembly
US4838180A (en) Folding table leg apparatus
US20040250905A1 (en) Table with rotatable supports
KR200494846Y1 (ko) 상자 접이 장치
KR101662390B1 (ko) 시트 쿠션 익스텐션 장치
EP1400321B1 (en) Workbench having a plastic clamping work surface
US8517342B2 (en) Door lifting and holding tool
US8820828B2 (en) Foldable artist bench
US4068550A (en) Foldable bench for a portable hand-held circular saw
US7320383B1 (en) Heavy duty fold out saw horse
USRE30689E (en) Foldable bench for a portable hand-held circular saw
CN212233573U (zh) 一种折叠走台及工程机械
JPH10175206A (ja) カッター装置
JP3965296B2 (ja) 折り畳み椅子
JPH0748097Y2 (ja) 折畳式テーブル
KR101644768B1 (ko) 조립식 목재 재단기
US3198144A (en) Collapsible table
JP3905852B2 (ja) ボードリフタ
JP2004357979A (ja) テーブル
GB2028642A (en) Workbench
JP3890794B2 (ja) 給紙カセット
RU48723U1 (ru) Этюдник
KR100530939B1 (ko) 자동 스트레칭 기구
US6151819A (en) Page manipulating book support
JPH05106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