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599B1 - 상자 테이핑용 지그 - Google Patents

상자 테이핑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599B1
KR102583599B1 KR1020210123780A KR20210123780A KR102583599B1 KR 102583599 B1 KR102583599 B1 KR 102583599B1 KR 1020210123780 A KR1020210123780 A KR 1020210123780A KR 20210123780 A KR20210123780 A KR 20210123780A KR 102583599 B1 KR102583599 B1 KR 10258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jig
taping
seating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531A (ko
Inventor
김지혜
Original Assignee
김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혜 filed Critical 김지혜
Priority to KR102021012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5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Landscapes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 테이핑용 지그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상자를 테이핑하기 위한 지그로서,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펼쳐진 상자의 일측 단부가 놓여지고, 상자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자가 일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상자가 놓여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자의 일측 단부가 폐쇄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기 상자가 이동되었을 때 상기 상자의 접힌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상자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상자 테이핑용 지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상자 테이핑용 지그{JIG FOR BOX TAPING}
본 발명은 상자 테이핑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자의 밑면 또는 윗면을 접어 테이핑할 때 상자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핑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상자 테이핑용 지그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담아 이동하기 위해 상자가 사용된다. 상자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택배의 배송에 사용되거나 대형마트 등에서 사용되는 상자는 종이로 된 상자로서 상자 형태로 재단된 판지를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와 같은 종이 상자에서 상자에 담겨지는 물품이 농산물, 과일 등과 같이 무겁고 손상되기 쉬운 경우 무게를 견디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자는 두터운 종이로 이루어지고 이를 접어서 조립함에 있어서도 힘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자를 접기 위하여 두 사람이 협업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자를 접는 과정은, 둘레 방향으로 접합이 완료되고 납작하게 접힌 상태의 상자를 사각 기둥 형태로 펼쳐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만든 다음 4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바닥판을 접어 일방을 폐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지막에 접히는 바닥판의 2개 부분을 중앙에서 끝단이 서로 맞닿도록 접은 다음 서로 맞닿는 끝단을 테이핑하여 벌어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후 개방된 윗판으로부터 물건을 수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65621호에 이러한 작업이 자동화되도록 하는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고가이고 구성이 복잡하여 농산물이나 과일 등을 상자에 포장하고자 하는 개별 농가 등에 있어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5621호 (2016.06.09)
본 발명은 양 단부가 개방되도록 펼쳐진 상자를 올려놓고 상자의 바닥판을 접을 수 있는 한편 상자의 접힌 부분을 일시적으로 가압하여 상자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자를 테이핑하는 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동성도 우수한 상자 테이핑용 지그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상자를 테이핑하기 위한 지그로서,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펼쳐진 상자의 일측 단부가 놓여지고, 상자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자가 일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상자가 놓여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자의 일측 단부가 폐쇄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기 상자가 이동되었을 때 상기 상자의 접힌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상자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상자 테이핑용 지그를 제시한다.
상기 상자 테이핑용 지그는, 상기 안착부와 결합하여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저부는, 수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받침판, 한 쌍의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지지판 및 한 쌍의 상기 제1지지판을 이어주는 제2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 테이핑용 지그는,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기저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자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형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형틀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세움판 및 한 쌍의 상기 세움판의 연장된 단부를 서로 이어주는 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자의 일측 단부가 놓여지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외측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자의 외측에 세워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자가 상기 바닥판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상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을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거나 상기 몸체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상자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자를 향한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누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안착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에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펼쳐진 상자를 올려놓고 상자의 일측 단부가 폐쇄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누름부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누름부에서 상자의 접힌 부분을 가압하여 상자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자를 테이핑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 작업성 및 이동성이 우수하다.
한편 기저부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기저부가 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형태로 함으로써 기저부의 중량을 줄이면서도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안착부나 기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자의 내부에 위치하는 형틀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하는 동안 상자의 모양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안착부는 바닥판과 측판으로 구성되어 바닥판에서 상자를 안착시키고 측판에서 상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상자의 접힌 부분이 누름부가 작용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누름부가 한 쌍의 연장판을 가진 몸체와 연장판에 각각 구비되는 누름체를 구비하여 상자가 누름체로 진입할 때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밑판이 펼쳐지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를 눌러줄 수 있고 누름체에 경사면이 구비되어 상자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종 크기의 상자에 대응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테이핑용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자 테이핑용 지그의 다른 측면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상자 테이핑용 지그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상자 테이핑용 지그의 사용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 테이핑용 지그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테이핑용 지그(100)는 상자(50)를 테이핑하기 위한 지그로서, 안착부(10)와 누름부(20)를 포함한다.
안착부(10)는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펼쳐진 상자(50)의 일측 단부가 놓여진다. 또한 안착부(10)는 상자(50)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자(50)가 일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자(50)는 안착부(1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누름부(20)는, 안착부(10)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상자(50)가 놓여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자(50)의 일측 단부가 폐쇄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자(50)가 이동되었을 때 상자(50)의 접힌 부분을 가압할 수 있고 상자(50)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이때 4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상자(50)의 일측 단부는 밑판이나 윗판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 중 2개의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중앙으로 접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맞닿는 끝단을 테이핑하여 벌어지지 않도록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자 테이핑용 지그(100)는, 안착부(10)에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펼쳐진 상자(50)를 올려놓고 상자(50)의 밑판을 접을 수 있는 한편 상자(50)의 접힌 부분을 일시적으로 가압하여 상자(50)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자(50)를 테이핑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그의 형태로서 이동성이 우수하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자 테이핑용 지그의 사시이고, 도 2는 이러한 상자 테이핑용 지그의 다른 측면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자 테이핑용 지그의 측면도이다.
안착부(10)는 상자(50)를 접는 작업을 할 때 상자(50)가 놓여지는 부분으로서, 바닥판(11)과 측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닥판(11)은 상자(50)의 일측 단부가 놓여지는 구성이고 측판(12)은 바닥판(11)의 외측에 세워져 상자(5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일반적으로 종이 상자는 편평한 종이를 재단한 후 이를 접어서 완성한다. 이때 1차적으로 접착제나 타커 등에 의해 둘레 부분이 폐곡면이 되도록 접합이 완료되고 이동시 적재량을 많게 하기 위해 납작하게 접힌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자(50)를 접는 과정은 납작하게 접힌 상태의 상자(50)를 펼쳐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만들고, 바닥판(11)을 이루는 4개의 부분 중 서로 마주보고 짧은 길이를 가진 2개의 부분을 접은 후 나머지 긴 2개의 부분을 서로 중앙에서 맞닿도록 접은 다음 테이핑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먼저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펼쳐진 상자(50)가 바닥판(11)에 놓여지게 된다. 바닥판(11)은 상자(5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닥판(11)은 상자(50)의 전체 영역이 놓여지는 것이 아니라 일부 영역이 놓여지게 된다.
다만, 바닥판(11)은 상자(50)가 일정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는 길이 영역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자(50)는 바닥판(11)에 놓여진 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측판(12)은 바닥판(11)의 외측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자(50)의 외측에 세워지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자(50)가 바닥판(11)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동시에 측판(12)은 상자(50)가 측판(12)의 외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상자(5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닥판(11)은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지만 서로 이어져 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측판(12)의 외측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2)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어지는 선반(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선반(13)을 구비하는 경우 테이프 등의 작업 도구를 올려놓을 수 있어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누름부(20)는 상자(50)의 접혀진 밑판을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눌러주는 구성으로서, 몸체(21)와 누름체(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21)는 안착부(10)에 결합되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25)을 구비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몸체(21)의 하부는 측판(12)과 대응되는 넓이를 가진 판으로 이루어지고 몸체(21)의 상부에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장되는 2개의 연장판(2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누름부(20)의 강성을 확보하는 한편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누름체(22)는 몸체(21)에 결합되거나 몸체(2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상자(50)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자(50)를 향한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23)이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누름체(22)는 몸체(21)의 2개의 연장판(25)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누름체(22)는 이동된 상자(50)와 대략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밑판이 접힌 상태에서 상자(50)가 누름체(22)로 이동하면 누름체(22)가 밑판을 접힌 상태로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밑판의 테이핑 작업을 할 수 있다.
2개의 연장판(25)으로부터 이어지는 2개의 누름체(2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누름체(22)의 단부에는 경사면(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자(50)가 누름체(22)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누름체(22)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누름체(22)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몸체(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누름체(22)는 탄성부재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자(50)의 높이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상자(50)를 누름체(2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자(50)는 경사면(23)을 타고 누름체(22)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탄성부재는 늘어나게 되며 누름체(22)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자(50)를 더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누름체(22)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누름부(20)의 몸체(21)에는 슬릿 형상의 홈(24)이 2개 형성되고 몸체(21)가 결합되는 안착부(10)의 측판(12)에는 이 홈(24)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몸체(21)의 홈(24)과 안착부(10)의 측판(12)의 홀들 중 적합한 홀을 통해 체결구를 결합시킴으로써 누름부(20)가 안착부(10)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의 상자에도 대응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누름부(20)는 안착부(10)에 놓여지는 상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측 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 방향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자 둘레에 3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누름부를 활용하여 편리한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상자 테이핑용 지그(100)는 상자(5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형틀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형틀부(30)는 상자(50)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자(5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이러한 형틀부(30)는 안착부(10) 또는 기저부(40)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형틀부(30)는 안착부(10) 또는 기저부(40)와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결합됨으로써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형틀부(30)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기저부(40)에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며, 세움판(31)과 평판(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움판(31)은 2개의 서로 이격된 판으로 이루어지고 기저부(4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세움판(31)의 연장된 단부를 평판(32)이 서로 이어주어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형틀부(30)는 안착부(10)와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세움판(31)은 안착부(10)의 바닥판(11)으로부터 연속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하나의 판을 이용하여 안착부(10)와 형틀부(30)를 함께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안착부(10)와 형틀부(30)가 일체화된 구성은 전체적으로 모자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안착부(10)는 기저부(40)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착부(10)는 안착부(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저부(40)에 설치된다. 기저부(40)는 하나의 판이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여기에서 기저부(40)는 수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받침판(41)과 한 쌍의 받침판(41)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지지판(42) 및 한 쌍의 제1지지판(42)을 이어주는 제2지지판(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받침판(41)은 지면과 접촉하여 다리의 역할을 한다. 한편 받침판(41)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이 홀에 다리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판(41)은 지면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다리부재는 받침판(4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한편 지면과 직접 접촉하여 받침판(41)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제1지지판(42)에는 안착부(10)와 형틀부(30)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착부(10)는 2개의 개별적인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형틀부(30)는 'ㄷ'자 형태로 절곡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판(42)과 제2지지판(43)은 형틀부(30)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전체적으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10)의 바닥판(11)에서 측판(12)의 반대편에는 절곡된 면이 형성되고 이 절곡된 면이 제1지지판(42)의 외측과 면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지지판(42)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안착부(1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형틀부(30)의 2개의 세움판(31)은 각각 제1지지판(42)의 외측에 결합된다. 세움판(31) 또는 제1지지판(4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형틀부(3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지지판(43)은 형틀부(30)의 세움판(31)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함으로써 형틀부(30)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보강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각종 작업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저부(40)에는 한 쌍의 제1지지판(42)을 연결하는 중간판(44)이 구비될 수 있다. 중간판은 기저부(40)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보강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각종 작업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하나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안착부(10)와 형틀부(30)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안착부(10)와 형틀부(30)를 개별로 제작하되 서로 연결하여 안착부(10)와 형틀부(30)를 모자 모양으로 형성하는 경우 기저부(40)는 안착부(10) 또는 형틀부(3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기저부(40)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착부(10), 누름부(20), 형틀부(30), 기저부(40)의 각 구성들은 금속판을 재단하고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자 테이핑용 지그의 제작이 간단하고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각종 수납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금속판의 재단된 테두리 부분은 절곡하여 접힘면으로 만들어 마감처리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는 한편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의 적절한 위치에 여러 가지 통공을 형성하여 전체적인 중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다른 구성을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홀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자 테이핑용 지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상자 테이핑용 지그의 사용도이다.
여기에서 상자 테이핑용 지그(1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기저부(40)와 형틀부(30)를 구비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된 형태에도 유추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먼저 작업자는 납작하게 접혀진 상자(50)를 입체 형태로 펼쳐 안착부(10)에 올려놓는다(도 4a 참조). 최초에 상자(50)는 밑판과 윗판이 개방된 상태로 접혀져 있으므로 입체 형태로 펼치더라도 밑판과 윗판은 여전히 개방된 상태이다. 이를 안착부(10)에 올려놓으면 상자(50)의 내부 공간에는 형틀부(30)가 위치하게 되고 상자(50)는 형틀부(30)는 감싸는 형태가 된다.
이때 누름부(20)의 누름체(22)의 위치는 상자(50)와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자(50)는 누름체(22)와 간섭하지 않고 안착부(10)에 놓여질 수 있다. 밑판을 테이핑하는 경우 안착부(10)에는 반대편인 윗판의 단부가 놓여진다.
다음으로 상자(50)의 밑판이 폐쇄되도록 접는다(도 4b 참조). 밑판은 4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짧은 2개의 부분을 먼저 접고 다음으로 긴 2개의 부분을 접는다. 긴 2개의 부분은 끝단이 서로 중앙에서 맞닿게 된다. 밑판을 접음에 따라 상자(50)의 밑판은 누름체(22)보다 낮은 위치가 되고 상자(50)의 밑면이 폐쇄된다. 이 상태의 밑판은 복원력을 가지므로 힘을 가하지 않으면 다시 펼쳐질 수 있다.
다음으로 밑판이 접힌 상태의 상자(50)를 누름부(20)로 이동시킨다(도 4c 참조). 이에 따라 밑판의 일측이 누름체(22)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누름체(22)는 밑판이 펼쳐지지 않도록 가압하여 밑판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누름체(22)가 상자(50)의 밑판을 눌러주므로 작업자는 밑판을 눌러줄 필요가 없어 양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자(50)의 밑판이 벌어지지 않도록 테이핑한다(도 4d 참조). 이는 상자(50)의 옆판으로부터 시작하여 밑판이 서로 맞닿는 부분을 거쳐 반대편 옆판으로 테이프를 부착시켜 밑판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테이프(60)는 안착부(10)에 구비된 선반(13)에 놓아 두었다가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밑판의 폐쇄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밑판의 테이핑이 완료된 상자(50)를 상자 테이핑용 지그(100)로부터 꺼낸다. 상자(50)를 누름부(2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누름체(22)의 위치로부터 상자(50)가 벗어날 수 있고 누름체(22)의 위치로부터 상자(50)가 벗어난 다음 상방으로 들어 올려 꺼낼 수 있다. 상자(50)의 윗판은 여전히 개방된 상태이므로 윗판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을 넣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자 테이핑용 지그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안착부 11 : 바닥판 12 : 측판 13 : 선반
20 : 누름부 21 : 몸체 22 : 누름체 23 : 경사면 24 : 홈 25 : 연장판
30 : 형틀부 31 : 세움판 32 : 평판
40 : 기저부 41 : 받침판 42 : 제1지지판 43 : 제2지지판 44 : 중간판
50 : 상자 60 : 테이프
100 : 상자 테이핑용 지그

Claims (6)

  1. 상자를 테이핑하기 위한 지그로서,
    양 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펼쳐진 상자의 일측 단부가 놓여지고, 상자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자가 일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상자가 놓여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자의 일측 단부가 폐쇄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상기 상자가 이동되었을 때 상기 상자의 접힌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상자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누름부
    를 포함하는 상자 테이핑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결합하여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저부는,
    수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받침판,
    한 쌍의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지지판 및
    한 쌍의 상기 제1지지판을 이어주는 제2지지판
    을 포함하는 상자 테이핑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또는 상기 기저부에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자의 모양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형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형틀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세움판 및
    한 쌍의 상기 세움판의 연장된 단부를 서로 이어주는 평판
    을 포함하는 상자 테이핑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상자의 일측 단부가 놓여지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외측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자의 외측에 세워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자가 상기 바닥판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상자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측판
    을 포함하는 상자 테이핑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안착부에 결합되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판을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거나 상기 몸체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상자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자를 향한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누름체
    를 포함하는 상자 테이핑용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안착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자 테이핑용 지그.
KR1020210123780A 2021-09-16 2021-09-16 상자 테이핑용 지그 KR10258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780A KR102583599B1 (ko) 2021-09-16 2021-09-16 상자 테이핑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780A KR102583599B1 (ko) 2021-09-16 2021-09-16 상자 테이핑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31A KR20230040531A (ko) 2023-03-23
KR102583599B1 true KR102583599B1 (ko) 2023-09-27

Family

ID=8579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780A KR102583599B1 (ko) 2021-09-16 2021-09-16 상자 테이핑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5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841A (ja) 2000-06-23 2002-01-08 Toppan Printing Co Ltd 箱組み立て用治具
KR101991915B1 (ko) 2019-04-23 2019-09-30 강성준 작업성 개선된 종이박스 제작용 압착지그
KR102068757B1 (ko) 2019-07-02 2020-01-21 한승욱 박스 테이핑 장치
US20200047445A1 (en) 2018-06-18 2020-02-13 Geo Project Industries S.r.l.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oxes with curved corners from a diecut sheet
KR102261465B1 (ko) 2020-07-13 2021-06-09 이경현 포장박스의 간이 테이핑용 거치장치
KR200494846Y1 (ko) 2020-03-16 2022-01-07 손영호 상자 접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156A (en) * 1982-09-29 1987-12-01 Meurer Druck & Carton Gmbh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H0788060B2 (ja) * 1988-10-31 1995-09-27 株式会社富士製作所 ダンボール製函方法およびダンボール製函機
JP3651978B2 (ja) * 1995-09-04 2005-05-25 日東電工株式会社 段ボール箱の製凾装置
KR20160065621A (ko) 2014-12-01 2016-06-09 (주)케이피엠 테이핑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박스 테이핑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841A (ja) 2000-06-23 2002-01-08 Toppan Printing Co Ltd 箱組み立て用治具
US20200047445A1 (en) 2018-06-18 2020-02-13 Geo Project Industries S.r.l.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oxes with curved corners from a diecut sheet
KR101991915B1 (ko) 2019-04-23 2019-09-30 강성준 작업성 개선된 종이박스 제작용 압착지그
KR102068757B1 (ko) 2019-07-02 2020-01-21 한승욱 박스 테이핑 장치
KR200494846Y1 (ko) 2020-03-16 2022-01-07 손영호 상자 접이 장치
KR102261465B1 (ko) 2020-07-13 2021-06-09 이경현 포장박스의 간이 테이핑용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31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2191B2 (ja) 梱包装置および梱包方法
US4897980A (en) Apparatus for forming a bulk package
JP4734100B2 (ja) 梱包装置
KR101383485B1 (ko) 박스 접이 자동화 장치
GB2288387A (en) Foldable box
US4519318A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s
JP2018514470A5 (ko)
EP0283619B1 (en) Pre-pack display stand and method of erection
CN106660655A (zh) 具有支撑柱和孔口的展示托盘
KR102583599B1 (ko) 상자 테이핑용 지그
CN106144114B (zh) 多功能纸箱
US4159765A (en) Display carton
US20030034269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WO2008012556A2 (en) A packaging module
JP2015127208A (ja) 物品運送用梱包具
JP4721796B2 (ja) 空中梱包具及び空中梱包具を用いた収納ケース
JP3977603B2 (ja) 吊下箱
KR102081918B1 (ko) 과일 포장상자
KR200389484Y1 (ko) 포장박스
CN106660660A (zh) 包括内容器和外容器的包装组件、其制造方法、用其储存/展示产品的方法以及用于形成其外容器的坯件
JP6989989B2 (ja) 卵パックを移載する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移動式のラックに複数段に積まれた状態の卵パックを生産する方法
CN217554447U (zh) 一种用于户外储能电源的易拼易拆包装结构
CN215753670U (zh) 一种生物化学制品用具有调节结构的包装盒
JP6534590B2 (ja) 製函装置
JP5528403B2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