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535U -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35U
KR20210000535U KR2020217000011U KR20217000011U KR20210000535U KR 20210000535 U KR20210000535 U KR 20210000535U KR 2020217000011 U KR2020217000011 U KR 2020217000011U KR 20217000011 U KR20217000011 U KR 20217000011U KR 20210000535 U KR20210000535 U KR 202100005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chamber
channel
acquisition device
inlet
micro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7000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펑 쉬
Original Assignee
조던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던 인크. filed Critical 조던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00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25/103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with additional mixing means other than vortex mixers, e.g. the vortex chamber being positioned in another mix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 B01F3/04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adding the flowing main component by suction means, e.g. using an ej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01F23/2368Mixing receptacles, e.g. tanks, vessels or reactors, being completely closed, e.g. hermetically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25/312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with additional mixing means other than injector mixers, e.g. screens, baffles or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25/3123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with two or more Venturi elements
    • B01F25/3123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with two or more Venturi elements us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25/3124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lace of introduction of the main flow
    • B01F25/3124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place of introduction of the main flow the main flow being injected in the circumferential area of the venturi, creating an aspira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4Mixers in which the components are pressed through slits
    • B01F25/441Mixers in which the components are pressed through slit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urfaces forming the sl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 B01F25/4521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orifices in elements, e.g. flat plates or cylinders, which obstruct the whole diameter of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 B01F25/4521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orifices in elements, e.g. flat plates or cylinders, which obstruct the whole diameter of the tube
    • B01F25/45211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orifices in elements, e.g. flat plates or cylinders, which obstruct the whole diameter of the tube the elements being cylinders or cones which obstruct the whole diameter of the tube, the flow changing from axial in radial and again in 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 B01F25/452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porous bodies, e.g. flat plates, blocks or cylinders, which obstruct the whole diameter of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5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 B01F25/452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 B01F25/4523Mixers in which the materials to be mixed are pressed together throug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e.g. between beads characterised by elements provided with orifices or interstitial spaces the components being pressed through sieves, screens or meshes which obstruct the whole diameter of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1Combinations of similar mixers, e.g.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two or more receptacles
    • B01F33/813Combinations of similar mixers, e.g.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two or more receptacles mixing simultaneously in two or more mixing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2Combinations of dissimilar mixers
    • B01F33/821Combinations of dissimilar mixers with consecutive receptacles
    • B01F5/0057
    • B01F5/0688
    • B01F5/0689
    • B01F2003/048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025/91Direction of flow or arrangement of feed and discharge openings
    • B01F2025/914Tangential flow, i.e. flow spiraling in a tangential direction in a flat plane or belt-lik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8Mixing water in water-taps with other ingredients, e.g. air, detergents or disinfectants
    • B01F2215/0052
    • B01F2215/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1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수 채널(2); 출수 채널; 입수 채널(2) 및 출수 채널을 연통시키는 와류 챔버(3); 및 와류 챔버(3)와 연통되는 기체 유입 채널(11)이 설치된 제1 본체(1)를 포함하고, 와류 챔버(3)의 축선과 입수 채널(2)의 축선은 편향 설치되고, 와류 챔버(3)에 입수 채널(2)과 연통되는 입수구(12)가 설치되고, 입수구(12)는 와류 챔버(3)의 축선과 대향하는 입수 채널(2)의 축선의 일 측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부피를 증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본 고안은 유체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수산양식, 폐수처리, 화학반응, 의료위생, 식물재배 및 공업세척 및 제석(descaling) 등 분야는 버블이 포함된 물 매질을 획득하기 위해 흔히 기체를 물 매질에 혼합한다. 이는 공기와 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다양한 처리 효과를 증진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세정 및 제석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켰다.
최근, 버블이 포함된 물 매질은 일상생활에도 사용되고 있고, 야채, 과일, 접시를 담그거나 세척할 때 뿐만 아니라 샤워 및 수세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
물에 버블이 포함되도록 압축기 및 공기펌프와 같은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입(壓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흐름에 의해 생긴 부압(negative pressure)을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벤투리관(Venturi tube) 구조 또는 와류 구조의 버블 획득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벤투리관 구조의 버블 획득장치는 주로 물의 흐름 속도를 증가하고 수압을 저하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벤투리관 구조의 버블 획득장치는 점진 축소되는 채널을 설치하여 물의 흐름 속도를 증가하고 채널의 후두구(喉頭口) 부위에 외부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 영역을 형성하여 진공 영역이 외부공기를 채널 내로 흡입하도록 한다.
와류 구조의 버블 획득장치는 주로 원심운동의 중심압력이 낮은 원리를 이용한다. 와류 구조의 버블 획득장치는 흐름의 회전을 통해 원심작용을 발생시켜 회전 중심부에 외부 대기압보다 낮고 외부 공기를 채널 내부로 흡입하는 진공 영역을 형성한다.
벤투리관 구조는 구체적으로 대만특허 TW20170212400U(마이크로 버블 발생기)를 참고할 수 있으며, 와류 구조는 구체적으로 중국특허 CN102958589B(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및 CN203916477U(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참고할 수 있다. 마이크로 버블발생기,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라고 통칭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는 직경이 몇십 마이크로 미터 내지 몇 마이크로 미터 이하인 마이크로 버블을 물에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버블이 물속에서의 체류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동시에 버블의 표면적과 부피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버블이 높은 흡착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세정 및 오염물질 제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벤투리관 구조에 비해 와류 구조는 버블 획득장치의 길이를 줄이고, 유량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는 대부분 와류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설계에서 와류 구조의 중심과 채널의 중심이 서로 겹치고 와류 챔버가 정배치 구조이므로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는 와류 구조와 연통되는 좁은 링모양의 입수구로 인해 물의 흐름이 방해받아 공기 흡입이 어렵게 된다. 반면에 링모양 입수구의 크기를 증가하면,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직경이 증가하여 일반적인 수도관 규격을 적용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제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의 흐름에 대한 방해를 줄이고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부피 증가를 막을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아래 기술방안을 통해 구현된다.
입수 채널; 출수 채널; 입수 채널 및 출수 채널을 연통시키는 와류 챔버; 및 와류 챔버와 연통되는 기체 유입 채널이 설치된 제1 본체를 포함하고, 출수 채널에는 버블을 분쇄하는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Progressive perforation-type)의 분쇄 정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에 있어서, 와류 챔버의 축선과 입수 채널의 축선이 편향 설치되고, 와류 챔버에 입수 채널과 연통되는 입수구가 설치되고, 입수구는 와류 챔버의 축선과 대향하는 입수 채널 축선의 일 측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본체에 와류 챔버를 형성하는 제1 측벽 및 제1 저벽이 설치되고, 제1 측벽에 와류 챔버와 연통되는 입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본체에 와류 챔버를 덮는 흐름통제 부재가 설치되고, 흐름통제 부재에는 와류 챔버 및 출수 채널을 연통시키는 출수 구멍이 형성되고, 출수 구멍의 횡단면적은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작아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흐름통제 부재(14)의 외부 윤곽은 출수 채널에 맞물려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흐름통제 부재와 제1 측벽은 일체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수 구멍은 와류 챔버의 접선을 따라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수 구멍의 개수는 두 개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체 유입 채널은, 와류 챔버의 축선 방향으로 설치된 제1 가스 채널과, 와류 챔버의 방사 방향으로 설치된 제2 가스 채널을 포함하며, 제1 가스 채널과 제2 가스 채널은 연통되고, 제1 가스 채널은 외부와 연통되고, 제2 가스 채널은 와류 챔버와 연통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류 챔버는 복수개이고, 입수구의 개수와 와류 챔버의 개수는 대응되게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출수 채널에 버블을 분쇄하는 퍼포레이션 분쇄 정제 구조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고안은 다음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는 와류 챔버의 축선과 입수 채널의 축선을 편향 설치하여 입수구를 와류 챔버 축선과 대향하는 입수 채널 축선의 일 측에 설치하고, 와류 챔버와 연통되는 입수구를 좁은 링모양에서 초승달 모양 또는 기둥 모양으로 변경하여 물이 더 이상 협소한 틈새를 통과할 필요가 없으며 물 흐름의 방사방향 크기를 증가하여 물 흐름의 저항력을 감소시키므로 물이 와류 챔버 내로 쉽게 유입되게 한다. 이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직경을 증가하지 않을뿐더러 심지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수도관에 간편하게 연결하거나 수도관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에 언급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분명한 것은, 이하 설명한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니다. 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아니하고도 이들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설계 방안 및 다른 첨부 도면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절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와류 챔버의 횡단면 절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 분쇄 정제 구조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구상, 구체적 구조 및 기술적 효과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일뿐, 전체 실시예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 얻은 다른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한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연결관계는 구성들 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시에 따라 보조 부재를 추가 또는 제거하여 더욱 최적화된 연결 구조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각 기술특징은 서로 모순되고 충돌되지 않은 한 결합사용할 수 있다.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입수 채널(2);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구조가 설치된 출수 채널; 입수 채널(2)과 출수 채널을 연통시키는 와류 챔버(3); 및 와류 챔버(3)와 연통되는 기체 유입 채널(11)이 설치된 제1 본체(1)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의 중심선은 각각 입수 채널(2)의 축선과 와류 챔버(3)의 축선이다.
기체 유입 채널(11)은 압축기와 펌프 등에 연결되어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와류 챔버(3)내로 압입할 수 있다. 물론, 기체 유입 채널(11)은 물 흐름에 의해 생긴 부압(negative pressure)을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도 있다.
와류 챔버(3)인 경우, 제1 본체(1)에 와류 챔버(3)를 형성하는 제1 측벽(3b) 및 제1 저벽(3a)이 설치되고, 제1 측벽(3b)에 와류 챔버(3)와 연통되는 입수 구멍(12a)이 형성되고, 입수 구멍(12a)을 통과한 후 와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하여, 입수 구멍(12a)은 와류 챔버(3)의 중심에서 편이되어 있다.
입수 채널(2)은 일반적으로 제1 저벽(3a)에 설치되고, 기체 유입 채널(11)은 와류 챔버(3)의 축선 방향에 따라 설치된 제1 가스 채널, 와류 챔버(3)의 축선 방향에 수직되게 설치된 제2 가스 채널을 포함하되, 제1 가스 채널과 제2 가스 채널은 서로 연통되고, 제1 가스 채널은 외부와 연통되고, 제2 가스 채널은 와류 챔버(3)와 연통되므로 쉽게 제조할 수 있고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장착 및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1 본체(1)인 경우, 제1 본체(1)는 입수 채널(2)과 인접하는 일단에 커넥터가 장착되거나 커넥터가 일체로 제조될 수 있어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를 수도 꼭지에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제1 본체(1)는 수도관 내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제1 본체(1)와 수도관은 시일링(seal ring)을 통해 밀폐되어 있어 물이 입수 채널(2)에 유입된 후 와류 챔버(3) 및 출수 채널을 경유하여 유출된다. 이때, 입수 채널(2)은 수도관 중에서 제1 본체(1)에 인접하는 수로 부분에 해당되고, 제1 본체(1)에는 입수 채널(2)이 생략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와류 챔버(3)의 축선과 입수 채널(2)의 축선이 겹치므로(이하 정배치된 와류 챔버(3) 또는 정배치된 와류 구조라고 약칭함)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가 좁은 링모양의 입수구(12)를 가진다. 그리하여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기체 흡입이 어려워진다. 그러나 링모양의 입수구(12)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직경이 커져 일반규격의 수도관에 적용하기 어렵다.
물론, 여기서 정배치 및 편향된 와류 구조의 유익한 효과 및 단점에 대한 진술은, 정배치 또는 편향된 와류 구조와 후술한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의 분쇄 정제 구조의 결합에 영향주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정배치 또는 편향된 와류 구조는 모두 후술한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의 분쇄 정제 구조와 결합하여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정배치 와류 챔버(3)에 의해 생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 챔버(3)의 축선과 입수 채널(2)의 축선을 편향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와류 챔버(3)에는 입수 채널(2)과 연통되는 입수구(12)가 설치되어 있고, 입수구(12)는 와류 챔버(3) 축선과 대향하는 입수 채널(2) 축선의 일 측에 설치되며, 편향 와류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는 와류 챔버(3)의 축선과 입수 채널(2)의 축선을 편향되게 설치하고 입수구(12)를 와류 챔버(3)의 축선과 대향하는 입수 채널(2)의 축선의 일측에 설치하여, 와류 챔버(3)와 연통되는 입수구(12)를 좁은 링모양에서 초승달 모양 또는 기둥 모양으로 변경시키므로 물이 좁은 틈새를 통과하지 않고 물 흐름의 방사방향 크기를 증가시켜 저항력을 줄이고 물이 와류 챔버(3)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수도관에 간편하게 연결하거나 수도관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에 대해 추가 설명한다.
현재 가정용수 관로의 메인 관로 직경은 외경이 28mm 및 22mm인 두 종류 규격이 있다. 외경이 28mm인 관로를 예로 들면, 버블 발생 장치를 내장식으로 제조해야 할 경우 그 외경은 24.5mm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즉, 입수구(12)는 너비가 2.5mm보다 크지 않는 링모양 영역 내에 설치할 수밖에 없다. 이는 입수구(12)의 면적을 작게 하거나 일반적인 원홀 모양의 입수구(12)보다 입수구(12)의 외부 윤곽 길이를 증가시켜 물 흐름을 저애하므로 배압(back pressure)이 급격히 증가하여 와류의 기체 흡입 효과에 영향주는 동시에 관로의 유량을 대폭 감소시켰다.
따라서, 종래의 정배치 와류 챔버(3) 구조는 28mm 직경의 관로 내에 내장할 수 없다.
본 고안은 편향되어 있는 와류 챔버(3)를 사용하므로 종래 설계와 현저하게 대조된다. 와류 챔버(3)가 편향 설치되므로 와류 챔버(3)의 축선과 입수 채널(2)의 축선 사이에 일정한 거리 편향이 생기며, 이러한 거리는 입수구(12)를 초승달 모양의 영역 내에 배치하고 3mm 내지 4mm의 반경 차를 갖게 한다. 입수구(12)는 좁은 스트립형에서 타원형 또는 원형에 가깝게 형성되어 입수구(12)의 외부 윤곽 길이를 축소시키는 동시에 물 흐름이 입수구(12)를 쉽게 통과할 수 있어 제1 본체(1)의 외경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편향된 와류 챔버(3)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부피와 점용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가정용 수도관 내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대체 방안으로, 와류 챔버(3)를 복수개 사용할 수 있으며, 입수구(12)의 개수와 와류 챔버(3)의 개수는 대응되게 설치한다. 다시 말해, 큰 와류 챔버(3)를 복수의 작은 와류 챔버(3)로 변경하여 복수의 원홀 모양의 입수구(12)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입수구(12)가 협소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에 대한 추가 확대 대안으로, 제1 본체(1)에는 와류 챔버(3)를 커버하는 흐름통제 부재(14)가 설치되고, 흐름통제 부재(14)에는 와류 챔버(3)와 출수 채널을 연통시키는 출수 구멍(13)이 설치되고, 출수 구멍(13)의 횡단면적은 물 흐름 방향을 따라 감소되므로 공기와 물을 충분히 혼합하여 버블이 생기게 한다. 한편, 출수 구멍(13)의 횡단면적의 변화는 물 흐름을 가속화시켜 버블을 압축하고 버블 분쇄를 촉진한다.
제조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흐름통제 부재(14)의 외부 윤곽과 출수 채널은 매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흐름통제 부재(14)가 개별 제조되므로 와류 챔버의 제조 난이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물론, 흐름통제 부재(14)와 제1 측벽(3b)을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제조과정을 개진해야 한다. 제1 저벽(3a)과 제1 측벽(3b)은 각각 별도로 제조해야 한다.
와류 흐름을 원활하게 생성하기 위하여, 입수 구멍(12a)은 와류 챔버(3)의 접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입수 구멍(12a)의 직경의 제한으로 인해 물의 유량이 감소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입수 구멍(12a)이 2개 있을 수 있으며, 서브 입수 구멍(12b)도 설치하여 입수 구멍(12a)의 총면적을 감소되지 않고 증가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필터망이 쉽게 막히고 테이퍼드 모양의 망에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이 수준에 미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는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의 분쇄 정제 구조를 더 사용한다. 물론,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의 분쇄 정제 구조는 정배치 와류 구조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뿐만 아니라, 편향된 와류 구조의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의 분쇄 정제 구조는 박벽 모양의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를 포함하고,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에는 모두 유체 내의 버블을 분쇄 및 정제하는 다수의 마이크로 포어 채널(6, micro-pore channels)이 설치되어 있다.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는 결합하여 버퍼공간(8)을 형성하고,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의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의 적어도 1/4은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중첩되거나 겹치게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에 의하면, 유체 흐름 방향은 유체가 흐르고 있는 채널의 축선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의 분쇄 정제 구조는 높은 메쉬수의 필터망을 대신하여 박벽(薄壁)의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를 설치하므로, 한편으로 구멍의 개수를 줄여 과립의 침적을 통해 막힘을 지연할 수 있어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유지보수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다른 한 편으로, 마이크로 포어 채널의 흐름 조절 및 흐름 통제 하에 물의 흐름은 마이크로 포어 채널을 경과한 후 분사 모양의 난류로 변하여 충돌, 섭동 및 진동 자극을 통해 조대한 버블을 분쇄하여 미세한 버블을 생성하고,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를 통해 버블을 마이크로 나노 수준으로 추가 정제하므로 요구를 만족시킨다. 또한,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 사이에 버퍼공간을 형성하여 버블이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를 경과한 후 반복적으로 충돌, 섭동 및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의 마이크로 포어 채널의 적어도 1/4이 유체 흐름 방향을 따라 중첩되거나 겹치게 설치하여 버블이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의 마이크로 포어 채널을 원활하게 통과한 후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의 마이크로 포어 채널로 흘러들게 함으로써 물 흐름의 유동 저항력을 줄여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의 분쇄 정제 구조에 큰 배압 저항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기체 유입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의 분쇄 정제 구조는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를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형성된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을 유체 매질의 유출 통로로 사용하여 2단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특징을 갖는 분쇄 정제 구조를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 상의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은 제1차 퍼포레이션을 구성하고,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의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은 제2차 퍼포레이션을 구성하며, 버블이 섞여있는 유체 매질이 상기 제1차 퍼포레이션을 경과할 때,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의 흐름 조절 효과 및 흐름 통제의 작용에 의해 흐름이 분사류의 특징을 갖게 되는데, 이때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고, 난류의 유동 특징을 갖는다.
난류(Turbulent Flow)의 충돌, 섭동 및 진동 자극에 의해 조대한 버블이 부서져 미세한 버블수를 생성한 후, 미세한 버블이 제2차 퍼포레이션에 의해 추가 분쇄 및 정제되어 최종적으로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된다.
물론,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를 수도 꼭지의 말단에 장착하기 위하여, 3차 분쇄 및 정제 부재(9)를 추가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버블을 추가 정제할 뿐만 아니라 물이 안정적으로 흘러나와 유출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의 버블 분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의 직경 및/또는 그 등가 직경을 0.2mm 내지 0.8mm로 설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생성된 버블이 지나치게 크거나 물의 유량이 부족하다. 등가 직경은 S=πd2/4를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S는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의 횡단 면적이다. 다시 말해,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은 삼각형, 타원형, 다각형 및 기타 다양한 형상의 비-원형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의 세기를 증강하고 물의 흐름이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의 표면에 따라 흐르게 하여 마이크로 포어 채널(6)에 의해 절단 방식으로 버블을 분쇄하기 위하여,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는 테이퍼드 모양으로 설치될 수 있다. 테이퍼드 모양의 뾰쪽한 부분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와 등지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버퍼공간(8)을 형성하는 동시에 부품의 개수를 증가하지 않고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기 위하여,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는 테이퍼드 모양으로 설치될 수 있다. 테이퍼드 모양의 뾰쪽한 부분은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와 등지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의 흐름이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 또는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의 표면에 따라 평행 유동하게 하기 위하여,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 또는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는 각뿔 모양으로 설치될 수 있다.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 또는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가 각뿔 모양으로 설치되므로 양자의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이 쉽게 겹쳐지거나 중첩된다.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 상의 마이크로 포어 채널(6)의 상대적인 위치가 요구에 만족하기 위하여,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를 수용하는 제1 환(41)이 형성될 수 있다.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가 제1 환(41) 내에서 편향되지 않고 제1 환(41) 내에 정확하게 장착되기 위하여,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의 외부 가장자리에 위치결정 에지(51)를 설치할 수 있다.
3차 분쇄 및 정제 부재(9)인 경우, 3차 분쇄 및 정제 부재(9)와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 사이에는 물이 안정적으로 흐르게 하는 과도공간(10)이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원가를 줄이고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4)와 3차 분쇄 및 정제 부재(9)는 상기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5)를 연결하여 체결한다.
상기 실시예들은 이들 기술방안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들 실시예들은 결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며 본 방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그 어떠한 보정 또는 균등한 치환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속한다.
1: 제1 본체, 2: 입수 채널, 3: 와류 챔버, 4: 1차 분쇄 및 정제 부재, 5: 2차 분쇄 및 정제 부재, 6: 마이크로 포어 채널, 7: 전치공간, 8: 버퍼공간, 9: 3차 분쇄 및 정제 부재, 10: 과도공간, 11: 기체 유입 채널, 12: 입수구, 12a: 입수 구멍, 12b: 서브 가스 유입구, 13: 출수 구멍, 14: 흐름통제 부재, 3a: 제1 저벽, 3b: 제1 측벽, 41: 제1 환, 51: 위치결정 에지(locating edge)

Claims (9)

  1. 입수 채널(2); 출수 채널; 입수 채널(2) 및 출수 채널을 연통시키하는 와류 챔버(3); 및 와류 챔버(3)와 연통되는 기체 유입 채널(11)이 설치된 제1 본체(1)를 포함하고, 출수 채널에는 버블을 분쇄하는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Progressive perforation-type) 분쇄 정제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에 있어서,
    와류 챔버(3)의 축선과 입수 채널(2)의 축선이 편향 설치되고, 와류 챔버(3)에 입수 채널(2)과 연통되는 입수구(12)가 설치되고, 입수구(12)는 와류 챔버(3)의 축선과 대향하는 입수 채널(2)의 축선의 일 측에 설치되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1)에, 와류 챔버(3)를 형성하는 제1 측벽(3b) 및 제1 저벽(3a, 底壁)이 설치되고, 제1 측벽(3b)에 와류 챔버(3)와 연통되는 입수 구멍(12a)이 형성되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1)에 와류 챔버(3)를 덮는 흐름통제 부재(14)가 설치되고, 흐름통제 부재(14)에 와류 챔버(3)와 출수 채널을 연통시키는 출수 구멍(13)이 형성되고, 출수 구멍(13)의 횡단면적은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작아지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흐름통제 부재(14)의 외부 윤곽은 출수 채널에 맞물려 설치되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흐름통제 부재(14)와 제1 측벽(3b)은 일체로 제조되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수 구멍(12a)은 와류 챔버(3)의 접선을 따라 형성되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수 구멍(12a)의 개수가 두 개인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입 채널(11)은, 와류 챔버(3)의 축선 방향으로 설치된 제1 가스 채널과, 와류 챔버(3)의 방사 방향으로 설치된 제2 가스 채널을 포함하며, 제1 가스 채널과 제2 가스 채널은 연통되고, 제1 가스 채널은 외부와 연통되고, 제2 가스 채널은 와류 챔버(3)에 연통되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챔버(3)는 복수개이며, 입수구(12)의 개수와 와류 챔버(3)의 개수는 대응되게 설치되는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KR2020217000011U 2018-08-15 2019-03-15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KR2021000053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926313.8A CN108939970B (zh) 2018-08-15 2018-08-15 一种微气泡获得装置
CN201810926313.8 2018-08-15
PCT/CN2019/078206 WO2020034635A1 (zh) 2018-08-15 2019-03-15 一种微气泡获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35U true KR20210000535U (ko) 2021-03-08

Family

ID=6446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7000011U KR20210000535U (ko) 2018-08-15 2019-03-15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00424B2 (ko)
JP (1) JP3233628U (ko)
KR (1) KR20210000535U (ko)
CN (1) CN108939970B (ko)
DE (1) DE212019000324U1 (ko)
GB (1) GB2590283A (ko)
TW (1) TWI694860B (ko)
WO (1) WO2020034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5662A (zh) * 2018-08-15 2018-11-30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一种递进射孔式粉碎细化结构
CN108939970B (zh) * 2018-08-15 2020-04-21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一种微气泡获得装置
CN115057515B (zh) * 2020-12-16 2023-07-18 深圳市创辉氢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富氢水发生器
CN116212776A (zh) * 2023-04-13 2023-06-06 江苏正丹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偏三甲苯液相空气氧化微纳气液反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2478B1 (ja) * 2010-07-07 2011-03-16 大巧技研有限会社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JP5802878B2 (ja) * 2014-03-06 2015-11-04 有限会社トリビオックス・ラボラトリーズ マイクロナノバブル発生装置
TWM487134U (zh) * 2014-06-06 2014-10-01 Ching-Ho Lai 微氣泡產生裝置
WO2016067278A1 (en) * 2014-10-27 2016-05-06 Sami Shamoon College Of Engineering (R.A.) Bubble generator
JP3202305U (ja) * 2015-11-14 2016-01-28 素美 孔 微小気泡発生装置及び微小気泡発生装置組
TWM552842U (zh) 2017-08-22 2017-12-11 Qing Yuan Ruan 微氣泡產生器
CN107715720B (zh) * 2017-11-23 2023-11-21 河北农业大学 一种文丘里混合器
CN108905662A (zh) * 2018-08-15 2018-11-30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一种递进射孔式粉碎细化结构
CN208911853U (zh) * 2018-08-15 2019-05-31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一种微气泡获得装置
CN108939970B (zh) * 2018-08-15 2020-04-21 乔登卫浴(江门)有限公司 一种微气泡获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0539A1 (en) 2021-08-26
WO2020034635A1 (zh) 2020-02-20
CN108939970A (zh) 2018-12-07
TWI694860B (zh) 2020-06-01
DE212019000324U1 (de) 2021-01-28
GB2590283A (en) 2021-06-23
GB202101129D0 (en) 2021-03-10
US11400424B2 (en) 2022-08-02
JP3233628U (ja) 2021-08-19
TW202009060A (zh) 2020-03-01
CN108939970B (zh)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0535U (ko) 마이크로 버블 획득장치
CN103747858B (zh) 气泡发生机构以及带气泡发生机构的喷头
TWM581942U (zh) Microbubble obtaining device
KR20210000534U (ko) 프로그레시브 퍼포레이션 타입의 분쇄 정제 구조
CN108704499B (zh) 微气泡产生器
US10196801B2 (en) Water flow regulator
EP3208390B1 (en) A concealed flow regulator
CN110013696B (zh) 一种采用微气泡反冲洗的净水器
JP2017063831A (ja) マイクロバブルシャワー装置
TWM581504U (zh) Progressive perforating pulverization refinement structure
AU2021100321A4 (en) Progressive perforation-type pulverizing and refining structure
AU2021100322A4 (en) Micro-bubble acquisition apparatus
CN114159993B (zh) 混气罐及具有其的净水器
CN212489652U (zh) 一种果蔬清洗机
KR102125303B1 (ko) 저전력 마이크로 버블 생성장치
CN212141636U (zh) 一种采用微气泡反冲洗的净水器
CN217568247U (zh) 一种气泡粉碎细化装置及水龙头
CN213909772U (zh) 防烫伤的出水结构及饮水机
CN112252418A (zh) 一种具有微气泡功能龙头
CN216549863U (zh) 微纳米气泡发生器
CN213909804U (zh) 拆装方便的石英管组件及饮水机
US9809988B2 (en) Angled pool jet fitting
CN216892662U (zh) 一种隐藏式起泡器
TWM634526U (zh) 氣泡粉碎細化裝置及水龍頭
CN114159994B (zh) 混气罐及具有其的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