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920B1 -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920B1
KR100651920B1 KR1020050095640A KR20050095640A KR100651920B1 KR 100651920 B1 KR100651920 B1 KR 100651920B1 KR 1020050095640 A KR1020050095640 A KR 1020050095640A KR 20050095640 A KR20050095640 A KR 20050095640A KR 100651920 B1 KR100651920 B1 KR 10065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power
signal
operation sig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전원 조절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데이터 포트(Data Port)의 임피던스(Impedence)를 조절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전원 조절부로부터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2개의 카메라 모듈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 기준 신호, 기준 전원, 전원 조절부, 스위치부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 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Camera Module and Method thereby}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 입력부(110)는, 카메라 모듈 동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구동부(120)는, 상기 키 입력부(110)의 카메라 모듈의 동작 신호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전원 공급부(130)와 카메라 모듈(140)을 설정한 다.
상기 전원 공급부(130)는, 상기 구동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40)은, 상기 구동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3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2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에 2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2개의 카메라 모듈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2개의 카메라 모듈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입력부와, 상기 키 입력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전원 조절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데이터 포트(Data Port)의 임피던스(Impedence)를 조절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전원 조절부로부터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데이터 포트(Data Port)의 임피던스(Impedence)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 입력부(21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부(2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키 패드 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키 입력부(210)는, 상기 카메라 모듈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기능 키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선택 신호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동작시키고자 하는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구동부(240)는, 상기 키 입력부(210)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키 입력부(210)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230, 260) 중에서 선택된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기준 신호 이상의 신호값을 갖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키 입력부(210)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230, 260)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기준 신호 미만의 신호값을 갖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의 최소 신호값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은, 상기 동작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 이상인 경우에,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부(210)의 선택 신호에 따라, 제 1 카메라 모듈(230)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230)의 동작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 이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260)은 선택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구동부(240)는,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260) 의 동작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 미만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전원 조절부(220, 250)는, 상기 구동부(240)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조절부(220, 250)는,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조절부(220, 250)는,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조절부(220, 250)는, 상기 구동부(240)의 동작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전원을 기준 전원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조절부(220, 250)는, 상기 구동부(240)의 동작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전원을 기준 전원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전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은, 상기 기준 전원 이상의 전원을 공급받은 경우에,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기준 전원 미만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부(210)의 선택 신호에 따라, 제 1 카메라 모듈(230)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제 1 전원 조절부(220)는,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230)에 공급될 전원을 상기 기준 전원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260)은 선택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제 2 전원 조절부(250)는,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260)에 공급될 전원을 상기 기준 전원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부(270)는, 상기 구동부(240)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의 데이터 포트(Data Port)의 임피던스(Impedence)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270)는, 상기 구동부(240)의 동작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인 경우에,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과의 연결을 끊음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의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임피던스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 중에, 상기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 임피던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230)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스위치부(270)는,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260)과의 연결을 끊음에 따라,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260)의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은, 상기 전원 조절부(220, 250)로부터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은,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230, 260)은, 상기 전원 조절부(220, 250)에 의해, 상기 기준 전원 이상으로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S310).
예를 들어,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키 패드를 이용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카메라 모듈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미리 설정된 기능 키를 이용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킨다(S320).
예를 들어, 상기 발생 단계는,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선택된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기준 신호 이상의 신호값을 갖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생 단계는,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기준 신호 미만의 신호값을 갖는 동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신호의 최소 신호값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동작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 이상인 경우에,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한다(S330).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조절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원 조절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 조절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조절 단계는, 상기 동작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 이상인 경우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원을 기준 전원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조절 단계는, 상기 동작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원을 기준 전원 미만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전원은,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전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준 전원 이상의 전원을 공급받은 경우에,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기준 전원 미만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데이터 포트(Data Port)의 임피던스(Impedence)를 조절한다(S340).
예를 들어, 상기 임피던스 조절 단계는, 상기 동작 신호가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인 경우에, 상기 카메라 모듈과의 연결을 끊음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임피던스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 중에, 상기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 임피던스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킨다(S350).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단계는, 상기 전원 조절부에 의해 상기 기준 전 원 이상으로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2개 이상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부를 구비하므로,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손실없이 상기 2개의 카메라 모듈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선택된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기준 신호 이상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고,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는 기준 신호 미만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상기 2개의 카메라 모듈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의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전원 조절부;
    상기 구동부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데이터 포트(Data Port)의 임피던스(Impedence)를 조절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전원 조절부로부터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조절부은,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기준 신호 이상의 신호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조절부는,
    상기 기준 신호 이상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을 기준 전원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신호는,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기준 신호 미만의 신호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조절부는,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을 기준 전원 미만으로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과의 연결을 끊음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데이터 포트의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전원 조절부에 의해 기준 전원 이상으로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10. 복수의 카메라 모듈 중에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데이터 포트(Data Port)의 임피던스(Impedence)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단계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기준 신호 이상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조절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 이상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을 기준 전원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단계는,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기준 신호 미만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조절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을 기준 전원 미만으로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단계는,
    상기 기준 신호 미만의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데이터 포트의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단계는,
    기준 전원 이상으로 조절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050095640A 2005-10-11 2005-10-11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KR10065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640A KR100651920B1 (ko) 2005-10-11 2005-10-11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640A KR100651920B1 (ko) 2005-10-11 2005-10-11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920B1 true KR100651920B1 (ko) 2006-12-01

Family

ID=3773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640A KR100651920B1 (ko) 2005-10-11 2005-10-11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9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8643A1 (zh) * 2010-01-22 2011-07-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终端中主从模式双摄像头控制方法及装置
KR101459753B1 (ko) * 2007-08-31 2014-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원 보드타입의 듀얼 카메라모듈
US11949975B2 (en) 2019-06-25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753B1 (ko) * 2007-08-31 2014-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원 보드타입의 듀얼 카메라모듈
WO2011088643A1 (zh) * 2010-01-22 2011-07-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终端中主从模式双摄像头控制方法及装置
US11949975B2 (en) 2019-06-25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3891B2 (en) Wireless light control system wit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966881B2 (en) Bluetooth motor controller,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and multi-mot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0651920B1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WO2002007340A3 (en) Multi-state power contro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67988A (ko) 다출력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전압 제어방법, 다출력 전원공급장치 및 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N108476570A (zh) 多led串调光控制
JP2004320530A (ja) 電源供給システム装置
WO2015123944A1 (zh) 一种自动调整功率需求等级的受电方法及受电设备
CN1767282A (zh) 半导体激光激励固体激光装置
WO2005088468B1 (e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memory access control
JP2015122642A (ja) 半導体装置及びシリアルデータ伝送路システム
US20200234635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power delivery network controller and display power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016861B1 (ko) 멀티 비전 시스템
JP2006320055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2051105A (ja) 通信装置
JP6516591B2 (ja) 通信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000388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회로
KR100269127B1 (ko) 디지털제어신호에의한카메라의초점/배율조정장치
JP2006227033A (ja) 表示モニタ切替装置およびモニタ装置
KR100531859B1 (ko)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DE60307321D1 (de) Schalteinheit und verfahren f r eintelekommunikationsnetz
JP2021100301A (ja) 電力変換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KR19990058496A (ko) 영상회의 시스템의 네트워크 스위칭 장치
JP4635192B2 (ja) 給水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装置構成方法
JP3021092U (ja) 出力レベル自動切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