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60A -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 Google Patents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60A
KR20200144360A KR1020190072321A KR20190072321A KR20200144360A KR 20200144360 A KR20200144360 A KR 20200144360A KR 1020190072321 A KR1020190072321 A KR 1020190072321A KR 20190072321 A KR20190072321 A KR 20190072321A KR 20200144360 A KR20200144360 A KR 20200144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hollow tube
extension pipe
inl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415B1 (ko
Inventor
권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to KR102019007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4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2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steel or ferrous alloys
    • F28F21/083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steel or ferrous alloys from stainless st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중공 관(200);과 상기 중공 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얼음(10)이 얼리도록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중공 관(200)에 냉매가 유입되었을 때, 상기 다수 오목부(110)에 제빙수가 공급되어 상기 오목부(110)에 얼음(10)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제빙수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장치의 제조과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한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Built-in ice maker harmless to human body}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케이스 삽입식 제빙 에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빙수를 제빙하여 인체에 무해한 얼음제조가 가능하며, 상기 얼음을 제조하고 남은 제빙수가 중금속 등의 유해영양 무기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사용의 편의성 등으로 인해 얼음을 별도로 공급하는 얼음 정수기도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얼음 정수기에서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장치는, 냉매가 제빙 관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빙 관과 인접한 위치에 얼음이 형성되는 얼음 생성부가 구비되되, 상기 얼음생성부에 제빙수를 공급함으로써 얼음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얼음생성부에 제빙수가 공급될 때, 공급되는 제빙수가 즉시 얼음으로 생성되지 않으면, 상기 얼음으로 생성되지 않은 정수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누수 되고 상기 누수 된 제빙수는, 냉수로 취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제빙장치는 용접과정에 있어 니켈을 사용함으로써 시간이 흐름에 따라 중금속 등의 유해영양 무기물질로 인해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근래에는 제빙장치의 제빙 관과 제빙부를 동재질로 제조하되, 표면을 도금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전체를 스테인레스로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빙장치는 내형부재와 외형부재가 다수개 구비됨으로써 제조과정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빙 관이 전체 스테인레스로 제작되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공 관을 감싸는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중공 관에 제빙수가 접촉되지 않아 제빙수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장치의 제조과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한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중공 관(200);과 상기 중공 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얼음(10)이 얼리도록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중공 관(200)에 냉매가 유입되었을 때, 상기 다수 오목부(110)에 제빙수가 공급되어 상기 오목부(110)에 얼음(10)이 열리도록 한다.
상기 중공 관(200)은 한번이상 절곡되는 중공 관(200)이며 상기 중공 관(200)의 일측 끝단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210);가 상기 중공관과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중공 관(200)의 타측 끝단에는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22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입구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400)의 기능을 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공(400)의 기능을 하되, 상기 하우징(100)은 정면; 및 후면;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110)는 상기 정면 및/또는 후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정면 및 상기 후면과 연계되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상기 중공 관(200)이 통과할 수 있는 설치공(140);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설치공(140)은 상기 중공 관(200)의 외부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공이면서, 상기 설치공이 버어링 가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설치공(140)의 테두리부에는 돌출부(14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 관(200)의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이때 상기 중공 관(200)의 재질은 동 또는 스테인레스, 이종금속 등 이면서 상기 입구(210)와 출구(220)에는 상기 중공 관(20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장관(230);이 각각 연결 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140)에는 연장관(230)이 끼워지되, 상기 연장관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또는 동 이고 상기 입구(210)의 테두리부와, 연장관의 일측끝단 테두리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하여 연결되는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출구(220)의 테두리부와, 연장관의 일측끝단 테두리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하여 연결되는 배출연장관(232);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유입 연장관이 상기 입구와 용접되었을 때 상기 유입연장관의 타측 끝단 테두리부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400)의 기능을 하고, 상기 배출연장관이 상기 출구와 용접되었을 때 상기 배출연장관의 타측끝단 테두리부는 상기 배출공(400)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두 개의 설치공(140)에는 상기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배출연장관(232)이 각각 끼워진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유입연장관과 상기 배출연장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배출연장관(232)은 상기 설치공(140)의 테두리부와 용접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설치공(140)에는 상기 중공 관(200)이 끼워지되, 상기 중공관은 일측끝단에 형성 된 입구(210);와 타측 끝단에 형성 된 출구(220);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관(20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이며 상기 각각의 설치공(140)에는 상기 입구(210)에 인접한 중공 관(200)의 일측부와 상기 출구(220)와 인접한 중공 관(200)의 타측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입구(210)와 상기 출구(220)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입구(210)에 인접한 중공 관(200)의 일측부와 상기 출구(220)와 인접한 중공 관(200)의 타측부는 상기 설치공(140)의 테두리부와 용접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제빙수의 흐름을 오목부(110)로 유도시키는 유도부(130);가 더 구비된다.
상기에서 오목부(110)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반구 형상의 홈이되, 상기 하우징(100)의 정면과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110)의 뒷면의 소정부위는 냉매가 흐르는 상기 중공 관(200)의 표면과 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 관(200) 표면의 냉기가 상기 오목부(110)에 직접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10)에서 깊이가 가장 깊은 저부는 상기 중공 관(200)과 면 접촉 됨에 따라 돌출된 안착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좌측과 우측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10)는 하우징(10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100)의 높이방향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에서 유도부(130)는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부에 유도부(130)의 일측 끝단이 접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유도부(130)의 타측 끝단이 접하도록 수직하게 홈이 형성된 것이되, 상기 유도부(130)는, 하나이상의 오목부(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유도부(130) 일측 끝단과 인접한 위치에는 제빙수를 공급하는 노즐부(310);가 배치되되, 상기 노즐부(310)에는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공급관(300);이 연결되어 상기 유도부(130)의 일측 끝단에 제빙수를 공급하고 상기 유도부(130)에 공급되는 제빙수는 하나이상의 오목부(110)를 거쳐 유도부(130)의 타단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빙수공급관(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하나의 제빙수공급관(300)에는 복수의 노즐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은, 테두리부가 수직으로 절곡되되 상기 절곡된 부위는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을 제외한 하우징의 나머지 면과 접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빙수의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장치의 제조과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유통가격을 낮출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우징을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 관의 형상을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것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중공 관(200);과 상기 중공 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얼음(10)이 얼리도록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중공 관(200)에 냉매가 유입되었을 때, 상기 다수 오목부(110)에 제빙수가 공급되어 상기 오목부(110)에 얼음(10)이 열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에서 중공 관(200);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에 형성된 얼음은, 상기 하우징을 통해 열교환을 하거나 또는 중공 관에 핫가스를 투입함으로써 상기 오목부에 형성 된 얼음을 오목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중공 관에 핫가스를 투입하는 방법은, 공연히 알려진 종래의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의 기술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110)는 하우징(10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100)의 높이방향의 중심선과 일치하게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오목부(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좌측과 우측의 양쪽에 각각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오목부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 관(200)은 한번이상 절곡되는 중공 관(200)이며 상기 중공 관(200)의 일측 끝단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210);가 상기 중공관과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중공 관(200)의 타측 끝단에는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22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입구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400)의 기능을 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공(400)의 기능을 하되, 상기 하우징(100)은 정면; 및 후면;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110)는 상기 정면 및/또는 후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공 관은 한번이상 절곡됨에 따라 복수의 절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제빙수의 흐름을 오목부(110)로 유도시키는 유도부(130);가 더 구비된다.
상기에서 유도부(130)는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부에 유도부(130)의 일측 끝단이 접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유도부(130)의 타측 끝단이 접하도록 수직하게 홈이 형성된 것이되, 상기 유도부(130)는, 하나이상의 오목부(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유도부(130) 일측 끝단과 인접한 위치에는 제빙수를 공급하는 노즐부(310);가 배치되되, 상기 노즐부(310)에는 제빙수를 공급하는 제빙수공급관(300);이 연결되어 상기 유도부(130)의 일측 끝단에 제빙수를 공급하고 상기 유도부(130)에 공급되는 제빙수는 하나이상의 오목부(110)를 거쳐 유도부(130)의 타단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빙수공급관(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하나의 제빙수공급관(300)에는 복수의 노즐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하우징을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 관의 형상을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정면 및 상기 후면과 연계되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상기 중공 관(200)이 통과할 수 있는 설치공(140);이 구비된다.
상기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 관(200)의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이때 상기 중공 관(200)의 재질은 동 또는 스테인레스, 이종금속 등 이면서 상기 입구(210)와 출구(220)에는 상기 중공 관(20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장관(230);이 각각 연결 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00)과 연장관(230)은 스테인레스 또는 동 재질로 제조되되, 상기 중공 관(200)이 동 또는 주철, 이종금속 등 그 밖의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중공 관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빙수의 수질 오염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140)에는 연장관(230)이 끼워지되, 상기 연장관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또는 동 이고 상기 입구(210)의 테두리부와, 연장관의 일측끝단 테두리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하여 연결되는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출구(220)의 테두리부와, 연장관의 일측끝단 테두리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하여 연결되는 배출연장관(232);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유입 연장관이 상기 입구와 용접되었을 때 상기 유입연장관의 타측 끝단 테두리부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400)의 기능을 하고, 상기 배출연장관이 상기 출구와 용접되었을 때 상기 배출연장관의 타측끝단 테두리부는 상기 배출공(400)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두 개의 설치공(140)에는 상기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배출연장관(232)이 각각 끼워진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유입연장관과 상기 배출연장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배출연장관(232)은 상기 설치공(140)의 테두리부와 용접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도3을 참조하여 상기 도2에 도시된 설치공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도 2에 도시된 설치공(140)의 내경이 T1이고, 도 3에 도시된 중공 관(200)의 외부 직경이 T2일때, 도 2에 도시된 설치공의 내경 T1은 상기 도3에 도시된 중공 관의 외경(T2)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공이면서 상기 설치공이 버어링 가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설치공(140)의 테두리부에는 돌출부(141)가 구비된다.
또한 설치공(140)의 내경 T1과 상기 중공관(200)의 외경 T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에서 돌출부는 상기 설치공의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에 중공관이 끼워진 상태로 용접될 때에 해당 용접부위의 접촉면적을 넓힘에 따라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설치공에 중공관이 끼워질 때 상기 중공관이 돌출부에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설치공과 중공관이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가공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것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오목부(110)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반구 형상의 홈이되, 상기 하우징(100)의 정면과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110)의 뒷면의 소정부위는 냉매가 흐르는 상기 중공 관(200)의 표면과 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 관(200) 표면의 냉기가 상기 오목부(110)에 직접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오목부는, 반구 형상이 아닌 다양한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목부(110)에서 깊이가 가장 깊은 저부는 상기 중공 관(200)과 면 접촉 됨에 따라 돌출된 안착부(120);가 형성된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치공(140)에는 상기 중공 관(200)이 끼워지되, 상기 중공관은 일측끝단에 형성 된 입구(210);와 타측 끝단에 형성 된 출구(220);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관(200)은 스테인레스, 동 또는 주철, 이종금속중 하나의 재질이되 상기 각각의 설치공(140)에는 상기 입구(210)에 인접한 중공 관(200)의 일측부와 상기 출구(220)와 인접한 중공 관(200)의 타측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입구(210)와 상기 출구(220)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입구(210)에 인접한 중공 관(200)의 일측부와 상기 출구(220)와 인접한 중공 관(200)의 타측부는 상기 설치공(140)의 테두리부와 용접하여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용접부의 용접방법은 공연히 알려진 종래의 기술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용접부의 용접을 위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사용되더라도, 상기 용접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빙수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첨부된 도 7은 도 6의 B-B' 단면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은 정면 및 후면과 연계되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은, 테두리부가 수직으로 절곡되되 상기 절곡된 부위는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을 제외한 하우징의 나머지 면과 접합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및 우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의 외주면은, 하우징의 정면, 후면, 상면, 하면의 내측면과 각각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용접된다.
또한 상기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는 상기 중공 관(200)이 통과할 수 있는 설치공(1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의 일단은, 상기 설치공(140)의 일단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하여 고정되되,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장관은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배출연장관(232)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의 외경은, 상기 설치공(140)의 내경보다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유도부(130);가 생략됨에 따라 상기 노즐부(310)로부터 공급되는 제빙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타고 상기 오목부(110)를 거쳐 하우징의 하단으로 이동하며 이때 상기 오목부(110)에는 상기 제빙수가 제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이다.
첨부된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중공 관(200)은, 2번 절곡 됨에 따라 형성된 2개의 절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첨부된 도 8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제빙수의 흐름을 유도시키는 유도부(130);가 생략됨에 따라 상기 제빙수는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된 노즐부(310)를 통해 공급되고 중력에 의해 하우징의 외면을 타고 하나이상의 오목부(110)를 거쳐 하단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중공 관(200)의 일측 끝단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210);가 상기 중공관과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중공 관(200)의 타측 끝단에는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22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입구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400)의 기능을 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공(400)의 기능을 하되, 상기 하우징(100)은 정면; 및 후면;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110)는 상기 정면 및/또는 후면에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에바는, 상기 설치공(140)에 상기 중공 관(200)이 끼워지되, 하우징의 외면에는, 제빙수의 흐름을 유도시키는 유도부(130);가 생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오목부
120 안착부 130 유도부
140 설치공 141 돌출부
200 중공 관 210 입구
220 출구 230 연장관
231 유입연장관 232 배출연장관
300 제빙수공급관 310 노즐부
400 유입공 410 배출공

Claims (12)

  1. 냉매가 이동되도록 형성된 중공 관(200);과
    상기 중공 관(2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얼음(10)이 얼리도록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중공 관(200)에 냉매가 유입되었을 때, 상기 다수 오목부(110)에 제빙수가 공급되어 상기 오목부(110)에 얼음(10)이 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관(200)은 한번이상 절곡되는 중공 관(200)이며
    상기 중공 관(200)의 일측 끝단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210);가 상기 중공관과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중공 관(200)의 타측 끝단에는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22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입구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400)의 기능을 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공(400)의 기능을 하되,
    상기 하우징(100)은 정면; 및 후면;이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110)는 상기 정면 및/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정면 및 상기 후면과 연계되어 좌측면; 우측면; 상면; 하면;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상기 중공 관(200)이 통과할 수 있는 설치공(1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140)은 상기 중공 관(200)의 외부 직경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공이면서, 상기 설치공이 버어링 가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설치공(140)의 테두리부에는 돌출부(1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 관(200)의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이때 상기 중공 관(200)의 재질은 동 또는 스테인레스, 이종금속 등 이면서 상기 입구(210)와 출구(220)에는 상기 중공 관(200)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연장관(230);이 각각 연결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140)에는 연장관(230)이 끼워지되, 상기 연장관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또는 동 이고 상기 입구(210)의 테두리부와, 연장관의 일측끝단 테두리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하여 연결되는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출구(220)의 테두리부와, 연장관의 일측끝단 테두리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하여 연결되는 배출연장관(232);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유입 연장관이 상기 입구와 용접되었을 때 상기 유입연장관의 타측 끝단 테두리부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공(400)의 기능을 하고, 상기 배출연장관이 상기 출구와 용접되었을 때 상기 배출연장관의 타측끝단 테두리부는 상기 배출공(4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설치공(140)에는 상기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배출연장관(232)이 각각 끼워진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유입연장관과 상기 배출연장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연장관(231)과 상기 배출연장관(232)은 상기 설치공(140)의 테두리부와 용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140)에는 상기 중공 관(200)이 끼워지되, 상기 중공관은 일측끝단에 형성 된 입구(210);와 타측 끝단에 형성 된 출구(220);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관(20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이며 상기 각각의 설치공(140)에는 상기 입구(210)에 인접한 중공 관(200)의 일측부와 상기 출구(220)와 인접한 중공 관(200)의 타측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입구(210)와 상기 출구(220)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210)에 인접한 중공 관(200)의 일측부와 상기 출구(220)와 인접한 중공 관(200)의 타측부는 상기 설치공(140)의 테두리부와 용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제빙수의 흐름을 오목부(110)로 유도시키는 유도부(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10)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반구 형상의 홈이되, 상기 하우징(100)의 정면과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110)의 뒷면의 소정부위는 냉매가 흐르는 상기 중공 관(200)의 표면과 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공 관(200) 표면의 냉기가 상기 오목부(110)에 직접 전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KR1020190072321A 2019-06-18 2019-06-18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KR102279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321A KR102279415B1 (ko) 2019-06-18 2019-06-18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321A KR102279415B1 (ko) 2019-06-18 2019-06-18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60A true KR20200144360A (ko) 2020-12-29
KR102279415B1 KR102279415B1 (ko) 2021-07-20

Family

ID=7409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321A KR102279415B1 (ko) 2019-06-18 2019-06-18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4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114A (en) * 1980-05-16 1985-04-09 King-Seeley Thermos Co. Method of making an ice making apparatus
JP2006052906A (ja) * 2004-08-12 2006-02-23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
JP5448889B2 (ja) * 2010-02-01 2014-03-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流下式製氷機の散水ガイド
KR20150140244A (ko) * 2015-09-22 2015-12-15 (주) 유앤아이 유로구조를 갖는 직냉방식 제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114A (en) * 1980-05-16 1985-04-09 King-Seeley Thermos Co. Method of making an ice making apparatus
JP2006052906A (ja) * 2004-08-12 2006-02-23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
JP5448889B2 (ja) * 2010-02-01 2014-03-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流下式製氷機の散水ガイド
KR20150140244A (ko) * 2015-09-22 2015-12-15 (주) 유앤아이 유로구조를 갖는 직냉방식 제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415B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089B1 (ko) 볼텍스 튜브
CN105212802B (zh) 具有改进的内部冷却剂递送的刀架
JP2005118816A (ja) プラズマトーチ用のノズル
CN110029704A (zh) 水栓装置
KR20170114306A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냉매 유도관
JP3878670B2 (ja) プラズマジェット収斂システム
KR20200144360A (ko) 인체에 무해한 내부유로를 갖는 케이스 삽입식 제빙에바
JP5626058B2 (ja) 貯湯式給湯機
RU2006115974A (ru)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зоны рез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7147004A (ja) 湯水混合バルブ装置
JP6425478B2 (ja) 排気熱回収装置
KR101824356B1 (ko) 유체 분배기
KR101969380B1 (ko) 직수형 정수기의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리스를 갖는 듀얼 이중관 구조
CN108339946A (zh) 点喷式冷却环及其应用的轮毂模具
JP2007190595A (ja) 金属溶接管製造用内面シールド治具
CN107461915A (zh) 一种单通道扰流管式换热装置
KR101623839B1 (ko) 드럼 히터
KR101735967B1 (ko) 일렉트로 가스 용접용 동담금장치
CN211174370U (zh) 一种缸盖冷却结构
KR20120017153A (ko) 물탱크
CN207668180U (zh) 一种非旋型紧排式控轧穿水冷却器
CN219379276U (zh) 焊接水冷喷嘴及焊枪
KR20190074572A (ko) 오목부 형상을 갖는 제빙용 냉매관
KR20200142862A (ko)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형상의 얼음제조가 가능한 유수식 제빙장치
JP7418876B1 (ja) 独立した2つ以上の送風口を備える高炉用送風羽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