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527A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27A
KR20210000527A KR1020190075786A KR20190075786A KR20210000527A KR 20210000527 A KR20210000527 A KR 20210000527A KR 1020190075786 A KR1020190075786 A KR 1020190075786A KR 20190075786 A KR20190075786 A KR 20190075786A KR 20210000527 A KR20210000527 A KR 20210000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imaging unit
unit
power management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학
류건우
이은철
전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527A/ko
Priority to US16/844,398 priority patent/US11949975B2/en
Priority to CN202010353999.3A priority patent/CN112135070A/zh
Priority to TW109121552A priority patent/TW202116053A/zh
Priority to EP20182107.1A priority patent/EP3757674A1/en
Publication of KR2021000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5/2258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 G03B19/22Doubl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0Circuit details for pick-up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5/2254
    • H04N5/2324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5Time-base error compensation
    • H04N5/953Time-base error compensation by using an analogue memory, e.g. a CCD shift register, the delay of which is controlled b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 기판,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수신되는 광 신호를 기초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촬상부,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 신호를 기초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촬상부,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을 기초로 복수의 전원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전압을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에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 및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전원 관리부에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카메라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전자 장치의 카메라 기능 확대로 인하여 각각이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 조립체가 스마트폰에 구비된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카메라 조립체에 의하여 촬상된 복수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3D 이미지, 파노라마 이미지, 줌 이미지,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고화질의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미지 센서의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미지 센서의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실장되는 소자들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 기판,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수신되는 광 신호를 기초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촬상부,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 신호를 기초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촬상부,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을 기초로 복수의 전원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전압을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에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 및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전원 관리부에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수신되는 광 신호를 기초로 제1 이미지 신호들을 생성하는 제1 촬상부, 상기 광 신호를 기초로 제2 이미지 신호들을 생성하는 제2 촬상부, 상기 광 신호를 상기 제1 촬상부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제1 굴절부, 상기 제1 촬상부와 동일한 인쇄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며, 상기 제1 촬상부에 제공되는 전압들을 생성하는 전원 관리부 및 외부로부터 전원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전원 관리부에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수신되는 광 신호를 기초로 제1 이미지 신호들을 생성하는 제1 촬상부, 상기 광 신호를 기초로 제2 이미지 신호들을 생성하는 제2 촬상부, 상기 광 신호를 상기 제1 촬상부 방향으로 굴절시키는 제1 굴절부, 상기 제1 촬상부와 동일한 인쇄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며, 상기 제1 촬상부에 제공되는 전압들을 생성하는 전원 관리부 및 외부로부터 전원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전원 관리부에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 조립체, 및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전원 전압을 기초로 복수의 전압들을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 조립체에 제공하는 제1 전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촬상부에 상기 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커넥터를 통해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 조립체에 전압들을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가 카메라 모듈에 실장됨에 따라 카메라 조립체와 전원 관리부 간의 거리가 감소되므로 전압 레벨 강하에 의한 노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관리부와 카메라 조립체가 수동 소자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수동 소자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의 커넥터의 핀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촬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촬상부들의 구현예 및 전원 관리부가 상기 촬상부들에 제공하는 전압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개략절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a는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이미지 촬영 또는 광센싱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기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차량, 가구, 제조 설비, 도어, 각종 계측 기기 등에 부품으로서 구비되는 전자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전원 관리부(130) 및 커넥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전원 관리부(130)는 인쇄회로 기판(110)(PC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두 개의 촬상부, 즉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모듈(100)은 세 개 이상의 촬상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촬상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100)은 멀티 카메라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촬상부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조립체를 의미한다.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각각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수집되는 광 신호를 기초로 이미지(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또는 획득)할 수 있다.
제1 촬상부(120-1)에서 생성되는 제1 이미지는 제2 촬상부(120-2)에서 생성되는 제2 이미지와 이미지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부(120-1)는 흑백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2 촬상부(120-1)는 컬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촬상부(120-1)는 제1 화각을 갖는 렌즈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2 촬상부(120-1)는 제1 화각보다 넓은 제2 화각을 갖는 렌즈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촬상부(120-1)에서 생성되는 제2 이미지는 제1 촬상부(120-1)에서 생성되는 제1 이미지보다 더 넓은 화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의 렌즈들은 동일한 화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화각이 동일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커넥터(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VDDe)을 기초로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에서 이용되는 복수의 전원 전압(VDD1, VDD2, VDD3)을 생성하고, 이를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원 전압(VDD1)은 제1 촬상부(120-1)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을 의미하고, 제2 전원 전압(VDD2)은 제2 촬상부(120-2)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을 의미하며, 제3 전원 전압(VDD3)은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에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을 의미한다. 복수의 전원 전압(VDD1, VDD2, VDD3) 중 일부는 아날로그 회로에 제공되는 아날로그 전원 전압이고, 다른 일부는 디지털 회로에 제공되는 디지털 전원 전압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중 적어도 하나의 촬상부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고, 피드백 신호를 기초로 해당 촬상부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부(120-1)는 수신되는 제1 전원 전압(VDD1)의 전압 레벨이 타겟 레벨보다 낮거나 높으면, 이를 알리는 피드백 신호를 전원 관리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커넥터(140)는 카메라 모듈(100)을 카메라 모듈(100)이 구비된 전자 기기의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140)는 인쇄회로 기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40)는 연성회로 기판(150)(FPCB)을 통해 인쇄회로 기판(1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140)는 기판(1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커넥터(140)는 신호들 또는 전압들을 송수신하는 복수의 핀(14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핀(141) 중 일부의 핀을 통해 외부 전원 전압(VDDe)이 수신되고, 커넥터(140)는 인쇄회로 기판(110) 및 연성회로 기판(150)에 패터닝된 배선 라인들을 통해 상기 외부 전원 전압(VDDe)을 상기 전원 관리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핀(141) 중 다른 일부의 핀을 통해 카메라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이 수신될 수 있다.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는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전원 관리부(130) 및 커넥터(140)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배선 라인들이 패터닝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 카메라 모듈(100)은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및 전원 관리부(130) 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인쇄회로 기판(110)의 일 면, 예컨대 상기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전원 관리부(130)이 실장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방열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100)은 인쇄회로 기판(110)을 카메라 모듈(100)이 구비되는 전자 기기의 메인 프레임과의 접지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촬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2의 촬상부(120) 도 1의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상부(120)는 렌즈(121), 이미지 센서(122), 필터(123), 엑츄에이터(124), 구동 회로(125), 수동 소자(126), 및 하우징(127)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부(12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121)를 통해 수집되는 광 신호 중 필터(123)를 투과한 광 신호가 이미지 센서(122)에 입사될 수 있다. 필터(123) 수신되는 광 신호의 주파수 성분 중 특정 파장대의 성분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필터(123)는 적외선 차단 필터(IR cut filter)이며, 적외선 성분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적외선 성분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노이즈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123)는 수신되는 광 신호의 주파수 성분 중 다른 색상에 대응하는 파장대의 성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수신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전기적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이미지, 즉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광 신호를 수신하는 픽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s)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광전 변환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광전 변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픽셀 어레이는 수신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픽셀들은 행열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광 감지 소자를 포함한다. 예컨대, 광 감지 소자는 포토(photo)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포트 게이트 또는 핀드 포토 다이오드(pinned photo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122)는 와이어(128)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 방식으로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124)는 렌즈(1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 회로(125)의 제어 하에 광축 또는 광축과 수직하는 면에서 렌즈(1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부(120)는 AF(Auto Focusing), OIS(Optical Image Stabilizer), IRIS 등 화질 향상을 위한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엑츄에이터(124)는 촬상부(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7)과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촬상부(120)가 상기 부가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촬상부(120)는 구동 회로(125) 및 엑츄에이터(12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 액츄에이터(124) 및 구동 회로(125)는 전원 관리부(도 1의 130)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전압, 즉 적어도 하나의 전압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전압의 노이즈 제거 및 전압 레벨 안정화를 위해 수동 소자(12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소자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도 2에서, 구동 회로(125) 및 수동 소자(126)은 하우징(127)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회로(125) 및/또는 수동 소자(126)는 하우징(127) 안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촬상부들의 구현예 및 전원 관리부가 상기 촬상부들에 제공하는 전압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촬상부들에 구비되는 구성들 중 수신되는 전압을 기초로 동작하는 구성들을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촬상부(120-1)는 이미지 센서(122-1), 엑츄에이터(124-1) 및 구동 회로(125-1)을 포함하고, 제2 촬상부(120-2) 또한 이미지 센서(122-2), 엑츄에이터(124-2) 및 구동 회로(1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에서 이용되는 복수의 전원 전압들, 예컨대 제1 내지 제7 전압(V1 내지 V7)을 생성하고, 복수의 전원 전압들을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전압(V1), 제4 전압(V4) 및 제6 전압(V6)을 제1 촬상부(120-1)에 제공되는 제1 전원 전압(도 1의 VDD1)으로서 생성하고, 제2 전압(V2), 제5 전압(V5), 및 제7 전압(V7)을 제2 촬상부(120-2)에 제공되는 제2 전원 전압(도 1의 VDD2)으로서 생성하고, 제3 전압(V3)을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제3 전원 전압(도 1의 VDD3)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전원 관리부(130)가 생성하는 전압들의 종류 및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제1 내지 제7 전압들(V1 내지 V7)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7 전압들(V1 내지 V7)은 인쇄회로 기판(110)에 패터닝된 배선들을 통해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의 구성들 중 대응하는 구성들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제1 촬상부(120-1)에서 이미지 센서(122-1)는 제1 전압(V1) 및 제3 전압(V3)을 전원 전압으로서 이용하고, 구동 회로(125-1)는 제4 전압(V4)를 전원 전압으로서 이용하고, 엑츄에이터(124-1)는 제6 전압(V6)을 전원 전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124-1)는 구동 회로(125-1)의 제어 하에, 예컨대 제1 제어 신호 (S1)를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촬상부(120-2)에서 이미지 센서(122-2)는 제2 전압(V2) 및 제3 전압(V3)을 전원 전압으로서 이용하고, 구동 회로(125-2)는 제5 전압(V5)를 전원 전압으로서 이용하고, 엑츄에이터(124-2)는 제7 전압(V7)을 전원 전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124-2)는 구동 회로(125-2)의 제어 하에, 예컨대 제2 제어 신호(S2)를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촬상부(120-1)는 이미지 센서(122-1), 엑츄에이터(124-1) 및 구동 회로(125-1)를 포함하고, 제2 촬상부(120-2a)는 이미지 센서(122-2), 및 엑츄에이터(1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의 제2 촬상부(120-2)와 비교하면, 제2 촬상부(120-2a)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지 않으며, 제2 촬상부(120-2a)의 엑츄에이터(124-2)는 제1 촬상부(120-1)에 구비되는 구동 회로(125-1)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다. 제2 촬상부(120-2a)의 엑츄에이터(124-2)는 구동 회로(125-1)로부터 제공되는 제2 제어 신호(S2)를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촬상부(120-1)는 이미지 센서(122-1), 엑츄에이터(124-1) 및 구동 회로(125-1)를 포함하고, 제2 촬상부(120-2b)는 이미지 센서(1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의 제2 촬상부(120-2)와 비교하면, 제2 촬상부(120-2b)는 구동 회로 및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3c에서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도 3b의 120-2a, 도 3c의 120-2b)에 구비되는 구성들에 따른 전압들을 생성하고 이를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도 3b의 120-2a, 도 3c의 120-2b)의 구성들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서,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a)에서 이용되는 제1 내지 제6 전압(V1 내지 V6)을 생성하고, 제1 내지 제6 전압(V1 내지 V6)들을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a)의 대응하는 구성들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c에서,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b)에서 이용되는 제1 내지 제5 전압(V1 내지 V5)을 생성하고, 제1 내지 제5 전압(V1 내지 V5)들을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b)의 대응하는 구성들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부(130)는 복수의 입력 단자(131)를 포함할 수있으며, 복수의 입력 단자(131) 중 일부 단자들을 통하여 외부 전원, 예컨대 제1 외부 전원 전압(VDDe1) 및 제2 외부 전원 전압(VDDe2)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전원 전압들 또는 내부적으로 생성되는 전압들의 노이즈 제거, 전압 레벨의 안정화를 위하여, 복수의 입력 단자(131)에는 수동 소자들(131-1 내지 131-4)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수동 소자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복수의 출력 단자(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출력 단자(132)를 통해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촬상부(120-1) 및/또는 제2 촬상부(120-2)는 수동 소자들(126-1 내지 126-4)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들(122-1, 122-2)의 입력 단자들(129)에 수동 소자들(126-1 내지 126-4), 예컨대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의 복수의 출력 단자(13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동 소자들(126-1 내지 126-4)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또는 제2 촬상부(120-2)와 수동 소자들(126-1 내지 126-4)을 공유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또는 제2 촬상부(120-2)의 수동 소자들(126-1 내지 126-4)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전원 전압들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압 레벨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관리부(130)의 복수의 출력 단자(132)에 출력되는 전원 전압들의 노이즈 제거 및 전압 레벨 안정화를 위한 별도의 수동 소자들이 구비되지 않고,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또는 제2 촬상부(120-2)의 수동 소자들(126-1 내지 126-4)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전원 전압들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압 레벨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에 구비되는 수동 소자들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원 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부(130a)는 제1 전압 생성부(131), 제2 전압 생성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압 생성부(131)는 제1 촬상부(도 1의 120-1)에 제공되는 제1 전원 전압(VDD1) 및 제1 촬상부(120-1)와 제2 촬상부(도 1의 120-2)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제3 전원 전압(VDD3)을 생성하고, 제2 전압 생성부(132)는 제2 촬상부(120-2)에 제공되는 제2 전원 전압(VDD2)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a)는 외부의 프로세서(예컨대 도 7의 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압 생성부(131)는 제1 인에이블 신호(EN1)에 응답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고, 제2 전압 생성부(132)는 제2 인에이블 신호(EN2)에 응답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압 생성부(131) 및 제2 전압 생성부(132)는 제1 레벨, 예컨대 로직 하이의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EN2)에 응답하여 각각 활성화되고, 제2 레벨, 예컨대 로직 로우의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EN2)에 응답하여 각각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부(120-1)와 제2 촬상부(120-2)가 모두 동작할 경우, 전원 관리부(130a)는 제1 로직 레벨의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촬상부(120-1)가 동작하고, 제2 촬상부(120-2)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원 관리부(130a)는 제1 로직 레벨의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로직 레벨의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부(130b)는 제1 전압 생성부(131), 제2 전압 생성부(132) 및 제3 전압 생성부(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압 생성부(131)는 제1 촬상부(도 1의 120-1)에 제공되는 제1 전원 전압(VDD1)을 생성하고, 제2 전압 생성부(132)는 제2 촬상부(120-2)에 제공되는 제2 전원 전압(VDD2)을 생성하며, 제3 전압 생성부(133)는 제1 촬상부(120-1)와 제2 촬상부(도 1의 120-2)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제3 전원 전압(VDD3)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전압 생성부(131), 제2 전압 생성부(132) 및 제3 전압 생성부(133)는 제1 인에이블 신호(EN1), 제2 인에이블 신호(EN2) 및 제3 인에이블 신호(EN3)에 각각 응답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며 카메라 모듈(100)의 레이아웃 상에서 전원 관리부(130)가 배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는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전원 관리부(130)는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커넥터(140)와 상기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관리부(130)는 제1 방향에서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관리부(130)가 배치됨으로써 커넥터(140)와 전원 관리부(130) 간의 거리 및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와 전원 관리부(130) 간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또는 제2 촬상부(120-2)의 하우징(127)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의 하우징(12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중 하우징 내부에 전원 관리부(130)가 배치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구비하는 촬상부의 하우징(127)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커넥터(140) 및 연성회로 기판(150)은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인쇄회로 기판(110)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와 커넥터(140)의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전원 관리부(130)또한, 제1 방향에서 인쇄회로 기판(110)의 일측, 예컨대 커넥터(140)와 가까운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레이아웃 상에서 전원 관리부(130)가 배치되는 위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선 효율 등을 고려하여 전원 관리부(130)가 배치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촬상 장치(1000)는 카메라 모듈(100), 프로세서(200) 및전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0) 및 전원(300)은 촬상 장치(1000)의 메인 보드(400)에 실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메인 보드(400)에 실장되거나 또는 커넥터(140)를 통해 메인 보드(40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ARM 프로세서, X86 프로세서, MIPS(Microprocessor without Interlocked Pipeline Stages)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유닛(GPU), 범용 GPU,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어떤 다른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200)는 카메라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CS)를 카메라 모듈(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신호(CS)는 커넥터(140)를 통해 카메라 모듈(100)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CS)는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전원 관리부(130)의 설정 레지스터들 또는 동작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300)은 배터리 또는 촬상 장치(1000)의 메인 전원 관리부(PMIC)일 수 있다. 전원(300)은 전원(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전압, 즉 외부 전원 전압(VDDe)은 커넥터(1400)를 통해 전원 관리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커넥터(140)를 통해 촬상 장치(200)의 다른 구성들, 예컨대 전원(300) 및 프로세서(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140)의 복수의 핀들(141)을 통해 신호들 또는 전압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a는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를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100')에 전원 전압들, 예컨대 전압들 V1~V7을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130')는 촬상 장치(1000')의 메인 보드(400)에 실장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전원(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전원 전압들(VDDe1, VDDe2)을 기초로 전압들 V1~V7을 생성하고, 카메라 모듈(100')의 커넥터(140')를 통해 카메라 모듈(100')의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에 전압들 V1~V7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커넥터(140')의 복수의 핀들(141) 중 적어도 7개의 핀들이 전압들 V1~V7의 전송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전원 관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커넥터(140)를 통해 촬상 장치(1000)의 메인 보드(400)에 실장된 전원(300)으로부터 외부 전원 전압들(VDDe1, VDDe2)을 수신하고, 수신된 외부 전원 전압들(VDDe1, VDDe2)을 기초로 전압들 V1~V7을 생성하여, 이를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커넥터(140)의 복수의 핀들(141) 중 2개의 핀들이 외부 전원 전압(VDDe1, VDDe2)의 전송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보다 커넥터의 핀들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이 적용되는 촬상 장치(1000)에서,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와 전원 관리부(130) 간의 거리(D2)는 비교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1000')에서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와 전원 관리부(130') 간의 거리(D1)보다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에서, 전원 관리부(130)가 카메라 모듈(100)에 실장되므로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와 전원 관리부(130)간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전압들 V1~V7이 전원 관리부(130)에서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유입되는 노이즈가 최소화될 수 있고, IR 드랍이 감소될 수 있어 전원 노이즈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 8a의 촬상 장치(1000')에서, 전원 관리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 V1~V7의 노이즈 제거 및 전압 레벨의 안정화를 위해 전원 관리부(130')의 출력단 측에 수동 소자들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전원 관리부(130)가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의 수동 소자들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즉 수동 소자들을 공유할 수 있는 바, 촬상 장치(1000)에 실장되는 수동 소자들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b)은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제3 촬상부(120-3), 전원 관리부(130) 및 커넥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제3 촬상부(120-3) 및 전원 관리부(130)는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 또는 전압을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140)는 연성회로 기판(150)을 통해 인쇄회로 기판(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커넥터(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VDDe)을 기초로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제3 촬상부(120-3)에서 이용되는 복수의 전원 전압(VDD1, VDD2, VDD3, VDD4)을 생성하고, 이를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제3 촬상부(120-3)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카메라 모듈(100b)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제3 촬상부(120-3)는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커넥터(140)와 상기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제3 촬상부(12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관리부(130)는 제2 촬상부(120-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커넥터(140)와 전원 관리부(130) 간의 거리 및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제3 촬상부(120-3)와 전원 관리부(130) 간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c)은 촬상부(120), 전원 관리부(130) 및 커넥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부(120) 및 전원 관리부(130)는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40)는 직접 또는 연성회로 기판(150)을 통해 인쇄회로 기판(110)에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c)은 이미지 센서(122), 엑츄에이터(124) 및 구동 회로(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관리부(130)는 커넥터(14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VDDe)을 기초로 엑츄에이터(124)의 전원 전압, 즉 이미지 센서(122), 엑츄에이터(124) 및 구동 회로(125)에서 이용되는 전압들을 생성하고, 전압들을 이미지 센서(122), 엑츄에이터(124) 및 구동 회로(125)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관리부(130)는 촬상부(120)와 수동 소자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관리부(130)의 출력 단자들 중 이미지 센서(122)에 제공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단자는 이미지 센서(122)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수동 소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이미지 센서(122)에 제공되는 전압은 이미지 센서(122)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수동 소자(126)에 의하여 전압 레벨이 안정화되고 노이즈가 제거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카메라 모듈(100c)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부(130)는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서 촬상부(120)와 커넥터(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관리부(130)는 촬상부(120)의 하우징(12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전원 관리부(130)는 하우징(127)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000a, 1000c)는 전원 관리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촬상 장치(1000a)는 제1 카메라 모듈(1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2) 및 전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장치(1000a)는 제1 카메라 모듈(1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1)은 복수의 촬상부, 예컨대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제1 전원 관리부(130-1) 및 제1 커넥터(14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제1 전원 관리부(130-1)는 제1 인쇄 회로 기판(1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40-1)는 연성 회로 기판(151)을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제1 인쇄 회로 기판(1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102)은 적어도 하나의 촬상부, 예컨대 제3 촬상부(120-3), 제2 전원 관리부(130-2) 및 제2 커넥터(1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촬상부(120-3) 및 제2 전원 관리부(130-2)는 제2 인쇄 회로 기판(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40-2)는 연성 회로 기판(152)을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제2 인쇄 회로 기판(112)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카메라 모듈(102)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촬상부, 예컨대 제3 촬상부(120-3)의 소비전력은 제1 카메라 모듈(101)에 구비되는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각각의 소비전력보다 상대적으로 높거나 또는 제1 촬상부(120-1)의 소비 전력 및 제2 촬상부(120-2)의 소비전력의 합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2)은 각각의 커넥터(140-1, 140-2)를 통해 촬상 장치(1000a)의 메인 보드(40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300)은 제1 커넥터(140-1)를 통해 제1 외부 전원 전압(VDDe1)을 제1 카메라 모듈(101)의 제1 전원 관리부(130-1)에 제공하고, 제2 커넥터(140-2)를 통해 제2 외부 전원 전압(VDDe2)을 제2 카메라 모듈(102)의 제2 전원 관리부(130-2)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촬상 장치(1000b)는 제1 카메라 모듈(1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2) 및 전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1)은 제1 촬상부(120-1), 제1 전원 관리부(130-1) 및 제1 커넥터(140-1)를 포함하고, 제2 카메라 모듈(102)은 제2 촬상부(120-2), 제2 전원 관리부(130-2) 및 제2 커넥터(1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카메라 모듈(1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2)은 각각 하나의 촬상부를 포함하고, 전원 관리부가 카메라 모듈에 실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카메라 모듈(101), 및 제2 카메라 모듈(102)은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들(140-1, 140-2)을 통해 동기 신호(SYNC)가 제1 카메라 모듈(101)과 제2 카메라 모듈(102) 사이에서 송수신될 수 있으며, 제1 전원 관리부(130-1) 및 제2 전원 관리부(130-2)는 동기 신호에 따른 동작 시점을 기초로 전원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101)에 구비되는 제1 전원 관리부(130-1)가 동기 신호(SYNC)를 제2 카메라 모듈(102)에 구비되는 제2 전원 관리부(130-2)에 제공하고, 제2 전원 관리부(130-2)는 동기 신호(SYNC)를 기초로 제2 촬상부(120-2)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신호(SYNC)는 타이밍 신호, 카메라 모듈의 온/오프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촬상 장치(1000c)는 제1 카메라 모듈(101), 제2 카메라 모듈(102), 제3 카메라 모듈(1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1), 제2 카메라 모듈(102) 및 제3 카메라 모듈(103) 각각은 하나의 촬상부(120-1, 120-2 및 120-3)과 전원 관리부(130-1, 130-2,13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101), 제2 카메라 모듈(102), 제3 카메라 모듈(103) 각각에 구비된 전원 관리부(130-1, 130-2,130-3)는 각각의 커넥터(140-1, 140-2, 140-3)를 통해 전원(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VDDe1, VDDe2, VDDe3)을 기초로 전원 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촬상부(120-1, 120-2 및 120-3)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제1 카메라 모듈(101), 제2 카메라 모듈(102), 제3 카메라 모듈(103)은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들(140-1, 140-2, 140-3)을 통해 동기 신호가 제1 카메라 모듈(101), 제2 카메라 모듈(102), 제3 카메라 모듈(103) 사이에서 송수신될 수 있으며, 전원 관리부(130-1, 130-2,130-3)는 동기 신호에 따른 동작 시점을 기초로 전원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4는 굴절부를 이용한 폴디드 구조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0)은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전원 관리부(130), 제1 굴절부(161) 및 제2 굴절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절부(161) 및 제2 굴절부(162)는 프리즘, 미러, 빔스플리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굴절부(161)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를 제1 촬상부(120-1)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굴절(또는 반사)시킬 수 있다. 제2 굴절부(162)는 굴절된 광 신호를 제2 촬상부(120-2)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굴절시키거나 또는 제1 촬상부(120-1) 방향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촬상부(120-1)는 제1 인쇄회로 기판(111) 상에 실장되고, 제2 촬상부(120-2)는 제2 인쇄회로 기판(112)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인쇄기판(111) 및 제2 인쇄기판(112)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 기판 상에 전원 관리부(130)가 실장될 수 있다. 제1 인쇄기판(111) 및 제2 인쇄기판(112) 중 적어도 하나에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인쇄기판(111) 및 제2 인쇄기판(112)은 연성회로 기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4의 카메라 모듈(200)을 제3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커넥터(140)가 직접 또는 연성회로 기판(150)을 통해 제1 인쇄회로 기판(111)에 연결되고,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인쇄회로 기판(13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 기판(111)과 제2 인쇄회로 기판(112)는 연성회로 기판(150-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커넥터(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의 전원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제1 인쇄회로 기판(111)에 패터닝된 배선 라인들을 통해 제1 촬상부(120-1)에 전원 전압들을 제공하고, 연성회로 기판(150-1) 및 제2 인쇄회로 기판(112)에 패터닝된 배선 라인들을 통해 제2 촬상부(120-2)에 전원 전압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40-1) 및 제2 커넥터(140-2)가 직접 또는연성회로 기판(151, 152)을 통해 각각 제1 인쇄회로 기판(111) 및 제2 인쇄회로 기판(1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 기판(111) 상에 제1 촬상부(120-1) 및 제1 전원 관리부(130-1)가 실장되고 제2 인쇄회로 기판(112) 상에 제2 촬상부(120-1) 및 제2 전원 관리부(130-2)가 실장될 수 있다.
제1 전원 관리부(130-1)는 제1 커넥터(14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을 기초로 제1 촬상부(120-1)의 전원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전원 관리부(130-2)는 제2 커넥터(140-2)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을 기초로 제2 촬상부(120-2)의 전원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6a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300a)은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전원 관리부(130), 커넥터(140), 제1 굴절부(161), 및 제2 굴절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 및 전원 관리부(130)는 인쇄회로 기판(110)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140)는 연성회로 기판(150)을 통해 인쇄회로 기판(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서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굴절부(161) 및 제2 굴절부(162)는 수신되는 광을 제1 촬상부(120-1), 제2 촬상부(120-2)가 위치한 방향, 예컨대 Y축 방향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제1 촬상부(120-1) 및 제2 촬상부(120-2)는 제1 굴절부(161) 및 제2 굴절부(162)에 의하여 굴절되어 입사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고 광 신호를 기초로 각각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40)는 인쇄회로 기판(110)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관리부(130)는 인쇄회로 기판(110) 상에서 커넥터(140)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 카메라 모듈(2200), 워킹 메모리(2400), 스토리지(2500), 디스플레이 장치(2600), 유/무선 송수신부(2700), 유저 인터페이스(2800)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0)는 이 외에도 제공하는 기능들을 위한 다른 구성들, 예컨대 오디오부 센서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는 휴대용 단말기(2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응용 프로그램, 운영 체제 등을 구동하는 시스템 온 칩(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는 카메라 모듈(220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2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고 제어 신호들을 카메라 모듈(2200)의 커넥터를 통해 카메라 모듈(2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카메라 모듈(2200)로서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00)은 전원 관리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2300)는 복수의 촬상부(또는 적어도 하나의 촬상부)와 함께 인쇄회로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며,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을 기초로 카메라 모듈(2200)에서 사용되는 전원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워킹 메모리(240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MA(Static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 또는 FeRAM(Ferroelectric RAM), RRAM(Resistive RAM), PRAM(Phase-change RAM) 등의 비휘발성의 저항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워킹 메모리(24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가 처리 또는 실행하는 프로그램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2500)는 NADN 플래시, 저항성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토리지(2600)는 MMC(Multi-Media Card), eMMC(embedded MMC), SD(Secure Digital) 카드, 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메모리 카드로 제공될 수 있다. 스토리지(26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 또는 카메라 모듈(220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26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의 기능들을 구현하는 실행 알고리즘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가 동작하면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 동작 시 워킹 메모리(2400)에 로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6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LED) 디스플레이, ECD(Electrochromic Display), DMD(Digital Mirror Device), AMD(Actuated Mirror Device), GLV(Grating Light Valv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중 하나 또는 그 밖에 다른 종류의 평판 패널 또는 플렉서블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6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 또는 카메라 모듈(22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2700)는 트랜시버(2710), 모뎀(2720) 및 안테나(27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270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2800)는 키보드, 키 패널, 터치 패널, 지문 센서, 마이크 등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28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카메라 모듈 110: 인쇄회로 기판
120-1: 제1 촬상부 120-2: 제2 촬상부
130, 130a, 130b: 전원 관리부 140: 커넥터,
150: 연성회로 기판 200: 프로세서
300: 전원 400: 메인 보드

Claims (10)

  1. 인쇄회로 기판;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수신되는 광 신호를 기초로 제1 이미지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촬상부;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 신호를 기초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촬상부;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전원 전압을 기초로 복수의 전원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전압을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에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 및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전원 관리부에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 전압 중 제1 전압을 상기 제1 촬상부에 제공하고, 제2 전압을 상기 제2 촬상부에 제공하며, 제3 전압을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 중 적어도 하나는 수동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상기 전원 관리부의 출력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동 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 각각은,
    광 신호를 수집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통해 수집된 광을 상기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부는,
    상기 렌즈에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는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의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제1 촬상부 또는 상기 제2 촬상부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 중 제1 촬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 관리부는 상기 제1 촬상부와 상기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특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광 신호를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에 입사되도록 굴절시키는 굴절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90075786A 2019-06-25 2019-06-25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20210000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786A KR20210000527A (ko) 2019-06-25 2019-06-25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US16/844,398 US11949975B2 (en) 2019-06-25 2020-04-09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2010353999.3A CN112135070A (zh) 2019-06-25 2020-04-29 相机模块和包括其的成像装置
TW109121552A TW202116053A (zh) 2019-06-25 2020-06-24 相機模組
EP20182107.1A EP3757674A1 (en) 2019-06-25 2020-06-24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786A KR20210000527A (ko) 2019-06-25 2019-06-25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27A true KR20210000527A (ko) 2021-01-05

Family

ID=7114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786A KR20210000527A (ko) 2019-06-25 2019-06-25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49975B2 (ko)
EP (1) EP3757674A1 (ko)
KR (1) KR20210000527A (ko)
CN (1) CN112135070A (ko)
TW (1) TW2021160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4681A1 (zh) * 2021-07-29 2023-02-0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拍摄装置以及拍摄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547B1 (ko) 2004-10-14 2006-07-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모듈의 아날로그 전원 노이즈를 개선한 카메라내장형 이동통신단말기와 아날로그 전원 노이즈를 개선한카메라 센서 칩
US7206136B2 (en) 2005-02-18 2007-04-17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camera using multiple lenses and image sensors to provide an extended zoom range
KR100651920B1 (ko) 2005-10-11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KR100790116B1 (ko) 2006-10-23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0103628A (ja) 2008-10-21 2010-05-06 Rohm Co Ltd 撮像モジュール
EP2696575B1 (en) 2011-04-05 2018-10-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KR101256304B1 (ko) 2011-10-07 2013-04-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능동형 자가진단 차량용 카메라 모듈
JP2015018000A (ja) 2011-11-10 2015-01-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源回路、撮像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JP5881089B2 (ja) * 2013-04-19 2016-03-09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複合電子部品、その実装基板及びこれを含む電源安定化ユニット
US9736365B2 (en) * 2013-10-26 2017-08-15 Light Labs Inc. Zoom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KR102331176B1 (ko) 2015-06-11 2021-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11746B2 (en) * 2016-06-14 2019-06-04 Orcam Technologies Ltd. Wear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posture
KR20180051340A (ko) 2016-11-08 2018-05-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369038B1 (ko) * 2017-08-21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27160B1 (ko) * 2017-09-11 202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24702B1 (ko) 2017-09-11 2021-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65248B1 (ko) 2017-09-11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35070A (zh) 2020-12-25
TW202116053A (zh) 2021-04-16
US20200412922A1 (en) 2020-12-31
US11949975B2 (en) 2024-04-02
EP3757674A1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2649B2 (en) Reflecting imag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9277146B2 (en) Image sensor,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system including the image sensor
KR100910175B1 (ko) 입체영상 생성용 이미지센서
KR102371009B1 (ko) 복수의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40047500A (ko) 이미지 센서 칩
US20220003906A1 (en) Spectral filter, an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pectral filter
US9392197B2 (en) Camera module
CN112866592A (zh) 图像传感器和操作成像装置的方法
US1181212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cameras disposed under display panel and having different patterns disposed on lenses of plurality of cameras
KR102421717B1 (ko)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US9070796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CN113228616A (zh) 具有多单元结构的相机模块和包括其的便携式通信装置
US20160269658A1 (en) Image Sensors and Image Processing Systems Including the Image Sensors
EP3757674A1 (en)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146720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by using RGB image and IR image acquired through one image sensor
US2022032174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US11568806B2 (en) Display device
US11563874B2 (en)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WI722229B (zh) 具有不同大小光圈的多攝像頭模組及其應用
US20230251408A1 (en) Optical filter, an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filter
KR20140037656A (ko) 카메라 모듈
US20240038798A1 (en) Color filter, image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image sensor
US20230185005A1 (en) Optical filter, an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filter
KR101691054B1 (ko) 카메라 모듈
KR101983014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