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537U -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 - Google Patents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37U
KR20210000537U KR2020190003537U KR20190003537U KR20210000537U KR 20210000537 U KR20210000537 U KR 20210000537U KR 2020190003537 U KR2020190003537 U KR 2020190003537U KR 20190003537 U KR20190003537 U KR 20190003537U KR 20210000537 U KR20210000537 U KR 202100005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racket
magnet
coupl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177Y1 (ko
Inventor
박선영
Original Assignee
박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영 filed Critical 박선영
Priority to KR2020190003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17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1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브래킷(10)에 있어서, 안전유도 조명(L1, L2, L3)이 거치되며 집게와 같이 두개의 갈고리 형상이 마주보고 있는 제1 걸이대(110)와 제2 걸이대(120)와 제2 걸이대(120)의 사이에 하나 이상 위치하는 제3 걸이대(130)를 포함하는 걸이부(100)와 작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철로된 벽체(W)에 빠르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케하는 자석(210)과 자석을 고정하는 결합너트(220)와 결합볼트(230)와 가벽에 자석으로만 설치가 힘들거나 안정적인 설치를 원할 시 추가적인 결합이 가능토록 하는 나사(240)와 나사구멍(250)을 포함하는 결합부(2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 또는 보행자가 인근에 작업현장이 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전유도 조명에 대하여 작업현장의 조건과 구분없이 간편하도록 쉽고 빠르게 설치와 분리가 가능한 안전유도 조명용 브래킷을 제공하여 높은 작업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Installation bracket for winker type safety guidance lighting}
본 고안은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의 인근을 지나는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안전상의 이유로 작업현장 위치를 알리기 위하여 설치되는 안전유도 조명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현장은 인근을 지나는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안전상의 이유로 작업현장의 위치를 알리기 위하여 안전유도 조명을 설치하는데, 사전에 공지한 작업현장인 경우에는 시간을 두고 안전유도 조명을 설치할 수 있으나 갑작스럽게 보수등이 필요한 작업현장의 경우에는 빠르게 안전유도 조명을 설치하여 인근의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위치를 알려 혹시 모를 안전사고를 예방하여야 한다.
이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0058호;와 같이, 다수의 전선 또는 케이블을 거치하며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에 대한 기술내용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거치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직각에 근접한 각도를 가지는 벽면이 있어야 하며,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이 일정길이를 넘어가게 되면 설치를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존재하며 이와 같이 설치에 대한 제한적인 요소가 많으며, 반복되는 사용으로 인해 지지스프링의 장력이 약해져 지지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전유도 조명은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해서는 일정 높이만큼 위치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인 거치대로는 높이 조절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005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또는 보행자가 인근에 작업현장이 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전유도 조명에 대하여 작업현장의 조건과 구분없이 간편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브래킷에는, 브래킷(10)에 있어서, 안전유도 조명(L1, L2, L3)이 거치되며 집게와 같이 두개의 갈고리 형상이 마주보고 있는 제1 걸이대(110)와 제2 걸이대(120), 제2 걸이대(120)의 사이에 하나 이상 위치하는 제3 걸이대(130)를 포함하는 걸이부(100)와 작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철로된 가벽(W)에 빠르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케하는 자석(210);과 자석을 고정하는 결합너트(220);와 결합볼트(230);와 가벽에 자석으로만 설치가 힘들거나 안정적인 설치를 원할 시 추가적인 결합이 가능토록 하는 나사(240);와 나사구멍(250);을 포함하는 결합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걸이대(130)는 사용되는 안전유도 조명(L3)에 따라 선택적으로 파손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브래킷은 차량 또는 보행자가 인근에 작업현장이 있다는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안전유도 조명에 대하여 작업현장의 조건과 구분없이 간편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걸이대를 사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걸이대를 사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배면도
이하, 본 고안은 브래킷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 걸이대를 사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2 걸이대를 사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10)은 걸이부(100)와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걸이부(100)는 집게와 같이 두개의 갈고리가 마주보게 위치해있는 제1 걸이대(110)와 제2 걸이대(120), 제2 걸이대(120)의 사이에 하나 이상 위치하는 제3 걸이대(130)를 포함한다.
제1 걸이대(110)와 제2 걸이대(120), 제3 걸이대(130)는 거치하고자 하는 안전유도 조명(L1, L2, L3)의 폭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장 폭이 큰 안전유도 조명(L1)은 제1 걸이대(110)를 사용하여 거치가 가능하며, 가장 폭이 작은 안전유도 조명(L2)은 제2 걸이대(120)와 제3 걸이대(130)를 사용하여 거치가 가능하며, 중간 정도의 폭을 가진 안전유도 조명(L3)은 제3 걸이대(130)를 파손하여 제2 걸이대(120)만 사용하여 거치가 가능하다.
또한, 제1 걸이대(110)와 제2 걸이대(12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안전유도 조명(L1, L3)의 경우에는 걸이부(100)의 소재가 가지고 있는 자체의 탄성으로 인하여 폭이 확장되어 거치가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확장된 걸이부(10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려는 현상으로 인하여 사이에 거치된 안전유도 조명(L1, L3)을 더 꽉잡아줘 거치된 안전유도 조명(L1, L3)이 쉽게 이탈되지 않토록 한다.
결합부(200)는 브래킷(10)이 작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벽체(W)에 설치할 수 있도록 자석(210)과 브래킷(10)의 일측에 자석(210)이 위치할 수 있도록 결합너트(220)와 결합볼트(2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작업현장에는 안전상의 이유와 작업중에 발생하는 분진, 소음을 막기 위하여 벽체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벽체(W)는 철을 소재로 한 일정한 두께의 울타리이다.
이러한 벽체(W)가 설치된 후 인근의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해당 위치에 작업현장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안전유도 조명(L1, L2, L3)이 설치되는데, 안전유도 조명(L1, L2, L3)이 결합되어 있는 브래킷(10)의 일측에는 결합너트(220)와 결합볼트(230)로 고정되어 있는 자석(210)의 자성으로 인하여 벽체(W)에 부착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쉽고 빠르게 안전유도 조명(L1, L2, L3)과 브래킷(10)을 벽체(W)를 따라 설치하여 작업현장의 위치를 알릴 수 있으며, 자석(210)의 자성으로 인하여 벽체(W)에 대해서 부착이 빠른 만큼 작업현장에서의 작업이 완료되고 난 후 철거하는 과정에서 안전유도 조명(L1, L2, L3)과 브래킷(10)을 분리하는 작업도 쉽고 빠르게 이루어진다.
또한, 브래킷(10)에 자석(210)의 자성을 이용하여 설치가 불가능한 벽체(W)와 같은 문제의 경우에는 브래킷(10)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250)에 나사(240)를 벽체(W)를 일부 타공해서 체결하여 단단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0)에는 안전유도 조명(L1, L2, L3)뿐만 아니라 작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전기장치의 전선 또는 케이블도 거치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맞추어서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š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뛰어나다.
10: 브래킷 100: 걸이부
110: 제1 걸이대 120: 제2 걸이대
130: 제3 걸이대
200: 결합부
210: 자석
220: 결합너트 230: 결합볼트
240: 나사 250: 나사구멍
L1, L2, L3: 안전유도 조명
W: 벽체

Claims (2)

  1. 브래킷(10)에 있어서,
    안전유도 조명(L1, L2, L3)이 거치되며 집게와 같이 두개의 갈고리 형상이 마주보고 있는 제1 걸이대(110)와 제2 걸이대(120), 제2 걸이대(120)의 사이에 하나 이상 위치하는 제3 걸이대(130)를 포함하는 걸이부(100);
    작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철로된 벽체(W)에 빠르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케하는 자석(210)과 자석을 고정하는 결합너트(220)와 결합볼트(230)와
    가벽에 자석으로만 설치가 힘들거나 안정적인 설치를 원할 시 추가적인 결합이 가능토록 하는 나사(240)와 나사구멍(250)을 포함하는 결합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이대(130)는,
    사용되는 안전유도 조명(L3)에 따라 선택적으로 파손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
KR2020190003537U 2019-08-27 2019-08-27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 KR200494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37U KR200494177Y1 (ko) 2019-08-27 2019-08-27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37U KR200494177Y1 (ko) 2019-08-27 2019-08-27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37U true KR20210000537U (ko) 2021-03-09
KR200494177Y1 KR200494177Y1 (ko) 2021-08-23

Family

ID=7487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537U KR200494177Y1 (ko) 2019-08-27 2019-08-27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177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071A (ko) * 2001-03-02 2002-09-12 서수덕 비상용 전등과 그 걸이대
KR20070093538A (ko) * 2006-03-14 200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896669B2 (ja) * 2005-11-02 2012-03-14 三星電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及びランプ固定部材の製造方法
KR200480058Y1 (ko) 2014-12-16 2016-04-07 우상혁 전선 거치대
KR101633291B1 (ko) * 2016-01-22 2016-06-24 주식회사 케이룩스코리아 램프 홀더와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20180043498A (ko) * 2016-10-20 2018-04-30 정순호 부착식 엘이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071A (ko) * 2001-03-02 2002-09-12 서수덕 비상용 전등과 그 걸이대
JP4896669B2 (ja) * 2005-11-02 2012-03-14 三星電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及びランプ固定部材の製造方法
KR20070093538A (ko) * 2006-03-14 200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480058Y1 (ko) 2014-12-16 2016-04-07 우상혁 전선 거치대
KR101633291B1 (ko) * 2016-01-22 2016-06-24 주식회사 케이룩스코리아 램프 홀더와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20180043498A (ko) * 2016-10-20 2018-04-30 정순호 부착식 엘이디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177Y1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311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US64641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pendant light fixtures
KR20210000537U (ko) 윙커 타입 안전유도 조명용 설치 브래킷
CN106300164A (zh) 线束固线夹
KR20170023714A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JP2009135566A (ja) 屋外通信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JP5780548B2 (ja) 産業車両又は建設車両の電装品、電気配線及び油圧配管の固定具
JP4025416B2 (ja)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JP5886217B2 (ja) 架線乗り出し器具用取付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架線乗り出し器具の取付方法
KR20210156131A (ko) 배관 파이프용 지지대
KR200223945Y1 (ko) 케이블 지지용 케이블 행거
JP4002665B2 (ja)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KR100351206B1 (ko) 케이블가설용 행거
KR200456691Y1 (ko) 전선거치대
JP4166164B2 (ja) 支持材
KR100914720B1 (ko) 현수식 도로명판의 처짐 방지장치
EP3252320A1 (en) Coupling system on bulb-flat profiles
JP6223874B2 (ja) 揚重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るポールの取付および取外方法
KR20130007063U (ko) 러그 취부용 지그
CN208041872U (zh) 一种吊挂式照明系统的布线系统
KR20240057698A (ko) 천장등 고정장치
KR100995806B1 (ko) 현수형 가로등
KR200449713Y1 (ko) 전선거치구
KR20210037223A (ko) 조명등 설치장치
JP5308313B2 (ja) 配設体支持具及び配設体支持具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