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859B1 -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859B1
KR100531859B1 KR10-2003-0034142A KR20030034142A KR100531859B1 KR 100531859 B1 KR100531859 B1 KR 100531859B1 KR 20030034142 A KR20030034142 A KR 20030034142A KR 100531859 B1 KR100531859 B1 KR 100531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erminal
power
regulator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620A (ko
Inventor
최중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859B1/ko
Publication of KR2004010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모드용 모뎀칩을 다수 이용하는 다중 모드 단말기에서 선택된 모드의 소자 구동에 필요한 전압만을 출력하도록 하여 원하지 않는 모드의 소자에 전압이 공급되어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중모드 단말기는 다중모드용으로 개발되지 않은 다수의 모뎀을 이용하기 때문에 각 모뎀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다수의 레귤레이터들에 이상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 동시에 다수의 레귤레이터가 구동하여 연결된 소자들에게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과도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드를 지원하기위해 구성된 다수의 레귤레이터 앞단에 주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선택 제어 신호가 있는 경우에만 단말기 전압을 해당 레귤레이터에 제공하도록 한 전압 제어부를 각각 구성하도록 한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중모드용으로 개발되지 않은 모뎀에서 발생하는 이상 신호가 레귤레이터에 인가된다 할지라도 선택되지 않은 모드에서 사용되는 소자들에게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모뎀의 오동작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POWER CONTROL APPARATUS FOR MULTI MOD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모드용 모뎀칩을 다수 이용하는 다중 모드 단말기에서 선택된 모드의 소자 구동에 필요한 전압만을 출력하도록 하여 원하지 않는 모드의 소자에 전압이 공급되어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새로운 통신 방식이 새롭게 적용되면서 종래 통신 방식과 새롭게 적용되는 통신 방식 모두를 지원하는 다중 모드 단말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이미 통신 인프라가 잘 발달되어 있는 기존의 통신망을 기본으로 사용하면서 새롭게 사용 권역을 넓혀가는 새로운 통신망 지원 권역에서는 새로운 통신망에 따른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러한 다중 모드 단말기는 2개의 통신망을 지원하는 이중 모드 단말기와 2개 이상의 통신망을 지원하는 3중 모드 단말기등 그 종류가 대단히 다양하다. 하지만, 이러한 다중 모드 단말기는 과도기적인 형태의 단말기로서, 내부적으로는 해당 통신망을 지원하는 단일 모드용 모뎀을 모드 수에 따라 복수로 구비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다중 모드 단말기는 통신 방식에 따라 내장된 복수의 모뎀 중 선택된 모드의 모뎀과 그에 따른 부가적인 전용 소자들 만을 구동시켜 해당하는 통신망을 지원하도록 한 형태이다.
당 업자에게는 일반적인 내용이 되겠지만, 이러한 다중 모드 단말기에 사용되는 모뎀은 다중 모드를 기반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해당하는 단일 모드를 위해 개발된 범용 모뎀칩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현재 선택된 모드의 모뎀과 그에 따른 부가적인 소자들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선택되지 않은 통신망을 지원하는 모뎀 및 그에 따른 전용 소자들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중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인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상이한 모드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들(10, 20)이 별도로 존재하며, 이들에는 휴대 단말기의 전압인 +VPWR이 공통으로 제공되고 있다.
만일 제 1모드로 통신을 실시하는 경우, 제 1모드에 따른 모뎀이 동작하면서 제 1레귤레이터(10)에 제 1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제 1레귤레이터(10)의 출력에 의해 동작하는 전용 소자를 구동시킨다. 이 경우 제 2레귤레이터(20)에 제공되는 제 2인에이블 신호는 상기 제 1인에이블 신호와 반대되는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2레귤레이터(20)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제 2모드로 통신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는 그 반대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인에블 신호들은 해당 모드의 모뎀으로부터 제공받으며 이는 모뎀의 제어에 따라 빠르게 전환되기 때문에 모드에 따른 인에이블 신호를 주 제어부가 제공하지는 못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현재 모드에 따라 레귤레이터들(10, 20) 중 하나만 구동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상기 인에이블 신호들은 사용되는 모뎀중 하나로부터 제공되거나 혹은 각각의 모뎀으로부터 제공받기 때문에 모뎀의 이상동작에 따라 상기 인에블 신호들이 동시에 허용신호로 제공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현재 다중 모드 단말기에 사용되는 모뎀이 다중모드를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으로서, 일반적으로 항상 모뎀이 켜져있다는 가정하에서 설계된 모뎀을 다중 모드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모뎀을 온오프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이상 신호들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이상 신호들은 도시된 제 1 및 제 2레귤레이터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다중모드 단말기는 다중모드용으로 개발되지 않은 다수의 모뎀을 이용하기 때문에 각 모뎀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다수의 레귤레이터들에 이상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 경우 동시에 다수의 레귤레이터가 구동하여 연결된 소자들에게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과도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드를 지원하기위해 구성된 다수의 레귤레이터 앞단에 주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가 있는 경우에만 단말기 전압을 해당 레귤레이터에 제공하도록 한 전압 제어부를 각각 구성하여 레귤레이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에이블 신호가 이상하더라도 단말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레귤레이터에의한 전력소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뎀을 구비한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작되는 모드의 모뎀이 제공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모드별 레귤레이터들과; 상기 모드별 레귤레이터들 앞단에 각각 구성되며 외부로부터의 모드 선택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단말기 전원을 해당 모드의 레귤레이터에 제공하는 다수의 모드별 전원 제어부들과; 상기 모드별 전원 제어부들 중 현재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동시키는 모드 선택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주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일 실시예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 장치 구성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모드 단말기의 구성을 예로든 것이다.
먼저, 종래와 같이 각 모드별로 전용 소자들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모드별 레귤레이터들(50, 60)이 있으며, 이들은 종래와 같이 모뎀으로부터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받는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모뎀의 이상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레귤레이터(50)와 제 2레귤레이터(60)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레귤레이터(50) 및 제 2레귤레이터(70)에 제공되는 단말기 전압(+VPWR)을 해당하는 모드의 레귤레이터에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전원 제어부들(40, 60)을 모드별 레귤레이터들(50, 70)의 앞단에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모드별 전원 제어부들(40, 60)은 상기 단말기 전압(+VPWR)을 연결된 레귤레이터들(50, 70)에 항상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모드 선택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상기 모드 선택 제어 신호는 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하는 주 제어부(3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주 제어부(30)는 현재 선택된 통신 모드에 따라 상기 모드별 전원 제어부들(40, 60)에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각각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중 모드 단말기가 WCDMA(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와 CDMA(코드 분할 다중접속)의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이고, 상기 제 1레귤레이터(50)가 WCDMA 모드에서 동작하며 제 2레귤레이터(70)가 CDMA 모드에서 동작한다고 가정한다. 당연히 상기 모드별 레귤레이터들(50, 70)의 앞단에 부가된 모드별 전원 제어부들(40, 60)도 각각 WCDMA 모드와 CDMA 모드에서 동작하게 되며, 제공되는 모드 선택 신호 역시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가 된다.
먼저, 현재 WCDMA 모드가 선택된 경우라면 주 제어부(30)는 상기 제 1 전원 제어부(40)에 WCDMA 모드 선택 신호(예를 들어 하이 신호)를 모드 선택 제어 신호로 제공하고 제 2전원 제어부(60)에는 CDMA 모드 비 선택 신호(예를 들어 로우 신호)를 모드 선택 제어 신호로 제공한다.
상기 WCDMA 모드 선택 신호를 모드 선택 제어 신호로 수신한 제 1전원 제어부(40)는 단말기 전원(+VPWR)을 출력하여 연결된 제 1레귤레이터(50)에 제공한다. 당연하게도, 상기 제 2전원 제어부(60)는 CDMA 모드 비 선택 신호를 모드 선택 제어 신호로 수신했으므로 동작하지 않게 되며, 그로인해 제 2레귤레이터(70)에는 단말기 전원(+VPWR)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제 2레귤레이터(70)의 제 2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는 모뎀이 이상동작하여 상기 제 2레귤레이터(70)가 동작하게 되더라도 인가되는 단말기 전원이 없기 때문에 출력(+Vout2)이 발생하지 않고, 연결된 전용 소자들이 전력을 소모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간단한 예와 같이 다중모드 단말기용으로 개발되지 않은 모뎀들이 다중모드 설정에 의해 이상동작하게 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부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기 전원이 차단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하지 않게된다.
도 3은 상기 설명한 예를 제어 순서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로서,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동작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실시예인 이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주 제어부가 현재 단말기의 모드를 판단하게 된다. 현재 모드가 WCDMA 모드라면 WCDMA 모드 선택 제어 신호를 제 1전원 제어부(40)에 제공하여 단말기 전원(+VPWR)을 연결된 제 1레귤레이터(50)에 제공하도록 하면, 상기 제 1레귤레이터(50)는 연결된 모뎀으로부터 제 1인에이블 신호를 받아 연결된 WCDMA 소자(WCDMA 무선 수신 소자등)에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소자를 동작시키며 초기화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CDMA 소자가 연결되는 제 2레귤레이터(70)에는 단말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오동작하는 경우라도 연결된 CDMA 소자들에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다.
만일 현재 모드가 CDMA 모드라면 CDMA 모드 선택 제어 신호를 제 2전원 제어부(60)에 제공하여 단말기 전원(+VPWR)을 연결된 제 2레귤레이터(70)에 제공하도록 하면, 상기 제 2레귤레이터(70)는 연결된 모뎀으로부터 제 2인에이블 신호를 받아 연결된 CDMA 소자(CDMA 무선 수신 소자등)에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소자를 동작시키며 초기화를 실시하게 된다. 역시, 이 경우 WCDMA 소자가 연결되는 제 1레귤레이터(50)에는 단말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오동작하는 경우라도 연결된 WCDMA 소자들에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모드별 전원 제어부를 각 모드별 레귤레이터의 앞단에 구성하여 주 제어기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는 레귤레이터에만 단말기 전원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는 다수의 모드를 지원하기위해 구성된 다수의 레귤레이터 앞단에 주 제어기로부터 제공되는 모드 선택 제어 신호가 있는 경우에만 단말기 전압을 해당 레귤레이터에 제공하도록 한 전압 제어부를 각각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다중모드용으로 개발되지 않은 모뎀에서 발생하는 이상 신호가 레귤레이터에 인가된다 할지라도 선택되지 않은 모드에서 사용되는 소자들에게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모뎀의 오동작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이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 장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레귤레이터 20: 제 2레귤레이터
30: 주 제어부 40: 제 1전원 제어부
50: 제 1레귤레이터 60: 제 2전원 제어부
70: 제 2레귤레이터

Claims (1)

  1. 다수의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모뎀을 구비한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에 있어서,
    동작되는 모드의 모뎀이 제공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모드별 레귤레이터들과;
    상기 모드별 레귤레이터들 앞단에 각각 구성되며 외부로부터의 모드 선택 제어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단말기 전원을 해당 모드의 레귤레이터에 제공하는 다수의 모드별 전원 제어부들과;
    상기 모드별 전원 제어부들 중 현재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동시키는 모드 선택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주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KR10-2003-0034142A 2003-05-28 2003-05-28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KR100531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142A KR100531859B1 (ko) 2003-05-28 2003-05-28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142A KR100531859B1 (ko) 2003-05-28 2003-05-28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620A KR20040102620A (ko) 2004-12-08
KR100531859B1 true KR100531859B1 (ko) 2005-11-30

Family

ID=3737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142A KR100531859B1 (ko) 2003-05-28 2003-05-28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8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620A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61236A (ja) ディスプレイドライバ用の複数の供給電圧ジェネレータの自律制御
US9966881B2 (en) Bluetooth motor controller,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and multi-mot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05190381A (ja) 定電圧電源
CN111741564A (zh) 一种led模组驱动信号控制装置及led箱体
CN108390728B (zh) 光模块上电控制方法及装置
KR100531859B1 (ko) 다중 모드 단말기의 전원제어 장치
KR101203561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0782826B (zh) 一种驱动器ic低功耗控制电路
US9559588B2 (en) Power managing apparatus, DC-DC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enabling chip
US8698357B2 (en) Multiple power supply device
KR100811273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외부전원 공급 장치
KR100651920B1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동작방법
KR102402544B1 (ko) 차량의 전자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202569B1 (ko) 선형 압축기의 전원 선택회로 및 방법
KR1006135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원 공급 장치
KR100710332B1 (ko)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단말기
US9595945B2 (en) Switch control circuit and switch circuit
KR1009254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클래스 변경방법
KR100703225B1 (ko) 리셋회로를 구비한 모듈용 프로그램 다운로드 시스템
KR100520199B1 (ko) 시리얼 단자를 이용한 원격 전원 제어기
JP2008112796A (ja) 発光素子駆動装置および方法
KR20040074755A (ko) 모바일 전자기기의 절전장치
CN116470932A (zh) 一种射频供电电路及通信模组
KR20040043772A (ko) 컴퓨터시스템의 대기전원공급장치
KR20030080643A (ko) 리플 감소를 위한 전원 회로 및 리플 감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