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717B1 -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717B1
KR102421717B1 KR1020150164839A KR20150164839A KR102421717B1 KR 102421717 B1 KR102421717 B1 KR 102421717B1 KR 1020150164839 A KR1020150164839 A KR 1020150164839A KR 20150164839 A KR20150164839 A KR 20150164839A KR 102421717 B1 KR102421717 B1 KR 10242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maging device
circuit board
lens modu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413A (ko
Inventor
정혜인
이진원
정종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717B1/ko
Priority to US15/173,885 priority patent/US10110818B2/en
Publication of KR2017006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413A/ko
Priority to US16/137,101 priority patent/US1038268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일 예시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은 이미지 센서 모듈;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에 대하여 입사광의 광축 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모듈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손 떨림 보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영상을 촬상 하기 위한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제작 기술이 발달하면서, 소형, 경량화된 촬상 장치 모듈을 장착한 전자 기기, 예컨대, 이동 단말기가 이미 상용화되고 있다. 항상 휴대하는 것이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에 촬상 장치 모듈이 탑재되면서, 사용자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은 물론, 영상 통화, 증강 현실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전자 기기에 촬상 장치 모듈을 장착하는 것이 일반화됨에 따라, 이제는 촬상 장치 모듈을 소형화하면서도 성능, 예를 들면, 화질 향상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손떨림 보정 기술이 있다. 손떨림 보정 기술은 촬영 중, 사용자의 손떨림과 같은 인체의 진동 등에 따른 피사체 상의 흔들림을 보상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손떨림 보정은, 예를 들면, 촬상 장치 모듈에 탑재된 다수의 센서 등을 통해 기기에 가해지는 진동을 검출하고, 검출되는 진동의 속도 및 방향에 따라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손 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일 예시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은, 이미지 센서 모듈;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에 대하여 입사광의 광축 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모듈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손 떨림 보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센서 회로 기판 및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손 떨림 보정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제1 방향에 대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제2 방향에 대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은 강성(rigid)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압전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압전 소자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압전 소자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1 케이스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의 상기 제1 방향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1 센서; 및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의 상기 제2 방향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2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1 방향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1 센서;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2 방향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2 센서; 및 상기 제1-1 센서 및 상기 제1-2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의 이동 변위와, 상기 제2-1 센서 및 상기 제2-2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렌즈 모듈의 이동 변위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손 떨림 구동부와 상기 제2 손 떨림 구동부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센서 회로 기판 및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손 떨림 보정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1 면과 대향하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제1 방향에 대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제2 방향에 대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1 케이스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압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압전 소자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1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틸트(tilt)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틸트(tilt)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의 후면부는 반구 형상이며,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마련되며, 상기 렌즈 모듈의 후면부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1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 떨림 보정 기능을 포함하면서도, 크기 및 무게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모듈 및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손 떨림 구동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손 떨림 구동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8b 및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손 떨림 구동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17b 및 도 17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8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18b 및 도 18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개시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하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 사용된 단수형은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지적하지 않은 이상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여,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개시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 장치(1)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PDA,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3), 입/출력 모듈(5) 및 촬상 장치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는 표시패널 및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5)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에 출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달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버튼(5-1) 및 터치 패널(5-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장치 모듈(1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부재이다. 일 예로서, 촬상 장치 모듈(1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촬상 장치 모듈(10)은 사용자 단말 장치(1)의 전면에 배치되고, 다른 촬상 장치 모듈(미도시)은 사용자 단말 장치(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촬상 장치 모듈(10)은 인접하게(예를 들어, 간격이 1 cm보다 크고, 8 cm 보다 작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 모듈(10)은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촬상 장치 모듈(10)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서술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1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100), 손 떨림 보정 모듈(200),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복수 개의 렌즈 군이 구비된 렌즈 모듈 (110), 상기 렌즈 모듈(110)을 수납할 수 있는 제1 케이스부(120), 이미지 센서 모듈(170)과 상기 렌즈 모듈(110)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170)을 수납할 수 있는 제2 케이스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렌즈 모듈(110)은 일 방향, 예를 들어 입사되는 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연장된 렌즈 경통부(111) 및 상기 렌즈 경통부(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줌 렌즈 모듈(112),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초점 조절 가동부(113; 이하 'AF 가동부'라 지칭함) 및 후술하게 될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114, 115)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경통부(111)는 복수 개의 렌즈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부재로서,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수납부(111-1), 및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슬라이드 축(111-3)을 포함할 수 있다.
줌 렌즈 모듈(112)은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배열된 렌즈부로서, 줌 렌즈부(112-1) 및 상기 줌 렌즈부(112-1)를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줌 렌즈 구동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줌 렌즈부(112-1)는 줌 렌즈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된 채, 렌즈 경통부(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줌 렌즈 구동부(112-2)에 의해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다른 광학계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줌 렌즈 모듈(112)은 주밍(zooming) 또는 망원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F 가동부(113)는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초점 조절부로서,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배열된 AF 렌즈부(113-1) 및 AF 렌즈부(113-1)를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AF 구동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AF 렌즈부(113-1)는 AF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된 채, 렌즈 경통부(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AF 렌즈부(113-1)를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초점 조절을 위한 광학적 구조와 렌즈 구동 구조 및 줌 조절을 위한 광학적 구조와 렌즈 구동 구조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접촉부(114)는 렌즈 경통부(111)의 후면에 배치되고, 후술하게 될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와 접촉하여 렌즈 경통부(11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접촉부(114-1)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기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렌즈 경통부(11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부(114-1)는 렌즈 경통부(111)의 일부 영역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 경통부(111)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별도의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접촉부(114-2)는 투명 부재로 형성되어 제1 접촉부(114-1)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커버 글래스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부(114)는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제1 케이스부(120)는 렌즈 경통부(11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부재이다. 일 예로서, 제1 케이스부(120)는 양 측부에 제1 슬라이드 축(111-3)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관통홀(120-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경통부(110)의 입사광의 광축 방향(Z)에 대한 이동은 제한되는 반면, 렌즈 경통부(110)는 제1 방향(X)을 따라 제1 케이스부(120)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부(120)는 상부 및 하부에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2 슬라이드 축(120-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170)은 제1 케이스부(120) 및 후술하게 될 제2 케이스부(18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렌즈 모듈(110)로 입사된 영상광을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171), 상기 이미지 센서(171)가 본딩 결합되는 센서 회로 기판(172), 상기 센서 회로 기판(172)이 연결되는 플렉서블 회로 기판(1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71)는 일 예로서 씨씨디(CCD; 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171)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후술하게 될 제어부(300)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이미지 센서(171)의 전기적 신호를 RGB 데이터로 변환한 후, RGB 데이터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포함하는 YUV 신호와 같은 형태의 원시 데이터(raw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300)에 의한 변환 과정은, 예를 들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 모듈(170)의 구동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자동 이득 제어 회로(Automatic Gain Control 회로)에 의해 노이즈 저감 후의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와, A/D 변환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에 대한 픽셀 결함 보정, 게인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보정, 감마 보정 등의 신호 처리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회로 기판(172)은 일 면에 이미지 센서(171)가 배치될 수 있는 회로 기판으로서, 예를 들어 강성(rigid) 재질로 형성된 평면 형상의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센서 회로 기판(172)은 제1 케이스부(120) 및 후술하게 될 제2 케이스부(18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 회로 기판(172)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171)와 렌즈 모듈(110)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플렉서블 회로 기판(173)은 센서 회로 기판(172)과 제어부(300)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 회로 기판으로서, 센서 회로 기판과 제어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171)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케이스부(180)는 제1 케이스부(12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부재이다. 일 예로서, 제2 케이스부(180)는 전면부에는 입사광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180-1) 및 상부와 하부에 제2 슬라이드 축(120-2)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관통홀(180-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케이스부(180)의 내부에는 제1 케이스부(120)가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후면부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170)이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후술하게 될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에 의해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제1 케이스부(120),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 모듈(110)은 제2 방향(Y)을 따라 제2 케이스부(180)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2 케이스부(180)와 렌즈 모듈(110) 사이에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배치됨으로써, 렌즈 모듈(110)과 제2 케이스부(180) 사이에는 소정의 구속력이 인가될 수 있다.
손 떨림 보정 모듈(200)은 노출시간 동안 촬상 장치 모듈(10)이 흔들렸을 때 발생하는 화상의 흐려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정 장치로서, 디지털 손떨림 보정(Digital Image Stabilization, DIS) 방식, 전자식 손떨림 보정(Electrical Image Stabilization, EIS) 방식 및 광학식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방식의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미지 센서 모듈(170)로 입사되는 광로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는 광학식 손떨림 보정 방식(OIS 방식)을 위주로 서술한다.
일 예시에 따른 손 떨림 보정 모듈(200)은 제1 방향(X)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제2 방향(Y)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 손 떨림의 정도와 손 떨림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제1-1 및 제1-2 센서부(231, 232), 렌즈 모듈(110)의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2-1 및 제2-2 센서부(241, 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는 제1 방향(X)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제1 렌즈 경통부(111)에 구비된 접촉부(114)와 접촉하여 제1 방향(X)의 구동력을 렌즈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는 구동부이다. 일 예로서,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는 제1 방향(X)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압전 소자(2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압전 소자(2100)는 접촉부(114)와 마주보도록 센서 회로 기판(172)의 제1 면(172-1)에 배치되어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수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다.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는 제2 방향(Y)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제1 렌즈 경통부(111)에 구비된 접촉부(114)와 접촉하여 제2 방향(Y)의 구동력을 렌즈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는 구동부이다. 일 예로서,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는 제2 방향(Y)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열된 복수 개의 제2 압전 소자(2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압전 소자(2200)는 접촉부(114)와 마주보도록 센서 회로 기판(172)의 제1 면(172-1)에 배치되어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수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및 제2 압전 소자(2100, 2200)가 이미지 센서(171)의 상부 및 일 측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압전 소자(2100)는 이미지 센서(171)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압전 소자(2200)는 이미지 센서(171)의 양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센서(171)를 둘러싸도록 제1 및 제2 압전 소자(2100, 2200)가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압전 소자(2100, 2200)에 의한 더 큰 손 떨림 보정 구동력을 렌즈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및 제2 압전 소자(2100, 2200)는 티탄산지르콘산납(PZT), 티탄산바륨(BaTiO3), 티탄산바륨스트론튬((Ba,Sr)(TiO3)), 마그네슘산니오브산납(PMN), 티탄산납(PT), 그리고 이들의 고용체 및 완화형 강유전체(relaxor ferroelectric) 등으로부터 선택된 단층 압전체 구조물이거나 상기 압전 물질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박막들로 구성된 다층 압전체 구조물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1 및 제1-2 센서부(231, 232)는 손 떨림에 의한 촬상 장치 모듈(10)의 이동 정도와 이동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이다. 일 예로서, 제1-1 센서부(231)는 제1 방향(X)에 대한 촬상 장치 모듈(10)의 이동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 장치이며, 제1-2 센서부(232)는 제2 방향(Y)에 대한 촬상 장치 모듈(10)의 이동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 장치이다. 제1-1 및 제1-2 센서부(231, 232)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Gyro Sensor)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1 및 제2-2 센서부(241, 242)는 제1 및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에 의한 렌즈 모듈(110)의 이동 정도와 이동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이다. 일 예로서, 제2-1 센서부(241)는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에 의한 렌즈 모듈(110)의 제1 방향(X)에 대한 이동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 장치이며, 제2-2 센서부(242)는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에 의한 렌즈 모듈(110)의 제2 방향(Y)에 대한 이동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 장치이다. 제2-1 및 제2-2 센서부(241, 242)는, 예를 들어 홀 센서(hall Sensor)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00)는 촬상 장치(100) 및 구동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이다. 일 예로서, 제어부(300)는 RAM, ROM, CPU 및 버스(bus)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및 C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 모듈(170)의 전기적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시켜 이미지를 구체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밍 기능, 피사체의 초점 조절 기능 및 손 떨림 보정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제1-1 및 제1-2 센서부(231, 232)와, 제2-1 및 제2-2 센서부(241, 242)로부터 전달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렌즈 모듈(100) 및 손 떨림 보정 모듈(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줌 렌즈 모듈(112), AF 가동부(113),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및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손 떨림 구동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손 떨림 구동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8b 및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 떨림에 의해 촬상 장치 모듈(10)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미지 센서(171)의 동일한 위치에 입사광이 결상되지 않는 경우, 이미지 센서 모듈(170)에 대한 렌즈 모듈(110)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입사광이 결상되는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2,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제1-1 센서(231)가 손 떨림에 의한 촬상 장치 모듈(10)의 제1 방향(X) 이동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손떨림 보정 구동부(210)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손 떨림 보정부(210)는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에 의해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에는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방향(X)에 대한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에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먼저 제1-1 압전 소자(2110)가 인장될 수 있다. 이 후, 제1-1 압전 소자(2110)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1-2 압전 소자(2120)가 인장될 수 있다. 이 후, 제1-2 압전 소자(2120)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1-3 압전 소자(2130)가 인장될 수 있다.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가 순차적으로 인장 및 수축됨에 따라, 제1 방향(X)에 대한 진행파(W1; traveling wave)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114)는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과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접촉부(114)는 제1 방향(X)의 진행파(W1)에 의한 제1 방향(X)의 구동력을 렌즈 모듈(110)로 전달할 수 있다. 렌즈 모듈(110)은 제1 접촉부(114)로 전달된 제1 방향(X)의 구동력에 의해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2-1 센서부(241)는 렌즈 모듈(110)의 제1 방향(X)에 대한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110)과 이미지 센서(171)에 대한 제1 방향(X)의 상대적 위치가 보정될 수 있다.
도 2,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제1-2 센서(232)가 손 떨림에 의한 촬상 장치 모듈(10)의 제2 방향(Y) 이동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손떨림 보정 구동부(220)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손 떨림 보정부(220)는 제2-1 내지 제2-3 압전 소자(2210-2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1 내지 제2-3 압전 소자(2210-2230)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Y)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에 의해 제2-1 내지 제2-3 압전 소자(2210-2230)에는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방향(Y)에 대한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내지 제2-3 압전 소자(2210-2230)에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먼저 제2-1 압전 소자(2210)가 인장될 수 있다. 이 후, 제2-1 압전 소자(2210)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2-2 압전 소자(2220)가 인장될 수 있다. 이 후, 제2-2 압전 소자(2220)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2-3 압전 소자(2230)가 인장될 수 있다.
제2-1 내지 제2-3 압전 소자(2210-2230)가 순차적으로 인장 및 수축됨에 따라, 제2 방향(Y)에 대한 진행파(W2; traveling wave)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114)는 제2-1 내지 제2-3 압전 소자(2210-2230)과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2 접촉부(115)는 제2 방향(Y)의 진행파(W2)에 의한 제2 방향(Y)의 구동력을 렌즈 모듈(110)로 전달할 수 있다. 렌즈 모듈(110)은 제2 접촉부(115)로 전달된 제2 방향(Y)의 구동력에 의해 제2 방향(Y)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2 센서부(242)는 렌즈 모듈(110)의 제2 방향(Y)에 대한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110)과 이미지 센서(171)에 대한 제2 방향(Y)의 상대적 위치가 보정될 수 있다.
도 9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1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100), 손 떨림 보정 모듈(200),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복수 개의 렌즈 군이 구비된 렌즈 모듈 (110), 상기 렌즈 모듈(110)을 수납할 수 있는 제1 케이스부(120), 이미지 센서 모듈(170)과 상기 렌즈 모듈(110) 및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170)을 수납할 수 있는 제2 케이스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170)을 제외한 촬상 장치 모듈(10)에 포함된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10)에 포함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서술의 편의상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170)은 제1 케이스부(120) 및 후술하게 될 제2 케이스부(18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렌즈 모듈(110)로 입사된 영상광을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171), 상기 이미지 센서(171)가 본딩 결합되는 센서 회로 기판(172), 상기 센서 회로 기판(172)이 연결되는 플렉서블 회로 기판(173) 및 지지 기판(17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 기판(172) 및 지지 기판(174)을 제외한 이미지 센서 모듈(170)에 포함된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모듈(170)에 포함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서술의 편의상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회로 기판(172)의 제1 면(172-1)에 이미지 센서(17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면(172-2)에 제1 및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가 배치될 수 있는 회로 기판으로서, 예를 들어 플랙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된 평면 형상의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센서 회로 기판(172)은 제1 케이스부(120) 및 후술하게 될 지지 기판(174)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기판(174)은 센서 회로 기판(172)은 제2 면(172-2)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평면 형상의 지지 부재이다. 일 예로서, 센서 회로 기판(172)의 제2 면(172-2)에 배치된 제1 및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는 지지 기판(174)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 기판(174)은 제2 케이스부(18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모듈(200)은 제1 방향(X)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제2 방향(Y)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 손 떨림의 정도와 손 떨림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제1-1 및 제1-2 센서부(231, 232), 렌즈 모듈(110)의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2-1 및 제2-2 센서부(241, 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는 제1 방향(X)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열된 복수 개의 제1 압전 소자(2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압전 소자(2100)는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수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기판(174)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센서 회로 기판(172)의 제2 면(172-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는 제2 방향(Y)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열된 복수 개의 제2 압전 소자(2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압전 소자(2200)는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수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기판(174)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센서 회로 기판(172)의 제2 면(172-2)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압전 소자(2100, 2200)의 배치를 제외한 손 떨림 보정 모듈(200)에 포함된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모듈(200)에 포함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손 떨림 구동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2, 도 6b, 도 6c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1 센서(231)가 손 떨림에 의한 촬상 장치 모듈(10)의 제1 방향(X) 이동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손떨림 보정 구동부(210)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손 떨림 보정부(210)는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제1 방향(X)을 따라 센서 신호 기판(172)의 제2 면(17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에 의해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에는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방향(X)에 대한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에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먼저 제1-1 압전 소자(2110)가 인장될 수 있다. 이 후, 제1-1 압전 소자(2110)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1-2 압전 소자(2120)가 인장될 수 있다. 이 후, 제1-2 압전 소자(2120)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1-3 압전 소자(2130)가 인장될 수 있다.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이 인장 및 수축됨에 따라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센서 회로 기판(172) 또한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제1-1 내지 제1-3 압전 소자(2110-2130)가 순차적으로 인장 및 수축됨에 따라, 제1 방향(X)에 대한 진행파(W1; traveling wav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X)에 대한 진행파(W1)에 의한 센서 신호 기판(172)의 변형에 따라, 센서 신호 기판(172)의 일부는 접촉부(114)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촉부(114)는 제1 방향(X)의 진행파(W1)에 의한 제1 방향(X)의 구동력을 렌즈 모듈(110)로 전달할 수 있다. 렌즈 모듈(110)은 제1 접촉부(111-4)로 전달된 제1 방향(X)의 구동력에 의해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2-1 센서부(241)는 렌즈 모듈(110)의 제1 방향(X)에 대한 이동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110)과 이미지 센서(171)에 대한 제1 방향(X)의 상대적 위치가 보정될 수 있다.
도 2, 도 8b, 도 8c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2 센서(232)가 손 떨림에 의한 촬상 장치 모듈(10)의 제2 방향(Y) 이동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손떨림 보정 구동부(220)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손 떨림 보정부(220)는 제2-1 내지 제2-3 압전 소자(2210-2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1 내지 제2-3 압전 소자(2210-2230)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Y)을 따라 센서 신호 기판(172)의 제2 면(17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1 내지 제2-3 압전 소자(2210-2230)의 인장 및 수축을 이용하여 렌즈 모듈(110)로 제2 방향(Y)에 대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제1 방향(X)에 대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서술의 편의상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예로서,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압전 소자(2300)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격자 형태로 센서 회로 기판(172)의 제2 면(172-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114)는 복수 개의 압전 소자(2300)로부터 더욱 큰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격자 형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압전 소자(2300)의 작동 방식은 후술하는 제4 압전 소자(2400)의 작동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서술을 생략한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1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100), 손 떨림 보정 모듈(200), 및 촬상 장치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복수 개의 렌즈 군이 구비된 렌즈 모듈(110), 상기 렌즈 모듈(110)이 수납되는 제1 케이스부(120), 이미지 센서 모듈(170), 및 렌즈 모듈(110)과 이미지 센서 모듈(170)을 수납할 수 있는 지지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렌즈 모듈(110)은 일 방향, 예를 들어 입사되는 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연장된 렌즈 경통부(111) 및 상기 렌즈 경통부(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줌 렌즈 모듈(112), 피사체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초점 조절 가동부(113) 및 접촉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경통부(111)는 복수 개의 렌즈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부재로서,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입사광의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부(120)는 렌즈 모듈(11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부재이다. 일 예로서, 제1 케이스부(120)는 입사광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된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 경통부(111)가 수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렌즈 모듈(110),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 경통부(111)는 제1 케이스부(120)에 수납되어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틸트되거나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틸트될 수 있다.
접촉부(114)는 렌즈 경통부(111)의 후면에 배치되고, 후술하게 될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와 접촉하여 렌즈 경통부(11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접촉부(114-1)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반구 형상으로 마련되어 렌즈 경통부(11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부(114-1)는 렌즈 경통부(111)의 일부 영역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 경통부(111)의 일부 형상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의 별도의 기판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제2 접촉부(114-2)는 투명 부재로 형성되어 제1 접촉부(114-1)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커버 글래스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부(114)는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미지 센서 모듈(170)은 렌즈 모듈(110)로 입사된 영상광을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171), 상기 이미지 센서(171)가 본딩 결합되는 센서 회로 기판(172), 상기 센서 회로 기판(172)이 연결되는 플렉서블 회로 기판(17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게 될 지지부(190)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센서 회로 기판(172)은 일 면에 이미지 센서(171)가 배치될 수 있는 회로 기판으로서, 예를 들어 플랙서블(flexible) 재질로 형성된 반구 형상의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센서 회로 기판(172)은 후술하게 될 지지부(190)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 회로 기판(172)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171)와 렌즈 모듈(110)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지지부(190)는 렌즈 모듈(110) 및 이미지 센서 모듈(170)을 수납하고, 제1 케이스부(120)와 결합될 수 있는 수납 부재이다. 일 예로서, 지지부(190)는 제1 케이스부(120)와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센서 회로 기판(172)과 마주보는 후면부(191)는 센서 회로 기판(17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90)의 내부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170)이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후면부(191)는 후술하게 될 제1 및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와 접촉하거나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손 떨림 보정 모듈(200)은 제1 방향(X)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제2 방향(Y)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한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 손 떨림의 정도와 손 떨림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제1-1 및 제1-2 센서부(231, 232), 렌즈 모듈(110)의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대한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2-1 및 제2-2 센서부(241, 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는 제1 방향(X)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제1 렌즈 경통부(111)에 구비된 접촉부(114)와 접촉하여 제1 방향(X)의 구동력을 렌즈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는 구동부이다. 또한,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20)는 제2 방향(Y)의 손 떨림을 보정하기 위해 제1 렌즈 경통부(111)에 구비된 접촉부(114)와 접촉하여 제2 방향(Y)의 구동력을 렌즈 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는 구동부이다. 일 예로서, 제1 및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210, 220)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4 압전 소자(2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4 압전 소자(2400)는 입사광의 광축 방향(Z)을 따라 수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으며, 지지부(190)의 후면부(191)와 마주보도록 센서 회로 기판(172)의 제2 면(172-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17b 및 도 17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18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18b 및 도 18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2,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손 떨림 보정부(210, 220)는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격자 구조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4 압전 소자(2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1 압전 소자부(2410)는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4-11 내지 제4-13 압전 소자(2411-2413)를 포함하고, 제4-2 압전 소자부(2420)는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4-21 내지 제4-23 압전 소자(2421-2423)를 포함하고, 제4-3 압전 소자부(2430)는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4-31 내지 제4-33 압전 소자(2431-24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4-1 내지 제4-3 압전 소자부(2410-2430)에는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에 대한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4-1 내지 제4-3 압전 소자부(2410-2430)에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먼저 제4-11 내지 제4-13 압전 소자(2411-2413)가 인장될 수 있다. 이 후, 제4-11 내지 제4-13 압전 소자(2411-2413)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4-21 내지 제4-23 압전 소자(2421-2423)가 인장될 수 있다. 이 후, 제4-21 내지 제4-23 압전 소자(2421-2423)가 수축됨과 동시에 제4-31 내지 제4-33 압전 소자(2431-2433)가 인장될 수 있다. 제4-1 내지 제4-3 압전 소자부(2410-2430)가 인장 및 수축됨에 따라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센서 회로 기판(172) 또한 변형될 수 있다.
제4-1 내지 제4-3 압전 소자부(2410-2430)가 순차적으로 인장 및 수축됨에 따라,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에 대한 진행파(W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행파(W3)에 의한 센서 신호 기판(172)의 변형에 따라, 센서 신호 기판(172)의 일부는 접촉부(114)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촉부(114)는 상기 진행파(W3)에 의한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에 대한 구동력을 렌즈 모듈(110)로 전달할 수 있다. 렌즈 모듈(110)은 센서 회로 기판(172)에 의해 전달된 상기 구동력에 의해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틸트될 수 있다. 이 때, 제2-1 센서부(241)는 렌즈 모듈(110)의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모듈(110)과 이미지 센서(171)에 대한 제1 방향(X)의 상대적 위치가 보정될 수 있다.
도 2, 도 18b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제4-4 압전 소자부(2440)는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4-41 내지 제4-43 압전 소자(2441-2443)를 포함하고, 제4-5 압전 소자부(2450)는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4-51 내지 제4-53 압전 소자(2451-2453)를 포함하고, 제4-6 압전 소자부(2460)는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제4-61 내지 제4-63 압전 소자(2461-24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4 내지 제4-6 압전 소자부(2440-2460)의 인장 및 수축을 이용하여 렌즈 모듈(110)을 제2 방향(Y)을 중심으로 틸트시키는 것은, 제4-1 내지 제4-3 압전 소자부(2410-2430)의 인장 및 수축을 이용하여 제1 방향(X)을 중심으로 틸트 시키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서술의 편의상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 예시들에 따른 전도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9)

  1. 이미지 센서 모듈;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에 대하여 입사광의 광축 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렌즈 모듈;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모듈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손 떨림 보정 모듈;
    촬상 장치 모듈의 상기 제1 방향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1 센서;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의 상기 제2 방향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1-2 센서;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1 방향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1 센서;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제2 방향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제2-2 센서; 및
    상기 제1-1 센서 및 상기 제1-2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의 이동 변위와, 상기 제2-1 센서 및 상기 제2-2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렌즈 모듈의 이동 변위를 비교하여, 상기 손 떨림 구동 모듈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센서 회로 기판 및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손 떨림 보정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제1 방향에 대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제2 방향에 대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은 강성(rigid) 기판인,
    촬상 장치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압전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압전 소자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촬상 장치 모듈.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압전 소자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1 케이스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촬상 장치 모듈.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센서 회로 기판 및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손 떨림 보정 모듈은,
    상기 렌즈 모듈과 마주보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1 면과 대향하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제1 방향에 대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에 제2 방향에 대한 구동력을 인가하는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부; 및
    상기 제1 케이스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촬상 장치 모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인,
    촬상 장치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압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압전 소자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촬상 장치 모듈.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1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틸트(tilt)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틸트(tilt)되는,
    촬상 장치 모듈.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의 후면부는 반구 형상이며,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마련되며, 상기 렌즈 모듈의 후면부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인,
    촬상 장치 모듈.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손 떨림 보정 구동부 및 상기 제2 손 떨림 보정 구동부는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2 면에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센서 회로 기판의 제1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KR1020150164839A 2015-11-24 2015-11-24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42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39A KR102421717B1 (ko) 2015-11-24 2015-11-24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US15/173,885 US10110818B2 (en) 2015-11-24 2016-06-06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with image stabilization, user terminal including photographing apparatus
US16/137,101 US10382688B2 (en) 2015-11-24 2018-09-20 Image stabilization for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39A KR102421717B1 (ko) 2015-11-24 2015-11-24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413A KR20170060413A (ko) 2017-06-01
KR102421717B1 true KR102421717B1 (ko) 2022-07-18

Family

ID=5872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839A KR102421717B1 (ko) 2015-11-24 2015-11-24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110818B2 (ko)
KR (1) KR102421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2540B2 (en) * 2015-07-09 2017-09-26 Bio-Tek Instruments, Inc. Autofocus for imaging system
CN110463181B (zh) * 2017-01-24 2021-07-23 Lg伊诺特有限公司 包括液体透镜模块的摄像机模块以及控制摄像机模块的方法
JP7074404B2 (ja) * 2018-09-27 2022-05-24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および端末
CN211741660U (zh) * 2019-09-12 2020-10-23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CN111510607A (zh) * 2020-04-27 2020-08-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以及电子设备
KR20220023152A (ko) * 2020-08-20 2022-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5455A (ja) 2007-03-28 2008-10-09 Toshiba Corp 駆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0905B (en) 2005-05-17 2006-08-21 Jin-Chiuan Huang Lens turning device for mobile phone with camera function
JP5343322B2 (ja) * 2007-03-30 2013-11-13 株式会社ニコン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装置、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5376780B2 (ja) 2007-08-08 2013-12-25 株式会社東芝 圧電モータおよびカメラ装置
KR101521527B1 (ko) * 2009-01-30 2015-05-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KR101575630B1 (ko) * 2009-03-17 201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JP5846346B2 (ja)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RU2608586C2 (ru) * 2012-02-07 2017-01-23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приема, программ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940480B1 (ko) * 2012-06-28 2019-0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134503B2 (en) 2012-07-06 2015-09-15 Apple Inc. VCM OIS actuator module
US8699868B1 (en) 2013-03-14 2014-04-15 Microsoft Corporation Anti-shake correction system for curved optical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5455A (ja) 2007-03-28 2008-10-09 Toshiba Corp 駆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8647A1 (en) 2019-01-24
KR20170060413A (ko) 2017-06-01
US10110818B2 (en) 2018-10-23
US10382688B2 (en) 2019-08-13
US20170150055A1 (en)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717B1 (ko) 촬상 장치 모듈,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CN106911879B (zh) 成像装置模块及其操作方法、以及包括该模块的终端设备
WO2014069251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40218587A1 (en) Double sided camera module
US11889203B2 (en) Camera module
KR101813392B1 (ko) 카메라 모듈
US11611703B2 (en) Camera module, method of correcting movement of the module, image stabilization device therefor
KR20100075159A (ko) 촬상 장치
KR102568006B1 (ko) 카메라 모듈
KR20130070436A (ko) 멤스 소자 및 흔들림 보정 장치
KR20150120832A (ko) 디지털 촬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90040317A1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KR20160093299A (ko) 모바일 장치
US10887495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user terminal
CN111835947A (zh) 摄像装置、摄像系统和存储介质
US8817127B2 (en) Image correction device for image capture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 for image correction device
US20150168739A1 (en) Image stabilizer, camera system, and imaging method
US20080136949A1 (en) Optical image capture structure
KR20200139484A (ko) 카메라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2334829A (zh) 包括液体镜头的双相机模块
CN218183377U (zh) 手持装置防手震系统
US20230168565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WO2023169054A1 (zh) 电子设备
KR20220132960A (ko) 카메라 모듈
CN116671120A (zh) 相机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