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454A - 차량 블록벽 - Google Patents

차량 블록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454A
KR20200144454A KR1020200025414A KR20200025414A KR20200144454A KR 20200144454 A KR20200144454 A KR 20200144454A KR 1020200025414 A KR1020200025414 A KR 1020200025414A KR 20200025414 A KR20200025414 A KR 20200025414A KR 20200144454 A KR20200144454 A KR 2020014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llow columnar
block wall
block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리 이이즈카
코지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콘
Publication of KR2020014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과제) 차도의 노측용, 차도의 중앙 분리대용 또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용으로서의 차량 블록벽으로, 차량이 돌입해 오는 입사각의 대소에 구애되지 않고, 진행 방향을 잘못한 차량이 도로 밖이나 대향 차선 또는 보도 등으로 일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 등의 안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블록벽을, 간단한 공사로, 또한 저가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을 수평면 내에 인접하여 지반 상에 배치한 차량 블록벽에 있어서, 그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중공 주상 블록의 축심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돌기부가 구비되고, 이웃하는 중공 주상 블록의 돌기부끼리가 서로 치합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의 차량 블록벽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블록벽 {Block Wall for Vehicle}
본 발명은 진행 방향을 잘못한 차량이 도로 바깥이나 대향 차선 또는 보도 등으로 일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 등을 보호하는 동시에,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블록벽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행 방향을 잘못한 차량이 도로 밖이나, 중앙선 또는 보도 등에 일탈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차량 탑승자의 상해나 차량의 파손을 최소한으로 하여 차량을 정상적인 진행 방향으로 복원시키기 위해, 차도의 방호책(防護柵)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방호책으로서는, 가드레일, 가드파이프, 가드케이블, 박스빔 등의 각종의 것이 고안되고 있다. 또한, 차도의 노측(路側)용, 차도의 중앙 분리대용, 또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용 방호책으로 여러 가지 강도 구분의 것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방호책은 차량이 비교적 작은 입사각(여기에서는, 차량용 방호책과 차량이 돌입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말하는 것이며, 비교적 작은 입사각은 15도나 20도 정도의 각도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으로 돌입한 경우에 차량용 방호책이 돌파되지 않도록 강도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끼리의 충돌 때처럼 큰 입사각으로 돌입해 오는 차량에 대해서는 기존의 차량용 방호책으로는 막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교차로 근방에서는 마주치는 순간의 충돌 사고와 같은 차량끼리의 충돌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위험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도로의 교차로 근방에서는 보행자용의 횡단 보도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어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교차로 근방에는 차량용 방호책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교차로 근방의 횡단 보도의 위치를 제외한 영역에는,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는 연석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연석에서는 충돌 사고를 일으킨 차량이 보도로 돌입해 오는 것을 막는 것은 곤란하고, 신호 대기를 하던 보행자가 차량의 충돌 사고에 연루되는 것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차도의 노측용, 차도의 중앙 분리대용 또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용으로서의 차량 블록벽으로, 차량이 돌입해 오는 입사각의 대소에 구애되지 않고, 진행 방향을 잘못한 차량이 도로 밖이나 대향 차선 또는 보도 등으로 일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행자 등의 안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블록벽을, 간단한 공사로, 또한 저가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관점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중공(中空) 주상(柱狀) 블록을 수평면 내에 인접하여 지반 상에 배치한 차량 블록벽에 있어서, 그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중공 주상 블록의 축심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돌기부가 구비되고, 서로 이웃하는 중공 주상 블록의 돌기부끼리가 서로 치합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의 차량 블록벽으로 하였다.
또한, 제 2 관점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관점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에 있어서,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의 중공 부분에는 지반에 박아 넣는 적어도 하나의 말뚝 부재가 구비되는 구성의 차량 블록벽으로 하였다.
또한, 제 3 관점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에 있어서, 인접한 중공 주상 블록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가 구비되는 구성의 차량 블록벽으로 하였다.
또한, 제 4 관점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에 있어서, 말뚝 부재의 상단은 중공 주상 블록의 상단면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말뚝 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는 구성의 차량 블록벽으로 하였다.
또한, 제 5 관점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내지 제 4 관점의 어느 하나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에 있어서, 중공 주상 블록의 내부에는 충전재가 충전되는 구성의 차량 블록벽으로 하였다.
제 1 관점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에 따르면, 진행 방향을 잘못한 차량이 도로 밖이나 대향 차선 또는 보도 등으로 일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한 부분에,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이 나란히 배치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중공 주상 블록의 돌기부끼리가 서로 치합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큰 입사각으로 차량이 돌입하더라고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이 일체로 되어 차량의 돌입을 저지함으로써 차랑의 상술한 바와 같은 일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은, 단순히 지반 상에 배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차량이 돌입하여 중공 주상 블록에 충돌한 때에는, 중공 주상 블록은 지반 위를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중공 주상 블록과 지반의 마찰력에 의해 충돌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차량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은, 서로 이웃하는 중공 주상 블록의 돌기부끼리가 서로 치합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돌입하여 특정의 중공 주상 블록에 충돌하더라도 당해 특정 중공 주상 블록이 충돌시의 충격에 의해 크게 비산하지 않고, 보행자 등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을 수평면 내에 인접하여 지반 상에 배치할 뿐이어서 직선 형태나 곡선 형태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형상의 차량 블록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저가격으로 차량 블록벽을 구축할 수 있는 동시에 차량 블록벽의 재구축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2 관점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에 따르면,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의 중공 부분에는 지반에 박아 넣는 적어도 하나의 말뚝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돌입하여 특정의 중공 주상 블록에 충돌할 때에 당해 특정 중공 주상 블록의 비산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 보행자 등의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더욱이, 제 3 관점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에 따르면, 인접하는 중공 주상 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 나일론 로프, 체인, 연결 금구 등의 결합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돌입하여 특정의 중공 주상 블록에 충돌할 때 해당 특정의 중공 주상 블록의 비산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 보행자 등의 보호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제 4 관점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에 따르면, 말뚝 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 나일론 로프, 체인 등의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돌입하여 특정의 중공 주상 블록에 충돌할 때에 해당 특정의 중공 주상 블록의 비산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 보행자 등의 보호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제 5 관점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에 따르면, 중공 주상 블록의 내부에는, 속채움재 및/또는 식생토로 이루어진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돌입하여 특정의 중공 주상 블록에 충돌할 때에 중공 주상 블록의 중량에 더하여 충전재의 중량이 더욱 더해져 차량의 돌입을 저지하는 효과가 더욱 증가한다. 또한, 중공 주상 블록의 가운데에 충전재가 추가됨에 따라 차량이 돌입하여 중공 주상 블록에 충돌할 때에 중공 주상 블록과 충전재가 일체로 되어 지반 위를 이동하기 때문에, 충전재를 포함하는 중공 주상 블록과 지반의 마찰력에 의해 충돌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관점에 따른 발명의 차량 블록벽보다도 더욱 차량의 충돌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중공 주상 블록의 내부에 충전재로서 식생토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화초의 식재가 가능하게 되고 경관의 보전에 공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록벽을 종래의 차량용 방호책을 설치하기 어려운 교차로 근방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록벽의 적용 범위는 교차로 근방에 머무르지 않고 종래의 차량용 방호책이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 근방 이외의 영역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록벽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여러 이점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록벽의 하나의 중공 주상 블록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록벽의 2개의 중공 주상 블록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인접하는 중공 주상 블록의 돌기부끼리가 서로 치합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량 블록벽의 2개의 중공 주상 블록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록벽을 교차로 근방에 설치한 경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록벽을 교차로 근방에 설치한 경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록벽을 교차로 근방에 설치한 경우의 사시도이고,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록벽의 1개의 중공 주상 블록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블록벽의 2개의 중공 주상 블록을 인접하고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차량 블록벽의 2개의 중공 주상 블록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공(中空) 주상(柱狀) 블록(10)은, 내부에 중공 부분(13)을 구비한 기둥 모양의 블록이고, 그 주상 블록의 외주면(11) 및 내주면(12)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중공 주상 블록(10)의 내부에는 하단면으로부터 상단면까지 관통된 중공 부분(13)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중공 주상 블록(10)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은 폐쇄된 상태, 즉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격벽(속채움 콘크리트 등)(14)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중공 주상 블록(10)의 높이, 직경(또는 가로, 세로 치수), 두께 등의 치수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공 주상 블록(10)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콘크리트로서는, 투수성 콘크리트 및 비투수성 콘크리트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중공 주상 블록(10)은 콘크리트 제(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콘크리트 외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중공 주상 블록(10)의 외주면(11)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중공 주상 블록(10)의 축심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돌기부(11-1)가 구비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중공 주상 블록(10)의 돌기부(11-1)는, 서로 치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중공 주상 블록(10)을 사용하여 차량용 블록벽(1)을 구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상술한 중공 주상 블록(10)을 사용하여 교차로 근방에 차량 블록벽(1)을 구축(構築)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에서는,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10)을 수평면 내에 인접하여 지반(61) 상에 배치함으로써 차량 블록벽(1)을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블록벽(1)을 구축하는 때에는, 인접하는 중공 주상 블록(10)의 돌기부(11-1)끼리가 서로 치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교차로 근방에서 차량 블록벽(1)을 구축할 때에는, 임의의 수의 중공 주상 블록(10)을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보행자가 통행하는 횡단보도의 근방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차량 블록벽(1)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10)을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되어 있기 때문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로의 만곡된 영역에서도, 만곡된 형상에 따라 차량 블록벽(1)을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구축 자유도가 높은 차량 블록벽(1)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차량 블록벽(1)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과 다른 점은, 중공 주상 블록(1)의 중공 부분(13)에 지반(61)에 박아 넣는 말뚝 부재(21)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말뚝 부재(2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주상 블록(10)의 중공 부분(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말뚝 부재(21)의 하단 부분은 지반(61) 속으로 박혀져 있다. 말뚝 부재(21)의 상단 부분은 중공 주상 블록(10)의 상단면의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중공 주상 블록(10)의 상단면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말뚝 부재(21)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적어도 봉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좋고, 그 재료는 철강 등의 금속이어도, 콘크리트나 FRP 등의 재료이어도 좋다.
또한, 차량 블록벽(1)을 구성하는 모든 중공 주상 블록(10)의 중공 부분(13)에 말뚝 부재(21)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고,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10) 중의 일부의 중공 주상 블록(10)의 중공 부분(13)에만 말뚝 부재(21)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이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과 다른 점은, 인접하는 중공 주상 블록(10)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31)가 구비되어 있다는 것이다.
결합 부재(31)는, 인접하는 중공 주상 블록(10)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부재이고,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10)의 측벽에 구멍을 내고, 와이어 로프, 나일론 로프, 체인 등을 관통시켜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10)을 결합시키거나, 인접하는 중공 주상 블록(10)의 상단면, 측벽, 하다면 등에 결합 금구를 볼트 체결하는 등으로 하여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10)을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결합 부재(31)는, 와이어 로프, 나일론 로프, 체인, 결합 금구의 각각 중에서 1 종류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부재(31)는 인접한 모든 중공 주상 블록(10)을 결합하도록 설치하여도 좋고, 인접한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10) 중의 일부의 중공 주상 블록(10)만을 결합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과 다른 점은, 말뚝 부재(2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1)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연결 부재(41)는, 중공 주상 블록(10)의 중앙 부분(13)에 설치된 말뚝 부재(2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고,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주상 블록(10)의 상단면의 상방으로 돌출된 말뚝 부재(21)의 상단부에 구멍 또는 아이볼트(eye bolt) 모양의 금구를 부착하고, 그 구멍 또는 아이볼트 모양의 금구를 통해 와이어 로프, 나일론 로프, 체인 등을 체결함으로써 구성된다.
연결 부재(41)는, 와이어 로프, 나일론 로프, 체인의 각각 중에서 1 종류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부재(41)는, 인접한 모든 말뚝 부재(21)를 연결하도록 설치하여도 좋고, 인접한 복수의 말뚝 부재(21) 중 일부의 말뚝 부재(21)만을 결합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이,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블록벽(1)과 다른 점은, 중공 주상 블록(10)의 내부에는 충전재(51)가 충전되어 있다는 점이다.
충전재(51)로서는, 옥석(玉石), 할률석(割栗石), 할석(割石) 콘크리트 괴(塊), 토목 잔토 등으로 된 속채움재(中詰材)(51-1) 또는 식생토(51-2)를 사용할 수 있다.
중공 주상 블록(10)의 내부에 충전재(51)로서 식생토를 충전한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주상 블록(10)의 내부에 화초의 식재가 가능하게 된다.
1 : 차량 블록벽
10 : 중공 주상 블록
11 : 외주면
11-1 : 돌기부
12 : 내주면
13 : 중공 부분
14 : 격벽(속채움 콘크리트 등)
21 : 말뚝 부재
31 : 결합 부재
41 : 연결 부재
51 : 충전재
51-1 : 속채움재
51-2 : 식생토
61 : 지반

Claims (5)

  1.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을 수평면 내에 인접하여 지반 상에 배치한 차량 블록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외주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중공 주상 블록의 축심에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돌기부가 구비되고, 이웃하는 상기 중공 주상 블록의 상기 돌기부끼리가 서로 치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록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공 주상 블록의 중공 부분에는, 지반에 박아 넣는 적어도 하나의 말뚝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록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중공 주상 블록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록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은, 상기 중공 주상 블록의 상단면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말뚝 부재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록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주상 블록의 내부에는 충전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블록벽.
KR1020200025414A 2019-06-18 2020-02-28 차량 블록벽 KR20200144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3245A JP2020204217A (ja) 2019-06-18 2019-06-18 車両ブロック壁
JPJP-P-2019-113245 2019-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454A true KR20200144454A (ko) 2020-12-29

Family

ID=7383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414A KR20200144454A (ko) 2019-06-18 2020-02-28 차량 블록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0204217A (ko)
KR (1) KR20200144454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161Y2 (ko) * 1971-10-22 1977-08-24
JP3188328B2 (ja) * 1992-10-21 2001-07-16 ケイコン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のプレキャストガードフェンスの構造
US5607252A (en) * 1995-06-16 1997-03-04 Tischer; Duain E. Highway collision containment system
JP6920937B2 (ja) * 2017-09-14 2021-08-18 株式会社トッコン 千鳥状突起物を備えた円柱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土木構造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204217A (ja)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802B2 (en) Security barrier posts, security barriers and methods of building security barriers
JP5962991B2 (ja) 防護柵および防護柵の設置方法
JP6321277B1 (ja) 道路防護柵用可撓性支柱
JPH02157308A (ja) コンクリート防護壁
KR20200144454A (ko) 차량 블록벽
KR100802095B1 (ko)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JP2022117981A (ja) 耐衝撃性ボラード及び耐衝撃性ボラード用芯材及び耐衝撃性ボラードの地中埋設構造
AU2018229146A1 (en) Delineator post and delineator post assembly
KR20070099909A (ko) 도로 분리 경계용 충격흡수장치
JP2015522111A (ja) 擁壁システム上のプリキャスト交通障壁
JP6929727B2 (ja) 多段樹脂製マウントブロック及び車線区分柵
JP5688039B2 (ja) 仕切り構造体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JP5051324B1 (ja) 歩道用コンクリート版とその設置方法及びこのコンクリート版を用いた仮歩道構造
KR101902962B1 (ko) 충격흡수 구조체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20040086115A (ko) 가드레일의 충격흡수 구조체
RU2291243C1 (ru)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барьер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ых дорог
RU2759566C1 (ru)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барьер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ых дорог
CN217026818U (zh) 一种挡车路障及路面挡车结构
US6752564B1 (en) Roadway barrier for protecting pedestrians
RU2601825C1 (ru) Концевой участок дорожного барьер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CN210857057U (zh) 组合式波形护栏
KR200464371Y1 (ko) 도로 중앙분리대
KR100549495B1 (ko) 옹벽용 완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